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척추외과에서의 근거중심의학

        박병철 대한척추외과학회 2011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18 No.3

        Study Design: A review of literature regarding evidence-based medicine in spinal surgery. Objectives: To understand the philosophy of evidence-based medicine (EBM) in order to support clinical decision making.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Evidence-based medicine is a commonplace phrase representing the hallmark of excellence in clinical practice. However, there has been misunderstanding and indiscriminate use of the concept of EBM in clinical practic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rue philosophy of EBM. Materials and Methods: Narrativ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Results: EBM is not for research to supplant individual clinical experience and the patients’ informed preference but to integrate these factors with the best available research. Conclusions: Treatment recommendations are no longer based on level of evidence, but also the risk benefit ratio and cost effectiveness. Key Words: Evidence-based medicine, Spine surgery 연구 계획: 근거중심의학의 진정한 의미와 임상적 적용을 위한 문헌고찰목적: 근거중심의학의 실체를 파악하고 척추질환환자의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함. 선행문헌의 요약: 근거중심의학이 여러 의료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개념의 잘못된 이해와 남용이 문제가 되고 있으며 진정한 의미의 근거중심의학을 이해가 요구됨. 대상 및 방법: 문헌고찰결과: 근거중심의학이 새로운 개념의 발전되어 과학적 근거와 임상경험, 환자의 선택 risk benefit ratio, cost 등이 치료방법의 결정 시 고려 되어야 함. 결론: 근거중심의학이 의학발전과 환자 진료에 도움이 되며 이 분야 연구가 지속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됨. 색인단어: 근거중심의학약칭제목: 근거중심의학, 척추외과

      • KCI등재

        근거중심의학과 이차문헌 검색

        박현아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2

        Despite wide acceptance of the idea of ‘evidence based medicine (EBM)’, there is still a huge gap between evidence and clinical practice. Pre-appraised resources help clinicians find correct answers to clinical questions more easily and rapidly. It will briefly explain the concept and history of EBM. Frequently used pre-appraised resources like as systematic review,evidence based guideline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synopses, and clinical information database systems are also introduced. 근거중심의학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근거를 환자진료에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차문헌은 바쁜 임상의가 진료실에서 만나는 문제들에 대한 답을 쉽고 빠르게 찾는데 도움이된다. 본 종설에는 근거중심의학과 개념과 역사를 간략하게살펴보고, 체계적 문헌고찰, 근거중심 진료지침, 의료기술평가, 시놉시스, 임상정보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이차문헌과 검색방법을 소개한다.

      • KCI등재

        소아 치과환자에 대한 진정법의 체계적 분석 방법 고찰

        안소연,이제우,김승오,김종빈,An, Soyoun,Lee, Jewoo,Kim, Seungoh,Kim, Jongbin 대한소아치과학회 2015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42 No.4

