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조선시대 회화에 나타난 금계 도상 연구

        김준선(Kim, Junseon)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2022 미술사와 문화유산 Vol.10 No.-

        금계(錦鷄)는 별치(鷩雉)라 불리는 붉은 닭목 꿩과의 조류이다. 수컷 금계는 오색 빛깔의 화려한 깃털로 인해 예로부터 중국에서 문(文)·무(武)·용(勇)인(仁)·신(信)의 오덕(五德)을 갖춘 새로 찬양됐으며, 예로부터 화재를 예방하고 재앙을 방지하는 벽사용과 화려한 자태 덕에 관상용은 물론 수출용, 약용 등의 목적으로 쓰였다. 본 논문에서는 닭 내지 꿩과 혼용되는 ‘錦鷄’가 별개의 조류임을 기반으로, 이를 조선시대 서화를 중심으로 논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선시대 문헌에서 ‘금계’는 ‘쇠 금’자를 쓴 ‘金鷄’와 ‘비단 금’자를 쓴 ‘錦鷄’로 구분된다. ‘金鷄’는 길일을 의미하는 택일(擇日)과 사면령을 뜻하는 계간(鷄竿), 그리고 시구(詩句)의 일부분으로 쓰였다. 또한 ‘金鷄’라 기록하지 않았으나 계간의 의미로, ‘守朝鳴吠’라 쓴 예가 일부 있다. 반면 ‘비단 금’자를 쓴 ‘錦鷄’ 관련 편년서는 전하지 않으나 다양한 문집류에서 그 기록을 찾을 수 있다. ‘金鷄’는 문집에서도 택일·계간·시구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이밖에도 지형·지명·약재의 의미로 쓰였다. 반면 ‘錦鷄’의 가장 주된 기록은 머리말에서 살펴본 정의와 같이 조류로서의 의미와, 중국의 관복(官服)을 설명하는 금계보복(錦鷄補服)으로 쓰였다. 또한 ‘錦雞’와 관련해 중국의 그림들도 언급되며, 병풍 관련 문헌 기록은 ‘金鷄’와 ‘錦鷄’ 모두 한 건씩 전한다. ‘錦鷄’의 도상이 명확히 확인되는 조선시대 회화로는 허주 이징(李澄, 1581-?)의 《산수화조도첩(山水花鳥圖帖)》(보물 제1985호, 간송미술관 소장)과 傳 이징의 《영모첩(毛畫帖)》(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傳 죽림수 이영윤(李英胤, 1561-1611)의 <화조도(花鳥圖)> 8폭 병풍(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긍재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의 <금계도(錦鷄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정도가 있다. 조선 내 이징과 이영윤의 화풍은 동시기 같은 신분의 종친화가 이건(李健, 1614-1662)과 이함(李涵, 1633-?) 등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유사한 그림이 여러 점 전한다. 그러나 이징과 이영윤의 전칭작처럼 조선시대 회화 내 ‘錦鷄’ 도상이 전하는 예가 많지 않다. 첩 혹은 병풍 내 일부분으로서 ‘錦鷄’의 모습이 확인되며, 이른 시기 북송대 휘종(徽宗, 1082-1135)의 <부용금계도(芙蓉錦鷄圖)>(북경고궁박물원 소장)부터 동시대 임량(林良, 생몰년 미상)과 여기(呂紀, 1477-?)의 화조화까지 중국화풍의 영향을 여실히 드러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앞서 살펴본 김득신의 그림 외에는 ‘錦鷄’의 비중은 줄어들고 ‘金鷄’ 도상이 늘어났으며, 그 연유에 대해서 전하는 기록이 없으나 조선 통신사행(通信使行)을 통해 유입된 일본의 증조(贈朝)병풍과 에도시대 박물학(博物學) 연구의 유행이라는 관점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 가운데 조선 후기 ‘黃鷄’를 담은 <금계도> 병풍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현전하는 작품으로는 Ⅱ장에서 언급한 삼성미술관 소장 <금계도> 8폭 병풍(이하 ‘리움 소장본’으로 칭함)과 프랑스 파리 국립기메동양박물관(Musee National des Arts Asiatiques-Guimet) 소장 <금계도> 8폭 병풍(이하 ‘기메 소장본’으로 칭함)이 전하며, 단 폭으로는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금계도>(이하 ‘온양 소장본’으로 칭함)가 있다. 이 병풍들과 도상적, 기법적으로 유사한 회화는 가노파 화가들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으며, 조류의 형태는 가노파 외에 에도시대 화가 이토 자쿠추(伊藤若冲, 1716-1800)의 도상에서 영향관계를 살필 수 있다. 조선 말기에 이르면 ‘金鷄’는 다른 궁중회화와 마찬가지로 민화의 소재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금빛 깃털의 묘사가 점차 사라지고 일반적인 닭의 형태로 자리 잡았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존에 ‘金鷄’와 ‘錦鷄’를 같은 종으로 인식하고 용어를 혼용해 사용한 부분은 재고되어야 한다. 1891년 수원화성 관련 기록인 『화영중기』에서의 기록을 기반으로 ‘金鷄圖’는 ‘黃鷄圖’로 정리하는 것이 적절해 보인다. 