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권정생 동화의 샬롬 사상 고찰 - 「하느님의 눈물」과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를 중심으로

        홍인표 한국아동문학학회 2024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48

        이글에서 연구자는 권정생 동화「하느님의 눈물」과『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에 나타난 평화를 구약성경에 언급된 샬롬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하였다. 권정생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성경 본문은 구약성경 이사야 11장이다”라고 말하였다. 샬롬 사상이 내포된 이 본문의 핵심은 6-9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본문에서 이사야는 ‘이상의 나라’, 즉 ‘회복된 하나님 나라’를 말하였는데, 이는 “강자와 약자가 평화롭게 공존하는 나라”를 의미한다. 「하느님의 눈물」종결부에 언급된 “그래, 이 세상 사람 모두가. 하지만 내가 이렇게 기다리는데도 사람들은 기를 써가면서 남을 해치고 있구나”라는 하나님의 언급은 그러한 나라와 반대되는 세상을 말하는 것으로 본다.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사시네요』에 언급된 “그렇지만 내가 만든 세상은 이런 것이 아니야. 그리고 내가 만든 사람도 이렇지는 않았어”라고 하는 하나님의 탄식은 그에 대한 적절한 본문이다. 이를 통해 연구자는 이사야가 “샬롬이 성취되는 하나님 나라”를 염원했던 것처럼, 권정생 또한 그와 같은 나라를 염원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대 이스라엘에서는 권력자가 피권력자를 착취하여 부를 축적함으로써 개인윤리와 사회윤리가 붕괴한 일이 적지 않았다. 그것은 머지않아 국가의 붕괴로 이어졌다. 그로 인해 이사야를 비롯한 구약의 선지자들은 “강자와 약자가 함께 어울려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향”을 꿈꾸었다. 그런 사회가 이루어질 때 이스라엘이 평화롭게 살아가는 이상적인 나라가 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권정생의 문학 사상의 핵심이 구약성경에 언급된 샬롬 사상인 이유가 구약성경의 선지자들이 활동할 당시 목격되던 비극적인 일들이 권정생이 살아온 현대사에서도 반복되었다는 데 있었다고 본다. 오늘날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는데, 전쟁과 생태계 파괴 그리고 경제적 불평등이다. 언급한 세 가지는 평화와 공존을 파괴하는 가장 주된 요인이다. 그것은 인간의 탐심에 뿌리를 둔 것인데, 이는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자연의 공멸로 귀결된다고 권정생은 보았다. 권정생이 하나님의 눈물, 하나님의 탄식을 언급함으로써 이 세 가지가 발생하는 현대의 비극을 말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연구자가「하느님의 눈물」과『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사시네요』에서 권정생이 언급한 하나님의 눈물과 탄식이 샬롬이 완성된 세상을 염원하는 권정생의 눈물과 탄식을 의미한다고 보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In this article, the researcher attempted to examine the peace shown in Kwon Jeong-saeng's fairy tales Tears of God and God Lives Next Door to Us in light of Shalom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Kwon Jeong-saeng said, “My favorite Bible text is Isaiah chapter 11 of the Old Testament.” The core of this text, which contains the idea of Shalom, can be seen as verses 6-9. In this text, Isaiah spoke of the ‘ideal kingdom’, that is, the ‘restored kingdom of God’, which means “a kingdom where the strong and the weak coexist peacefully.” As mentioned at the end of Tears of God, “Yes, everyone in this world.” But God’s comment, “Even as I wait like this, people are going out of their way to harm others,”, is enough to be seen as referring to a world that is opposite to such a country. As mentioned in God Lives Next Door to us, “But the world I created is not like this.” God’s lament, “And the man I made was not like this,” is an appropriate text for this. Through this,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just as Isaiah aspired to “the kingdom of God where shalom is achieved,” Kwon Jeong-saeng also aspired for a similar kingdom. In ancient Israel, it was common for those in power to exploit the powerlessness, resulting in a breakdown of individual and social ethics. Eventually, this led to the collapse of the state. As a result, the Old Testament prophets, including Isaiah, dreamed of “a utopia where the strong and the weak live together in peace.” This is because they believed that when such a society is created, Israel will become an ideal country where people live in peac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the reason why the core of Kwon Jeong-saeng's literary thought is the Shalom idea mentioned in the Old Testament is that the tragic events that were witnessed when the prophets of the Old Testament were active were repeated in the modern history of Kwon Jeong-saeng's life. Today, it can be broadly seen in three categories: war, ecological destruction, and economic inequality. The three mentioned are the main factors destroying peace and coexistence. Kwon Jeong-saeng believes that human greed is responsible for the destruction of both people and nature. This is why Kwon Jeong-saeng mentioned God's tears and God's sighs and talked about the modern tragedy in which these three things occur. This is also why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God's tears and sighs mentioned by Kwon Jeong-saeng in Tears of God and God Lives Next Door to Us refer to Kwon Jeong-saeng's tears and sighs that yearn for a world where Shalom is complete.

