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강정경계 경전의 전래와 유통

        김치온 ( Kim Chi-on ) 한국밀교학회 2022 불교학밀교학연구 Vol.1 No.-

        본 논문은 금강정경계의 경전이 인도에서 언제 어디에서 성립하였는지, 경전의 성립 후 어떠한 경로를 통해 중국과 한국으로 전래되었으며, 유통되었는지에 대하여 제반 문헌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금강정경계 경전의 선행경전이라 볼 수 있는 『불공견삭경』의 성립을 660~670으로 본다면, 금강정경계의 경전은 그보다 조금 앞선 680~690년경에 성립된 것으로 추정한다. 금강정경계 경전이 성립된 장소로는 남인도라는 점은 금강지가 남인도에서 용지보살로부터 『금강정유가경』과 오부관정을 받았으며, 용맹보살이 금강정경계 경전 십만송을 남천축 즉 남인도 철탑 속에 있는 것을 가져왔다는 것에 의해 어느 정도 신빙성을 가진다고 하겠다. 그러나 금강정경계의 경전이 남인도의 나그푸르 지방에서 성립하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확실한 근거를 찾지 못하였다. 금강정경계 경전이 중국으로 최초로 전래된 것은 금강지가 개원 7년(719)에 서경의 장안으로 들어와 개원 11년(723)에 『금강정유가중약출염송법』을 번역하면서라고 하겠다. 그 후 개원 19년에는 『금강정경유가수습비로자나삼마지법』을 역출하였다. 하지만 중국 당나라에 금강정경계 경전의 내용들이 실질적으로 전개된 것은 불공삼장의 활동으로 인한 것이다. 불공은 금강정경계 경전을 바탕으로 한 관정도량을 개설하여 황제를 비롯한 궁정 대신 그리고 귀족들에게 관정을 베풀었고, 안록산의 난을 계기로 국가와 제왕의 안녕을 위하여는 진호국가불사도량을 자주 개설하였다. 불공은 금강지로부터 이은 금강계법을 혜과(慧果, 746~805)에게 전하였다. 혜과는 신라의 혜일(慧日)과 오진(悟眞)에게, 일본의 공해(空海)에게 전하였다. 혜과 이후에는 삼종실지법을 설하는 『소실지경(蘇悉地經)』이 주목을 받으면서 금강정경계의 아사리는 출현하지 못하고 있다. 금강정경계의 경전이 신라에 전해진 것은 혜과화상의 행장을 근거로 하여 건중 2년 즉 781년 이후 혜일에 의해서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경문왕 3년(863)년에 건립된 대구 동화사 비로암 석탑의 사리장치의 4방불 배치는 금강정경계 경전의 5불의 배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고려대장경』의 간행에 금강정경계 경전이 다량으로 포함되었으며, 특히 『밀교대장』이 간행됨으로써 금강정경계의 경전이 포함되었을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대장경의 간행에 힘입어 조선시대에는 유교가 주된 사회였음에도, 「예문」과 진언집에는 5불과 37존이 나타나고 있으며, 법신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한 37존의 금강계만다라 도상이 조성되고 있다. 특히 5불과 금강보살을 육자진언 옴마니반메움에 배대하는 교리체계와 실천수행체계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육자진언과 금강정경계의 5불과 금강보살을 배대한 교리적인 체계와 실천체계는 근대에 창종된 대한불교진각종에게로 이어지고 있다고 하겠다. 또한 대한불교진각종에 이어 창종한 불교총지종은 대한불교진각종과 마찬가지로 금강정경계의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d the timing and plac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金剛頂經), and the int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China and Korea through related literature. First, it is estimated that the establishment of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as established around 680~690. It is credible that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as established in South India. However, there was no clear evidence that it was established in Nagpur, South India. The first time that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as introduced to China in 723, when Vajrabodhi(金剛智) translated the ‘Kumgangjungyugaioongyakchulyum songbeob(金剛頂瑜伽中略出念誦法)’. However, it was due to the activities of Amoghavajra(不空) that the contents of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ere practically developed in the Tang Dynasty. Amoghavajra opened the Truth-plot of Abhiṣecana(灌頂) based on the Vajreśekhara-sūtra, and offered Abhiṣecana to the emperor and other court officials and nobles. In addition, due to the rebellion of Ān-lūshān, a Bodhimaṇḍala to protect the state(鎭護國家道場) were frequently opened for the well-being of the state and the emperor. Amoghavajra handed down the Vajradhātu-dharma from Vajrabodhi to Huī-guŏ(慧果) (746~805). After Huī-guŏ, the Susiddhi-sutra(蘇悉地經), which describes the three kinds of Siddhi, received attention, and the Ācārya of Vajreśekhara-sūtra did not appear. It can be said that Huī-rī(慧日) introduced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to Silla Dynasty after 781. Since then, it is believed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our-way Buddha in the stone pagoda of Biroam(毘盧庵), Donghwa-Bihara in Daegu, which was built in the 3rd year of King Gyeongmun(景文王)’s reign (863), was influenced by the arrangement of the five Buddhas in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In the ‘Goryeo-Mahātripitaka(高麗大藏經)’ publ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 large amount of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ere included. In particular, the Tripitaka of esoteric buddhism(密敎大藏) was published, and it can be fully assumed that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were included. Though Confucianism was the main cultur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re are 5 Buddhas and 37 nobles in the ‘Courtesy letter(禮文)’ and Collection of true esoteric words(眞言集), and 37 nobles of Vajradhātu-maṇḍala are being built around the Dharmakāya-Vairocana Buddha. In particular, there is a doctrinal system and practice system in which the Five Buddhas and the Vajrabodhisattva are placed at the Six-syllabled mantra. The doctrinal system and practice system that distributed the Six-syllabled mantra and the five Buddhas of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and the Geumgang Bodhisattva are leading by the Jingak-Buddhist Order in modern times. In addition, the Chongji-Buddhist Order, which was founded after the Jingak-Buddhist Order, uses the scriptures of Vajreśekhara-sūtra, just like the Jingak-Buddhist Order.