또한 기록을 통해 김홍도에게 병풍 제작을 지시한 정조나 당대 연행을 다녀온 문인들은 이미 실견을 통해 ‘金鷄’와 ‘錦鷄’의 차이를 인지했을 것으로 보이며, 중국의 여러 명화들을 바탕에 둔 채 ‘黃鷄’라는 도상을 선택적으로 차용했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Golden Pheasant is a bird of the red chicken neck pheasant family called Byeolchi. The male Golden Pheasant has long been praised in China for its colorful feathers, and has been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as well as export and medicinal purposes since ancient times due to the use of walls to prevent fires and prevent disasters.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e discussion is to focus on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based on the fact that Golden Pheasant separated from chickens or pheasants. In the literature of the Joseon Dynasty, Geumgye is divided into Geumgye with the letter gold and Geumgye with the letter silk. Geumgye with the letter gold was used as part of choosing an auspicious day, meaning a lucky day, poetry, and so on. On the other hand, the main record of Geumgye with the letter silk was based on Golden Pheasant. In addition, Chinese paintings are mentioned in relation to Golden Pheasant. There are not many examples in which the icon of Golden Pheasant is clearly confirmed in paintings of the Joseon Dynasty. As a part of the concubine or folding screen, the appearance of Golden Pheasant was confirmed, and the influence of Chinese painting style from Emperor Huizong to Ming Dynasty artists is clearly reveal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proportion of Golden Pheasant decreased and the number of chicken paintings increased, and folding screens containing a yellow chicken began to appear. Paintings similar to these folding screens can be found in the works of the Japanese Kano School, and the form of birds can be examined in the painting of the Edo Period painter Ito Jakuchu.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 yellow chicken began to be used as a material for folk paintings like other court paintings. 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golden feathers gradually disappeared and became a common chicken form. In this trend, the part where a yellow chicken and Golden Pheasant were previously recognized as the same species and used interchangeably should be reconsidered. In addition, the records suggest that King Jeongjo or writers who had been arrested at the time, may have already recognized the difference between a yellow chicken and Golden Pheasant through mistakes. Based on various famous Chinese paintings, I would lik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selectively borrowing the icon of Golden Pheasant.