      • KCI등재

        누가복음을 통해 권정생 작품 읽기: 강아지똥과 똘배가 보고 온 달나라

        정덕희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24 문학과종교 Vol.29 No.2

        본 연구는 권정생의 작품을 신약성서 누가복음과 함께 읽으며 누가복음의 신학적 관점을 통해 권정생의 작품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권정생의 작품 세계에는 가난한 캐릭터가 매우 많다. 흥미로운 점은 작가가 그 가난한 캐릭터들을 통해 새로운 희망과 역전에 대한 소망을 전한다는 것이다. 전복과 역설로 설명되는 이러한 모티프는 성서에 기초한 그의 기독교 사상에 기인한다. 이러한 특징은 상호텍스트성 개념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 가능하다. 신약성서 누가복음이 하이포텍스트가 되고, 권정생 작품 중 강아지똥 과 똘배가 보고 온 달나라 가 하이퍼텍스트에 해당된다. 누가복음은 가난한 자가 복받는 새로운 세상을 노래하고 있다. 누가복음 이야기는 권정생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재현되고 있다. 강아지똥과 똘배 역시 가난한 존재이지만 역설적으로 가장 아름답고 소중한 존재가 된다. 이처럼 누가복음을 통해 권정생 작품을 읽을 때 권정생이 표현하고자 있는 새로운 세상과 새로운 질서에 대한 희망은 더욱 선명하게 다가온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works by Jeong-Saeng Kwon through Luke’s theological perspective. Kwon presents the poor people throughout his novels. These characters suggest new hope and vision for social subversion. Such a motif can be characterized as reversal and paradox rooted in the author’s Christianity thoughts. In terms of intertextuality, hypotext corresponds to the Gospel of Luke and hypertext corresponds to the works of Kwon, in particular, Doggy Poo and Tolbae’s Journey. Luke presents his own worldview for the inversion of the poor and the rich. This theological stance appears in the works of Kwon. Even though Doggy poo and Tolbae are poverty-striken, they would be paradoxically the heroes in changing the society. Thus, reading Kwon’s works with Luke’s Gospel provides the lucid vision of a new world and its paradigm.