      • KCI등재후보

        금강산도의 새로운 양식, 석당박물관 소장 <금강전도 12첩 병풍> 연구

        이현주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21 文物硏究 Vol.- No.40

        금강산은 예로부터 경관이 뛰어난 민족의 영산이자 현실세계와 차원을 달리하는 이상향으로 인식되어 왔다. 불교성지이자 신선이 사는 곳이며, 유가의 도를 실천하는 공간으로 선비들에게도 최상의 시서화의 예술적 발현대상이자 풍류처로 숭앙받아 왔다. 금강산도는 민족적, 종교적, 예술적으로 상징적인 금강산의 풍경을 그린 기록화이자 산수화로 고려시대 이후 최고의 화목이다. 본고에서는 석당박물관 소장 <금강전도 12첩 병풍>(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58호)의 그림 구성과 특징, 그리고 명소 표현방식을 통해 19세기 금강산도 향유문화와 제작방식을 밝혀보고, 더불어 제작시기를 추정해 보고자 한다.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의 <금강산전도 12첩 병풍>은 현존하는 금강산도 병풍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유형에 속한다. 이 병풍은 종이에 채색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폭은 세로 131.5cm, 가로 28.2cm의 연폭 형식의 대형그림이다. 그림은 동해 쪽에서 외금강산을 보는 시점으로 상단은 비로봉, 일출봉, 혈망봉 등의 봉우리를 배치하고, 화면 중심에는 사찰과 암자, 폭포, 계곡, 바위 등이 있으며 하단은 17세기 지도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수파묘로 바닷가의 해금강을 표현하였다. 이렇듯 비로봉부터 해금강까지 전부 표현한 금강산도의 예는 극히 드물다. 또한 각 폭에 그려진 금강산의 봉우리와 명소에는 단정한 해서체로 지명을 표기하고 있으며, 사찰과 주요 명소의 묘사도 상세하고 명확하다. 청록산수화풍에 동해안을 따라 펼쳐진 신계사에서 유점사로부터 해금강까지 이어지는 외금강 경관을 12폭 전 화면에 그려 넣어 장대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커다란 연폭 병풍에 障壁的 구성과 장식적 화풍으로 나타낸 것은 17~18세기에 청록풍으로 제작된 契屛을 계승 발전시킨 것으로 보인다. 현재 <금강전도 12첩 병풍>의 제10~12폭에는 해금강과 고성읍이, 제9폭에는 삼일호, 제8폭에는 유점사, 제6폭에는 선암(은선대), 제5폭에는 불정대, 제4폭에는 12폭포, 제3폭에는 발연, 제2폭에는 비로봉과 구룡연이 각기 지리적 순서대로 그려져 있다. 이 병풍은 구룡연에서 끝나지만 외금강의 우반부인 옥류동, 만물초, 옹천, 총석정 등이 그려지지 않고 있어 이 같은 연속된 외금강 풍경을 그린 또 다른 병풍이 함께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고 추정한다면 외금강산 전경을 그린 가장 대형의 산수병풍 형식을 갖추는 것이다. 또한 대형 화폭과 수준 높은 작품성으로 미루어 궁중화원급의 우수한 전문화가에 의해 왕실에서 그려졌을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수파묘와 건물 표현 등의 전통적인 청록산수화풍과 유려한 필치, 정밀한 묘사 등으로 미루어 19세기 전반에 제작된 작품으로 재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From the old times, there has been a general recognition that Geumgang Mountain is an admirable scenic area of national spirituality as well as a surreal ideality. Also, that area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sacred places of Buddhism, a residence of Taoist hermits, and a space for practicing the very way of Confucianism. For Confucian scholars of the old times, Geumgang Mountain was highly thought to be a place where they get and enjoy a taste for the arts, and a subject of art that inspires the creation of best paintings added with a poem or calligraphy. Recording in form of pictorial illustration, Geumgangjeondo is a combination of landscape paintings that show Geumgang Mountain that is nationally, religiously and artistically symbol. It is the second-to-none depiction of that mountain that was made since the Koryo period, they say.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spect <12-Fold Screen of Geumgangjeondo>(Busan Metropolitan City Tangible Cultural Heritage No. 58)_, which is kept in Seokdang Museum of Dong-A university, in terms of painting composition, features and expression techniques. In association, the study tried to discuss how paintings of Geumgang Mountain were made and culturally appreciated in the 19th century, and presume when that screen was actually manufactured. The foresaid 12-fold screen is larger than any other similar screens depicting Geumgang Mountain that still remain. It is a huge combination of sequential paintings, each colored on paper and having the dimension of 28.2cm in breadth and 131.5cm in height. When it comes to perspective, the 12-fold screen analyzed here is an overall representation of Oegeumgang viewed from the East Sea. Depending on what to illustrate, that screen can be divided into three parts, upper, middle and lower. The upper part shows peaks like Birobong, Ilchulbong and Hyeolmangbong, and the middle part temples, hermitages, falls, valleys and earthy mountains. The lower part depicts Haegeumgang as an offshore area by using the expression technique of Supamyo, a method that was often applied to making maps during the 17th century. Except the abovementioned 12-fold screen, there’s rarely a picture that shows virtually all parts of Geumgang Mountain which range from Birobong to Haegeumgang. On that screen, names are found added in writing to illustrated peaks and like. Also, temples and other famous spots are depicted in a very detailed, precise way. Painted on throughout the 12-fold screen, the scenery of Oegeumgang, which covers from Shingyesa to Yujeomsa Temples along the coast of East Sea, feels so magnificent. This feeling may be attributed to the style of blue-green landscape painting. The huge combination of sequential paintings are characteristic of barrier-like structuring and decorative styling. These features seem to be a developmental succession from an earlier type of folding screen, that is, Yeonpok Gyebyeong that was made in blue-and green style during the 17th to 18th century. The 12-fold screen inspected here expresses various parts of Geumgang Mountain in a geographical sequence. More specifically, the 10th to 12th folds illustrate Haegeumgang and Goseong-eup, the 9th fold Samilho, the 8th Yujeomsa Temple, the 6th Seonam(Eunseondae), the 5th Buljeongdae, the 4th the Twelve Falls, the 3rd Balyeon, and the 2nd fold both Birobong and the last sequence, Guryongyeon. By the way, right parts of Oegeumgang such as Okryudong, Singyesa Temple, Manmulcho, Ongcheon and Chongseokjeong are not found in any of the folds. Probably, those unseen parts were painted another folding screen. If so, it would be the biggest art of landscape that illustrates an overall view of Oegeumgang Mountain. It’s pretty possible that paintings on the investigated 12-fold screen were made by experts of official painter position under the supervision of royal court, especially when large sizes and high quality of the drawings are considered. Meanwhile, characteristics such as Supamyo, t...