      • KCI우수등재

        금제품에 대한 절도죄와 사실상 소유권의 개념

        박흥식 법조협회 2018 法曹 Vol.67 No.6

        금제품의 개념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 견해가 있다. 소유와 소지가 금지되는 물건이라거나, 소지는 인정되지만 소유가 금지되는 물건이라거나, 혹은 소지가 금지되는 물건이라고 보는 견해가 있고, 상대적 금제품과 절대적 금제품의 개념으로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금제품은 어떠한 물건의 특성을 설명한다고 볼 수는 없다. 일반적으로 금제품으로 이해되는 총포나 화약의 경우에도 허가를 받은 사람은 이를 소유하거나 소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총포나 화학 자체의 특성으로 인하여 금제품이 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금제품은 허가나 승낙을 받은 사람만이 소유 또는 소지 할 수 있음에도 그러한 허가나 승낙을 받지 아니한 사람이 소유 또는 소지하는 물건이나, 또는 행사할 목적으로 위조통화를 취득하여 소유하는 경우와 같이 일정한 목적을 가진 사람은 소유 또는 소지할 수 없음에도 그러한 목적을 가진 사람이 소유 또는 소지하고 있는 물건을 금제품으로 보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렇게 본다면 금제품의 개념은 물건의 특성이라는 사실의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소유 또는 소지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의 유무에 따라 인정되는 것으로 사실의 문제가 아닐 규범의 문제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금제품의 개념을 이와 같이 이해하는 경우 금제품을 절취하는 경우 절도죄가 성립할 것인가의 문제가 있다. 절도죄의 보호법익과 관련하여 이를 점유권으로 보는 견해와 소유권으로 보는 견해가 대립하고 있으나, 다수의 견해는 소유권을 절도죄의 보호법익으로 보고 있다. 절도죄의 보호법익을 소유권으로 보는 경우 법률상 소유권이 인정되지 아니하는 사람이 소유하고 있는 금제품을 절취하는 행위를 절도죄로 처벌 할 수 있을 것인가가 문제로 되는 것이다. 이러한 논쟁에 대하여는 비교법적으로 미국의 금주법하에서의 주류절취행위에 대한 미국의 판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금주법 하에서의 주류에 대한 절도죄를 둘러싼 논쟁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법률상 소유권이 인정되지 않는 재물에 대한 절도죄는 생각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타인이 소유의 의사로 관리하고 사용 수익하고 있는 물건을 절취하는 행위에 대하여 절도죄를 인정하지 않을 수는 없다. 미국의 판례가 언급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만일 금제품에 대한 절도죄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일반인에 대한 소유의 금지가 오히려 절도범들에 대한 소유를 장려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절도죄의 보호법익을 소유권으로 보는 경우에도 그것은 법률상 소유권이 아니라 사실상 소유권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사실상 소유권의 개념이 아직 일반화 된 것이라고 볼 수는 없지만, 이러한 사실상 소유권의 개념은 이미 법률에서도 사용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제3조는 마약의 원료가 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원료 등을 소유할 수 없다고 규정한 후 동법 제58조 제1항에서는 이러한 마약의 원료가 되는 성분을 함유하는 원료를 소유하는 행위를 처벌하고 있고, 형법도 행사할 목적으로 위조통화를 취득하는 행위를 처벌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서의 소유나 취득은 사실상의 개념으로서의 소유권을 전제로 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제품에 대하여도 사실상의 소유권은 인정된다고 하여야 한다. 금제품을 소유하는 ... Literature offers number of different views of prohibited articles. Each view defines the term as an article not allowed to possess and own, or an article that can be possessed but not allowed to own or vice versa. Some views split the concept into absolutely and relatively prohibited articles. However, prohibited article does not explain a property of an item. Considering items like firearms or gun powders that are normally considered as prohibited articles are allowed for some licensed people, intrinsic property of firearms or gun powders does not make these items prohibited articles. Therefore, prohibited articles are the type of items that are possessed by persons who could have acquired permission or authorization, but one did not. Also, items like counterfeit bills should be considered prohibited articles, because they are type of articles that is possessed/owned by someone who intends to wield its value, although wielding its value is not allowed someone with such intention. Having the topic seen in this light, the idea of prohibited article should not be determined by factual factors like property of goods, but it should be determined by a standard that whether admissibility lies within legal rights to possess or own an article. Understanding prohibited articles as above produces a conundrum such as establishing stealing prohibited articles as a theft. With respect to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there is an internal conflict between the problem as a possessory right versus an ownership, majority of the literature regards ownership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rceny. In this case, should someone stealing an item from someone who owns the item not legally allowed by law to own be treated as larceny is a problem. For the dispute of such scenario, we can utilize comparative method and refer to American precedent of their judgment on the act of stealing alcohols under the National Prohibition Act. As disputes around scenario indicates, in principle, it is hard to think of a larceny for an asset legally not allowed to own. However, it is impossible to not acknowledge larceny in an act of stealing an article that other person who thinks he is owning the article makes use of it. As American precedent indicates, if larceny of prohibited articles is not acknowledged, prohibiting article from the public would in fact promote owning of the article by a burglar. To resolve paradox, even in the light of taking ownership as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rceny, it is appropriate to treat ownership as de facto ownership rather than de jure ownership. De facto ownership has yet been publicized, but the concept has already been taken effective in legislation. Article 3 of a legislation that concerns drug control prohibits an ownership of any ingredients that contains components which can become an ingredient for narcotics, and in the same act 58 paragraph1, punishes an act of owning of such raw materials, it also considers acquiring counterfeit bill as a subject to punishment to apply criminal law. The owning in this context preconditions owning or possessing as de facto ownership. Therefore, de facto ownership should be acknowledged for prohibited articles. Ownership of owning prohibited articles should be protected from being stolen, regardless of an act of owning it makes the person as the subject to punishment. Ownerships that are protected by the Criminal Law are in fact de facto ownership.

