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 연구

        허련화 한중인문학회 2021 한중인문학연구 Vol.72 No.-

        본 논문은 중국에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 상황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중국에 서의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대한 연구는 1999년 이후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010년 이후 눈에 띄게 늘었다. 크게 비교문학적 연구와 일반적인 한국문학연구로 나뉘는데, 그중 비교문학연 구가 특히 많다. 대부분은 중한문학비교이고 일부 중한일문학비교, 한국과 서구문학 비교가 있다. 중한 두 나라 근대초기문학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으며 그 당시 두 나라의 시대상 황, 문학사조 등이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관계로 영향관계의 비교문학논문, 평행적인 비교문 학논문이 모두 많으며, 일부는 한 논문에서 두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적용하고 있다. 영향관 계연구에서 가장 많이 다뤄진 내용은 양계초의 사상이 한국근대문학과 한국근대사회에 준 영 향이며, 그 다음으로는 기독교가 한국 근대초기문학에 준 영향을 들 수 있다. 평행비교연구로 는 중한 두 나라 근대문학사조, 근대문학사상의 비교 및 작가 작품 비교가 있는데, 가장 많이 비교된 것은 한국 이광수의 <무정>과 중국 노신의 <광인일기>이다. 일반적인 한국 근대초기 문학연구에서도 이광수와 그의 소설 <무정>에 대한 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으며, 이로부터 중 국학계의 이광수에 대한 중시도를 알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quo of the research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China. The research began in 1999 and has been intensified since 2010. Research approaches are largely divided into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and Korean literary studies, with the former figuring dominantly. In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most are o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and some are on Chinese, Korean and Japanese literature, or on Korean and west European literature. Early modern Chinese and Korean literature influences each other because the two countries share similar social conditions and trends of literary thought. So many papers apply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or parallel studies. Some papers even adopt the approach of influence studies combined with parallel studies. In influence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the influence of Liang Qichao's ideas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society, followed by the Christian influence on early modern Korean literature. In parallel studies, the most talked about is comparison between Mutiny by Lee Kwang-soo and A Madman's Diary by Lu Xun. Aside from comparative literary studies, the study on Lee Kwang-soo and his Mutiny is most popular in China, which represents the great importance attached to Lee Kwang-soo by the Chinese academic circle.

      • KCI등재

        근대초기신문의 전래 서사 수용 및 변전 양상 연구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의 공통 게재 서사물을 중심으로-

