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례분석을 통한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실무적 쟁점과 정책적 함의

        서성아 ( Saungah Sau ),임인선 ( Insun Lim ),우소현 ( Sohyun Woo ),강문선 ( Moonsun Kang ),조쌍은 ( Ssangeun Jo ),배정윤 ( Jeongyoon Bae ),김진영 ( Jinyoung Kim ),김리아 ( Rhea Kim ),이민호 ( Minho Lee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2

        과거 규제비용편익분석의 필요성을 논의하던 시기에서, 이제는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수행 방법을 논의하는 시기로 변모해오고 있다.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제도적 도입이 이미 20년 전에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과거 형식적이고 부실하게 이루어진 규제비용편익분석의 경험은 오히려 비용관리제 도입 이후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실질적 수행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실무적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최근 2018-2019년도에 작성된 규제비용편익분석서들을 중심으로 탐색적 사례연구를 통해 규제비용편익분석 과정에서 논란이 제기되는 쟁점사항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영향집단의 식별과 비용편익항목의 식별, 비용편익항목의 측정의 단계별로 ①공공기관의 식별, ②대상집단의 규모 예측, ③직접효과와 간접효과의 구분, ④규제비용의 이전효과 식별, ⑤기회비용접근법을 통한 분석, ⑥규제효과 비교를 위한 기준선 설정, ⑦분석대상기간의 설정, ⑧정량적 규제편익 측정의 불확실성의 8개 항목에 대해 17개 세부 쟁점사항을 발굴하였으며,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쟁점 발생의 원인 및 해결 방안과 관련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관련 쟁점사항에 대한 다양한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사례들을 축적하고 그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적정한 판단기준을 경험적으로 수립할 필요가 제기되며, 규제비용편익분석 과정에서 발굴된 쟁점을 통해 현행 규제관리제도의 흠결을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 향후 규제비용편익분석의 활용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론과 현실 간의 간극을 완화하기 위한 지속적인 검토와 대응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We have moved from discussing the potential need for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to discussing how to conduct it. Although the institutional introduction of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took place 20 years ago, the past practice of formally and insufficiently conducted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rather adds to the practical confusion at a time when the actual performance of this analysis is emphasiz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Regulatory Cost Management System(Cost-In, Cost-Out, CICO).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controversial issue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regulatory cost-benefits through an exploratory case study focusing on the recent analysis of regulatory cost-benefits implemented in 2018-2019, as well as to seek solutions to these iss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7 detailed issues in 8 items(①Identification of Public Institutions, ②Prediction of Target Group Size, ③Classification of Direct and Indirect Effects, ④Identification of the Transfer Effects of Regulatory Costs, ⑤Analysis Through Opportunity Cost Approach, ⑥Setting a Baseline for a Regulatory Effects Comparison, ⑦Setting the Analysis Period ⑧Uncertainty in the Measurement of Quantitative Regulatory Benefits) were discovered at the stages of “Identification of Impact Group”, “Identification of Cost-Benefit Analysis Items” and “Measurement of Cost-Benefit Items”. An appropriate criterion for judgment must be empirically established by accumulating various cases of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on related issues and identifying their tendencies. Also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 flaws in the current CICO through issue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analyzing regulatory cost-benefits. The use of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is expected to expand further in the future, and continuous reviews and countermeasures are required to ease the gap between theory and reality.