      • KCI등재

        금투자사기에 대한 대책으로서 탐정의 필요성과 역할 활성화 방안

        최혁재,강동욱 한양법학회 2023 漢陽法學 Vol.34 No.3

        금투자사기는 시민들의 안전한 경제생활을 침해하고 미래를 위한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시민들을 기망하여 안전자산인 금투자를 미끼로 피해자들에게 장기적인 재산피해를 초래하는 금융범죄이다. 이들은 인터넷 중고거래 플랫폼을 이용하여 표기된 금의 함량보다 미달되거나 도금된 가짜 금제품을 무작위 판매하여 범죄 피해를 크게 확산시키고 있다. 또 더 큰 범죄수익을 노리고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피해자의 지인에게 접근해서 시중에 거래되는 시세보다 싼 가격에 금을 살 수 있다며 유혹하고 덩어리 상태의 금은 세금이 붙지 않아 저렴하며 해외에서 반입된 밀수금이나 전임 대통령과 재벌 등의 비자금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급하게 판매하니 현금으로 구매하면 시세에 못 미치는 싼 값에 거래할 수 있다며 의심을 피하고 있다. 이러한 수법으로 현혹된 피해자들은 첫 번째 샘플을 받거나 처음 거래한 제품에 대한 의심으로 전문조사기관에 귀금속 함량조사를 의뢰하게 되는데, 이들은 샘플이나 첫 거래에 사용된 금은 문제가 없는 정상 제품을 거래함으로 피해자들의 의심을 피하고 있다. 이후 피해자들은 구입한 제품을 판매하기 위해 업체에 방문하여 범죄사실을 알게 되지만 현금거래 특성상 범죄수익금의 추적에 어려움이 있어 피해구제가 원활하지 못하고, 거래가 장기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개인이 매번 제품의 함량검사를 진행하기 어렵다. 더구나 검사를 의뢰할 시 제품에 손상을 입게 되어 세공비가 재차 들어가기에 함량조사를 꺼림으로 범죄행위가 장기화되고, 이로 인해 피해자들의 지인들까지 범죄대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에 여러 귀금속 관련 협회들은 귀금속 KS한국표준기준을 정해 금제품의 정확한 함량검사 방법과 세공 유통에 대한 기준을 정하였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수사기관에서는 금투자사기를 예방하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귀금속 거래 관련 법률의 미흡함과 수사절차상의 문제들로 인하여 피해자들 개인의 명확한 피해사실을 확인하기 어렵고, 수사기관의 경우도 사건 하나로 장기간 수사가 어려워 점조직화된 담당책들의 범죄행위의 연결고리를 찾아내기 어려움이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범죄수법이 갈수록 진화되고 교활해지는 금투자사기와 같은 금융범죄에 대응하기 위해서 탐정이 수사기관의 보조자 역할로써 탐정업무 영역을 확대한다면 수사기관의 사각지대를 보완하고 피해자의 재산적 피해구제를 도와 금투자사기 등의 금융범죄의 근절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탐정의 경우도 금투자사기범죄의 유형과 특성을 사전에 교육 등을 인지하는 등, 조사의 전문성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금선정의 명승적 가치에 관한 연구

        최지영 ( Ji Young Choi ),이진향 ( Jin Hyang Lee ),이재근 ( Jae Keun L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1

        별서정원은 동양적 자연관과 유교적 정치상황이 맞물려 조선시대 사대부 사이에 성행하였던 우리나라의 독특한 조경양식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경상도에는 경관이 수려한 낙동강과 그 지천의 주변에 주자학의 가르침을 따르며 살다간 선비들의 흔적을 엿볼 수 있는 별서정원과 별서를 경영하고 즐겼던 사대부들의 행장, 그들의 시문과 정자기 등이 전해진다. 경상북도 풍기에 위치한 금선정 일원은 퇴계 이황의 대표적 제자이자 목민관이었던 금계 황준량(1517~1563)의 별서지다. 금양정사는 황준량의 수양처였으며 금선정은 일찍 세상을 떠난 황준량을 위해 스승과 제자가 지은 정자이다. 금선정이 위치한 금선계곡은 풍광이 아름다우며 금선계곡을 따라 펼쳐진 소나무숲은 금선정 일원의 풍광을 더욱 아름답게 한다. 금선정은 빼어난 자연풍경뿐 아니라 황준량과 관련된 문헌과 이야기가 전해진다. 본 연구는 금선정의 명승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금선정의 주변현황, 지형·식생·수계 조사를 통하여 자연환경과 황준량과 이황의 ``금계집``, 류운룡의 ``금계집``, 홍경렴의 ``금계정사중수기`` 등 인문환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관적으로 금선계곡(금계계곡) 일원은 금선정의 정자와 전면의 맑은 계류와 소나무 숲이 아름다운 조화를 이룬 뛰어난 경관미를 지니고 있으며 ``금계집``과 같은 문집의 시문에서 ``아름답다``와 ``명승``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점과 계곡 주변에 모임의 장소였던 역사문화경관을 살펴볼 때 명승자원으로써 가치가 충분하다. 