      • KCI등재후보

        권정생 초기 단편동화의 서사 양상 고찰

        권혜경(Kwon, Hye-kyung)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2

        권정생은 한평생 병고와 싸우면서도 동화작가로서 치열하게 작품 활동을 했다. 이와 같은 강한 의지력과 치열한 작가 정신 때문인지 당대 다른 동화 작가들에 비해 그의 삶과 문학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이 이뤄진 편이다. 하지만 양적으로 방대한 연구 결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의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아직까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그런 점에 착안하여 권정생의 첫 번째 동화집, 강아지똥(1974)에 수록된 그의 초기 단편동화들에 나타난 문학 형식적 특징 중에서 지금까지의 기존 연구들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었던 플롯과 서사 양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선, 권정생은 초기 단편동화들에서 일상에서 흔히 지나치기 쉬운 하찮은 존재들에게까지 미치는 생명 존중의 의식을 나타내기 위해 ‘비극적 플롯’을 선택하였다. ‘비극적 플롯’이야말로 원죄적 존재를 자각하며 자기희생을 통해 ‘죽음’을 극복하는 실천적 사랑의 삶을 지향한다는 점에서 그의 주제의식을 구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서사 방식이기 때문일 것이다. 한편, 권정생은 초기 단편동화들에서 그의 주요 작중 등장인물들을 대체로 ‘고아’로 설정하였다. 이러한 그의 ‘고아 유형’을 세분화시키면 ‘태어나자마자 고아가 된 유형’, ‘한시적 고아 유형’, ‘중간에 고아가 되는 유형’ 등 크게 세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이 중에서 특히 ‘중간에 고아가 되는 유형’과 ‘태어나자마자 고아가 된 유형’이 자주 등장하는데, 이것은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직접 겪은 작가의 개인사와 일맥상통한다는 점에서 당대 시대적 현실을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권정생의 초기 동화들에는 주제의식을 확장시키고 깊이 있게 표출하기 위해 ‘상호텍스트성’의 서사 방식이 자주 활용되고 있다. 주로 옛이야기, 전래동요,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 등을 액자식 구성으로 보여주었다. 그중에서 특히 성서에 나오는 이야기를 동화속에서 자주 제시한 것은 평생 기독교인으로 살아온 그의 삶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권정생은 다양한 알레고리를 활용하여 비참한 현실과 함께 이상적이며 영원한 삶을 나타낸 작가이다. 그의 초기 동화들에서 ‘별’, ‘하늘’, ‘달나라’를 통해 영원한 삶을 나타낸 반면, ‘시궁창’, ‘눈길’, ‘땅’을 통해 비참한 현실을 형상화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Despite a serious lifelong illness, Kwon Jeong Saeng tried intensely to write fairy stories for children literature before he died in 2007. Mor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his life and work than those of other contemporary writers, perhaps as a result of his strong will and intense struggle to be a good writer. However, some critics say that the quality of studies on his works is not adequate. This paper aims to study narrative elements such as plot, intertextuality, and allegory in early short fairy stories from Kwon Jeong Saeng’s first anthology, Puppy Poo(1974), which has not been well researched by previous studies. Kwon Jeong Saeng used the tragic plot to show his respect for the lives of insignificant characters whose existence could be easily ignored. The tragic plot is the most effective narrative mode to realize the theme of practical love to overcome death through the self-sacrifice and the consciousness of original sin. Most of the main characters in Kwon Jeong Saeng’s early short fairy stories are orphans. They fall into three types: born orphans, temporary orphans, and orphans who lost their parents during their lives. Among these types, orphans who lost their parents during their lives appeared most frequently. They represent his tragic life, since he had simila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In other words, we can say that his early short fairy stories reflect the spirit of the age and his personal experience. Kwon Jeong Saeng also used intertextuality frequently in his early stories, using folk tales, traditional folk songs, and stories from the Bible. His usage of many bible stories in his fairy stories reflects his Christianity. Finally, he used allegory to represent both the tragic reality on earth and the idealistic eternal life in heaven. Eternal life is represented by words like “star,” “sky” and “moon,” while the tragic reality is represented by words like “ditch,” “snowy road,” and “land.”

      • KCI등재

        케노시스 신학 관점에서 바라본 권정생의 작품: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 동화 이해

