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와 실학

        최윤오(Choi, Yoon-Oh) 한국사학회 2013 史學硏究 Vol.- No.109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권농책의 추이를 정부지배층의 전통적인 방식과 실학자들의 개혁적인 방식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전자의 경우는 완만하게나마 장기 지속적인 변화를 보인 반면에 후자는 대단히 현실적이며 개혁적 성격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극단적으로 대비되어 나타났다. 우선 정부층의 권농정책은 제천의례와 농경의례를 통해 조선적인 방식으로 진행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이 같은 농경의례는 조선후기 세계관이 변화함에 따라 조선국가 중심의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되고 있었다. 영조와 정조대의 친경의례는 기왕의 형식적인 제례를 벗어나 농업현장에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바뀌어 나갔고, 정조는 남단[풍우뇌우단]의 의례를 곧 세조대 시행했던 환구단의 제천의례로까지 생각하고 있던 것이 대표적 사례였다. 비록 환구단 의례가 천자만이 지낼 수 있는 의례라는 이유로 축소되었지만, 그것을 농경의례로 분화시켜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자존적인 의례로 변화시키고 있었다. 한편, 실학적 지식인들의 권농대책은 근본적으로는 토지개혁을 지향하고 있었다. 따라서 주자권농문에 표현된 지주제 중심의 권농책과 다른 현실 개혁적인 논의로 나타났다. 반계의 경우 적전(籍田) 친경(親耕)을 간소화시키는 가운데 정전제를 응용하였고, 특히 진전(陳田) 개간이나 수리(水利) 시설 확보를 권농정책의 요체로 삼았다. 다산의 경우는 목민관이 농민을 위해 존재해야 한다는 개혁적인 발상을 제시하고, 나아가 농민이 부유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특히 『牧民心書』에서는 현재 시행할 수 있는 개간문제나 농기구, 농우(農牛)를 활용하는 문제 외에도, 앞으로 정전제도가 시행된 후 시행할 문제도 같이 언급하고 있었다. 양자의 권농 대책은 극단적인 방안이었지만 상호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18세기 영조나 정조의 경우 반계의『磻溪隨錄』을 다시 간행하도록 한 것은 실학자들의 권농책에 대해서도 국왕들이 참조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勸農策) in the late Joseon period by making a comparison between the traditional way of the ruling hierarchy and the reformed way of the ‘Silhak scholars(實學者).’ The latter showed the practical and reformative attributes while the former showed the slow and long term changes. It was the extreme contrast. First,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ruling hierarchy was proceeded in the Joseon’s way through the ‘rites to the heavens(祭天儀禮)’ and ‘agricultural ritual(勸農儀禮).’ Especially, ‘Sinocentrism(中華主義)’ becoming crack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se rituals were also nationally emphasized and conducted more autonomously. For instance, in the reign of King Yeongjo(英祖) and Jeongjo(正祖) ‘the ritual of Royal plowing(親耕儀禮)’ which had been conducted perfunctorily was changed practically by the King’s plowing real land. Furthermore, King Jeongjo elevated the position of the ritual of ‘Nam-dan(南壇)’ and ‘Pungu-Noewu-dan(風雨雷雨壇)’ to ‘Hwangu-dan(?丘壇)’ in the reign of King Sejo(世祖). Finally it could not help being diminished, as the ritual must be conducted only by the emperor. However, it was changing to the autonomous ritual as it was classified and emphasized as the ‘agricultural ritual.’ Secondly, ‘Silhak scholars’ propos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that aimed the reformation of landlordism. It was the actual reformative discussion,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policy of ‘Zhu Xi(朱熹)’ that had been based on the landlordism. For instance, Ban-gye Yu Hyoung-won(磻溪柳馨遠) made a application of Jeong-jeon system(井田制) by simplifying ‘the ritual of Royal plowing(籍田親耕)’. Especially, he regarded cultiv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s the key points of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For another example, Da-san Jeong Yak-yong(茶山丁若鏞) proposed the reformative thought that the governors(牧民官) were existing just for the peasants. Futhermore, he suggested the way the peasants could be wealthy. Especially, in Mok-min Sim-seo(牧民心書), the book he wrote, he spoke about not only the present problems in cultivation, farming tools, and farming cattle but also the future problems after the Jeong-jeon system implemented. Although the farm encouragement policies of the both sides were extremely different, they seemed to have mutual interactions. The fact that King Yeongjo and Jeongjo in 18th century republished Ban-gye su-rok(磻溪隧錄), written by Ban-gye Yu Hyoung-won, means that the kings of the dynasty also referred the farm encouragement policy of the ‘Silhak scholars’.