        강현조 ( Hyun Cho Kang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1

        이 논문에서는 1906년 9월~11월까지 『제국신문』소설란에 연재되었던 서사물 4편과 사실상 동일한 내용의 자료가 1896년 7월~11월 사이에『한성신보』잡보란에 게재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해당 자료들이 전래서사를 수용하면서도 일정한 변형을 통해 근대적인 서사 양식에 가깝게 변전되어 갔다는 점을 논증한 후,이러한 사실이 갖는 소설사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먼저 『한성신보』잡보란에 게재되었던 <계이취거액금(計以取巨額金)>ㆍ<창녀지보은기모(娼女之報恩奇謀)>ㆍ<덕필유린(德必有린)>ㆍ<기곽생복습사(紀郭生復習事)>등 4편의 순국문 자료 4편을 새로 발굴하여 그 원문을 제시하였고, 이 자료들이 1906년에 발표된 「제국신문」초기 연재소설 중 <평양 외셩에>ㆍ<경상남도 문경군에>ㆍ<정기급인>1화ㆍ<살신성인>등과 사실상 동일한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이 자료들 중 특히 18세기의 한문단편인 <복수설>을 공통 원작으로 하고 있는 <기곽생복습사>와 <살신성인>의 사례는 전래 서사가 근대 초기신문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어떻게 근대적 서사 양식에 가까운 형태로 변전되어 갔는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복수설>은 교술적 경향이 강한 한문단편양식인 설(說)의 양식적 규정력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한 작품으로서 저작자의 견해를 표명하기 위해 추노설화 계열의 서사가 보조적 수단으로 활용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는 반면,<기곽생복습사>는 이러한 규정력으로부터 벗어나 서사 그 자체가 전면에 부각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또한 순국문체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서사 내적 필연성의 부여를 위한 인과성의 강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전래 서사가 근대적 서사 양식으로 변전해 가는 양상을 구현하고 있다고 평가할 만하다. 그리고 <살신성인>은 <기곽생복습사>에서 나타난 전래 서사의 근대적 변전 양상을 한층 심화시킨 작품으로 볼 수 있으며, 그 근거로는 세부(detail)의 구체성 및 인물 간 대화 비중의 뚜렷한 증가, 다양하면서도 세련된 기법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기법적인 측면에서의 변화는 단순히 분량의 장형화를 넘어 질적 변화로 규정될 만한 측면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살신성인>의 특징은 위에서 언급한 『제국신문』의 다른 작품에서도 유사하게 구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찰 결과를 토대로 이 논문에서는 『한성신보』게재 서사물이 전래 서사와 구별되는 일정한 차별성을 지니고 있으며,서사의 근대적인 변전 양상을 보여주는 가장 이른 시기의 텍스트라고 보았다. 그리고 위의 『한성신보』게재 서사물들과 비교를 통해 『제국신문』초기 연재소설 또한 근대적 변전 경향을 직접적으로 계승함과 동시에 일정한 진전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사적 의의를 인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요컨대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의 공통 게재 서사물들은 소설사의 전개 과정에서 근대초기신문들이 어떤 역할을 수행했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두 신문 모두 전래 서사의 수용 및 변전을 통해 근대적 서사 양식으로서 소설(novel)의 형성에 일정한 기여를 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결론을 보다 확실하게 뒷받침하기 위한 더욱 많은 사례의 발굴 및 작품 간 비교 고찰이 수반될 필요가 있다.그 이후에 비로소 『한성신보』와 『제국신문』을 포함한 근대초기신문 게재 서사물의 소설사적 위상과 각 작품들의 차별성이 제대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이 논문은 신자료의 발굴 소개를 통해 이러한 학문적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試論)적 성격을 지닌다. In this article, it is proved that there is substantial sameness between the four miscellaneous news in『HanSungShinbo』during the July-November 1896 and the four short novels that was serialized in 『JeGukShinmun』until September to November 1906. The four narrations are <計以取巨額金>ㆍ<娼女之報恩奇謀>ㆍ<德必有린>ㆍ<紀郭生復習事> and <The outer wall of PyoungYang>ㆍ<At Munkyung in KyungNam>ㆍ<正己及人> the first episodeㆍ<殺身成仁>. Among these data, the case of the <紀郭生復習事> and <殺身成仁>show that the traditional narration has been accepted and changed in the newspaper of early modern. Their substantial narration is originated <復讐說>, the traditional narration has been formed in the 18th century. As <復讐說> has the character of the didactic literature, so it is concentrated on conveying a moral lesson and the narration is applicated as a assistant means. The other side, in <紀郭生復習事> the narration is embossed comparing the former. That is the proof of its modernity and progress. <殺身成仁> deepens them by strengthening of detail and polishing techniques. Based on the discussion results like this, in this article, has a discrimination of certain the four miscellaneous news in 『HanSungShinbo』are distinguished from the traditional narration, the text of the earliest to show the substation surface modern epic. And comparing 『HanSungShinbo』to the four short novels that was serialized in 『JeGukShinmun』, they are the above along with the direct inheritance of modern substation trend, that is showing some progress, allowing you a private significance of novel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be. In short the newspaper of early modern show that they plays what role from the deployment process of the history of novels offers more specific information, it can be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novel as a modern form through substations and acceptance of ancestral newspapers both. However, in order to more reliably support these conclusions, must be accompanied by a comparative discussion of the work and excavation of the cases more. This paper is an essay to raise the need for academic discussion of these.