      • KCI등재

        기획논문: 한국신종교와 여성 : 금강대도의 남녀평등론에 관한 철학적 탐구

        박현숙 ( Hyeon Sug Park ) 한국신종교학회 2010 신종교연구 Vol.22 No.-

        본 논고는 `금강대도의 남녀평등론`에 관해 금강대도의 제2대 도주 이청학과 민보단의 가르침을 모아놓은 『도성편년』(道聖編年)을 바탕으로 철학적으로 조명해 보았다. 금강대도의 창도주 이토암은 지금의 이 시기를 선천과 후천의 교역기인 오중대운(午中大運)의 시기로 규정한다. 이 오중의 시기에는 모든 것이 화합되는 시대이며 특히 음·양이 평등되는 시대라고 한다. 선천의 종교가 남성신만 출현하여 세상을 구원하고자 하였던 것과는 달리, 오중시대에는 남성신과 더불어 여성신도 함께 출현하여 서로 상생하고 평등하며 조화로운 사회를 건설하고자 노력한다는 것이다. 오중대운의 시대관을 배경으로 구세주로서 하느님 아버지인 건부와 땅님 어머니인 곤모가 이 세상에 함께 출현하여 건곤정위(乾坤正位)한다는 것이 금강대도의 종교적 독특성이다. 따라서 금강대도 내에는 금강대도와 연화대도가 병존한다. 금강대도는 1874년 토암(土庵) 이승여(李承如)의 탄강과 더불어 창도된다. 이로부터 10년 뒤인 1884년에는 그 배위가 되는 자암(慈庵) 서의복(徐宜福)의 탄강으로 연화대도가 창도된다. 금강대도와 연화대도가 창도되어 병존하고 있지만, 금강과 연화의 관계는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나이면서 둘인 관계로 음과 양의 상대성을 초월하여 금강이면서 연화이고 연화이면서 금강인 하나의 체로서 나아가고 있다. 금강대도에서 남녀평등론이 성립될 수 있는 이론적 배경이 `음과 양의 기운`이다. 금강대도의 우주자연관은 음과 양의 기운으로서 설명된다. 동지와 하지 절후를 기준으로 나누어 서로 음의 기운과 양의 기운의 성하고 쇠하는 이치로 자연히 만물이 나서 자라고 결실되고 폐장되는 생장수장(生長收藏)의 순환을 이루는 것처럼, 하지 절후에 탄강한 토암과 동지 절후에 탄강한 자암의 천지건곤부모의 합덕으로 뭇 생명이 생겨나고 멸하는 것을 자연한 이치로서 보여준 것으로 보인다. 금강대도에서 바라보는 우주의 평등론적 세계관은 한마디로 말해서 `우주가화`(宇宙家和)라 할 수 있다. `가화`라 하면 우선 한 가정의 화합·화목을 말할 수 있다. 금강대도에서는 조화와 통일의 모델로서 이러한 `가화`를 강조한다. 그런데 금강대도에서 강조하는 가화는 이처럼 한 가정의 가화에서만 머무르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나아가 전 우주에로까지 확장되어 `우주가화`(宇宙家和)를 말한다. 우주의 가화가 성립될 수 있는 근거가 건곤부모론이다. 건부와 곤모의 우주적 가족공동체 안에서 하느님 아버지와 땅님 어머니의 자식으로 천하의 사람이 모두 형제가 되고 친구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사람뿐만 아니라 금수·곤충의 미물과 초목에까지 이러한 우주공동체적 가화는 확대된다. 건곤부모께서 낳은 천지를 하나의 가정으로 보고, 그 안에 살고 있는 천하의 모든 생명체들은 동포(同胞)요, 형제로 건부님과 곤모님의 자식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건부와 곤모는 모든 생명체들을 살리고자 하는 `호생지대불`(好生之大佛)이라는 특성을 지니게 된다. 그리고 만물의 영장인 인간은 천지의 화육에 참여함으로써 천지인 삼재에 응합하여(參贊化育 應合三才) 나와 형제요 친구인 생명체들을 아끼고 보호해주며 살아가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philosophically sheds light on the `theory of gender equality in Kumkangdaedo` based on Doseongpyeonnyeon(道聖編年), which is a collection of instructions by Lee Cheong-hak(靑鶴 李成稷, 1913~1957) and Min Bo-dan(寶丹 閔永仁, 1913~1959), the second Master`s of Kumkangdaedo(金剛大道). Lee To-am(土庵 李承如, 1874~1934) the founder of Kumkangdaedo, has defined the present time period as the period of Ojungdaeun(午中大運), a transitional times between the Prior and Later Heaven. In this period of Ojung, all are harmonized and Yin(陰) and Yang(陽) become equal. Whereas the religion of the Prior Heaven tried to save the world with the advent of a male god, in the period of Ojung a goddess as well as a male god manifest themselves and try to coexist, be equal, and construct a harmonious society. It is a religious characteristic of Kumkangdaedo with the view of the period of Ojungdaeun as its background that Geonbu(乾父), the savior and heavenly father, and Gonmo(坤母), the mother of earth manifest themselves together to establish Geongonjeongwi(乾坤正位). Therefore, Kumkangdaedo and Yeonhwadaedo exist in parallel withing Kumkangdaedo. Kumkangdaedo was created along with To-am Lee Seung-yeo`s birth in 1874. In 1884, 10 years after Lee`s birth, Yeonhwadaedo was created with the birth of his spouse Ja-am Seo Eui-bok(慈庵 徐宜福, 1884~1927). Though Kumkangdaedo and Yeonhwadaedo have been living in parallel since their creation, being Kumkang while being Yeonhwa simultaneously and vice versa transcending the relativity between Yin and Yang, they are proceeding forward as one body since they are one while two and vice versa with respect to their relationship to each other. The theoretical basis on which the gender equality can be established in Kumkangdaedo is the `force of Yin and Yang.` Kumkangdaedo`s view of universe and nature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force of Yin and Yang. Just as all things naturally go through the cycle of life, growth, harvest, and storing by being born, growing, bearing fruits, and being buri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Yin and Yang under which the forces of Yin and Yang alternately thrive and decline with reference to the winter and summer solstices, To-am, who was born in the season of the summer solstice, and Ja-am, who was given birth in the season of the winter solstice seem to have shown in a natural way that common life forms appear and extinguish in terms of the combined virtue of the Parents of Heaven and Earth(天地乾坤父母). One can speak of the equalitarian world view of universe from the perspective of Kumkangdaedo as the Cosmic Familial Harmony(宇宙家和) in a word. Familial harmony(家和) means the harmony and peace of a family. Kumkangdaedo emphasizes familial harmony as a model for harmony and union. However, the familial harmony as stressed by Kumkandaedo does not stay at familial harmony just in a family. It is further intended to the Cosmic Familial harmony(宇宙家和) with its extension toward the whole universe. The groun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familial harmony in the universe is the theory of Geongonbumo. The whole human beings have come to be brothers and make friends with each other as children of the father of heaven and the mother of earth within Geonbu and Gonmo`s cosmic familial community. Moreover, such cosmic community Gahwa is extended to animals and birds, tiny creatures including insects and trees & grasses as well as human beings. Given that the whole creatures born in heaven and earth by Geongonbumo are in a single home, all the life forms living there are children of Geonbu and Gonmo as brethren and siblings. Accordingly, Geonbu and Gonmo have the characteristic of Hosaengjidaebul(好生之大佛), who tries to enable all life forms to be alive. And, the human, as the lord of all creation, has all reasons for leading a life while looking after and protecting all life forms, which are his/her brothers and friends, by taking part in the creation and raise(化育) of heaven and earth to comply to the Three Elements, Heaven, Earth, and Human.