        소아치과에서 협조가 되지 않는 어린이의 치과치료 시 사용하는 진정법은 환자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야 하며, 의료사고예방을 위한 evidence-based 진료가 필요하다. 근거중심의학의 부상에 따라 치의학계에도 근거중심치의학(Evidence-Based Dentistry)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한국의 진정법에 대한 근거중심의 체계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인 문헌고찰법을 이용하여 지금까지 국내에 보고된 소아치과진정(요)법을 검토하고, 향후 국내의 근거중심 소아치과 진정법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인 문헌고찰 지침"을 참고하여 국내 5개 데이터베이스 1) Core 검색 데이터베이스- KM base, KISS 2) 학술정보 및 포털 -국회도서관, DBpia, RISS를 검색하였다. "치과진정법" 및 "치과진정요법"으로 검색어를 제안한 총 470편의 논문 중 문헌선택과정의 흐름도를 따라 중복제거 하고 남은 31개의 논문 중 원문이 제공되는 문헌을 모두 취합한 총 20개 문헌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번 체계적 문헌고찰은 한국 소아치과 영역에서 지난 25년간 시행된 치과진정법에 관한 일관된 근거(evidence)를 확인하기 위하여 GRADE 과정에 정의된 객관적인 기준에 기초하여 진행된 결과, 전체적인 근거는 보통(moderate)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특히 약물의 추가 투여 부분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very low)의 질로 평가되었다. 그러므로 향후 안전한 약물의 사용 부분에 대해 보다 체계적으로 잘 고안된 임상 실험이 필요하다. The first priority of sedation for incorporative children in pediatric dentistry is a safety. Therefore, evidence-based practices in health care are needed for preventing medical accidents. In accordance with the rise of the evidence based medicine, the interest in Evidence-Based Dentistry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dentistry. However, systematic research about Evidence-Based sedation in Korea has rarely been done. As such, the purpose of this systematic review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available scientific literature regarding dental sedation and to seek the next developmental strategies about evidence based pediatric dental sedation. A broad search of the 5 databases of the systematic reviews manual of the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in Korea were referenced: 1) Core search database- KMbase, KISS; 2) Academic information and portal; 3)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4) DBpia, and 5) RISS. Of a total 470 themes limited to the search term of "dental sed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SMA statement for reporting systematic reviews of health sciences interventions, a literature selection process, which includes the removal of overlapping down the flow chart, was performed. Of the remaining 31 articles, two authors read through articles independently and added or removed articles using the exclusion criteria. Finally, twenty published papers of acceptable quality were identified and reviewed. This systemic review of Korean pediatric dental sedation practices for the last twenty-five years was based on the objective criteria defined in the GRADE process and identified consistent evidence. The results were evidence of moderate quality. Therefore, more systemically well-designed clinical studies are needed about the safe use of a sedative medicines (drugs).

      • KCI등재

        한국인의 평생 건강관리 리뷰 방법론

        김수영,선우성,조정진,김영식,박민선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0

        Korean Lifetime Health Maintenance Program (KLHMP) represents one of several efforts to take a more evidence-based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on a wide range of preventive services. This paper summarizes the methods of the third KLHMP developed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The review process of KLHMP was mainly based on trans contextual guideline adaptation of United States preventive service Task force (USPSTF) recommendation. The method of review process was done according to categories of recommendation (adotion of USPSTF's recommendation, adatation of USPSTF's recommendation, development of new recommendation). If the recommendation done by USPSTF is up to date and acceptable in Korean context, it was translated and adopted. If the USPSTF recommendation was not up to date, nor applicable, the recommendation was drawn by adaptation process. If the condition has not been reviewed by USPSTF, the recommendation was drawn by de novo development process, forming key question, literature search (primary researchs, systematic reviews, guidelines), literature evaluation, evidence systhesis, considering of applicability and acceptability of evidence. 한국인의 평생건강관리 프로그램은 대한가정의학회에서 주 도하여 시작된 것으로 한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다양한 예방 서비스의 효과와 안전성에 대해 근거 중심 권고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3판의 방법론은 이전에 비해서 근거중 심의학의 방법론을 좀 더 수용하여 투명하고 합리적인 방법 으로 권고안을 도출하려고 노력하였다. 이 리뷰에서는 우리 나라에서 시행될 예방 서비스에 대한 권고안을 권고안 수용, 권고안 개작, 권고안 개발의 세 가지 권고 분류안으로 나누고, 각각의 분류 방법과 분류에 따른 리뷰 방법론을 살펴 보았다. 권고안 수용은 USPSTF에서 최신의 근거로 리뷰가 이루어졌 고 이 근거가 우리나라에에도 적용가능하고 수용 가능한 경 우이고, 권고안 개작은 USPSTF의 권고가 최신 근거, 수용성, 적용성 중 일부라도 문제가 있어서 권고안에 대한 개작이 필 요한 경우이다. 만일 이전에 USPSTF에서 리뷰가 이루어진 적 이 없으면 핵심 질문 도출, 문헌 검색(일차 연구, 체계적 고찰, 가이드라인), 문헌 평가, 근거의 종합과 권고안 작성의 과정을 거쳐서 권고안을 도출하도록 하였다.