      • KCI등재

        근대 초기의 비평 논쟁과 ‘묘사’ 개념의 구체화 과정

        최성윤 우리어문학회 2014 우리어문연구 Vol.49 No.-

        This paper is a study on how critical terms has been discussed and converged in the early modern Korean literary circles. For this study, I focused on the concept of ‘description’ in the debate between Yum, Sang-sub and Kim, Dong-in. In order to re-examine this debate, productive intent is necessary. The countless signs of misunderstanding which was found in those texts is related to the confusion about the concept of terms. It is the general situation of early modern literary circles rather than a matter of Yum and Kim. They had trouble applying western literary theory in Korean language. This paper noted the ‘description’ among several critical terms, because it was the very hot issue of the early modern novel criticism. Yum and Kim emphasized description concept associated with essential attributes of ‘New’ literature like other critics. But the concept of description they thought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Kim preferred to describe concisely by grasping the essence of the target, compared to Yum preferred detailed and rich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tried to create novel texts in order to show their own concept of description than to explain a theory. Because this debate may be interpreted as the main motivation producing major legacy of the history of early modern novels. 본 논문은 근대 초기 비평 용어 및 개념에 대한 문단 내적 토론과 수렴의 양상을 염상섭과 김동인의 논쟁과 ‘묘사’ 개념의 구체화 과정이라는 개별적 국면에 비추어 고찰해 본 것이다. 한국 근대소설비평사를 검토할 때 그 첫머리에 놓이는 이 논쟁을 재론하기 위해서는 생산적인 의도가 필요하다. 저간의 텍스트에서 산견되는 무수한 오해의 원인 중에는 분명 개념 및 용어에 대한 혼동의 문제가 있다. 이는 염상섭과 김동인 양자만의 문제라기보다 서구의 문예이론을 국문으로 담론화해 보는 일이 드물었던 근대 초기 문단 일반의 문제일 것이다. 논문에서는 여러 비평 용어들 중 ‘묘사’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근대 초기 소설 비평의 최대 화두는 단연 ‘묘사’이었음이 분명한 까닭이다. 게다가 염상섭과 김동인의 비평 텍스트에도 ‘묘사’는 서로 달리, 그리고 어느 정도는 애매모호하게 쓰이고 있어서, 이들의 논쟁이 개념의 구체화에 어떻게 직간접적으로 기여하고 있는지 살필 수 있으리라 판단했기 때문이다. 근대 초기 문단에서의 ‘묘사’ 개념은 소설을 포함한 문학과 비문학 혹은 순문학과 잡문학을 구분하는 척도로 쓰였다. 또한 그것은 구문학과 신문학을 가르는 기준 즉 새로움을 강조하는 핵심어로 기능하기도 했다. 염상섭과 김동인 또한 ‘묘사’ 개념을 신문예의 본질적 속성과 관련시켜 강조하였는데, 그들이 생각하는 묘사의 의의와 잘 된 묘사의 요건은 제대로 합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이들이 자신의 묘사론을 선명하게 보여준 것은 나중의 일이지만, 김동인이 대상의 요체를 파악하여 간결하게 묘사하는 것을 선호한 데 비해 염상섭이 상세하고 풍부한 묘사를 선호하고 있었다는 점은 초기 비평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또한 두 사람이 묘사란 무엇인가를 보여주기 위해서 이론보다 창작을 우선시하였다는 점은 근대 초기 소설사의 주요 유산을 산출하는 유력한 동기가 되었다는 측면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와 계몽의 언어

        김찬기 ( Chan Ki Kim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民族文化硏究 Vol.58 No.-

        이 논문은 최초의 근대 국어 교과서인 『국민소학독본』(1895), 그리고 일본인이 교과서 편찬에 관여한『신정심상소학』(1896)과 휘문의숙 편집부에서 편찬한『고등소학독본』(1906)을 중심으로 우리 근대 국어 교과서의 위상을 검토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의 근대 국어 교과서의 위상을 근대 초기의 공행 문자인 국한문체가 가지는 계몽 언어의 성격, 그리고 서구 근대성(일본의 제국주의)에 대한 대응의 논리로 제출된 구본신참의 이데올로기와의 관련성 속에서 탐색한다. 요컨대 이 논문에서는 근대 초기 국어 교과서에서 끊임없이 동양의 고전적 인물이나 유가 이데올 로기를 표창한 인물들의 생애와 삶을 조망하기도 하고, 유가 이데올로기의 종조인 공맹의 삶을 다루는 이유를 탐색하고, 아울러 근대 한문학의 자기 갱신의 논리 속에 내장된 전통의 논리와 유가의 공리들이 근대 초기의 독본 교과서 안으로 수렴되면서 유교를 새롭게 해석한 국면들의 의미를 탐색할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 논문에서는 근대 초기의 국어 독본 교과에서 제시한 유학 개혁은 ``허문(虛文)의 유학``에 대한 갱신이었지, 유학의 공리들을 모두 폐기하자는 개혁은 아니었다는 점을 구명할 것이다. 특히 ``구본신참(舊本新參)``의 논리로 서구 근대성(일본 제국주의)을 통어하려 했던 주체들의 유가 이념, 그리고 독본류 교과서 안에서의 일제 식민지 이데올로기가 어떤 방식으로 우리 역사를 찬탈하고 있는가도 더불어 탐색할 것이다. This paper looks into some aspects of the ideology of enlightenment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is article focuses on the Korean-Chinese style in writing and Confucian ideology through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國民小學讀本』(1895),『小學讀本』(1895),『新訂尋常小學』 (1896), 『高等小學讀本』(1906))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Through this article, I will bring light on a subject that Chosun nationalism is emasculated and tried to spread the ideology of the Japanese Empire centred by emperor of Japan. Also I will clear up a characteristic of the Korean-Chinese style. Generally speaking, Korean-Chinese style has been defined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and also the project of enlightenment was embodied with i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will clear up a further studies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fucian ideology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as counter discourses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So, if this article investigate it thoroughly, ultimately we can understand the process of the birth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of the early modern period in Korea.