      • KCI우수등재

        규제영향분석에서의 비용-편익분석의 개선방안과 법적 문제

        김유환 한국공법학회 2019 공법연구 Vol.48 No.2

        Since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OPC) introduced the Korean regulatory cost management system called ‘Cost-In, Cost-Out’ in 2016, cost-benefit analysis (CBA) has been widely used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Although there are concerns that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is currently perfunctory, it is expected that the use and importance of CBA will expand over time. Accordingly,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and utilize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we need to establish adequate steps for conducting CBA and create a system to monitor and evaluate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five ideas for improving the use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 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 First, it is essential for all stakeholders to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assumptions and limitations of each CBA, including how costs and benefits are measured and what causal mechanisms are used. This understanding should help stakeholders to correctly assess the usefulness and the limits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Second, the procedures and guidelines for conducting CBA for regulatory decision-making need to be reconstructed to include the assessment of and the response to potential limitations of CBA in regulatory decision-making. Third, information disclosure, public participation, and monitoring by domain experts should be enabled and encouraged by establishing relevant procedures and guidelines. Fourth, the role of lawmaking is crucial in achieving the aforementioned ideas. For example, the Framework Act 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must be revised. Relevant statutes should include clauses to specify the scope and use of CBA in their ruling areas. Fifth,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judicial review on CBA practices should be designed, refined, and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above ideas as the Korean Courts increasingly review CBA in legal arguments for their decisions. 2016년 국무조정실이 규제비용관리제를 도입한 이후 행정규제기본법이 정하고 있는 규제영향분석은 외형상 크게 변모하는 듯이 보인다. 2016년 이전에도 규제영향분석의 일환으로 비용-편익분석이 행정규제기본법에 규정되어 있었고 또 형식적으로 나마 시행되고 있었으나 규제비용관리제 하에서 비용-편익분석은 더 중요한 규제영향분석 방법론으로 자리잡았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비용-편익분석은 여전히 여러 가지 측면에서 개선될 필요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는 비용-편익분석은 다분히 요식행위적 성격이 있으나 일단 비용-편익분석이 규제정책결정의 수단으로 정착한 이상 향후 비용-편익분석의 쓰임새는 점차 확대될 것이다. 따라서 비용-편익분석이 제대로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도의 구성과 감시에 대한 법적 제도적 각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규제영향분석 방법론으로서의 비용-편익분석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검토하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비용-편익분석이 가지는 방법론적 한계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한계가 무엇인지 그리고 비용-편익분석이 무엇 때문에 규제심사와 규제개혁에 유용한 의미를 가지며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가 하는데 대하여 살펴보았다. 둘째로, 이러한 새로운 인식 하에 비용편익분석의 절차와 가이드라인이 재구성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절차적 규율과 가이드라인의 내용에는 비용-편익분석의 한계상황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한 규율이 포함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 논구한 비용-편익분석의 한계가 절차적 규율과 가이드라인의 구체화 방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그러한 절차나 가이드라인 중에서 정보공개와 국민참여 그리고 전문가 집단의 감시가 가능한 구조를 창출하여야 하는 점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넷째로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정규제기본법과 각 행정영역의 개별법 차원에서 입법적 대응에 대하여 논구하였다. 다섯째로, 이미 비용-편익분석이 우리 법원의 사법심사의 대상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만큼, 또한 비용-편익분석이 규제정책의 수단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이상 사법심사의 쟁점과 방식을 활성화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비용-편익분석에 대한 사법심사가 어떠한 논리의 바탕 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인지 논구하였다.

      • KCI등재

        위험 및 안전규제 비용편익분석의 현실적 요건의 모색

        여차민,김태윤 한국경제연구원 2009 규제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위험 및 안전규제 비용편익분석의 적용이 확산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현실적 요건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위험 및 안전규제와 관련된 이론들을 위험 및 안전규제의 필요성 차원과 위험 및 안전규제 비용편익분석의 차원에서 분석한 후 함의를 도출하고 위험 및 안전규제 비용편익분석의 현실적 요건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다시 실무적 차원의 지침으로 재개념화한 후 공산품 안전규제의 사례에 적용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현황 진단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통한 규제의 사회적 가치·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민호(LEE, Minho) 한국규제학회 2019 규제연구 Vol.28 No.1