        정덕희 기독교학문연구회 2023 신앙과 학문 Vol.28 No.1

        This essay aims to explore the kenosis theology through the children’s story, God lives next door to me , written by Kwon, Jung-Saeng. God in the story is portrayed as a humble and vulnerable character, far from the feature of Almighty God. And yet the concept of the kenosis offers a fresh perspective to examine such a vulnerable God in the story. In particular, the kenosis theology by Moltmann will be helpful for current project. The kenosis signifies the indwelling of God in the midst of suffering of human beings. God’ s self-emptiness is the another aspect of Almighty God. Moreover, God’s kenosis is an authentic expression of God’s steadfast love toward the world. In this light, human has to empty himself also just like God because human is the one who have been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Kwon points out that Korean church today is filled with greed and avarice. They should restore the spirit of self-emptiness. So Kwon provides this short story by which the whole of the readers should follow the self-emptying of God. In this sense, this children’s story can be said an excellent theological story. 본 작품은 권정생의 작품 『하느님이 우리 옆집에 살고 있네요』를 케노시스 신학을 통해서 조망하는 연구다. 권정생의 동화 속에서 하나님은 연약하고 무력한 존재로 나타난다. 전지전능한 위엄은 제거된 채 보통 사람의 모습으로 이 땅에 오셔서 가장 낮은 모습으로 하나님은 살아가고 있다. 동화 속 이러한 성육신의 모습은 케노시스 신학으로 조명될 때 독자들에게 새로운 신학적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몰트만의 케노시스 신학을 통해 살펴 본 바, 권정생이 묘사하는 하나님은 인간의 고통 가운데 내주하시는 하나님이다. 또한 하나님의 낮아지심은 역설적으로 하나님의 전능하심을 드러내는 또 하나의 표현 방식이 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하나님의 케노시스는 창조 세계에 대한 사랑의 표현이다. 이러한 점은 권정생의 동화 속에서 선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동화 속에서 예수님과 함께 이 땅에 오신 하나님은 가장 낮은 자들과 함께 하시면서 고통을 함께 나누지만 그 사랑을 절대 거두지 않는다. 권정생은 이러한 모습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된 우리 인간들에게도 케노시스 정신이 회복되기를 요청한다. 동화 속에서 나타나는 한국사회와 교회 현실은 자기-비움 보다는 자기-채움으로 점철된 모습이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권정생은 하나님이 보여주신 케노시스를 통해 한국 교회가 회복되기를 요청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이 동화는 어린이를 위한 장편 동화라고 하기 보다는 교회를 위한 외침, 더 나아가 성육신에 대한 깊은 신학적 담론을 표현하고 있는 의미 있는 동화라 평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권정생 동화에 나타난 사랑의 양상과 의미 - 『중달이 아저씨네』와 『빼떼기』를 중심으로 -

        장수경 ( Jang Sukyung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이 글은 권정생의 동화 『중달이 아저씨네』와 『빼떼기』를 중심으로 사랑의 구현 양상과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권정생 문학의 주요 흐름은 ‘사랑’인데, 그 사랑의 발현방식은 작품 속에서 무욕과 아량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빼떼기』에서 화상을 입은 닭을 등장시켜 사람들이 나눔을 실천하는 방식이 관대함을 전제로 한 몫에 대한 분할의 방식을 따를 때 외부적 폭력의 상황에 처하면 사랑의 실천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변모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특히 전쟁의 첫희생자인 빼떼기의 죽음은 이 스토리에서 가장 나약하고 불쌍한 존재의 희생이 폭력의 시작점이라는 점에서 비극성을 더한다. 전쟁이나 부조리한 힘이 지배하는 현실에서 인간들은 아량을 통해 사랑을 실천하고자 하지만 이는 물리적 폭력에 의해 번번이 좌절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빼떼기』는 진정한 사랑의 실천이란 어떠한 방식이어야 하는지를 역설적으로 묻고 있다. 『중달이 아저씨네』를 살펴보면 바보스런 인물을 등장시켜 무욕을 전제로 한 사랑이 나와 세계 사이의 진정한 관계를 드러내는 방식임을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중달이 아저씨는 자신의 몫을 내어줄 때 ‘땅’을 사회적 기준 단위인 ‘한 뙈기 두 뙈기’로 이해하는 방식이 아니라 ‘한 개 두 개’처럼 물건을 셀 때의 기준을 활용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전통적인 교환 가치를 해체시킨다. 이 작품에서 진정한 ‘사랑’의 관계란 몫에 대한 분할의 방식이 아니라 나의 것 절반을 내어주고, 나머지를 모두 내어주는 무욕의 태도를 실천할 때 사랑이 완성됨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두 작품은 권정생이 사랑을 드러낼 때 무욕의 관점이 훨씬 더 인간적이고 본질적인 사랑의 방식임을 미학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글은 권정생의 동화 두 편에 한정된 연구라는 점에서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은 추후 연구를 통해 보완할 것이다. This article takes a look at the aspect and meaning of Love with the focus on Uncle Jungdal and Bbaddegi, the fairly tales of Kwon Jung-saeng. Main flow of literature of Kwon Jung-saeng is ‘Love’ and the manifestation method of the love is displayed in the tendency of freedom from avarice and generosity in the works. First of all, Bbaddegi displays the point of view of generosity(generosite). This work has the chicken with burning inju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practice of love turns into a situation with impossible to practice love in encountering of the situation of external violence when people follows the method of division for the method to practice sharing. In particular, as the first victim of a war, the death of Bbaddegi is even more tragic in the point that sacrifice of the most vulnerable and pitiful being would be the starting point of violence in this story. Under the reality where war or illegal force controls, humans attempt to practice love through generosity, but this is failed by physical force at all times that Bbaddegi inquires paradoxically what method should be facilitated for practicing of true love. Next, in Uncle Jungdal where the point of view of freedom from avarice(desinteressement) is well displayed, an idiot is emerged to tell that sharing through freedom from avarice would be the method that displays the relationship of true human and the world. In this work, Uncle Jungdal part away with the existing traditional value of exchange in the point that it facilitates the criteria in buying goods like 'one piece, two piece' and so on, not the method of understanding with the social standard unit of land in 'One Parcel, Two Parcel' and so on when its share is divided. This work structures the narrative of irony in that the expression of ‘Love’ in paradoxical way to be available when the passion of freedom from avarice to give a half of mine and then the rest is all given away, not for the method of installment. As such, these two works formulate aesthetically that the point of view on freedom from avarice is much more humane method of love when Kwon Jung-saeng displays the love. However, this article has significant limitation in the point that it is the study limited on two fairly tales of Kwon Jung-saeng. The insufficient parts in this study would be supplemented through the studies at a later time.