      • KCI등재

        근대초기 재담과 로컬리티의 문제

        이강옥 한국구비문학회 2012 口碑文學硏究 Vol.0 No.34

        This paper tries to interpretate the relationships among characters in early modern jok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way modern Korean society reconstructed the local.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ks where the Seoul citizens excessively made fun of the local people and reinterprets the formation and meaning of those works with the concept of locality. It seems inevitable for the local people to make cognitive or behavioral mistakes in the process of adapting themselves to the modern culture. The jokes of early 20th century Korea exaggerated those mistakes of local people and made fun of them. The jokes carefully fabricated the image of local people as those with serious defects in thought and perception, turning them into icons of delusion, defects and disabilities. It is rare to find the jokes which satirized the mistakes or degradation of the citizens of Seoul in their encounters with modernization. By making the local people as the other of the modernization, Seoulites of early modern ages could be born again as the perfect modern people. The Seoul citizens’ excessive ridicule on the local people in those jokes is a distinctive manifestation of unconsciously accepting the cultural strategy of Japanese colonialism which turned the colonized Korea as the cultural other of modernized Japan. Jokes is a genre of short narrative which has a distinctive goal of arousing laughs and provokes instant responses in lieu of profound thoughts. This generic characteristics help the views of Seoulites and modern colonialism easily transplanted in those works. 이 논문은 근대초기 재담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관계 양상을 통해 근대가 로컬을 어떻게 재구성하였으며 그 과정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살폈다. 시골사람과 서울사람의 관계를 다루는 작품들을 선정하여 그중 시골사람을 도가 지나치게 빈정대고 조롱하는 작품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런 작품의 형성과 향유의 의미를 근대 로컬리티 개념으로 재해석하였다. 근대 문물을 접하고 수용하려는 시골사람들이 그 과정에서 인식적 오류를 범하거나 행위 상의 실수를 하는 것이 당연한데도 불구하고 재담 작품들은 그 점을 과장하고는 실수를 한 시골사람들을 희화화하고 조롱하였다. 사고나 지각 능력에서 심각한 결함을 갖고 있는 시골사람의 표상을 조작해낸 것이다. 그리하여 시골사람은 미몽과 결함, 장애의 아이콘으로 재구성되었다. 근대 문물 수용과정에서 서울사람 역시 그 전에 저질렀을 법한 시행착오나 실수의 이야기가 존재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는 서울사람이 대변하는 조선과 근대서양과의 관계에서 그러하다. 그러나 근대 재담에서 서울사람의 실수나 굴욕을 다루는 작품을 찾기는 어렵다. 서울사람은 근대 문물에 전혀 적응하지 못하는 타자로서의 시골사람의 이미지를 만들어냄으로써 근대와의 만남 과정에서 겪은 실수나 굴욕의 기억을 숨길 수 있었다고 해석된다. 시골사람을 근대의 타자로 형상화함으로써 서울사람은 근대인의 완전한 표상으로 거듭 나게 되었다. 근대초기 재담에 나타나는 서울사람의 지나친 시골사람 조롱은 근대 제국주의가 식민지를 지배하기 위해 활용한 문화적 타자화 방식을 단순하면서도 선명하게 관철시킨 것이라 볼 수 있다. 재담은 매우 짧은 형식이고 웃음 유발이라는 아주 분명한 서술 목표를 가진 것이다. 또 재담은 깊은 사유보다는 즉발적 반응을 요구한다. 재담 갈래가 가진 이런 특징은 서울사람과 근대제국주의의 시선이 쉽게 비집고 들어가 작품 속에 똬리를 틀 수 있도록 도왔다고 보았다.

