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룹홈 청소년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전아름(Jeon AhReum)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8 OUGHTOPIA Vol.33 No.2

        그룹홈 청소년들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를 살펴보면, 그룹홈에 관한 정책을 입안했던 데 도움을 주었던 정책관련 연구들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정책 관련 연구들은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는 데 관심이 있을 뿐, 입소 청소년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그룹홈 거주 청소년들이 그룹홈 거주의 주체자로 보기보다 단지 정책 서비스의 수혜자로서만 인지해왔기 때문이다. 그룹홈 청소년들의 실제 삶의 이야기를 듣는 것에 대한 이해가 매우 필요하다. 또한 그룹홈 청소년들은 어떠한 정체성과 자존감, 정서를 가지고 그룹홈에 입소하고, 또 입소 후 어떻게 생활하게 되는지, 또한 그룹홈 내의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질적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그룹홈에 입소하면서 어떻게 적응하고 살아가는지 그들의 삶에 대한 독특한 시간배치를 형성해 나가는지 통시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에게 그룹홈은, 체험된 세계와 관련시키는 실존적 주제인 체험적 공간으로 자신을 보살펴주고 기다려주는 곳이었으며, 그들이 그룹홈에서 경험한 체험적 시간은 그들에게는 주관적 시간으로 인식되었는데, 그룹홈에서의 시간은 세상으로 나가기 위한 준비기간이며 자신들을 성장시켜주는 시간이었다. The existing literature on group homes paid most attention to the policies for the provision of various services to the youth, but failed to reflect their own voices in group homes in recommending those policies. It is an important gap in research and we are going to fill this gap by incorporating the real life stories of the grouphome adolescents. We also need to make a qualitative study on how adolescents of the grouphome take any identity and self-esteem and how lives take changes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grouphome. Therefore, we conscientiously examine how adolescents adapt their lives to the environment after entering the grouphome and how they form their unique time layouts about their lives. The study participants define the grouphome in terms of the place where they are taken care of and they experience the meaning of live. It was an experiential place in which the adolescents experienced that they were recognized as the subjective beings and they grew up as such for the future.

      • KCI등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거주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아(Kim Hyun-A),방기연(Bang Kee-Y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2 한국청소년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탈북 청소년 그룹 홈 종사자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그룹 홈 종사자의 무연고 탈북 청소년과의 관계 경험, 그룹 홈 운영의 어려움과 대처 전략, 종사자의 보람과 비전, 그룹 홈 운영에 대한 제안을 조사하였다. 부모와의 동반관계 경험의 부족으로 인해 탈북 청소년은 그룹 홈 종사자에게 마음을 열지 않았고, 생활 규칙을 수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었지만, 부모역할을 담당하는 종사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점차 친밀하고 신뢰로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탈북 청소년 그룹 홈이 아동복지법의 인가를 받기 어려운 점과, 재정적 어려움, 업무과다의 어려움을 경험했지만, 청소년과 함께 지내는 기쁨과 탈북 청소년의 남한 적응, 그리고 통일과 사회통합이라는 비전을 통해 소진을 극복하였다. 그룹 홈 종사자들은 18세 이상의 탈북 청소년과 연고 청소년들도 그룹 홈에서 생활하는 것이 남한 적응에 보다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연고 탈북 청소년을 위한 그룹 홈 및 사회적 지지망 형성의 필요성과 그룹 홈 종사자가 탈북 청소년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략을 제공하였다. 논의에서는 탈북 청소년을 돕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기술하였고,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periences of workers at group home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making use of their own testimony and perspectives. Ten group home workers were interviewed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Consensual Qualitative method. The group home workers had initial difficulties in establishing a rapport with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due to their lack of a preexisting companion relationship experiences. However, as they began to better understand the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began to create an alternative family relationship with them. It took approximately about one year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o become adjusted to Korean society and South Korean people. The group home workers experienc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heavy workload, but found meaning in their work through helping and living with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They recommended prospective group home workers should have knowledge, skills, and understanding regarding both group home management and North Korean people and culture. This study also included a number of important policy recommendations for North Korean youth defectors.