최근 들어 별서명승의 문화재지정 사례가 증가되고 별서정원의 명승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금선정 일원이 별서명승으로 지정할 수 있는 준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The Confucian culture of the Chosun Dynasty has a great effect on the construction of ByeolSeo gardens. Among them, especially the gardens built in Gyeongsang Province areas, where a great number of Confucian scholars were produced in the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have maintained various heritage of Confucian culture established by the scholars. Along with the Nakdong River, we can find so many cultural assets of buildings such as head houses, ByeolSeo gardens, including the literary remains such as administrative certificates, poetry and prose, and records of pavilions, which show the trace of the scholars who followed the instructions of the doctrines of Chu-tzu. The Geumseonjeog located in Punggi County, Gyeongsangbuk Province, which was the ByeolSeo gardens possessed by Geumgye Whang Jun-ryang(1517~1563), who was the governor of the area and one of the representative students of Toigye Lee Whang. The building is located nearby the Geumseon Valley with beautiful natural scenery under Sobaek Mountain. Especially the pine forest around the valley boasts a unique natural setting.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the value of natural scenic spot of the Geumseonjeong through the surveys on surroundings, topography, vegetation and water system. including the value of humanistic elements focused on the writings such as ``Geumgyejip`` written by Whang Jun-ryang and Lee Whang, another ``Geumgyejip`` written by Ryu un-ryong, and ``Geumgyejeongsajungsugi`` written by Hong Gyeong-ryeom. And also, the scenic spot value of the signboards such as the ``Geumgyejeongsajungsugi`` written by Ryu un-ryong, ``Geumgyejeong`` by Lee Han-il, ``Geumgyejeong`` written by Jo Un-hyeong and ``Geumgyejeongsa, written by Lee Jung-gi, was analyzed. And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was analyzed through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series of poetry and pose and the old map established in 1872. In respect of the scenery, the surroundings of the Geumseon Valley boast the outstanding settings as the clean mountain stream in front of the Geumseonjeong makes a beautiful harmony with the pine forest. The pine forest surrounding the Geumseon Valley has played a secret role in the history of the villag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ine forest was expressed in the map of Punggi County produced in 1872, it may be assumed that the forest was regarded to have historical and scenic value in those tim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words like ``Beautiful`` and ``Scenic spot`` were used in the writings like ``Geumgyejip`` and there were meeting places around the valley, we can recognize the value of the place as a scenic spot.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surrounding the ByeolSeo gardens, and the increase in humanistic value of the poetry and prose, including the administrative certificates, has recently brought about the cases in which some scenic spots of the ByeolSeo gardens were designated as cultural assets. According to the value as a scenic spot and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Geumseonjeong, the pavilion appeared to have a great scenic spot value as a ByeolSeo gardens, so that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epare criteria with which the pavilion may be designated as a scenic spot of ByeolSeo gardens.