      • KCI등재

        식민지 경계를 가로지르는 소년들의 상상력 - 최인훈의 「두만강」과 권정생의 「슬픈 나막신」을 중심으로

        배지연,권응상 한국문학언어학회 2024 어문론총 Vol.100 No.-

        이 연구는 최인훈의 「두만강」과 권정생의 「슬픈 나막신」에 나타난 식민지 시대의 형상화를 검토하면서 식민/피식민의 이분적 구도를 넘어서는 독법의 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최인훈과 권정생은 1930년대 출생하여 유년기에 식민지 경험을 한 작가이며, 소년의 시점에서 식민지 시기를 재현한 이 두 소설은 소설에 그려지는 사건들은 작가의 유년기 경험과 맞닿아있다. 이들 소설은 아시아-태평양 전쟁을 전후로 한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소년기의 이야기를 다루는 과정에서 당시 식민지인들의 생활상을 서사화했는데, 마을 공동체의 일원인 조선인 소년과 일본인 소녀의 우정을 다룸으로써 식민/피식민의 이항구도나 민족 간의 대립이나 반목을 넘어서고 있다. 「두만강」에서 발견한 지역으로서의 식민지와 ‘동물적 친근감’에 대한 상상이 소설적 공간을 식민지 조선 너머 아시아로 확장하게 하며, 이는 서구 근대의 세계사와는 다른 주변부의 세계사를 탐색하는 시도로 나아간다. 마찬가지로, 권정생의 「슬픈 나막신」도 자신의 유년기를 보낸 도쿄를 배경으로 하며, 식민지 조선인에 대한 차별과 전쟁의 참상 가운데서도 골목 아이들의 우정을 통해 평화로운 세상을 소망한다. 민족 간의 대립 혹은 이데올로기 갈등을 넘어서는 반전과 평화의 메시지는 「슬픈 나막신」에서 제시된 식민모국의 수도 도쿄에서의 체험, 그 유년기의 기억을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글은 식민지 시대에 유년기를 보낸 두 명의 작가와 그의 작품을 대상으로, 이주자와의 공존 혹은 이주의 경험을 기반으로 한 서사에서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상상력을 포착하고 그에 관해 추적한 것이다. 「두만강」과 「슬픈 나막신」은 최인훈과 권정생이 문학을 통해 탐색하고자 했던 탈/식민주의의 지점이며, 그를 통해 도달하고자 한 우정과 연대의 가능성을 소설화한 것으로서, 민족과 국가의 경계 너머, 식민/피식민, 친일/반일의 이분적 사고를 극복할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ry of the colonial era in Choi In-hoon's Tumen River and Kwon Jeong-saeng's Sad Wooden Shoe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reading that goes beyond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colonizer/colonized. Writers Choi In-hoon and Kwon Jeong-saeng were born in the 1930s and experienced colonialism as children. The events depicted in these two novels, which recreate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boys, align with the authors’ actual experiences. In the process of depicting boyhood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fore and after the Asia-Pacific War, the lives of the colonial people at the time are narrated. These novels go beyond the binary structure of colonizer and colonized and conflict or antagonism between ethnic groups by exploring the friendship between a Korean boy and a Japanese girl who are members of a village community. The imagined version of the colony as a region of “animal intimacy” in Tumen River expands the novel’s space beyond colonial Korea [Joseon] to Asia. This was an attempt to explore the world history of the periphery, which differs from the history of the modern Western world. Kwon Jeong-saeng's Sad Wooden Shoes is set in Tokyo,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It expresses his hope for a peaceful world through the friendship of street children facing discrimination against colonial Koreans and the horrors of war. The anti-war message that goes beyond ethnic or ideological conflicts is based on the author’s childhood memories and experiences in Tokyo, the capital of the colonial mother country. This study focuses on two writers who experienced childhood during the colonial era and their resultant works. It traces their imaginations that transcend national boundaries in narratives based on experiencing coexistence with immigrants or migration. Tuman River and Sad Wooden Shoes capture aspects of post-colonialism that Choi In-hoon and Kwon Jeong-saeng sought to explore through literature. They convey the possibility of friendship and solidarity that they sought out, going beyond the boundaries of ethnicity and nation. Colonialism suggests on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dichotomous thinking of pro-Japanese or anti-Japanese.