      •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

        권범선,류기형,박진우,이호준 동국대학교 의학연구소 2009 東國醫學 Vol.15 No.2

        신경발달치료(neurodevelopmental treatement, NDT)는 1940년대 초 보바스 부부가 개발하여 뇌성마비 치료에 처음 적용한 이후로 현재까지 유럽과 미국 등지 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신경 발달치료 개발 당시는 중추신경계 발달이론이 정립되지 않았고 근거 중심적 의학이 보편화 되지 못한 관계로 의사의 임상적 관찰이 매우 존중되었다. 따라서 신경발달치료는 일정한 치료법이 적용되기 힘들고, 치료 횟수나 강도 등을 정량화하기 어려운 약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뇌성마비 치료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치료법이 되었다. 최근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 효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아직까지 이견이 있다. 이는 신경발달치료가 객관화하기 어려운 치료법인 이유도 있겠으나 뇌성마비도 유병률이 낮고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이므로 치료 효과를 판정하는 연구의 제한점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cerebral palsy'와 'NDT'를 검색어로 전자논문을 검색하여 근거 중심적 연구 성적 수준이 높은 논문을 대상으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를 운동발달, 정신발달 및 관절 구축과 변형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NDT치료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세가지 영역 모두 유의한 수준의 우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신경발달치료가 임상에서 이미 뇌성마비의 일차적인 치료법으로 확립되어 있으므로 현재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를 명확히 하고자 치료를 하지 않은 대조군을 통한 비교 연구는 더 이상 윤리적 일 수 없다. 따라서 뇌성마비 치료에 있어서 신경발달치료의 효과는 근거 중심적 접근보다는 최선의 근거를 찾아내서 치료에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신경발달치료를 대조군으로 하여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s early as the 1940s, Berta and Karel Bobath began to develop an therapeutic approach,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NDT), that grew out of clinical observation and was initially understood in the theory of neuroscience at that time. NDT spreads so widely and has heavily influenced physical, occupational and speech 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cerebral palsy (CP) for half a century. However, the effects of NDT has not been established because it is not specific management delivered in a standardized manner and there is no discrete dosage administered under specific, invariable procedures in conditions that are held constant. Furthermore, CP has low incidence with highly heterogeneous conditions which could be complicated by ongoing changes due to growth and maturation. Thus articles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NDT showed controversial results and several reviews also reported the pros and cons. In this study, we searched the literature by 'cerebral palsy' and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electronically and effects of NDT were analyzed by three sections; motor development, mental development, and contracture and deformity. The results did not confer any advantage to NDT over the alternatives. We have a little evidence-base of NDT for the management of CP, although NDT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as a basic management tool. We suggested that best-evidence approach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management of CP instead of evidence-base investigation of NDT. We could use NDT as a control management tool for CP when new treatment methods were developed.