        규제영향분석이 제도적으로 도입된 지 20여년이 경과하였으나, 여전히 실제 수행과정에 있어 많은 한계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 가운데서도 규제에 따른 사회적 영향을 충분히 분석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 최근의 규제정책 논의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으며, 현 정부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강화를 중요한 정책과제로 제시한 바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이 분석 단위로서 전체 사회(society as a whole)를 접근하는 기존 방식과 차별화하여, 분석 내용으로서 사회적 목적(society as an end)으로서 사회적 가치에 초점을 맞춘 분석이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하였다. 비용관리제 도입 이후 피규제 기업·소상공인에 대한 규제비용 분석에만 치중하였던 것에 대한 반성으로서, 일반 국민과 사회전체를 대상으로 한 규제의 사회적 편익에 대한 분석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규제정책을 통한 사회적 가치 제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개념적 이해를 기준으로 기존에 규제영향분석서 작성과정에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의 적용 수준을 분석하였으며, 피규제자 이외의 집단에 대한 규제의 사회적 영향을 정량적인 방식으로 일정 수준 이상으로 분석한 사례가 2015-2016년 사이에 작성된 총 2,355건의 분석서 가운데 64건으로서 2.7%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주요 항목으로서 사회적 가치의 추정과 상대적 비교를 통해 향후 분석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는 기초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환경, 재난안전, 취약계층 보호, 경제 활성화의 4개 부문에 대한 주요 규제정책의 사회적 편익을 조건부 가치측정법(CVM)을 통해 추정하였으며, 추가적으로 4개 부문 총 25개 규제정책사례에 대해서도 상대적인 가치평가의 우선순위를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결론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쟁점들을 바탕으로, 사회적 비용편익분석 활성화를 위한 현행 규제영향분석 제도 운영 개선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lthough regulatory impact analysis has been institutionalized for over 20 years, there are still many limitations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In particular, the current regulatory policy debate emphasizes the fact that the social effects of regulation are not fully analyzed, and the current government has suggested strengthening the analysis of social regulatory cost benefits as an important policy task. In this context, this study pointed out that the analysis focusing on social value as social purpose should be emphasized as the analytic contents(society as an end approach) by differentiating the social regulatory cost benefit analysis from the existing approach as the analysis unit (society as a whole approach). As a reflection on the focus on the regulation cost analysis of regulated firms and small business owners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Cost-in, Cost-out system,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nalysis of the social benefits of regulation for the general public, which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enhancing social values of government regulations. Based on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st-benefit analysis, the level of application of the social cost-benefit analysis in the current process of preparing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was analyzed. As a result, only 64 (2.7%) of the total 2,355 analyses completed between 2015-2016 have conducted quantitative cost-benefit analyses on general public. In addition,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in future analysis through social value estimation and relative comparison. The social benefits of major regulatory policies for the four sectors of environment, disaster safety, vulnerable class protection, and economic activation were estimated through using the Contingent Value Method(CVM). In conclusion, based on the issues discussed in this stud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to improve current regulation impact analysis system for revitalizing social cost benefit analysis.

      • KCI등재

        규제영향분석서 비용편익분석 부문의 실태에 관한 연구

        최성락,이혜영 한국규제학회 2020 규제연구 Vol.29 No.1

        Existing studies on RIA focus mainly on the system and operation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Therefore,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how actual cost-benefit analysis in RIA is conducted. In order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status of cost-benefit analysis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the cost-benefit analysis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was analyzed in this study, focusing on 876 regulatory impact analyzes made in 2019. We have reviewed how much quantitative analysis is actually conducted, what are the measured values ​​of cost and benefit, whether the target of analysis is sufficiently considered when measuring cost benefit, and whether various impact assessments a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ost-benefit analysis in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most of them are based on qualitative analysis, there are significant deviations in the measured value of benefits rather than the cost, and the net cost of the regulatory impact is represented above zero in many cases. In addition, little indirect costs were considered, and government enforcement costs were rarely considered, and the impact on various groups was not properly considered. In order for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to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establishment of high-quality regulations, these limitations in cost-benefit analysis need to be supplemented.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주로 규제영향분석의 제도와 운영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실제 비용편익분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다는 한계를 인식하고 규제영향분석서 상 비용편익분석의 실태를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9년 입법예고된 총 1993건 중에서 규제영향분석서가 첨부된 876건을 중심으로 규제영향분석서 상의 비용편익분석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실제 정량적 분석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는지, 비용 및 편익의 측정값은 어느 정도인지, 비용편익 측정 시 분석 대상은 충분히 고려되고 있는지, 그리고 각종 영향평가의 시행 여부 등을 실증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규제영향분석서 상의 비용편익분석 내용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 정성분석 위주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비용보다 편익의 측정값이 상당히 큰 편차가 존재한다는 점, 편익의 정량화가 제대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 간접 비용은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 정부의 집행비용도 거의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 다양한 집단에 대한 영향이 제대로 고려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 주요 한계점으로 제시되었다. 규제영향분석서가 품질 높은 규제 제정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이러한 비용편익분석 상의 한계점들이 보완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규제영향분석에 있어 편익 평가 및 측정의 타당성에 관한 연구