      • 아동 그룹홈 실태 비교연구

        김광수 한국사회복지지원학회 2007 사회복지지원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아동과 청소년을 보호,양육하고 있는 그룹홈에 대해 2000년 당시의 실태조사와 비교분석하여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 변화의 요인은 무엇이었는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한다. 주로 그룹홈 운영실태에 있어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룹홈이 안고 있는 과제와 그룹홈에 대한 발전방안 등을 다루기로 하겠다. 그리고 그룹홈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그룹홈의 개념과 이론적 근거 등 그룹홈에 대한 이론적 성과 등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실태조사 결과 5년 사이에 그룹홈이 대폭 확대되었고, 그룹홈 종사자들 중 사회복지사가 급증하였고 그룹홈 이용 아동청소년들의 만족도가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그리고 그룹홈 운영자와 종사자들은 장시간 근무의 단축과 열악한 보수체계의 개선을 시급한 과제로 들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실태조사를 토대로 그룹홈에 대한 운영비 지원의 정상화, 센터형 그룹홈의 육성, 그룹홈정보지원센터의 설치를 통한 그룹홈 서비스의 질 향상 등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인 그룹홈의 거주유형별 공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을 중심으로 -

        최승현,김정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정부는 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의 구축과 장애인 그룹홈 시설의 유형 개발을 선언하였다.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자립과 사회성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장애인 그룹홈은 탈시설 정책으로 인한 공급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장애인 그룹홈을 대상으로 도시공간 중심의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연구방법) 장애인 그룹홈이 발달장애인과 주류사회와의 사회통합을 이념으로 삼는 점을 토대로, 사회통합 실천 가능성이 높은 경기도 지역을 연구의 범위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장애인 그룹홈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하여 시설의 공간 중심 유형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거주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유형별 장애인 그룹홈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 시설을 선정하여 현장방문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종사자 간 인터뷰, 거주자의 특성과 활동 내용을 토대로 유형별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먼저 경기도의 장애인 그룹홈을 중심으로 기초 현황 및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한 결과, 장애인 그룹홈은 경기도의 다양한 입지를 중심으로 운영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일반주거지역 내에는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유형의 그룹홈이 주요 주거유형으로 선정되었고, 비주거지역 내에는 단독주택과 사회복지시설 유형이 주요 주거 유형으로 선정되었다. 유형별 대표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와 지역사회 환경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그룹홈의 입지지역은 거주자의 주간 활동의 다양성과 사회 적응훈련 시설 간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 및 10세대 미만의 다세대주택에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아파트 유형을 제외한 일반주거지역 내 주거유형의 경우 거주자들의 안전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차분리가 적용된 보행환경이 요구된다. 셋째, 비주거지역 내 장애인 그룹홈의 거주자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적응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갖춘 인프라와 복지서비스의 구축이 요구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20, the government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a saf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group-hom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Group homes for the disabled—kn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independence and socialit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are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can be expected to expand supply due to de-facility policie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urban spaces for disabled group homes. (Method) Based on the fact that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have an ideology of social integration betwe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mainstream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rea of Gyeonggi-do, which is highly likely to practice social integration. By constructing spatial data on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a spatially centered categorization process of facilities was performed. Subsequently,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representative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field visits were conducted. Furthermore, based on interviews with worker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residen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were derived. (Results) First, by constructing basic status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centered on the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it was confirmed that these group homes operate in various locations in Gyeonggi-do. Among them, group homes with multifamily housing and apartment types were selected as the main types of housing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whereas single-family housing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main types of housing in non-residential areas. By analyzing the internal and community environment of the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se group homes affected the diversity of residents’ weekly activities and the approach between social adaptation training facilities. (Conclusion) Firs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so that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an be installed in detached, multifamily, and multifamily houses with fewer than 10 households. Second, in the case of housing types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excluding apartments, a walking environment with pedestrian separation is required to ensure safe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of resi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cessible infrastructure and welfare services so that resident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in nonresidential areas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conduct adaptation training.