      • KCI등재
      • KCI등재

        오진(誤診): 의료윤리와 의료법에 선행하는 인식론 문제

        한희진 한국과학철학회 2010 과학철학 Vol.13 No.2

        Succeeding to Claude Bernard(1813∼1878)’s physicochemical reductionism and determinism as well as Pierre Louis(1787∼1872)’s statistical and stochastic methodology, Evidence-Based Medicine(EBM) attempted to improve the diagnostic certainty of contemporary medicine. Nevertheless, EBM was not able to diminish significantly the frequency of diagnostic errors. As the patient’s security and rights are emphasized in Western Europe and the U.S., malpractice suits involving misdiagnosis are rapidly increasing and ethical controversies over this fundamental problem of medicine are spreading all over the society. In consideration of such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of EBM this paper is focusing on misdiagnosis where the uncertainty of medicine is most obvious. After analyzing the reasons why EBM does still not guarantee to avoid misdiagnosis, the indispensable and positive function of clinical intuition in clinical decision-making is revealed. Then, the paper argues that the cognitive limits of doctors and the methodological problems of medicine require an epistemological examination prior to the ethical and legal discussions. In other words, the philosophy of medicin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lpractice suits and ethical debates concerning misdiagnosis as it may contribute to a better resolution of these delicate issues. 근거중심의학(Evidence-Based Medicine, EBM)은 클로드 베르나르의 물리화학적 환원론 및 결정론과 피에르 루이의 통계적 및 확률적 방법론을 계승하여 현대의학에서 진단의 확실성을 증대하고자 했지만 진단의 오류를 현격하게 감소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 환자의 안전과 권리가 강조되면서 서유럽과 미국에서는 오진을 둘러싼 의료소송이 급증하고 의료윤리 논쟁이 사회 전체로 확대되고 있다. 근거중심의학의 역사적이고 사회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의학의 불확실성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나는 오진(misdiagnosis) 문제에 주목한다. 먼저 본 논문은 근거중심의학이 여전히 오진을 피하지 못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임상결정에서 임상통찰의 필수적이고 긍정적인 기능을 밝힌다. 이어서 의사의 인지적 한계와 의학의 방법론적 문제를 인식론의 차원에서 검토하는 의철학(Philosophy of Medicine) 연구가 윤리적이거나 법적인 논의보다 선행해야만 오진과 관련된 의료윤리나 의료소송의 민감한 문제를 올바로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후보

        데이터통합과 메타분석을 위한 그래프 통계량 추출과 검증

        심성률 ( Sung Ryul Shim ),임요환 ( Yo Hwan Lim ),홍명희 ( Myunghee Hong ),송규선 ( Gyuseon Song ),한현욱 ( Hyun Wook Han )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1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연구들이 정확한 통계량을 제시하지 않고 그래프로만 나타내었을 경우 그래프로부터 통계량을 추출해내는 구체적인 방법을 기술한 것으로서 데이터통합과 정량적합성을 위한 메타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메타분석(meta-analysis)은 체계적·객관적으로 대상문헌을 선택한 후 개별 연구들의 결과를 계량화하여 이를 통합된 효과크기(effect size)로 제시함으로써 근거중심의학(evidence based medicine)를 위한 올바른 의사결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중요한 분석도구이다. 데이터통합과 메타분석을 위해서 그래프로부터 정확한 통계수치를 추출하는 전산도구인 Adobe Acrobat Reader 와 Python기반의 JupyterLab 소프트웨어의 소개와 적용에 대한 주요사항을 알아보았다. 사용된 예제자료는 선행연구를 통해서 통계결과가 검증되어졌고 ClinicalTrials.gov에서 원자료 확보가 가능한 것을 사용하였다. 원자료와 각 전산 도구들의 측정값을 각각 메타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연구자들간의 측정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높은 일치도를 나타내었다. 만약 그래프로부터 통게수치를 추출해야만 할 경우 연구의 완결성 유지를 위해서 전통적 사용 방법들보다는 전산 도구를 이용한 측정이 권고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specific approaches for data extraction from graph when statistical information is not directly reported in some articles, enabling data intergration and meta-analysis for quantitative data synthesis. Particularly, meta-analysis is an important analysis tool that allows the right decision making for evidence-based medicine by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selects target literature, quantifies the results of individual studies, and provides the overall effect size. For data integration and meta-analysis, we investigated the strength points about the introduction and application of Adobe Acrobet Reader and Python-based Jupiter Lab software, a computer tool that extracts accurate statistical figures from graphs. We used as an example data that was statistically verified throught an previous studies and the original data could be obtained from ClinicalTrials.gov. As a result of meta-analysis of the original data and the extraction values of each computer softwa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traction methods. In addition, the intra-rater reliability of between researchers was confirmed and the consistency was high. Therefore, In terms of maintaining the integrity of statistical information, measurement using a computational tool is recommended rather than the classically used methods.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