      • KCI등재

        고려 현종대 진휼정책과 권농정책

        이병희 고려사학회 2019 한국사학보 Vol.- No.77

        During the former half of Goryo, King Hyunjong served the nation as a monarch that rearranged the country and raised its status in East Asia with pride. It was thanks to the support of the people that Goryo was able to make many achievement in reform across many different fields in the nation and act with pride in its diplomatic relations overseas. The responses of the people derived from the government's active economic policies oriented toward "benefits for people." Based on this problematic consciousn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ief and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policies impleme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The relief policies covered tax exemption for farmers and Jindae(賑貸) to offer grain and articles to people at the national level. The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policies included the provision of seeds, farming cattle, and farming tools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multiplication of farming population. These two types of policies were characterized by good responses and developments according to given situations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There are records about the content of the relief policies in Jinhyuljo(賑恤條) of Sikhwaji(食貨志) of Goryosa(高麗史) and those about the content of the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policies in Nongsangjo(農桑條) of Sikhwaji of Goryeosa. There are total 231 articles between Jinhyuljo and Nongsangjo. Of them, 21 covered the reign of King Hyunjong. There was a measure every 2.06 years throughout Goryo's history of 475 years, whereas there was a measure every 1.05 years during the 22 years under the rule of King Hyunjong. These lead to a conclusion that there were more measures taken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than the other periods in Goryo. There were 13 measures during the former half of his reign from Year 1 to Year 9 and eight measures during the latter half of his reign from Year 10 to Year 22, which suggests that the relief and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policies were pushed forward more actively during the former half of his reign than the latter half. Many measures were taken in the third and ninth year of his reign when the local systems were largely arranged, which indicates that there were close relations between the relief and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policies and the local systems. The stability of people's livelihood and the sentiment of the people were sought after together in the balance between relief to ensure distribution and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to promote production. Based on this, many policies were able to achieve their expected results during the reign of King Hyunjong. 고려전기 현종은 고려를 재정립하였으며, 동아시아에서 고려국가의 위상을 당당하게 자리잡도록 한 군주였다. 현종대 국내 여러 분야 개혁에서의 많은 성과가 가능했던 것이나 대외 관계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민인의 뒷받침이 있었기 때문이다. 민인의 호응은 ‘爲民’을 志向한 적극적인 경제정책의 효과라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서 현종대 취해진 賑恤政策과 勸農政策을 주목하였다. 진휼정책에는 농민에 대한 賦稅免除와, 국가 차원에서 곡식이나 물품을 제공하는 진대조치가 포함되며, 권농정책에는 농업생산을 증진시키기 위한 종자・농우・농기구의 제공과 농업종사 인구의 증가가 담겨 있다. 현종대의 진휼과 권농정책은 그때그때의 사정에 대응하면서 펼쳐지고 있었음이 특징이다. 진휼정책의 내용은 『高麗史』 食貨志 賑恤條에 실려 있고, 권농정책은 『고려사』 식화지의 農桑條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진휼조와 농상조 기사를 합치면 모두 231건이 되는데, 그 가운데 현종대에 해당하는 것은 21건이다. 여기에서 고려 475년간에 2.06년마다 1건의 조치가 있었고, 현종대 22년간에 1.05년마다 1건의 조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다른 시기보다 현종대에 많은 조치가 있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현종 9년까지 전반기에는 13건의 내용이 보이고, 10년부터 22년까지 후반기에는 8건의 내용이 있어, 진휼・권농정책은 후반기보다 전반기에 활발하게 추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지방제도가 크게 정비되는 현종 3년과 9년에 많은 조치가 취해졌음은 진휼・권농정책과 지방제도가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분배에 해당하는 진휼과, 생산 증대를 꾀하는 권농, 兩者의 균형 속에서 민생의 안정과 민심의 규합이 가능했다고 판단된다. 이것이 바탕이 되어 현종대 여러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이다.