      • KCI등재

        『金剛三昧經』의 성립과 유통에 대한 재고

        석길암(Seok, Gil-Am) 보조사상연구원 2009 보조사상 Vol.31 No.-

        This paper purports, examining critically the existing results of research on the com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to propose the writer’s argument on it focusing upon problems having been overlooked there. Since Gogen Mizuno(弘元 水野) had proposed the apocryphalness of the work, most discussions on the composition of it had been progressed, in relationship with the history of early Ch’an(禪) in China, around the theory of er‐ru si‐xing(二入四行), with the accompanying result that even the possibility of its composition in Silla(新羅) had been discussed within that boundary. In 1992, Sanghyeon Kim questioned its composition in Silla. In 1995 and 1998, Dongshin Nam proposed to approach it rather from a new perspective of the conflicts between the New Translation[新譯] trend and the Old Translation[舊譯] trend or between the Sunyata[空] school and the Being[有] school. In 1998, Kosei Ishi(石井公成) argued that this apocryphon does not belong to the direct line of the Tung‐shan fa‐men(東山法門) since the source of its thought nearly provoking laymen not to respect ordained persons can be ascribed to Fu ta‐shih(傅大師). Gyutahk Shin proposed that it might be rather a manual of practice belonging to the Hua‐yen school. 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other scholars have supported that it was composed in relationship with the Tung‐shan fa‐men by Someone around Wonhyo(元曉) in China or Silla, while there are some who do not yet have any clear view. According to the observation of the writer on the existing discussions, some questions might be raised about the credibility of the biography of Wonhyo within the Song Gao‐seng‐chuan(宋高僧傳) as the only extant recording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Vajrasamadhi sutra, the lack of distinction between the thoughts of the Vajrasamadhi sutra and Wonhyo’s commentary on it as if they are one and the same, and whether the Vajarasamadhi sutra within the K’ai‐yuan shih‐chiao‐lu(開元釋敎錄) was transmitted from Silla to China after the composition of Wonhyo’s commentary on it, all of which have been overlooked until recently. This paper purports to raise the following propositions based upon the existing achievements and the above observation. Firstly, the Vajrasamadhi sutra does not belong to the direct line of the Tung‐shan fa‐men(東山法門) since it does not propose the theory of er‐ru si‐xing(二入四行), which is related to the Tung‐shan fa‐men, as the ultimate. Secondly, in this work, we can look up most of the thoughts having been circulated in China, especially in Chang’a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7th century. Thirdly, while Wonyo’s commentary interprets its teaching as belonging to the Period of the Adopted Dharma, this work intends clearly to belong to the Period of the Last Dharma. Fourthly, the Ksitigarbha Bodhisattva, as the Bodhisattva with the teaching for the Period of the Last Dharma and the mission of maturing sentient beings in the evil world of five corruptions[五濁惡世], is set in this work as the questioner in its chapter on Dharani, as the possessor of the Dharani of it in the dimension of its textual significance, and as the protector of its practioners. Fifthly, in this work, we find some thoughts belonging to the Hua‐yen school that circulated at the Mt. Zhong nan(終南山) during the period from 650~670, in addition to some phrases that are very similar to the Five Skillful Means of Mahayana[大乘五方便] belonging to the Northern Ch’an school. Sixthly, as Kosei Ishi and Dongshin Nam point out, the ideal figure in this work is neither monk nor layman, respecting every existent being and receiving respect even from monks. Seventhly, in this work, we find some terms peculiar to the school of San‐chieh‐chiao[三階敎, the teaching of the third tier], such as rulaizangfu[如來藏佛] and xingxiangfu[形像佛], and the 본 논문은 『금강삼매경』의 성립에 관한 기존의 연구 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기존의 논의에서 간과되었던 문제점을 중심으로『금강삼매경』의 성립과 유통에 관한 논자의 견해를 개진하였다. 1955년 미즈노 고겐(水野弘元)이 위찬설을 제기한 이후,『금강삼매경』의 성립에 관한 논의는 대부분 二入四行說을 매개로 중국초기 선종사와 결부되어 논의되었으며,신라찬술설 역시 그 범주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그 후 김상현이 1992년 신라찬술설에 의문을 제기하였고,남동신은 1995년의 논문과 1998년의 논문에서 『금강삼매경』의 성립문제를 중국초기선종사의 문제가 아닌 新․舊譯佛敎및 空有의 대립이라는 새로운 시각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였으며,이시이 코우세이(石井公成)은 1998년의 논문에서 ‘居士不敬沙門論’에 가까운 논의를 전개하는 『금강삼매경』사상의 연원으로 傅大士등을 상정하면서 동산법문 직계의 위경은 아니라고 주장하였으며,신규탁은 오히려 화엄 계통의 수행강요서일 가능성을 제기한다.