      • KCI우수등재

        『금광명경』의 여신들과 한국불교에서의 그 신앙문화

        조승미(CHO, Seung-mee) 불교학연구회 2013 불교학연구 Vol.39 No.-

        『금광명경(金光明經)』은 동아시아 불교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경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경전에 많은 불교여신이 비중있게 등장한 점은 거의 주목되지 않았다. 이 경전의 주요 여신은 변재천(辯才天), 귀자모(鬼子母), 길상천(吉祥天), 견뢰지신(堅牢地神) 그리고 보리수신이다. 이들은 모두 인도의 여성 신격들인데, 각기 다양한 시점에서 불교에 수용되어 신앙되었다가 이 경전에서 함께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은 동아시아 중에서 일차적으로 한국에 있어서 이들 여신신앙의 문화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 고찰한 것이다. 우선, 『삼국유사』에서 유일하게 언급된 것은 변재천 설화인데, 지혜를 상징하는 여신의 형태가 보존되고, 산신형태로도 나타난 점은 『금광명경』, 특히 『합부금광명경』의 영향으로 보인다. 『금광명경』에서 변재천 신앙은 가장 중시되었지만, 이후 별다른 신앙문화가 형성되지는 않았다. 고려시대 금광명경도량과 공덕천도량에서는 공덕천(길상천) 신앙을 엿볼 수 있는데, 금광명경도량은 천태의 금광명참법으로 생각되며 공덕천이 중심인 의례였다. 공덕천도량은 주로 기우나 전염병 극복의 목적에서 강화 천도 시절에 열렸으며, 『다라니집경』 「공덕천법」에 근거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는 지지(持地)보살 즉 지신이 삼장(三藏) 속에 포함되면서 수륙재 의례에서 중시되었다. 지지보살은 천도(天道)‧신도(神道)‧명도(冥道) 중 신도의 수많은 신들을 이끄는 보살로서 높은 위상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지장경』과 『금광명경』에서 지신이 수명연장의 역할을 하는 내용과 수륙재의 성격이 연결되었다. 마지막으로 조선말기에는 104위 신중도라고 하는 새로운 신중신앙 형태가 나타났는데, 그 출처가 되는 백파긍선의 『작법귀감』에 『금광명경』의 5여신이 함께 포함되었다. 이들은 ‘20제천(諸天)’ 형태로 이어져 왔으며, 그 전거는 송대 천태계 승려 행정(行霆)의 『중편제천전(重編諸天傳)』이었다. 한국에서 『금광명경』 여신 신앙은 고려부터 조선 말까지 지속되었다. 개별신앙은 공덕천이 가장 성행했으며, 지신이 높은 위상으로 수륙재에서 중시된 것이 특징이다.『 금광명경』 여신이 포함된 의례 형태는 중국 천태학파의 다양한 의례와 원·명대에 성행한 수륙재 의식집에서 확인되었다. 한국의 불교여신 신앙은 도상이 남아있지 않으며 민중화된 양상이 없어 존재감이 매우 희미하지만, 백파의 신중의례를 통해서 이들이 중시된 전통이 다시 현대 한국 불교문화에까지 이어지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The Golden Light Sūtra 金光明經 is one of the major sutras which had considerable influence on Buddhist culture in East Asia. However, there as been almost no mention in previous research that notes the sutra includes quite a number of Buddhist goddesses. We meet Sarasvatī, Hārītī, ŚrīLakṣmī and Pṛthvī, and the Goddess of Bodhi Tree in this text. All of them were Indian female deities who were respectively accepted into Buddhism at different times and eventually appeared all together in this sūtra. Comprehensive acceptance of Hārītī, Pṛthvī and ŚrīLakṣmī is shown from the early Buddhist texts to the appearance of Mahayana, whereas Sarasvatī started to appear in rather later times. Yet, Sarasvatī is regarded as very important in the Golden Light Sūtra. Originally she was the Hindu goddess of river, music and knowledge, being depicted as the goddess playing the veena. In this text, however, she shows the magnificent power to defeat enemies or to eliminate the terror of wars. This paper discuss how the worship of these deities has developed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particularly in Korea. Sarasvatī is mentioned in two stories included in the Samguk Yusa 三國遺事, where she is described in association with the Lotus Sūtra and Manjusri, the symbol of wisdom, and depicted as a mountain spirit or an old lady. Unfortunately, there are no later records on Sarasvatī in Korea. Tantric state rituals were frequently held in the Goryeo dynasty, of which there were several held for ŚrīLakṣmī. These were mostly prayers for overcoming national crises such as drought or infectious disease. Goddess of Earth (Pṛthvī) worship also distinctly features in Korean buddhism. In fact, she turned into a significant bodhisattva in popular Buddhist rituals during the Joseon dynasty, along with other two bodhisattvas. Here, she saved forlorn spirits stuck in limbo without descendants to perform memorial services for them. The five goddesses of the Golden Light Sūtra finally appeared all together by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Painting of 104 Guardian Deities, whose new members were those of a different Buddhist Pantheon than found in traditional Hwaeom deities. It was based on the Chinese text, Zhongbian zhutian zhuan 重編諸天傳, that presented the formation of Buddhist deities in the 12th century. The worship of these female deities in Korea shows low popularity compared with other regions in East Asia, despite being called upon in times of national crisis. They are characterized by having been worshipped only individually and intermittently, and were only put together in relatively modern times.