        김태윤(Kim, Tae-Yun) 한국경제연구원 2011 규제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김태윤·정재희·허가형(2008)의 후속연구로서 편익의 평가와 측정에 초점을 맞추어 우리나라 규제영향분석서의 실태를 분석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편익 평가 및 측정에 대한 이론적인 분석틀을 토대로 2008년 6월부터 3년여 동안 규제개혁위원회가 심의한 총 1,537개의 세부 안건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서를 평가하였다. 편익 평가 및 측정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규제영향분석서는 전체 1,537개 중 5.7%에 해당되는 87건에 불과하였고, 이 87건의 규제영향분석서를 분석틀에 입각하여 분석한 결과 편익의 과대계상이 현저하게 드러났다. 즉 최소한의 입증이 존재하지 않거나, 준수율 등을 고려하지 않은 근거 없는 낙관적인 전망 등이 주를 이루었고, 비용편익분석의 최소한의 이론적 입장에 부응하지 못하는 할인율의 적용과 분배적 가중치의 무시 및 이중계산도 꽤 눈에 띄었다. 나머지 1,450개의 분석서에서의 편익 평가 및 측정결과는 객관적인 토론을 위한 근거로서 아무런 기능도 하지 못한다고 추정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Kim ˑJung ˑHur (2008). It tries to review analytically the actual quality level of the Regulatory Impact Analysis (RIA) statement in Korea, focusing on the benefit evaluation and measurement. By reviewing the literatures on the evaluation and measurement of benefit, this paper develops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on the analytical framework, this paper analyzes 1,537 RIA statements from June, 2008 to October, 2011 (almost all of RIA statements submitted to Presidential Regulatory Reform Committe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87 (5.7%) cases of RIA statements out of all 1,537 total carry at least some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benefit of the proposed regulation. Second, the 87 RIA statements show consistent overestimation of benefit to a remarkable extent. In particular, this result was possible mainly by too optimistic and groundless forecasts, especially on actual compliance. And with respect to discount rate, the distributional weight, and double counting, there are few RIA statements which satisfy the minimum theoretical requirements, resulting in arbitrarily consistent overestimation of regulatory benefit.