      • KCI등재

        동학의 코드와 한국학적 가치 - 신동엽과 권정생 작품을 중심으로

        지현배 동학학회 2018 동학학보 Vol.0 No.48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의 시대정신이 갖는 한국학적인 가치를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동학의 시대정신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방법은신동엽의 작품을 대상으로 동학의 코드를 밝히는 것이다. 신동엽 시인의 시를 중심으로 밝혀진 동학의 코드를 통해 시대 정신을 살피고, 그것과 권정생작가의 작품 세계와 관련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이 연구에서 신동엽 시인의 작품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동엽 시인의 대표작 중 하나인 <금강>은 동학 혁명의 전 과정에 시인의 상상력이 더해져서 한국 근현대사의 맥락을 재구성한 작품이다. 수운과 해월, 녹두장군등의 역사적 인물이 등장하면서 동시에 하늬와 임진아 등 허구적 인물이 함께등장한다. 이를 통한 서사적 전개는 동학이 한국 근현대사를 관통하는 시대정신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 권정생 작가의 작품과 관련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권정생 작가의 작품은 철저하게 작가의 체험에 기반하고 있다. 체험을 기반으로 작가의 가치관이 작품에 녹아 있다. 그 체험은 처절하고 절박한 것이되, 그것의 표현은 소박한 형태로 드러난다. 또한 작가가 기술하는 내용은 이웃의 일상인들의 삶 이야기를 벗어나지 않지만, 이를 통해서 그려지는 내용은 통일 등 시대적 과제에 닿아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신동엽 시인의 작품을 통해서 볼때 동학의 정신은 수평적 코드를 핵심으로 한다. 사람과 사람의 관계는 물론사람과 사물을 포함하는 세계, 그리고 나라와 나라 등 모든 관계를 규정하는기본 원칙은 수평적 사고이다. 이는 권정생 작가의 작품에서도 발견되는 공통의 코드이다. 수평적 코드는 한국 근현대사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수 있다. 동학에 기반한 이런 한국적 솔루션은 글로벌 표준으로서 오늘날 인류와 국제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Korean values of the spirit of the Donghak . To this end, the researchers paid attention to the spirit of the period of Donghak.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of Shin DongYeop and Kwon Jung-Saeng’s work. Focusing on the works of Shin Dongyeop poet, and then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work of Kwon Jeong-saeng’s poetry. In this stud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works of Shin, Dong-Yeop ‘s <Geumgang> one of the representative works, is a work that reconstructs the context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ith the poet’s imagination added to the entire process of the Donghak revolution. Suweon, Haewol, and Jeun Bong-Jun, as well as fictional characters such as Ha-neu and Im Jin-a. The narrative development through this shows that Donghak can be the spirit of the times through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In this study, the contents of the works of Kwon Jeong-Saeng writer are as follows. The works of the Kwon Jeong-Saeng writer are thoroughly based on the artist’s experience. Based on the experience, the artist’s values are dissolved in his work. The experience is desperate and desperate, and its expression is expressed in simple form.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writer do not escape from the stories of the lives of the neighbors, but I learned that the contents drawn through them touch on the tasks of the times such as un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works of Shin Dong-Yeop, the spirit of Donghak is turns out on horizontal code. The basic principle that defines all relations such as the world including people and things, the country and the count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people is horizontal thinking. This is a common code that is found in the works of the author’s writer. Horizontal codes can be a key to solving the proble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n Korea. It is meaningful that this Korean solution based on Donghak can be a direc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humanity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as a global standard today.