      • KCI등재

        근대초기 오스만 견문록에 나타나는 영국인 화자의 욕망과 불안: 나포와 개종 일화들을 중심으로

        임정인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15 중세근세영문학 Vol.25 No.2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of the most representative travel narratives written, translated, and/or published in London over the late sixteenth and the early seventeenth centuries, with an exclusive focus on firsthand English/European experiences with the Ottoman Empire. In particular, this paper first traces the contemporary English anxieties about the invincible military Other in the narratives, and it also examines the ways in which the narrators attempt to reimagine European/English supremacy by building the moral and religious superiority of Christianity to Islam. Then the paper goes on to read captivity and conversion episodes more closely in order to pinpoint early Modern English memories about thwarted enterprises, frustrated hopes, and bitterly resented defeats. One of the eventual goals of this research is to establish a well-grounded critical perspective from which to reassess early modern travel drama, which frequently idealizes a European/English traveler in the Mediterranean region as an ultimate conqueror of the Turkish and Islam Others. This study in so doing also hopes to challenge the Euro-centric teleological understanding of early modern English contacts and exchanges with non-European cultures.

      • KCI등재

        [회장 취임 기념논문]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한 위상과 특징

        김상준(SangJun Ki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6 No.-

        이 글은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한 위상과 성격을 추출하고 유형화하여 동아시아 근대에 대한 체계적인 역사사회학적 인식틀을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시아 근대의 원형(原型)과 그 변형 과정, 이를 통해 형성된 동아시아 근대 체제의 특징, 그리고 그 내부의 (국가 또는 세력 단위의) 하위 유형(sub-types)들을 포착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으로 범주화할 것이다. 널리 운위되는‘동아시아의 부상(浮上)’은 이제 더 이상 서구 모델과의 근사(近似) 정도로 판정할 수 없게 되었다. 그 부상을 이해하는 관건은 이제 동아시아)가 서구형에 아직 못 미치는 점을 색출하고 격차를 계량하는 것이 아니라, 서구 근대를 그토록 압축적으로 수용할 수 있었던 그 수용체(receptor)의 특이한 형질, 즉 체형(體形)과 체질(體質)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 것이 되었다. 동아시아인으로서의 자부감 때문이 아니라 오히려 동아시아 근대가 직면해 있는 곤경을 이해하고 그로부터의 출구를 모색하기 위해서다. 오늘날 ‘동아시아의 부상’은 ‘서구 근대의 위기’와 긴밀하게 맞물려 있다(근대지속 가능성의 위기). 동아시아 근대가 단지 서구형 근대의성공적 수용일 뿐이라면, 그 역시 위기에 처한 서구 근대의 한계를 더욱 압축적인 형태로 내장 한 채, 압축된 만큼 더욱 빠른 속도로 침몰할 운명일 수도 있다. 동아시아 근대의 고유 형질(形質)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동아시아 압축 근대가 처한 이러한 딜레마의 성격과 연원, 그리고 그 곤경으로 부터의 출구(지속가능한 근대)를 모색하는 데 관건적인 관심사가 된다. ‘동아시아 근대의 독특한 형질’은 동아시아 근대의 원형, 그리고 그 원형의 변형 과정을 동태적 유형학(typology)과 위상학(topology)으로 체계화할 때 포착될 수 있다. 그래야 부상(浮上)이 의미하는 바의 전모와 현재의 상황이 내포한 딜레마의 정체도 밝힐 수 있다. Modern world history in the 21th century seems going back to the future. China and India are coming back to the front stage of history as they were before the ‘European hegemony’. Not only these two, but also South East Asia and Latin America are emerging. Historical importance of Indian Sea and South China Sea is reemphasized. Eurasian silk roads through vast lands and sees are reevaluated and revitalized. This ‘Rise of the Rest’ is an opening of a new future, but also going back to the past, that is, before ‘The Rise of the West’. During the time which historians call ‘the early modern age’, Eurasian civilizations were communicating and transacting more equally than the time of European hegemony. So now we can observe three stages (or sequences) of modern age: 1) the early modern, 2) the fully modern, and 3) the late modern era. The second stage of modern era began from the Rise of the West; and the third stage, from the Rise of the Rest, the civilizational situation of which resembles that of the first one when peace in East Asian prevailed. Reflecting this situation, this paper reformulate East Asian modern history into three stages, and thinking about the possibility of East Asian regime of peace.