      • KCI등재

        발달장애인 그룹홈의 거주유형별 공간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을 중심으로 -

        최승현 ( Choi Seunghyeon ),김정빈 ( Kim Jungbi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2020년 정부는 장애인을 위한 안전한 지역사회 환경의 구축과 장애인 그룹홈 시설의 유형 개발을 선언하였다.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발달장애인에게 자립과 사회성 함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장애인 그룹홈은 탈시설 정책으로 인한 공급 확대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장애인 그룹홈을 대상으로 도시공간 중심의 연구는 수행된 바가 없는 실정이다. (연구방법) 장애인 그룹홈이 발달장애인과 주류사회와의 사회통합을 이념으로 삼는 점을 토대로, 사회통합 실천 가능성이 높은 경기도 지역을 연구의 범위로 삼아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장애인 그룹홈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하여 시설의 공간 중심 유형화 과정을 수행하였다. 이후 거주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유형별 장애인 그룹홈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대표 시설을 선정하여 현장방문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종사자 간 인터뷰, 거주자의 특성과 활동 내용을 토대로 유형별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환경과 지역사회 환경의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먼저 경기도의 장애인 그룹홈을 중심으로 기초 현황 및 공간정보 데이터를 구축한 결과, 장애인 그룹홈은 경기도의 다양한 입지를 중심으로 운영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일반주거지역 내에는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 아파트 유형의 그룹홈이 주요 주거유형으로 선정되었고, 비주거지역 내에는 단독 주택과 사회복지시설 유형이 주요 주거 유형으로 선정되었다. 유형별 대표 장애인 그룹홈의 내부와 지역사회 환경을 분석한 결과, 장애인 그룹홈의 입지지역은 거주자의 주간 활동의 다양성과 사회 적응훈련 시설 간 접근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첫째, 단독주택과 다가구주택 및 10세대 미만의 다세대주택에 장애인 편의시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요구된다. 둘째, 아파트 유형을 제외한 일반주거지역 내 주거유형의 경우 거주자들의 안전한 지역사회 참여활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보차분리가 적용된 보행환경이 요구된다. 셋째, 비주거지역 내 장애인 그룹홈의 거주자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적응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갖춘 인프라와 복지서비스의 구축이 요구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2020, the government declared the establishment of a safe community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ypes of group-hom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Group homes for the disabled―kn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ostering independence and sociality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are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can be expected to expand supply due to de-facility policies.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ocusing on urban spaces for disabled group homes. (Method) Based on the fact that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have an ideology of social integration between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and mainstream socie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area of Gyeonggi-do, which is highly likely to practice social integration. By constructing spatial data on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a spatially centered categorization process of facilities was performed. Subsequently,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focusing o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representative facilities were selected and field visits were conducted. Furthermore, based on interviews with worker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ies of resident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and community environment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were derived. (Results) First, by constructing basic status and spatial information data centered on the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in Gyeonggi-do, it was confirmed that these group homes operate in various locations in Gyeonggi-do. Among them, group homes with multifamily housing and apartment types were selected as the main types of housing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whereas single-family housing and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main types of housing in non-residential areas. By analyzing the internal and community environment of the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by type, it was confirmed that the location of these group homes affected the diversity of residents’ weekly activities and the approach between social adaptation training facilities. (Conclusion) First,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s required so that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an be installed in detached, multifamily, and multifamily houses with fewer than 10 households. Second, in the case of housing types in general residential areas, excluding apartments, a walking environment with pedestrian separation is required to ensure safe community participation activities of resi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ccessible infrastructure and welfare services so that residents of group homes for the disabled in nonresidential areas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activities and conduct adaptation training.