하지만 견해를 제시한 학자들 대부분은 東山法門과 관련된 중국 혹은 신라 찬술설,혹은 원효 주변의 인물을 찬술자로 비정하고 있으며,뚜렷하게 견해를 제시하지 않고 유보하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우선 논자는 기존 논의의 문제점으로,『금강삼매경』의 성립에 관 한 유일한 記事인 『송고승전』「석원효전」의 신뢰성 문제,『금강삼매경』이 원효의 『금강삼매경』과 동일시되어 이해되면서 『금강삼매경』과 『금강삼매경』의 사상이 분리되어 논의되지 않는 것의 문제점,『개원석교록』에 편입된 『금강삼매경』이 원효가 주석한 이후에 신라에서 중국으로 전해진 것인가 하는 점이 간과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선행의 연구 성과와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론하였다. 첫째,『금강삼매경』이 동산법문과 관계가 있는 이입사행설을 구경의 경지로 설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동산법문 직계의 경전은 아니다. 둘째,『금강삼매경』은 7세기 중반 무렵까지 중국불교 특히 長安지역에서 유통되었던 사상의 대부분을 망라하고 있다. 셋째,『금강삼매경』은 말법시대의 가르침을 의도하고 있는데,원효의 주석은 상법시대의 가르침으로 해석하고 있다.따라서 『금강삼매경』은 말법의식을 강렬하게 드러내도 있다. 넷째,五濁惡世에서 중생을 성숙시킨 것을 사명으로 하는 보살이자 末法之敎의 보살인 ‘지장보살’이 「摠持品」의 청법자,이 경의 文義陀羅尼를 얻은 자이자 『금강삼매경』의 修習者를 옹호하는 중요한 位格으로 설정되고 있다. 다섯째,650~670년 사이에 종남산에서 접할 수 있었던 화엄적 사유와,北宗의 잔간인 『大乘五方便』과 대단히 유사한 문구가 『금강삼매경』에 사용되고 있다. 여섯째,이시이 코우세이와 남동신의 지적처럼,『금강삼매경』의 편찬자는 非僧非俗이면서 일체를 예경하고 沙門에게서도 예경을 받는 이상적인 인물상을 제시하고 있다. 일곱째,‘如來藏佛’‘形像佛’등 삼계교 특유의 용어군이 사용되고 있고,三階敎의 普敬사상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정리에 의거하여 논자는 7세기 중반 직후,중국불교에 유통되었던 다양한 불교사상군을 종합적으로 수용하면서도,非僧非俗이면서 일체를 예경하고 沙門에게서도 예경을 받는 이상적인 인물상을 강조하고,강렬한 말법의식을 드러내면서 지장보살 신앙을 강조하였던 삼계교를 『금강삼매경』을 편찬한 집단으로 주목하게 되었다. 7세기 중반을 전후하여 삼계교는 종남산과 장안 일대에서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고,특정 경전을 소의경전으로 세우지 않아서 정토교로부터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구족계를 버린 후에 친히 勞役하였고, 悲田과 敬田에 공양하며,승속을 가리지 않고 예배하였다”는 開祖信行(540-594)을 말법시대에 부처님을 대신하여 法을 설한 一乘菩薩로 신앙하려는 의식이 삼계교 내부에 팽배해 있었다.『금강삼매경』에 수용된 초기 선종사상과 화엄사상 등은 당시 장안과 종남산 일대에서 접할 수 있는 것이었다는 점 역시 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던 삼계교라면 쉽게 수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특히 이입 사행설이 처음 수록된 『속고승전』역시 종남산 정업사에서 찬술되었다는 점에서 『금강삼매경』의 찬술집단이 좀더 쉽게 접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더욱이 695․699․721․725년의 네 차례에 걸쳐 내려진 삼계교에 대한 禁令은 왜 『금강삼매경』이 중국에서보다 신라에서 먼저 유통되어야 했는지에 대한 정황에 대한 설명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점에 의거하여 논자는,『금강삼매경』이 7세기 중반 직후 종남산과 장안을 무대로 활동하였던 삼계교 집단이 자신들의 사상과 신앙에 대한 정당성을 획득하

      • KCI등재

        『금강정영청의(金剛頂迎請儀)』의 한국 내 수용 및 변천 - 점안식과 불화를 중심으로

        진명화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人文論叢 Vol.74 No.1

        본고는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과 대흥사(大興寺) 「법신중위회삼십칠존(法身中圍會三十七尊)」을 통해 밀교 『금강정영청의』의 한국 내 수용 및 의미 대해 연구하였다. 현재 유물에 따르면, 금강계 만다라 오불과 관련된 도상 및 조형물은 9세기 후반 통일신라 때부터 한반도에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예로는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에서 발견된 금동사리함(863년) 외함의 바깥 4면에 조각된 사존불상과 강원도 실상사 백장암 삼층석탑의 3층 옥개석 아래에 돋을 새김된 금강계 만다라 오불 등이 있다. 조선시대 유물로는 상원사 문수보살좌상의 복장유물인 목각 판화 「금강계종자만다라도(金剛界種子曼?羅圖, 1466년)」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이 판화는 고려 말기에 제작된 판을 사용해 조선 초기에 인쇄된 것으로 보인다. 금강계 37존을 소재로 한 불화로는 1845년에 초의선사 주도, 완성된 전라남도 해남 대흥사의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이 유일하게 전해지고 있다. 이들 유물 가운데 「법신중위회삼십칠존」만 예배의 대상으로 사용되었고, 나머지 사리함과 탑신에 새겨진 금강계 오불, 만다라도는 모두 사리 공양이나 개안·복장 의식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런 이유로 조선시대 의례집에서 점안이나 복장 의식 때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의례를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금강정 밀법은 조선시대에 들어선 이후 유가사상의 연구나 수행으로 실천되지 못하고 점안식, 복장식에 관한 의궤에만 남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점안식의 `금강계 만다라 37존 봉청`은 돈황유서 『유가불례(瑜伽佛禮)』나 『금강정영청의』가 금강정 유가밀법의 정례(頂禮) 수행에 관한 예참문으로 청불, 찬탄, 예불, 오회(五悔) 등의 절차를 기록한 것과 달리, 점안식 봉청의례 때 불상(또는 불화)의 가지(加持)를 증명할 뿐임을 고찰하였다. 사상적 구조로 볼 때 이는 금강계, 태장계(胎藏界), 소실지(蘇悉地)의 3대 밀법이 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금강계의 대일여래(大日如來), 삼실지 삼신불과 화엄종의 비로자나불, 삼신불이 일치한다는 점에서, 삼국시대에 당나라 중기 밀교의 `금태불이(金胎不二)` 및 거기에서 파생된 3종 실지 사상이 한반도에 유입된 뒤신라 화엄종의 삼신불과 섞여 조선시대에 이르면 화엄사상이 짙게 깔린 한국 밀교로 발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대흥사 대광명전에 봉안된 「법신중위회삼십칠존」은 금강정 37존을 소재로 한 후불탱으로, 예배 기능도 있지만 인간세상을 위해 재앙을 없애고 복을 내려달라는 기원의 용도로 주로 쓰였다. 그림 속 방제(榜題)로 쓰인 `금강정 만다라 삼십칠존`이라는 명칭이 돈황유서 『유가불례』의 명칭과 유사한 점으로 미루어, 당시 한반도에서 금강정 유가 37존을 경배하는 의식이 전파했으며 「법신중위회삼십칠존」 이전에도 이러한 의식과 관련된 불화가 제작되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통일신라 후기에 유입된 금강정 불정 사상과 신앙은 고려 때 호국사상이 더해지면서 왕실의 숭상을 받으며 유지되었지만, 조선시대 이후 쇠락의 길로 접어들어 점안식의 봉청의례 때 불사의 가지(加持)를 증명하거나 그것을 소재로 그린 불화를 사원 불전에 봉안해 세속의 재앙을 없애고 복을 기원하는 용도로만 사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本文透過朝鮮時代点眼儀 `金剛界曼?羅37尊奉請`,以及大興寺 「法身中圍會三十七尊」,探討密敎 『金剛頂迎請儀』 在韓國的流變和意義。經由硏究,得知朝鮮点眼儀的 `金剛界曼?羅37尊奉請`,僅以迎請金剛界37尊作爲佛事的證明加持。與敦煌遺書 『瑜伽佛禮』 或 『金剛頂迎請儀』 內有請佛、嘆佛、禮佛、五悔等次第,屬于頂禮修習金剛頂瑜伽密法的禮懺文本,在職能上幷不相同。就構筑点眼儀的思想核心來看,爲金剛界、胎藏界、蘇悉地三部密法的合體。從其以金剛界大日如來、三悉地三身佛與華嚴宗毗盧遮那佛、三身佛的相攝一致,說明自三國時代以來,唐代中期密敎的 `金胎不二` 及由此衍生的三種悉地思想,在傳入朝鮮半島后與新羅華嚴宗的三身佛相互融攝,形成韓國密敎呈現?厚的華嚴思想底蘊。供奉于全羅南道大興寺大光明殿的 「法身中圍會三十七尊」,是以金剛頂37尊爲題材的后佛?,雖具有禮拜功能,但在朝鮮時代作爲世俗消災祈福之用。畵中榜題所書金剛頂曼?羅三十七尊名稱,經與敦煌遺書 『瑜伽佛禮文』 比對,稱名雷同一致,推測禮拜金剛頂瑜伽37尊的儀式曾傳入朝鮮半島,幷在 「法身中圍會三十七尊」 之前應也?制與此儀式有關的佛畵。可以說金剛頂佛頂思想和信仰,自統一新羅后期傳入,以其具有護國的職能在高麗得到王室的尊崇護持,但朝鮮時代以后,衰退式微,只見点眼儀式的迎請儀節,作爲佛事加持證明,或以其爲題材?成佛畵,供在寺院佛殿內,成爲世俗消災增福之用。