      • KCI우수등재

        규제품질관리를 위한 정책수단의 활용 및 상호관계 분석: 규제비용편익분석과 이해관계자 협의를 중심으로

        이민호 ( Lee¸ Minho ) 한국행정학회 2021 韓國行政學報 Vol.55 No.3

        과거 규제품질관리의 목적에서 전 세계적으로 규제영향분석의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 핵심적 항목으로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최근에는 정책과정에서의 소통과 참여가 강조되면서 규제협의에 대한 측면도 규제품질관리의 중요한 요소로 주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규제품질관리제도의 중요한 정책수단으로 비용편익분석과 이해관계자 협의의 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 간에 어떠한 상호관계를 나타내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예비분석 차원에서 OECD의 iREG 조사결과와 우리나라 규제혁신평가 결과를 활용한 분석 결과는 규제비용편익분석과 규제협의 수준이 상당히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어진 본 분석에서는 2016-2019년까지 수행된 4,284건의 규제영향분석서를 대상으로 다각적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전반적으로 이해관계자에 대한 협의가 활발히 진행될수록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수준이나 충실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비용편익분석 수준에 대한 도구변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 반대 방향에서 규제비용편익분석의 충실도가 높아질수록 이해관계자에 대한 협의도 활성화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규제의 품질수준을 높이기 위한 경제적 분석과 정치적 논의의 수행이 선순환된다는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향후 양자의 균형적인 제도의 발전 및 활용, 개선이 이루어질 필요성을 제기한다. Since regulatory impact analysis was actively adopted worldwide for the purpose of regulatory quality management in the 1990s, the importance of regulatory cost-benefit analysis has been emphasized as a key policy tool. However, recently, as public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process have been more emphasized, regulatory consultation is also drawing more attention as an important tool for regulatory quality management.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how well cost-benefit analysis and regulatory consultation with stakeholders are utilized as policy tools and what kinds of relationships they have in the current regulatory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preliminary analysis, OECD iREG survey results and departmental evaluation results for regulatory innovation in Korea are utilized. They reveal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st-benefit analysis and regulatory consultation. The results of the subsequent main analysis of 4,284 RIA statements in 2016 -2019 also confirm that more active regulatory consultation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a more substantial cost-benefit analysis.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nstrument variable for enhanced cost-benefit analysis, it turns out that the positive influence can also be applicable in the reverse direc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empirically confirm the existing theoretical discussion that the policy tools of economic analysis and political discussion have synergistic effects for increasing the quality of government regulations, and suggest the need for balance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these economic and political tools in the regulatory management system.

      • KCI등재

        건설폐기물 재활용 규제 강화의 규제영향분석

        최무현(Choi Moo Hyun) 한국국정관리학회 2005 현대사회와 행정 Vol.15 No.1

          사회적 규제는 확대ㆍ강화되어야 한다는 당위론에 따라 우리나라는 물론이고 선진국에서도 사회규제가 양산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 규제라 할지라도 적정한 규제수준과 합리적인 규제수단을 설정하는 문제를 간과할 수는 없는데, 이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 규제영향분석(regulatory impact analysis)이다. 본 연구는 실제 규제안을 가지고 규제영향분석을 실행한 연구가 적은 점에서 착안해서 비용편익분석을 중심으로 한 규제영향분석을 구체적인 사례에 실제로 적용하여 규제영향분석의 이론적 이해를 심화시키고 실무적 합의를 얻고자하였다. 본 연구가 선정한 규제사례는 환경부에서 준비하고 건설폐기물 재활용 촉진 종합대책(안)으로 이것의 규제편익과 규제비용을 비교하였다.<BR>  규제안으로 초래되는 사회적 편익과 사회적 비용을 측정가능한 항목별로 예측하는 미시적 비용편익분석 방법에 따라 규제영향분석을 한 결가 건설폐기물 재활용규제강화안은 전반적으로 사회적 비용보다 사회적 편익이 큰 것이 밝혀졌다. 2003년부터 2020년까지 18년간 건설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사회적 규제편익과 사회적 규제비용을 비교하여 사회적 순규제편익의 총현재가치를 구해보면(사회적 할인율 7.5%) 적게는 6,757억 655만 9,436원에서 많게는 2조 3,516억 903만 299원이고, 기타 무형적인 환경 편익과 기타 편익까지 고려한다면 더 큰 사회적 순편익을 예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한국ㆍ미국의 제도 비교를 통한 행정부와 입법부 간 규제개혁 협력방안 연구