      • KCI등재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동화의 전승성 연구 - 인물의 재창조와 환상성을 중심으로 -

        박영기 ( Park Younggi ),심종숙 ( Shim Jongsuk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4 No.-

        본 연구에서는 미야자와 겐지와 권정생 두 작가의 동화 중에 민담을 소재로 한 동화들을 대상으로 하여 인물의 재창조와 환상성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았다. 이 두 작가는 동화가 가지는 환상성을 부각시키고, 민간전승의 주인공의 재창조를 통해 민담에 새로운 생명력을 부여해 주었다. 미야자와 겐지(宮澤賢治)는 민간전승을 바탕으로 한 산사나이의 사월 과 『바람의 마타사부로』에서 소수자이며 경계인의 이미지가 강한 인물을 재창조했으며, 권정생은 동화 『밥데기 죽데기』, 『팔푼돌이네 삼형제』에서 변신한 존재 혹은 도깨비를 등장시켜 민중의 이야기를 대변하도록 하였다. 미야자와 겐지는 경계인 ‘마타사부로’나 ‘산사나이’의 인물 조형을 통해 근대의 지배적인 집단이나 사회, 도시와 농촌, 학교, 촌동 집단에서 이인(異人)으로서 지배 집단과 길항하는 근대적 경계인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권정생 역시 환상을 통해 변신된 인물 내지는 전승의 도깨비를 통하여 작가가 경험한 고통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용서와 화해, 그리고 한국 사회의 미래를 위해 통일 지향 문학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산사나이나 바람신의 아들 사부로, 그리고 권정생 동화의 늑대 할머니, 밥데기 죽데기, 팔푼돌이네 삼형제는 민담의 캐릭터를 변형한 것이며 순박하고 착해서 바보 같은 이미지를 지닌 인물들이다. 이들은 비록 집단에서는 소외된 자들이지만 힘을 형성하고 있는 집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경계인들이다. 또, 『바람의 마타사부로』의 ‘마타사부로’와 『팔푼돌이네 삼형제』의 ‘팔푼돌이 삼형제’ 톳재비 캐릭터는 각각 일본의 동북지방과 한국의 안동 지방의 민간전승이 다양성과 차이성을 지니면서 긍정적으로 재창조되는 측면을 보여준다. 인물의 재창조는 환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두 작가의 환상은 공상적이거나 허무한 현실의 확인이 아니라 현실을 비추어내는 거울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면서 현실의 문제점을 꼬집어 내고 보다 더 나은 세상으로 독자를 이끌어 낸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character reinvention and fantasy of the fairy tales which was written for the folktale by Miyajawa Kenji and Kwon Jeong-saeng. We searched Miyajawa Kenji's tale stories such as A Moumtain Man and Matasrbro. We also searched Kwon Jeong-saeng's tale stories such as Babdegyi gukdegyi and Palpundol's Three Brother. These tale stories are based on the folk lore. These two writers highlighted tale story's fantasy by characterizing the main character and recreated main character of folklore by showing their dynamic images. These characters such as Saburo who has unusual appearance, Babdegyi Gukdegyi, Palpundol's Three Brother’ and grandma wolf of Kwon Jeong-saeng tale story are modified characters of folk tale and they are characters who has a image of naiveness and idiot. Although they are minorities in the group, they have strong image of border rider who influences on the group. The ghost characters such as Matasaburo of Matasrbro and Palpundori of Palpundol's Three Brothers properly described diversity and difference of folklure of the northeastern district in Japan and Andong district in Korea. And these characters also well expressed the periodical agenda.