      • KCI등재

        농촌형 고령자 그룹홈의 사례와 제안

        남윤철 한국농촌건축학회 2015 농촌건축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Vol.17 No.4

        The elderly rate in South Korea in 2015 is over 13.1%. Especially, the elderly rate in rural area is high. Senior community project in rural that is being promoted by the government. This study's purpose is to provide the reserch group-home for the elderly in Japan rural area. And this paper provided planning of group-home for the elderly in Korea rural area. For this study, respective 5senior housing of Korea and Japan were chosen as respresenting two nations, and every manager was interviewed on housing pattern. This study suggests the planning material as following.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group-home are big. Especially, the elderly was far healthier. Design point is public space(living room, small living room, etc). Maybe, healthy group-home concept is that would be design by Korean traditional housing. Also important public space design is that would be inner courtyard-house, wood floor, Deachong, etc. Two group-homes will construct elderly welfare facilities in between. Otherwise that is need layout of a big public space. In the case of vacant house can used by considering of scale, structure, site condition. Closed school can used through so easy remodeling too. More often than not complex type(hospital, community heath center) was appeared in Japan rural area. In the case of Korea, recommend complex type in community health center and public building. In this case, considering communication, access, contact, group-home keeps on ground floor. In this paper, we hope to take a lesson from group-home planning source for the elderly in Korea rural area.

      • KCI등재

        소년사범을 위한 소규모 그룹홈의 활성화 방안

        박선영 아시아교정포럼 2014 교정담론 Vol.8 No.1

        소년사범의 높은 재범률과 범죄의 흉포화, 저 연령화가 형사사법계는 물론 우리사회 전반의 큰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실무계를 중심으로 소년사범을 지역사회 내 소규모 개방시설에서 수용하는 이른바 그룹홈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6~10인 정도의 소년사범과 관리자가 함께 생활하는 가정형태의 그룹홈은 1호 처분에 해당될 수 있으며, 부모의 부재를 극복하고 지역사회와의 유대를 통해 소년사범을 올바른 방향으로 양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룹홈은 폐쇄형 소년원이 가지는 단점인 악풍감염, 낙인, 사회와의 단절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개별처우와 단계처우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전문적인 관리/감독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오히려 재범률이 높아질 수 있다. 본 연구는 현재 법적인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1호와 6호 처분으로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지속적으로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그룹홈의 필요성, 효과성, 현황과 문제점을 진단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소년사범의 재범을 낮출 수 있는 장기적 관점의 범죄예방 전략으로서 그룹홈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 방향: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한 경험을 중심으로

        안태구,길건혁,마미나,김주하,주해란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self-reliant group home residence, the experience in self-reliant group home, and the form of self-reliant group home to the self-reliant group home of the children who have been released from the child care facility at the age of 18 and who have been living in the self-reliant group home.,For this purpose, qualitative case study was conducted on 6 children who had experience living in self-reliant group home operated by Seoul city.,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fear and intimidation at the time of discharge became the background of entering the self-reliant group home.,Second, the self-reliant group home felt protected but free; third, the self-reliant group home helped to prepare for independence.,I felt that I was financially supported by being able to save the cost of being spent in an independent group home.,Fourth, the self-reliant group home allows the teachers to form and maintain a social support system with their teachers in the facility, and they are constantly provided with useful information while maintaining a natural relationship.,Therefore, the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ho have completed the protection of self-reliance in the self-supporting group home was high,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plan for the self-reliance of the children who have completed the protection are presented. 본 연구는 만18세에 아동양육시설을 퇴소하고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하는 보호종료아동을 대상으로 자립형 그룹홈에서 거주하게 된 배경과 자립형 그룹홈에서의 경험, 자립형 그룹홈은 어떤 형태로 보호종료아동들에게 자립을 지원하고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한 경험이 있는 보호종료아동 6명을 대상으로 질적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범주와 4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퇴소 시점에 겪는 두려움과 막막함은 자립형 그룹홈에 입소하게된 배경이 되었다. 둘째, 자립형 그룹홈은 보호받지만 자유롭다는 감정을 느꼈다. 셋째, 자립을 준비하기 위해서 목돈을 마련하는데 자립형 그룹홈이 도움이 된다고 한다. 자립형 그룹홈에서 생활하면서 필수적으로 지출되어야 하는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지원을 받았다고 느꼈다. 넷째, 자립형 그룹홈은 시설 내 선생님과의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해준다. 자연스럽게 관계가 유지되면서 유익한 정보를 꾸준하게 제공받고 있었다. 따라서 자립형 그룹홈에서 자립 준비를 하는 보호종료아동의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보호종료아동의 자립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 KCI등재