      • KCI등재

        [특집2: `실학`을 다시 생각한다] 실학(實學)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애초에 없었던 것인가 -`미래 실학`을 위한 방향 모색

        김상준 ( Kim Sang-jun ) 한국실학학회 2016 한국실학연구 Vol.0 No.32

        `실학`이란 `근대` 그리고 `근대성`과 뗄 수 없이 결부되어 있는 개념이다. 따라서 `근대` 그리고 `근대성`이라는 언어가 안정적 통념을 이루고 있다면 `실학` 개념 역시 큰 문제되지 않고 유지돼 간다. 반대로 `근대`에 관한 기왕의 인식, 개념, 이해가 크게 흔들리고 의문에 부쳐지고 있다면, `실학` 개념 역시 같은 상황에 봉착할 수밖에 없다. 현실이 그렇다. 지금껏 자명하게 전제했던 서구주도근대관이 크게 흔들리고 있기 때문이다. 근대성 논의에서 제기되었던 `근대성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없는가`라는 의문이 실학 논의에서도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즉 `실학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아니면 애초에 없는가?` 이 글이 `실학 디플레`라고 부르는 이 해체적 현상은 실학 담론, 개념 자체의 유효성을 의문시하는데까지 이를 수 있다. 이 글은 근대 세계사를 새롭게 해석하는 `중층근대론`의 시각에서, 실학 논의의 유의미성과 유효성을 새롭게 제기한다. 이를 통해 동아시아 유교사 전반을,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이해하는 시각을 얻을 수 있다. 동아시아 유학사, 유교 레짐사에서 실학 또는 실학적 흐름이란 초기근대 동아시아 유교 레짐(regime)의 역동성을 선도해 왔던 선진적 경향을 말한다. 이 흐름을 일이관지 관통하는 핵심 에스프리는 창건 시부터 유교에 내재했던 윤리성과 비판성이다. 유교 윤리성이란 타자(특히 民)의 고통과 불의한 현실에 대한 민감성을, 유교 비판성이란 주권행사의 남용과 폭력성에 대한 경계를 상징한다. 동아시아 초기근대에 나타난 실학의 다양성은 이 핵심 에스프리가 시대와 국면에 따라 여러 모습으로 나타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concept of `Silhak` is deeply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Therefore if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are stable, the concept of `Silhak` is also accepted without questions. However, if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is under question, the concept of `Silhak` is also questioned. That is what is happening these days. As the standard Eurocentric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he modernity and the modern era has been seriously questioned and denied, the questions about the validity of the concept of `Silhak` has also been widely raised. As a result, phenomena which I call the `deflation of Silhak studies` are observed. This essay suggests an alternativ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modernity and the modern era―the theory of overlapping modernities―by which the rational core of the concept of the `Silhak` could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overlapping modernities, the `Silhak` was the Confucian tendencies which led the dynamics of the early modern East Asian Confucian regimes. The core esprit which these tendencies commonly share is the ethical and critical attitude which tried to renovate Confucian regimes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 KCI등재

        이광수 초기문학담론과 『무정』의 ‘근대성’ 연구

        김학면(Kim Hak-meun) 한국현대문학회 2008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25