        李咏桓,李南樹 한국의정연구회 2017 의정논총 Vol.12 No.1

        규제관리는 규제개혁과 맥을 같이 하며 규제의 신설·운영·소멸 등 전 과정을 통해 행정부 또는 입법부가 체계적으로 개입하는 행위로서 그에 필요한 엄격한 규제심사 등 효율적 규제관리방안이 아래와 같이 필요하다. 첫째, 의원발의법안 입안 시 행정부의 심사방식을 적용한다. 의원발의법안 제출 시 행정부의 ‘국회 제출 전’ 심사단계를 적용하는 것이다. 둘째, 규제의 기관별 관리에서 기능별 관리로의 전환이다. 현행 부처별 관리되는 체계가 주제별 소관 정부기관이 많아 내용상 중복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바, 미국처럼 규제 영역(50개의 틀)을 정해 놓을 경우 새로운 규제가 기존의 기능과 중복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쉬워 합리적인 규제관리가 용이해지고 또한 유사가능을 가진 규제들에 대한 황단면적인 조정도 가능하다. 셋째, 의원발의법안 제출 시 규제영향분석을 도입하는 것이다. 현재 환경부 등 정부부처의 규제영향분석(비용편익분석) 사례에서 비용/편익을 한 양식에 함께 제시하지 않을 뿐 아니라 계산에 필요한 가정 등 근거가 제시되지 않는다. 넷째, 법률안 심사 및 규제영향분석 이행을 위한 입법지원조직을 강화함이 필요하다. 규제영향분석은 통상 경제영향분석이 그 주종을 이루므로 입법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다양한 분야를 대상으로 비용・편익 추정 등 계량분석에 상응한 분석능력을 갖춘 연구 인력의 충원이 필요하다. In circumstances of rapidly growing representative's regulation proposals relative to government's proposals it is required to accomplish effective management device of regulations through comparing institutions of legislating process regarding to reforming regulations and to maintaining proper level of managing regulations between U. S. and KOREA. As Regulation management which also means regulation reforming is defined as the entirely engaging behavior of Executives or Legislature which regards to enactment·operation·extinction of regulation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ffective devices for managing regulation through austere examination. Those are as follows. First, It's the application of Executive's exact examination procedure which in advance is required in submitting the regulation proposals to the Legislature in representative's proposal submittance. Second, it is the conversion of departmental management to functional management, so avoidance of duplicable regulation and cross-sectional arrangement of similar regulations is available. Third, Regulation impact analysis is necessitated in submitting the Legislature's proposal. Also showing the evidence or proper assumption is necessary in calculation the impact comprising the benefit and cost together. Fourth, Strengthening the research manpower and organization for implementing difficult empirical works which is main in analysing the economic effect is necessary.

      • KCI등재

        한국 정부의 규제영향분석의 수준

        김태윤(Kim, Tae-Yun),정재희(Jung, Jae Hee),허가형(Hur, Gahyeong) 한국경제연구원 2008 규제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정부의 규제영향분석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한국 행정 부처의 규제영향분석서의 수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규제영향분석에 대한 기존 연 구들은 분석기법이나 제도적 측면을 강조한 연구가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일부 규제 영향분석 수준의 평가를 시도한 연구의 경우에는 평가항목 및 평가틀의 도출에 있어서 포괄적이고 체계적이지 못하였다는 것이 본 연구의 문제의식이었다. 따라서 규제영향분석 수준에 대한 더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주요 국가들의 규제영향분석 지침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보편적인 평가의 틀을 도출하였다. 이 평가틀을 토대로 2001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16개 부처에서 작성한 239개 법률 심사(안) 중 현재 규제개혁위원회에 중요규제로 등록된 287건의 신설 및 강화규제에 대한 규제영향분석서 전수를 대상으로 그 수준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정부의 규제영향분석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매우 낮으며, 개선의 여지도 미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항목별로 볼 때, 규제의 필요성과 외부 자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잘 분석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정부개입의 정당성, 할인율의 활용, 집행 및 점검과 같은 주요 핵심 항목에 있어서는 그 수준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규제영향분석의 핵이라고 할 수 있는 비용편익분석 부분 역시 그 수준이 매우 낮으며 특별한 개선의 경향도 보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s to assess the actual quality of the RIA in Korea The literature is limited to largely analytic methodology or institutional perspective of RIA but lacks the comprehensive and systemic perspective for the evaluation of actual RIA statements. By integrating the RIA guidelines of major RIA-advanced countries, such as UK, USA, and Canada and of OECD, this paper develops a logical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actual RIA statements. Based on such evaluation frameworks, available all RIA statements written by almost all ministries of the Korean government from April, 2001 to December, 2006 are analyzed. Main results are as follows. The general quality of the Korean RIA is too low and it has shown little room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the necessity of government intervention” and “consultation” are relatively well described, while the core factors of RIA such as “justification for government involvement”, “applying the appropriate discount rate” and “compliance & enforcement” have not properly described nor analyzed. And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cost and benefit” has shown no progress in its analytic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