        그룹홈 아동․청소년의 심리사회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룹홈 가족 요인

        김형태,이수천,전준현,방미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2 학교사회복지 Vol.- No.22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of group home family influencing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of 231 children who were residing at 55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and Gyunggi-do.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 ‘relationship with group home family’ influenced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social adaptation respectively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self-esteem. But no direct effect of ‘relationship with group home family’ to psychological and social adaptation appeared. Second, ‘support from group home family’ influenced psychological adaptation in psychological adaptation model. Third, ‘relationship with group home caregiver’ influenced social adaptation in social adaptation model. These findings mean that ‘relationship with group home family’ as well as self-esteem is important factor in psycho-social adaptation of group home childre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se findings.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의 55개 그룹홈에 거주하는 231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심리적응과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그룹홈 가족 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심리적응 모형과 사회적응 모형 모두에서 ‘그룹홈 가족관계’ 요인이 자존감을 매개로 하여 심리적응과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룹홈 가족관계’ 요인이 심리적응과 사회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둘째, 심리적응 모형에서 ‘그룹홈 가족지지’는 심리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셋째, 사회적응 모형에서 ‘생활교사와의 유대관계’는 사회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그룹홈 청소년의 심리사회 적응에 있어 자존감과 함께 그룹홈 가족관계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그룹홈 가족의 지지는 심리적응에 그리고 생활교사와의 유대관계는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룹홈 청소년의 심리사회 적응 관련 논의가 이루어졌다.

      • KCI등재후보

        그룹홈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 -대구광역시 청소년을 중심으로-

        서보준,김명자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0 미래청소년학회지 Vol.7 No.4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gure out how the stress of daily life affects teenagers from Group Homes (GH) and conventional families in regard to their school life. For this research, 49 GH teenagers, all of whom were reported to be living in the Daegu area, and 51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were sampled and surveyed. An SPS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processed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veryday life stress in GH teens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at of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This means that GH teenagers were more exposed to the various types of daily life stress than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were. Secondl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adaptation of GH adolescents to school life, their daily life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ir stress was, the more negative an impact it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irdly, when it came to the influence the daily life stress in GH teenagers had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the explanatory degree of daily life stress concerning school life adaptation turned out to be high, 40% to 60 % of which was directed to most of the lower variations. Fourth, it proved that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had little to do with such aspects of daily life stress as transportation, wealth, collective life, and surroundings in term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This showed that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were less exposed to the various types of daily life stress than GH teenagers were. Fifth, although all factors of daily life stress in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to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it did not affect their relationships with peers, academic activities, rules observance, and the recognition of the school environment. This showed that adolescents in teenagers from conventional families adapted themselves to school life better than those from GH. Sixth, as for the school life adaptation of adolescents, only parents-related stress among many other lower variations related to daily life stress, influenced school life adaptation. Seventh, on the whole, it was the daily life stress of GH teenagers that had a negative impact on their school life adaptation. 본 연구는 그룹홈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이를 위해 그룹홈 청소년 49명(대구광역시 지역 소재에 신고 된 그룹홈 청소년 전체인원)과 일반청소년 51명을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이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그룹홈의 청소년들이 일반가정 청소년들보다 다양한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많이 노출되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그룹홈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하여 일상생활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을 설명하는 설명량이 대부분의 하위변인에서 40~60% 정도의 설명량을 나타내어 높은 설명량을 보였다. 넷째, 일반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에서 교통 및 경제적 스트레스, 공동생활 스트레스, 주변환경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반가정의 청소년들이 그룹홈 청소년들보다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일반가정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전체와 담임교사와의 관계는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상생활 스트레스 전체와 교우관계, 학습활동, 규칙준수, 학교환경지각의 관계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일반가정의 청소년들이 그룹홈 청소년들보다 학교생활적응을 더 잘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일반가정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 일상생활 스트레스 하위변인인 보호자관련 스트레스만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그룹홈 청소년과 일반가정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그룹홈 청소년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부정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