      • 금 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체투자자산 관점에서

        최동현,이준서 한국재무학회 2014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08

        본 연구는 안전자산에서 대체투자자산으로 그 역할이 변화한 금의 가격 결정요 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금이 안전자산 역할을 한 시기에는 전통적 요인인 미 달러화와 금 선물포지션이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이 대체투자로 역할 전환을 한 시기에는 금 선물포지션 대신 Gold ETF 가 새로운 금 가격 결정요인으로 드러났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Gold ETF 의 역할은 크게 향상되어 금 가격 결정요인의 주요변수로 자리잡은 것으로 밝혀졌 다. 또한 Gold ETF와 금 가격과의 동적관계를 살펴본 결과 Gold ETF는 금 가격에 한 달 선행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 가격 결정의 핵심요인으로 부 상한 Gold ETF의 특징에 대한 추가분석 결과, Gold ETF 수요는 주가 및 금선물 포지션과 역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가가 하락할 때 Gold ETF 수 요는 증가함으로써 주식에 대한 대체자산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 다. 또한 안전자산 역할을 하는 금 선물 포지션과는 역관계를 보임으로써 Gold ETF가 확실한 대체자산임을 방증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금 가격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체투자자산 관점에서

        최동현,이준서 한국재무관리학회 2014 財務管理硏究 Vol.31 No.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ice discovery of gold when it is a safe haven and the role it plays as an alternative investment. The price of gold as a safe haven is affected by the value of US dollar and the size of gold futures. Gold has been considered an alternative investment since the launch of the GOLD ETF in November 2004. We analyzed whether the GOLD ETF could be a driver in determining the price of gold. The Gold ETF, along with gold futures, had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price of gold. Our results show that the Gold ETF has been the main driver of the gold price, while the role of gold futures disappeare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In the causality analysis of the price of gold and the Gold ETF, the movement of the gold price was affected from one month after the demand of Gold ETF changed. We furth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Gold ETF as a key driver of the price of gold to find out whether it could be an alternative investment to stocks and gold futures. The result shows that the demand for the Gold ETF is negatively related to stock prices and gold futures. That is, the demand for the Gold ETF increases when the stock price drops and the size of gold futures decreases. We conclude that the Gold ETF is an alternative investment to stocks as a risky asset, as well as gold futures as a safe asset. 본 연구는 안전자산에서 대체투자자산으로 그 역할이 변화한 금의 가격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금이 안전자산 역할을 한 시기에는 전통적 요인인 미 달러화와 금 선물포지션이 금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금이 대체투자로 역할 전환을 한 시기에는 금 선물포지션과 함께 Gold ETF가 새로운 금 가격 결정요인으로 드러났다. 특히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Gold ETF의 역할이 더욱 향상되어 금 가격 결정요인의 주요변수로 자리잡은 반면 금 선물포지션은 관련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Gold ETF와 금 가격과의 동적관계를 살펴본 결과 Gold ETF는 금 가격에 한 달 선행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금 가격 결정의 핵심요인으로 부상한 Gold ETF의 특징에 대한 추가분석 결과, Gold ETF 수요는 주가 및 금선물 포지션과 역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가가 하락할 때 Gold ETF 수요는 증가함으로써 주식에 대한 대체자산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안전자산 역할을 하는 금 선물 포지션과도 역관계를 보임으로써 Gold ETF가 확실한 대체자산임을 방증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 KCI등재

        광무연간 일본화폐의 유통 확대와 일본의 금 수탈

        김희호(Kim, Heeho),이정수(Lee, Jungsoo)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3 No.-

        본고는 광무연간(1897~1904년) 대한제국이 추진한 금 본위제도의 도입과 중앙은행의 설립 등 화폐정책이 일제의 조선 식민화 과정에서 어떤 본질적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광무연간 일본 주도의 화폐개혁에 따르는 한전비가의 하락과 일본화폐의 유통량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통해 일본의 조선 금의 수탈과 그 수탈이익률을 측정하였다. 일본은 자본주의의 확대와 금 본위제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국부의 원천으로서 금의 확보가 필수적이었다. 일본의 금 수입액 가운데 조선에서 금 수입액 비중은 1904년에 41%이었다. 일본은 금 분석소의 설치, 광산 개발 등 국가 정책적으로 조선에서 적극적으로 금 수탈에 총력을 기울였으며, 한전비가의 하락과 별도로 여러 방법으로 금을 국제시세보다 약 30% 싸게 구입하는 가격수탈을 시도하였다. 일본의 금 정화 통화량 대부분이 조선의 대 일본 금 수출량 변동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결국 광무연간 화폐정책은 일본의 제국 자본주의가 확장되는 시기에 자주 독립국가로서 국부를 창출하고 통제할 수 있는 주요 수단이었다. In the 4th century the council of Elvira was convened to solve the current issues in the Iberian Church. The 81 canons of the council were confined to the Iberian Peninsula, but the major canons relating to the Jews were handed down to later councils. Four of its canons deal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s and Jews. The main contents are intermarriage with Jews, adultery with Jewish women, meals with Jews, and blessing of fields by Jews. One of the legislative goals pursued by the council was to define the boundaries between Christians and Jews. One of them was to prohibit intermarriage between Christian women and Jews. The punishment for this disobedience was for the parents of Christian women to be kept out for five years. And adultery with Jewish or pagan women was prohibited. The regulatory provisions for girls were aimed at preserving Christian society. The Jews and heretics were more strictly regulated than the heathen. Regulations were also laid down for the social customs between Christians and Jews. A typical example was related to meals. Any of the clergy or the faithful was forbidden to eat with Jews. This aimed to prevent the formation of social intimacy through meals. Finally Christian farmers were prohibited from have their crops blessed by Jews. This reflects the high level of social intimacy between the two communities at the time.