      • 환경평가 지원을 위한 지역 환경현황 분석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개발사업에 따른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 Ⅲ

        전동준 한국환경연구원 2021 사업보고서 Vol.2021 No.-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내륙으로는 농업지역이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해안으로는 갯벌이 잘 발달되어 있음.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포함한 주변 지역은 갯벌, 논, 호소, 하천 등의 습지가 매우 잘 발달되어 있어 다수의 법정보호종을 포함한 이동성 조류의 중간 기착지인 동시에 중요 철새도래지 중 한 곳이며, 습지서식 생물을 포함하여 다양한 동·식물들의 서식공간이 분포하고 있음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매립사업과 간척사업은 물론 산업단지개발사업, 도시 개발사업등의 다양한 개발사업이 추진된 바 있으며, 지금도 다양한 개발사업 계획이 수립되고 있어 추진 시 친환경적인 개발과 보전이 필요한 공간임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공간의 시대별 토지피복 변화를 알아보고, 생물 서식지의 변화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개발계획 수립 시 생물 서식공간과의 조화를 위한 생물보전 전략을 모색하고자 함 □ 또한 토지이용 변화에 대한 시나리오별 분석을 토대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미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예측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관리정책의 수립을 위한 정책 지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 특히 탄소 중립을 위한 국가적 기후정책과 기후영향평가 도입 및 분석의 사례를 제공하고, 연구 대상지가 보유하고 있는 시대별 탄소저장량의 변화와 시뮬레이션을 통해 net-zero를 지향하는 환경평가 정책의 과학적 도구를 제공하자 함 1. 연구 내용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변화 분석을 위해 환경부 국토환경정보센터 정보시스템15)에서 제공하는 대분류 토지피복도를 활용함. 최근의 대분류 토지피복도는 2019년 전후 공간정보를 토대로 2020년에 제공되어 이를 활용함 □ 생물 서식지 질 분석은 InVEST Habitat Quality Model(3.6.0)을 활용하여 실시함. 생물 서식지 질 분석에 적용한 서식지 적합성, 민감성, 접근성, 위협요인, 최대영향거리 등의 여러 입력변수에 대한 가중치는 이현우 외(2015)에서 제시된 값들을 이용함 □ 탄소저장량 분석은 InVEST Carbon Model(3.6.0)을 사용함. Carbon Pool 계수는 추인교 외(2021)의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를 입력자료로 활용함 Ⅱ.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결과 □ 금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장항해안, 유부도, 금강하구, 옥녀 저수지, 옥구저수지, 만경강, 백산지, 능제, 동진강, 조류지, 청호저수지, 고마제 등 12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영산강 중·하류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지역 중 압해도, 영산호, 영암호, 금호호, 랑초저수지, 고천암호, 군내간척지 등 7개 조사지역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음 1. 금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금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겨울철 조류 동시 센서스 조사 결과를 전체 조사대상지역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만여 개체에서 9만 여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20여 종에서 60여 종에 이르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2.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겨울철 조류 도래 현황 분석 □ 2010년 이후 영산강 중·하류 중 영암호, 금호호, 영산호, 고천암호의 경우 매년 적게는 5만여 개체에서 50만에 가까운 개체가 도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금강하구, 만경강 및 동진강의 경우 매년 30여 종에서 70여 종이 넘는 조류종이 도래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Ⅲ.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1.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 금강 중·하류 지역 연구대상지는 낙동강과 한강의 하류·하구 지역과 비교하여 토지피복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음(전동준 외, 2019; 전동준, 2020). 특히 유형별 토지 피복의 변화 중 낙동강 및 한강과 비교하여 농경지의 면적 감소가 크지 않음. 다만 수역의 면적 감소에 비례하여 농경지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어 간척사업 등으로 인한 새로운 농경지의 조성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경우 금강 중·하류 지역과 비교하여 습지의 면적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음. 이러한 토지피복의 변화는 1990년대 후반 농경지 면적의 증가와 지속적인 시가화용지의 증가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하류·하구지역의 습지가 농지 혹은 개발용지로 개발·전용됨으로써 나타난 현상이라고 판단됨 2.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토지이용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에 대한 미래의 토지피복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InVEST Scenario Generator를 이용하였으며, 총 6개의 시나리오를 적용하였음 ○ 개발사업 증가에 따른 미래 시가화건조지역의 확대를 10%, 20%, 30%로 설정하여 각각 적용하였음 ○ 보호지역에 대한 행정규제를 현재와 같이 적용하여 보호지역의 개발 가능성을 배제한 경우와 보호구역에 대한 개발행위가 가능할 경우를 적용하였음 Ⅳ.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분석 및 예측 1. InVEST를 활용한 생물 서식지 질 평가 및 탄소저장량 평가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생물 서식지의 질 분석(Habitat Quality Analysis) 모델은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로서 생물 서식지에 대한 공간계량화가 가능하며, 토지피복 및 토지이용을 연동하여 생물 서식지의 민감도와 생물 서식환경에 미치는 위협요인을 입력변수로 하여 생물 서식지 질을 공간정보화하여 표현하게 됨. 생물 서식지 질 평가는 토지피복 유형별 서식지로서의 적합성과 각 서식지를 위협하는 위험요인에 반응하는 민감도 및 접근성 등에 따라 분석됨 □ InVEST 모델의 여러 하위 모델 중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와 토지이용별 탄소계수를 토대로 하여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모델임. InVEST Carbon 모델은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과거 대상지역이 보유하고 있는 탄소저장량을 산출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 예측을 기반으로 대상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예측할 수 있어 기후영향평가의 도구로 활용이 가능함 2.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 평가 □ 2019년 전후 금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의 경우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은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11.1%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 4등급 지역은 44.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해양과 하천을 모두 포함하는 수역에 해당함. 수역의 면적 감소는 새만금에서 현재 진행 중인 대규모 간척사업 때문인 것으로 판단됨 □ 2019년 전후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은 1998년 전후 시기와 비교하여 등급별 면적의 변화가 크게 없으며, 1등급 지역이 다소 증가된 것이 특징임. 생물 서식지 질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5등급 지역의 경우 전체 연구대상지역 면적 대비 29.8%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전과 비교하여 큰 면적 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됨 3.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변화 예측 □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생물 서식지 질적 평가를 위해 사용된 InVEST 모델의 하위 모델인 InVEST Habitat Quality Model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지역 의 생물 서식지 그룹 중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생물 서식지인 5등급 지역의 경우 해안가에 연접한 5등급 지역이 생물 서식지 질이 가장 나쁜 1등급 지역으로 변경될 것으로 예측되었음 4. 시대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평가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757만 5,936.19Mg of C로 산출되었으며, 2008년 전후 682만 8,760.83Mg of C로 다소 줄어들었으나 최근 2019년 전후 730만 8,642.25Mg of C로 다시 탄소저장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러한 탄소저장량의 시대별 증감 현상은 연구대상지인 금강 중·하류 특히 새만금에서의 토지이용이 시대에 따라 변화하고 있는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됨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1988년 전후 탄소저장량은 1,313만 7,060.86Mg of C로 나타났으며 1998년 전후는 1,251만 1,916.82Mg of C, 2008년 전후는 1,248만 5,021.60Mg of C로 산출되었음. 2019년 전후의 최근 탄소저장량은 1,250만 5,506.45Mg of C로 분석되어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가 확인되었음 5. 시나리오 분석을 통한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탄소저장량 변화 예측 □ 금강과 영산강의 중·하류 지역에 대한 탄소저장량의 미래 변화 시뮬레이션은 개발사업의 증가에 따른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는 가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대상지의 특성상 시가화건조지역이 차지하는 비율이 전체 연구대상지 면적과 비교하여 크지 않아 탄소저장량의 변화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음 □ 금강 중·하류 연구대상지의 2019년 전후 토지피복으로부터 시가화건조지역이 10%와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할 때,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718만 4,175.00Mg of C와 709만 108.70Mg of C로 각각 산출되었음 □ 영산강 중·하류 연구대상지 역시 2019년 전후를 기준으로 시가화건조지역이 10%, 20% 각각 증가한다고 가정했을 때, 탄소저장량은 각각 1,242만 3,217.65Mg of C와 1,235만 4,422.01Mg of C로 예측되었음 Ⅴ. 결론과 제언 □ 본 연구에서는 1980년대 이후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을 중심으로 연구대상지에 도래하는 이동성 조류의 시기별 변화를 분석하고, 해당 지역 토지피복의 시계열적 변화와 함께 생물 서식지의 질적 변화를 시대별로 분석하였으며, 각 시대별 연구대상지의 탄소저장량 변화를 분석하여 개발에 따른 조류군집, 생물 서식공간의 질 및 탄소저장량의 변화를 확인하였음. 또한 토지피복에 대한 시나리오 분석을 토대로 변화가 예상되는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의 토지이용을 예측하고, 생물 서식지의 절적 변화와 탄소저장량의 정도를 분석하고 예측하고자 하였음 □ InVEST 모델의 Scenario Generator를 활용하여 토지피복의 미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금강 및 영산강 중·하류 지역은 향후 개발의 정도에 따라 시가화건조지역이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음. 이는 생물 서식공간의 축소, 특히 조류의 취·서식 공간인 갯벌지역, 호소 및 하천습지 그리고 농업지역의 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판단됨. 향후 이 지역에서 조류를 비롯한 다양한 생물들의 서식환경의 질저하가 예상되고 있어 대책이 필요함. 또한 토지피복의 변화로 인한 탄소저장량의 감소도 예상되므로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보전 대책이 요구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gricultural areas are widely distributed inland and tidal flats are well developed along the coast.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and the surrounding areas are well-developed wetlands such as tidal flats, paddy fields, lakes, and rivers. The habitats of various animals and plants, including those living in wetlands, are distributed. □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industrial complexes and urban development, as well as reclamation projects, have been carried ou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since the 1980s, analyze the changes in habitats by period, and seek a biodiversity conservation strategy for harmonization with the living habitats when establishing a development plan. □ In addition, by predicting future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rough scenario analysis of land use changes, and predicting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 intend to provide policy support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management policies. Ⅱ. Migratory Birds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Migratory bird census resul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ensus of migratory bird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ince 2010, it was confirmed that between 20,000 and 90,000 individuals arrive each year in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In the case of the Geum River Estuary, Mangyeong River, and Dongjin River, 20 to 60 bird species were found to visit these areas every year. □ Since 2010, it has been confirmed that from 50,000 at least to close to 500,000 individuals arrive at Yeongam, Geumho, Yeongsan, and Gocheonam lakes every year. It was found that between 30 and 70 bird species visit the Yeongsan River Estuary, Yeongam lake, and Geumho lake every year. Ⅲ. Land Use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1. Land use chan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land cover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However, the area of agricultural land is increasing in proportion to the decrease in the area of water bodies. It is believed that new agricultural land was created through reclamation projects. □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the area of wetlands is significantly decreasing. This change in land cover reflects the increase in agricultural land area and the continuous increase in urban areas in the late 1990s. Wetlands in the downstream and estuary areas were developed as farmland or development land. 2. Land use change simulation according to scenario analysis □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was used to predict land cover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and a total of six scenarios were analyzed. Ⅳ. Analysis and Prediction of Ecosystem Servic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1.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using InVEST □ Habitat quality evaluation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suitability of each type of land cover as a habitat and the sensitivity and accessibility to respond to risk factors that threaten each habitat. □ The InVEST Carbon model is a model that estimates the amount of carbon storage based on land cover and carbon coefficients for each land use. 2. Assessment of habitat quality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In 2019, grade 5 regions, where the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is relatively excellent, took up 11.1%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The next grade 4 areas accounted for 44.5%, and most of them were waters containing both oceans and rivers. □ In 2019, the quality of habitat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y grade compared to the past. It is characterized by a slight increase in the 1st grade area. The grade 5 area with a relatively high quality of biological habitat occupies 29.8% of the total area of the study area. It is analyzed that there is little change in area compared to the past. 3. Scenario analysis of habitat changes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 It was predicted that the coastal area among the 5th grade areas with the be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would be changed to the 1st grade zone with the worst biological habitat quality. 4. carbon storage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study site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was analyzed as 7,184,175.00Mg of C and 7,090,108.70Mg of C, respectively. □ Assuming that the urbanized lan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Yeongsan River increases by 10% and 20%, respectively, the carbon storage amount was analyzed as 12,423,217.65Mg of C and 12,354,422.01Mg of C, respectively.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 Qualitative changes in biological habitats were analyzed along with changes in land cover in the area. Changes in the bird community,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in the study site were confirmed. In addition, land use changes were predicted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and Yeongsan Rivers through land cover scenario analysis, and changes in habitat quality and carbon storage were analyzed. □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future changes in land cover using the InVEST Scenario Generator, urbanization areas will gradually increase according to future development in the middle and lower reaches of the Geum River and Yeongsan River. This means the reduction of living habitats, especially the areas of tidal flats, lakes and river wetlands, and agricultural areas, which are the feeding areas of birds. □ In the future, as the quality of the habitats of various living creatures including birds is expected to decrease in this area, a conservation policy is required. In addition, since a decrease in carbon storage is expected due to changes in land cover, more active conservation measures are required to achieve 2050 carbon neutrality.