      • KCI등재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에 나타난 교육관 연구

        변혜경 ( Hye Gyeong Byeon ),강기수 ( Gi Su Ka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5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6 No.4

        이 연구는 권정생의 동화집 『하느님의 눈물』을 분석하여, 그 작품 속에 내면화되어 있는 작가의 교육관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권정생의 삶과 작품 세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동화집 『하나님의 눈물』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과 주제의식을 분석한 다음, 이에 근거하여 작가의 교육관을 밝히고자 하였다. 『하느님의 눈물』의 등장인물은 하나같이 연약하고 어린 것들로, 그들은 호기심이 왕성하고 어려운 이를 불쌍하게 여길 줄 안다. 또한 시련을 통해 성장하고 어려울 때 서로 도우며, 어른의 본보기가 된다. 이러한 인물을 내세워 작가는 생명을 소중히 여기고 자연과 더불어 살며 욕심 부리지 않는 소박한 삶, 어렵고 약한 자를 돕는 삶, 평화를 사랑하고 하나가 되는 삶이라는 주제 의식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작품 분석을 통해 권정생은 교육에 대해 생태주의적, 박애주의적, 평화주의적 관점을 견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생태 교육과 인성 교육, 그리고 평화 교육의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illuminate his educational view internalized in the literary work, analyzing Gweon, Jeong-Sang`s collection of fairy tales, 『Tears of Go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I first took a detailed look into Gweon, Jeong-Sang`s life and the world of his literary works, and then analyzed the charactonym and the thematic consciousness in the collection of fairy tales, and lastly illuminated his educational view on the basis of this. Every single character in 『Tears of God』 who is vulnerable and young is quite inquisitive and feels sorry for people in need. And they are role models to adults, growing up in trial and helping each other when in trouble. Putting these characters forth, the writer articulates the thematic consciousness, the experience of living a simple life without greed together with nature, of helping the poor and the weak, and of loving peace and being one using allegory and colloquialism. Analyzing the work, I grasped Gweon, Jeong-Sang thought of education as aspects of ecology, philanthropy and pacifism and this represents that his work, 『Tears of God』 has implications of education of ecology, humanism, and philanthropy.

      • KCI등재

        권정생 아동극의 주체화

        강진우(Kang Jin-woo) 국어교육학회 2015 국어교육연구 Vol.59 No.-

        Gwonjeongsaeng left the two pieces drama <Tied God >(1982), <Patjuk grandmother>(1985) Gwonjeongsaeng was good at storytelling and puppetry. It is said that children are very funny. This is possible because of how the play was related to training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in the church. <Tied God> is children’s dram a about blue and red villagers people feuding. Able to meet the children and adults. However, even though the children are disturbing the adults meet to kick out the wall and barbed wire. This work is pantomime. <Patjuk grandmother> was constituted by Gwonjeongsaeng listened folktale when he was young. The tiger eated grandmother’s husband and son. And last want to eat grandmother. But grandmother awl, chestnut, hongdukkae, meongseok and is eating patjuk defeated the tiger by gathered forces. You can find ways to help all children to experience the work directly. May utilize the method of puppetry and storytelling. The experience of the body that utilizes the most effective thing improvisation children directly. When this work to the literary experience should be configured to be a problem setting and problem solving experience. It is an experience that changes passive subject to active subject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 is a collective entity. This is cause to emotional chan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