      • KCI등재

        조선후기 가좌동 禁松契의 운영과 기능 : 경기 양성현 「禁松契座目」을 중심으로

        한미라(Han Mi-Ra) 한국역사민속학회 2011 역사민속학 Vol.35 No.-

        조선 왕조는 건국 초기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封山을 설정하고 금송정책을 강화하였다. 이로 인해 백성들은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목재의 공급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었고, 향촌 또한 같은 문제에 직면하였다. 이러한 난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향촌사회에서는 松契나 禁松契를 운영하여 필요한 목재를 확보 하였다. 한 마을이나 수개의 동리가 참여하는 경우 그 성격은 鄕約이나 洞契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본고는 경기 양성현 가좌동의 「禁松契座目」을 대상으로 18-19세기 가좌동 금송계를 분석하였다. 「禁松契座目」의 작성 시기와 시행 당시에 대한 검토를 통해 가좌동의 금송계는 18세기부터 조직되어 시행되어 왔음을 확인하였다. 과좌동의 금송계 또한 경기 지역으로 집중되는 인구와 물산의 유통으로 향촌사회 중심의 목재 수요가 증가하였다. 아울러 松楸 斫代의 성행, 산림 훼손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었다. 이에 따라 가좌동에서는 산림훼손과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自救 노력으로 마을중심의 금송계를 시행하였다. 가좌동 금송계는 上·中·下合契의 성격을 보여주면서도 이미 16세기부터 정착한 유력 성씨인 全州李氏와 隋城崔氏 가문을 중심으로 운영되었다. 특히 가좌동 금송계는 여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향촌 사회의 특성에 맞게 자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졌다. 더 나아가 가좌동 금송계는 송계 또는 금송계가 일반적으로 지니고 있는 공유산림 보호와 재지사족 주도의 선영 보호 기능을 보여주면서도, 공동체적 相互糾檢과 재지사족의 향촌 통제라는 사회적 기능을 겸비하고 있었다. The Joseon Dynasty had set the Bongsan (prohibited forest) all over the country and reinforced Geumsong policy (the Pine Trees Protection Policy), protecting pine trees from the beginning of the dynasty. For this policy, people had difficulty in finding necessary wood for their daily life and village communities also had faced the same problem. In order to resolve the difficulties, village society had operated Song-gye (pine trees association) or Geumsong-gye (the pine trees protection association) to secure necessary wood. In the case of one or several villages participating in those organizations, it performed the role of Hyang-yak (village compact) or Dong-gye (village gye) as well. This thesis analyzes Gajwa-dong's Geumsong-gye, based on the Jwamok (position list) of Gajwa-dong's Geumsong-gye written from the 18th to 19th century. Though the review of documentation dates and the time of the execution, I verified that Gajwa-dong's Geumsong-gye had been organized and executed since the 18th century. Gajwa-dong's Geumsong-gye also had experienced the increasing demands of wood in village communities by concentrating population and the product distribution toward Gyeonggi regions. In addition, it was directly affected by the prevalence of Songchu (planting pine trees and wild-walnut trees around Tombs) and Jakbeol (cutting trees), and the destruction of forests. As the reason, Geumsong-gye had been carried out in their village as a self-effort to overcome the realistic difficult situation in Gajwa-dong. Gajwa-dong's Geumsong-gye had already operated mainly centering Jeonju Lee dan and Suseong Choi dan settled down since the 16th century, showing combined code of three levels, such as upper and middle, and lower association. Especially Gajwa-dong's Geumsong-gye had autonomously been operated in accordance with its own characteristics of their community as other region. Furthermore, Gajwa-dong's Geumsong-gye had taken a role and showed the function to protect public forest and ancestor's cemetery, other Song-gye or Geumsong-gye generally possessing. On the other hand, it had carried out social function, such as community reciprocal jurisdiction and powerful local family's village controlling.

      • KCI등재

        『금세설(今世說)』을 통해 본 명말청초(明末淸初) 한 문인(文人)의 내면세계

        이평수 수선사학회 2017 史林 Vol.0 No.62

        王晫生于明崇?九年,約生活到淸康熙年間,是浙江錢塘人。他在順治四年秀才,但旋棄擧業,市隱讀書,廣交賓客。本文通過王晫所撰寫的《今世說》的分析,發現如下的新知識: 首先,與《世說新語》比較,《今世說》所記載的故事沒有《世說新語》?大,幷且漏落了六個篇,但發現了《今世說》的特点,就是此書體裁分成故事和略專兩部分。前者部分當成劉義慶《世說》的故事,而后者部分則當成劉孝標的注釋。第二,關于《今世說》的旣存硏究,目前爲止,歷史專家也沒有關注幷分析過,因爲《今世說》是沒有那?多像《世說新語》似的史料价値。但與民國《杭州府志》比較,發現了利用《今世說》的故事來補充了《杭州府志》人物(八)文苑(二)的編撰。故應當說《今世說》也有一定的史料价値。第三,《今世說》記載了以浙江和江蘇爲籍貫中心的人物故事,是百分之七十分以上。這幷不是偶然的現象。因爲從明中期起,浙江和江蘇這一江南地區成爲文人結社的中心地區,故《今世說》反映到如此的歷史現象。第四,作者王晫是明淸兩朝交替時期的人物。王晫應該經歷過了淸軍在江南地區進行的殘酷屠殺。但王晫本人選擇了隱逸的生活方式,而在《今世說》里所最多登場的人物是以陸圻爲中心的西?十子,他們也都選擇了隱逸的生活方式。這意味着《今世說》表現了當時大部分文人對淸朝的支配沒有抵抗,也沒有贊同,只不過慢慢地順應過去。因此,《今世說》的作者王晫是如此的典型人物之一。 總之,《今世說》是有關明末淸初在江南地區活動的文人社會的一種史料,就是一種當時人物故事集,也是投影到當時大部分文人對淸朝的支配慢慢地順應過去的事實。因此,雖然與《世說新語》的一千年以上時間距離,《今世說》還是能勾評价爲由文學和歷史所共存的世說體作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