      • KCI등재

        남성적 외금강과 여성적 내금강 ― 근대기 금강산의 젠더 표상

        金素延 ( Kim So-yeo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2 大東文化硏究 Vol.118 No.-

        본 연구는 금강산을 ‘외금강=남성, 남성적, 남성미’, ‘내금강=여성, 여성적, 여성미’로 인식하는 경향성에 주목하여 이러한 이분법적 시각의 형성과정을 추적하고, 상대적으로 외금강에 부여된 우월한 위상이 근대기 이후의 시각문화와도 긴밀하게 연동되고 있음을 지적한다.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젠더(Gender)는 금강산의 경관을 채택하고 경험하는 렌즈로 작용하여, 근대적이고 장대한 암석미의 외금강, 과거와 전설이 머물러 있고 얌전한 계곡미를 갖춘 내금강이라는 차별적인 표상을 구축하는 도구로 활용되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금강산에 사회적인 성별, 즉 젠더의 개념이 도입되는 시점은 총독부의 주관 아래 외금강 중심의 금강산 관광을 도모한 1910년대 중반 이후로 판단된다. 암석과 나무의 많고 적음, 바위의 빛깔과 모양은 외산과 내산을 비교하는 지표가 되었으며, 일제강점기 금강산 개발의 진행과정에서 젠더의 보편적 인식에 부합하는 경관들의 특징은 더욱 부각되었다. 이에 외금강은 산악미가 빼어나고, 내금강은 계곡미가 아름답다는 심미적 기준이 등장하고, 외금강의 산악미를 대변하는 만물상, 내금강의 계곡미를 드러내는 만폭동이 대표 경관으로 부상한다. 금강산 권역을 차별적으로 인식하면서 시각문화와 교차하는 지점 역시 포착되는데, 사진엽서, 사진첩, 안내서와 같은 시각물은 물론 회화 작품에서도 외금강 이미지는 우선적으로 선별된다. 근대기 금강산 여행안내서는 외금강을 먼저 방문하고 내금강으로 향하는 반전된 여정을 順路로 제안하기도 했다. 따라서 각 폭 구성의 금강산도 병풍에서는 금강산 명소 구성의 오랜 전통과 근대인들에게 익숙한 금강산 여행의 새로운 면모들이 대립하는 양상이 발견된다. This study takes note of the tendency to recognize the areas of Outer Kumgang and the Inner Kumgang of Mt. Kumgang as “Outer Kumgang = Man, Masculine, Masculinity” and “Inner Kumgang = Woman, Feminine, Femininity” to track the formation of such dichotomous viewpoint and comments on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relatively superior status imbued on the Outer Kumgang and the visual culture after the modern period. At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 Occupation in Korea, gender functioned as the lens which selected and constructed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of Mt. Kumgang, utilized as a tool which constructed a differential symbolism of Outer Kumgang with its modern and grand rocks and Inner Kumgang where the past and myth resides in calm valleys. The time period in which the concept of social sex, or gender, begins to be applied on Mt. Kumgang is considered to be post mid-1910s, whe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general had begun planning the vitalization of tourism to Mt. Kumgang, centered around the Outer Kumgang. The numbers of rocks and trees, the colors and shapes of the rocks served as indices for comparing the outer and the inner mountain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Mt. Kumgang as a tourist attraction, the characteristics which corresponded to gender is generally recognized were emphasized. Thus aesthetic standards, which described Outer Kumgang as having outstanding mountainous beauty and Inner Kumgang as having alluring beauty in the valleys, began to appear; Manmulsang, which is an exemplary mountainous beauty of the Outer Kumgang, and Manpokdong, showing the beautiful valley of Inner Kumgang, rose as the representative landscapes. An intersection between differential recognition of the areas of Mt. Kumgang and visual culture can also be observed; in visual materials, such as photo postcards, photo album, guidebooks, and even paintings, the images of Outer Kumgang were selected preferentially. The travel guide for Mt. Kumgang, published under the influences of the government-general and the railway bureau, had suggested a reversed route of visiting the Outer Kumgang prior to Inner Kumgang as the regular route. This results in a tense conflict between old traditions in forming attractions of Mt. Kumgang and the new aspects of touring Mt. Kumgang familiar to modern audience, found in the folding screens of Mt. Kumgang depicting the attractions in each of the screens.

      • KCI등재후보

        16, 17세기 충청 유교 학문 발전 영향 요인 연구

        김창경 ( Kim Chang-gy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21 韓國思想과 文化 Vol.103 No.-

        충청지역은 그 중심을 흐르는 금강(錦江)의 물줄기를 따라, 예로부터 사람들의 주거지가 발달해 왔다. 금강은 지리산으로부터 발원하여 대청호로 유입하고, 대전의 중심을 감아 돌아서 조치원의 부강에서 충북지역에서 흘러내린 미호천(美湖川)과 만나 금강을 형성한다. 이러한 금강은 세종과 공주, 부여를 거쳐, 논산 강경포구를 지나 장항과 군산의 서해바다로 흘러나간다. 16, 7세기 충남은 육로보다 편리한 금강 물길을 따라 교통수단이 발달하였고, 그에 따른 조세 및 운송교역 등 모든 삶의 수단이 수로를 통해 발전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뿐만이 아니라 당시의 유교학문의 발전도 금강의 물길을 따라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6세기에서 17세기로 이어지는 충청 유교학문의 발전이, 이지함과 서기, 김장생과 그 뒤를 이은 충청5현(송준길, 송시열, 이유태, 유계, 윤선거)의 학문적 배경과 강학의 터전이, 모두 금강물길 옆에 자리하고 있음에서 살필 수 있다. 이들은 기호유학의 학맥을 형성하여 오늘날까지도 한국유학사의 한 획을 이루고 있는데, 그 바탕에는 금강의 물길이라는 영향요인을 간과할 수 없다고 하겠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이와 같은 금강의 물길에 따른 16, 17세기 충청지역 유교학문의 발전영향 요인을 궁구하여, 충청지역 유교문화 콘텐츠 발전을 위한 접근방법으로 활용하는 현대적 의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아울러 오늘날 청소년교육에서 유교학문의 필요성을 제고하는 문화적 접근방법의 하나로써 제시하고자 한다. The residential area in Chungcheong region has long been developed along the stream of GeumGang(Geum River) which runs through its center. GeumGang originated from JiriSan (Jiri Mountain) flows into DaecheongHo (Daecheong Lake) and meets MihoCheon(Miho Lake) which runs down in North Chungcheong region at BuGang(Bu River) in Jochiwon after turning around the center of Daejeon. The GeumGang runs through Sejong, Gongju, Buyeo and flows into the West Sea where Janghang and Gunsan are located nearby while passing by Ganggyeong Port in Nonsan. South Chungcheong province developed a means of transportation along the GeumGang, which was more convenient than land route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ccordingly, most of method of living including tax, transportation and trade might have been developed through waterways. In addition, the contemporary Confucian study was developed along the flowing of GeumGang. Its development in Chungcheong Province, in other words, the academic background and base of educational pursuit of Tojeong Yi, Ji-ham, Gocheong Seo Gi, Sagye Kim, Jang-saeng and five succeeding scholars (Song, Jun-gil, Song, Si-yeol, Yi, Yu-tae, Yu, Gye, Yun, Seon-geo) can be seen to have occurred alongside with the GeumGang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17th century. We cannot overlook the influencing factors of GeumGang area as their Confucian school called Giho Yuhak has played a prominent role in Confucianism history in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Confucian study in Chungcheong region nearby the GuemGang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o pursue modern significance by using them as an approaching method for the contents of Confucian culture development. Additionally, I intend to present it as a cultural approach to enhance the necessity of Confucian learning in today’s youth education.