        최근 한국 문학의 ‘근대성’에 관한 연구 동향은 ‘탈식민’, ‘탈근대’, ‘오리엔탈리즘’ 등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이들 연구의 방법과 개념은 문학, 주체, 묘사 등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정』과 이광수의 초기 문학담론을 함께 논의하는 노력은 미흡하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근대소설에서 새로운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 받고 있는 『무정』의 ‘근대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이광수 초기 문학담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의 초기 문학담론은 ‘문학’ 개념의 획정, ‘주체’의 재구성, 감각의 ‘묘사’를 강조한다. 이런 특성이 『무정』에서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면, 한국소설의 근대성을 탐색하는 작업은 더욱 정교해 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근대성’은 개개인의 자유와 평등이 인정될 때에만 존재한다. 개인의 자유와 평등은 ‘주체’ 구성의 요건이다. 그것은 한 개인의 자신에 대한 관계를 만들며, 지배적인 힘이 개인을 통제할 때에 중심점으로 작동한다. 한 개인의 삶은 외부로부터 결정된 사건들의 연속이 아니므로 주체의 구성은 개별화를 구성하려는 의지이다. 주체는 통일성이라는 하나의 원칙이나 개인이 스스로를 구성하려는 노력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타자’의 승인을 필요로 한다. 주체는 타자의 승인과 더불어 개인적 자유와 평등의 제도적 조건들이 마련될 것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근대성’의 핵심으로 인정할 수 있다면, 이광수의 초기 문학담론은 무엇 때문에 문학, 주체, 묘사의 문제에 고심하였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정〉이 문학, 주체, 감각 등의 개념과 연관 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면, 〈무정〉의 ‘근대성’이 지니는 특징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studies on modernity in Korean literature have a tendency to focus on "postcolonialism", "postmodernism" and "orientalism". The methods and concepts of these studies have a close relation to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Nevertheless, our efforts to Mujuong(無情) along with the early literature discourse of Lee Kwang Su(李光洙) are unsatisfactor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modernity' of Mujuong(無情), appreciated as giving a new horizon in modern Korean novel. To serve this purpose, I cannot but pay attention to the early literature discourse of Lee Kwang Su(李光洙). His early literature discourse put emphasis on delimitation of literature concept,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and the description of sensibility. If we could ascertain how above mentioned characteristics are put into shape, the efforts to investigate the modernity of Korean novel would be more exquisite. Generally speaking, we could say that the modernity can be existent so long as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are acknowledged.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are essential elements of the construction of 'subject'. Not only do they form a connection with individual himself, but they could take a pivotal role if external suppressing power held individual under control. The construction of 'subject' can be said to be manifestation of one's own will in constructing individualization ,in that the life of individual is not a series of events determined by others. The 'subject' requires the approval of others because the 'subject' doesn't consist of either a principle of unity or endeavor of constructing individual himself. In addition to the approval of others, the subject demands setting up the institutional conditions of individual freedom and equality. If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cognized as the core of modernity, we would understand why he applied himself to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If we could ascertain the correlation between Mujuong(無情) and the concepts of literature, subject and description, we could testify concret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ity' in Mujuong(無情).

      • Some Morphological Features of Early Modern English

        함영용(Young-yong Ham) 한국영어교육연구학회 2005 영어교육연구 Vol.- No.31

        King James Version(1611)의 영어는 Shakespeare의 영어와 더불어 초기 근대영어의 양대 축을 형성한다. 이 논문은 King James Version에서 사용되고 있는 영어의 몇가지 형태론적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초기 근대영어 문법의 한 단면을 제시하고 이와 함께 초기 근대영어의 형태론이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현대영어의 그것과 어떻게 다른가를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초기 근대영어의 형태론적 특징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break, speak, swear, tear, drive, cleave, get, beget, bear 등과 같은 강변화 동사의 과거시제형에서는 a 또는 o가 구별없이 사용된다. (2) 오늘날의 영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예들에서 때때로 강변화 동사의 과거분사형 -en 어미가 보존되어 있다. (3) 3인칭 중성대명사 it의 소유격으로는 대부분의 경우 전통형 his가 사용되고 its의 예는 거의 사용되지 않거나 극히 적은 예들만이 발견될 뿐이다. (4) to와 ward(s)가 분리되어 사용되는 예들이 발견되기도 한다. (5) 이형태가 구별없이 사용되는 단어들이 많이 있다. (6) 오늘날의 영어에서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어들이 많이 있다. (7) -ly 어미가 첨가된 파생부사 대신에 때로는 단순부사가 사용되었다.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초기 근대영어의 그밖의 형태론적 특징들과 통사론적 특징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는 앞으로의 과제로 남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