      • KCI등재

        1960년대 ‘동래 금강공원’의 로컬리티

        박형준(Park Hyung Jun)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4 No.-

        이 논문은 1960년대 ‘동래 금강공원’을 재현하고 있는 소설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지역 장소성의 변모 양상과 그 사회문화적 함의를 고찰하는 글이다. 향파 이주홍과 요산 김정한은 같은 시기에 ‘동래 금강공원’을 소재로 한 작품을 발표하였다. 전자의 「동래금강원」(『신동아』, 1969.2)과 후자의 「굴살이」(『현대문학』, 1969.9)가 그것이다. 근대 국민국가의 물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산업화’와 ‘도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던 1960년대 후반에 부산지역을 대표하는 두 작가가 동일한 배경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는 사실은 쉽게 보아 넘길 문제가 아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인식을 바탕으로, 부산지역에 위치해 있는 동래 금강공원의 역사적 내력과 장소성의 변화 양상을 향파의 「동래금강원」과 요산의 「굴살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1960년대 부산 ‘동래 금강공원’의 공간적 표상 변화는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던 한국 사회의 내재적 모순과 부조리를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징후이다. 먼저, 향파는 「동래금강원」을 통해 1960년대 이후 크게 변모한 금강공원의 장소성을 파탄난 사랑/예술의 공간으로 그려내고 있다. 순수하고 오염되지 않은 장소로서의 ‘금강공원’과 욕망과 쾌락으로 점철된 ‘온천장’을 분별하면서, 사랑과 예술(문학)이 이루어질 수 없는 타락한 공간으로 온천장을 형상화했다. 이는 1960년대부터 본격화된 도시 개발/오염이 순수하고 정갈한 인간 생의 의지(사랑/문학)를 좌초시키는 사회적 병폐임을 감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요산 김정한은 「굴살이」를 통해 1960년대의 도시 개발과정에서 떠밀려나거나 추방된 존재를 예민하게 감각하고 있다. 관찰자 ‘나’를 통해 재구성되는 ‘굴댁’의 처참한 사연이란, 우리 사회 속에서 자기 자신의 자리를 부여받지 못한 이들의 삶이 얼마나 쉽게 부서지고 찢어질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회문화적 증례와 다르지 않다. 특히, ‘밤순’이가 ‘굴댁’으로 몰락하는 과정에는 1960년대의 도시 팽창과 자본/투기의 문제점이 반영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Social culture and the transformational Patterns of Local Places. By analyzing how to represent ‘Dongnae Geumgangpark’ in 1960 s novel. Lee juhong wrote a novel 「Dongnae Geumgangpark」(1969.2) and Kim Junghan wrote a novel 「life of cave」(1962.9). Two works material is same. it s ‘Dongnae Geumgangpark’ It s important that two writes who presenting Busan publish the works by using the same material ‘Dongnae Geumgangpark’ at the same time. By the end of the 1960s whe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were underway in order to ensure the material base of the modern nation-state. This paper studys the historical contents and the changing mode of the placeness of ‘Dongnae Geumgangpark’, focusing on Lee juhong s 「Dongnae Geumgangpark」(1969.2) and Kim Junghan s 「life of cave」(1962.9). 1960 s space tranformation of tne Geumgangpark is social and cultural symptom to showing Contradiction and absurdity in Korean society. First, Lee juhong considerd placeness of Geumgangpark where greatly changed after 1960 s as a breaking sign of pure thing(love and art) He separated the park, as a pure uncontanminated place and Dongnae hot Springs filled with desire and pleasure. In addition Dongnae hot Springs was described a place of depravity where love and literature can not be achieved. Eventually, Lee juhong wanted say, pure and innocent life can’t be achieved in polluted space. In other words he predicted the evil of urbanization that will be frustratd the will of the pure and neat human life. Next, Yosan is keenly aware of the existence of being thrown out or deported from the urban development process of the 1960s through 「life of cave」. The observer ‘I’ reconstructs ‘Guldaek s’ horrific story. This shows how easily can be broken the lives of those who have not received their status in our society. In particular, the process of ‘Bamsun’ becoming ‘Guldaek’ reflected the problems of urban expansion and capital / speculation in the 1960s. This shows the realistic creative attitude unique to Yosan. In this way, 「life of cave」contains a common question about how our society will live with the persons who has not settled down.

      • KCI등재

        원효의 『금강삼매경』6품 해석학

        박태원(Park, Tae-Won) 새한철학회 2014 哲學論叢 Vol.77 No.3

        현재 확인할 수 있는 문헌자료를 근거로 할 때 『금강삼매경』은 7세기 한반도 불교인들의 작품으로 보인다. 그리고 『금강삼매경』 찬술자(들)가 지녔던 문제의식은, ‘선(禪)의 사상적 근거를 체계화시키는 것’이었다고 본다. 7세기 한반도 불교인들은 새로운 불교 운동인 초기선종의 등장을 계기로 선의 교학적 토대를 확립하려는 문제의식을 지녔고, 그리하여 그들이 소화하고 있던 불교이론들을 통합적으로 엮어 ‘선의 철학적 기반을 정초(定礎)하려는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그 결실이 『금강삼매경』이었을 것이다. 그리고 『금강삼매경론』은 원효가 선을 주제로 삼아 자기 사상을 총결산하고 있는 저술이다. 원효는 『금강삼매경』을, 대승불교 교학의 핵심 개념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삼매의 최고경지로 나아가는 선 수행 체계를 완결된 형태로 설하는 것으로 취급하고 있다. 대안이 그 내용을 편집했다고 하는 『금강삼매경』, 그리고 원효의 해설인 『금강삼매경론』은, 삼매성취의 선(禪) 수행과 그 의미를 대승불교의 교학적 핵심 개념들과 결합시킴으로써, 선의 철학적 완결체계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삼매와 선 수행에 대한 이러한 시도는 그 이전과 이후를 통틀어 불교사상사에서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특이한 사례다. 그리고 사례의 희소성 때문이 아니라 그 내용 때문에 『금강삼매경』과 『금강삼매경론』 이 시도하는 선의 철학적 체계화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금강삼매경』 구성체계에 대한 원효의 ‘6품 해석학’은 『금강삼매경』 이 대승교학의 핵심을 모두 총괄하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일미 해석학’은 6품이 모두 공성(空性)인 진여지평에 수렴되고 또 그로부터 발산하고 있다는 점을 논거로 ‘한 맛’으로 꿰어져 있다는 것을 역설한다. 그런데 6품 해석학의 논리와 내용을 보면, 원효는 「본각리품」을 6품의 중심축으로 삼고 있음을 알게 된다. 「본각리품」을 중심축으로 삼는 『금강삼매경』체계, 그리고 ‘개념환각(相) 깨뜨리기’의 과정과 내용 및 결과를 시각/본각의 틀로써 해명하고 있는 원효의 6품 해석학은, 원효사상이 시각/본각의 틀 안에 대승교학의 핵심을 망라하여 선의 철학적 토대와 체계를 수립하는 것으로 결산되고 있다는 의미를 지닌다. According to existing text materials,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is to be supposed the product written by Buddhists of the Korean Peninsula in 7th century. The interest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s writers was to develop a system of philosophical grounds of Seon(禪).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is a writing of final philosophical settlement of Won-Hyo(元曉) that is focussed on Seon(禪).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edited by Dae-An(大安) and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written by Won-Hyo(元曉) suggest a philosophical complete system of Seon(禪) combining the contemplation practice to acquire sam?dhi with the theoretical hearts of Mahayana Buddhism. An attempt like this is a unique case that cannot be found in the philosophical history of Buddhism.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emphasizes that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summarizes all the cores of Mahayana philosophy, and his hermeneutics of One-Taste(一味) asserts that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are penetrated with one taste grounded by the fact that all the six chapters are converged on Emptiness(空) and diverged from Emptiness(空). In the logics and contents of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Chapter on the Benefits of Original Enlightenment(本覺利品)」is a central axis. The composition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that makes the 「Chapter on the Benefits of Original Enlightenment(本覺利品)」 as its central axis, and Won-Hyo(元曉)’s hermeneutics on the six chapters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 )』 that elucidates the breaking conceptual hallucination with the frame of ‘Beginning Enlightenment(始覺) and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imply that 『commentary of Vajrasam?dhi-S?tra(金剛三昧經論)』 is the final Won-Hyo(元曉)’s philosophical settlement on Seon(禪)’s philosophical grounds and organization covering all the cores of Mahayana philosophy through the frame of ‘Beginning Enlightenment(始覺) and Original Enlightenment(本覺)’.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