      • KCI등재

        고려시대 관료의 농업관과 농민의식

        김인호(Kim, In Ho)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4 No.-

        고려왕조는 농업 발전과 농민의 안정을 위해 권농에 노력하였다. 고려는 태조대부터 중농 이념을 펼쳤으며, 즉위 교서에서 궁예의 문제로 농업의 적절한 시기를 빼앗는다고 하였다. 그 결과 삼농을 빼앗지 않는 것이 권농의 핵심이었다. 권농은 ‘물탈농시’를 원칙으로 천인합일에 의한 유교적 농업관에 바탕을 두었다. 수령 등의 관료와 지역 세력가 등은 쓸데없는 역역 동원을 자제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물탈농시’의 농업관은 인간 노력에 대해 수동적이다. 국왕의 수덕 행위는 인간 심리를 안정시키는 역할을 하였을 뿐이다. 그 결과 권농 주체인 수령 오사의 첫 번째는 농지 개간 규정을 넣었다. 이후 조선왕조는 적극적인 권농의 주체로서 역할을 해야 하였다. 한편 고려시대 상업의 역할을 나름 중시하였다. 특히 숙종은 화폐 진흥책을 통해 사민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요컨대 「공방전」과 같은 반발이 있었지만 상업 자체를 억제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불교 승려의 사회적 존재가치를 인정하였다. 하지만 성리학 수용 이후 승려, 상인은 사회 정의를 해치는 존재로 인식되었지만, 상업과 공업을 없애는 것 대신에 세금을 부과하였다. 주자학은 지식습득에서 『대학』의 격물치지가 선행되어야 했다. 농업 지식은 격물치지의 수단이기에, 선비의 경우 지식이 필요하였다. 이전의 이규보는 농업 지식이 개인적 관심이었지만, 고려말에는 지식 보급을 위해 농서를 간행하였다. 민에 대한 인식 변화는 과거 농민의 존재가 관료나 지식인에게 통치의 대상이었다면, 고려말 이후 농민은 사와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정도전의 유배나 농촌 은거 지식인이 증가하면서 이 관계는 직분 상의 차이라고 보게 되었다. 성리학에서는 동일한 품성을 지니는 인간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농민은 통치 대상에서 벗어나 도덕적 함양이 가능한 존재가 되었다. 그 배경에는 고려후기 이래 농업생산의 발전과 자영농의 성장이 뒷받침되었다. The Goryeo Dynasty encouraged farming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e and the stability of farmers. The Goryeo Dynasty did not take away time for farming. This idea came from Confucianism. The government prevented local officials and local powers from mobilizing people to do construction work. However, ensuring time for farming was not an active policy. And the Goryeo Dynasty encouraged commerce. In particular, Sukjong(肅宗) told me to use money. The monk was socially recognized. Although the Goryeo Dynasty tried to defeat monks and merchants after accepting Neo-confucianism, it did not try to eliminate commerce and industry. Neo-confucianism regarded practical knowledge as important. Intellectuals argued that knowledge of agriculture was necessary. So a book on agriculture was created. The thoughts of the people changed in the end of Goryeo. Accordingly, the peasant was considered a human like the scholar. Seongrihak said that peasants and scholars have the same humanity. As a result, peasants have to develop morality, not subject to government control. The background of this was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ion and the growth of self-employed farmers.

      • KCI등재

        세종대 권농 실시와 농법 정리의 의의

        염정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규장각 Vol.58 No.-

        조선왕조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결정적으로 필요한 생산활동 즉 農業을 중심으로 世宗代에 『농사직설』이 편찬된 배경과 『농사직설』 편찬의 역사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세종대에 이르러 완성된 형태가 자리잡은 농정책에서 수령은 특히 권농을 직접 수행하는 책무를 짊어지게 되었다. 수령은 자신을 보좌하는 勸農과 監考 등의 직임을 두어 권농을 실행하였다. 조선 왕조 개창 이후 조선의 서적 편찬 사업 가운데 국가적인 차원에서 『농사직설』이 편찬된 것은 바로 그 시점에 조선(한국)의 농업기술을 정리하는 것이 절실하게 요구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15세기 초반에 『農事直說』이 편찬될 수 있었다. 그리고 『농사직설』의 農事를 직접적으로 다루는 農法 이외에 주술적인 택일법 등 다른 주장을 전혀 배제하고 있었다. 『농사직설』은 당대 하삼도 지역 老農의 농사 경험, 견문, 지혜를 문자화한 것이었다. 농민이 실제로 개발하고 전승한 농법을 기록한 것이라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농사직설』의 현실적인 보급 대상은 농민이 아니었다. 세종대 권농의 실시를 담당하는 책무를 지닌 수령과 수령으로 나서야 할 관료층이 바로 『농사직설』의 반포 대상이었다. 이점에서 세종대 권농의 실시와 『농사직설』 편찬이 서로 맞물리는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농사직설』은 편찬된 이후 조선의 농서 편찬에서 典範으로 간주되었다.

      • KCI등재

        1880년대 고종의 권농책과 서양농법 도입 논의

        염정섭(Yeom, Jeong-sup)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1 No.-

        고종은 조선의 先王과 마찬가지로 즉위한 이후 勸農綸音을 반포하는 권농책을 실시하였고 영조의 친경의례를 본받아 친경을 시행하였다. 1884년 왕실 직속의 農務牧畜試驗場를 설치 운영하였는데, 여기에서 崔景錫은 미국에서 획득한 見聞을 바탕으로 穀種 등을 시험재배하였다. 농무목축시험장의 활동 속에서 고종의 권농책이 서양 농법의 도입과 관련되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고종은 신무문 외곽 후원 지역에 국왕의 권농과 관련된 공간을 조성하였는데, 務本하는 정사에 힘쓰고 옛적의 重農하는 규범을 본받으려는 의지에서 나온 것이었다. 1880년대에 편찬된 농서 가운데 安宗洙의 『농정신편』, 鄭秉夏의 『農政撮要』, 池錫永의 『重麥說』 등 3종의 농서의 시비법 관련 내용에서 서양농법의 도입 논의를 찾아볼 수 있다. 안종수가 정리한 시비법은 서양농학기술의 원리에 의거한 것이라기보다는 조선의 앞선 시비법으로 거름재료를 활용법을 종합하고, 이를 五行원리로 실제 거름을 처방하는 것이었다. 정병하는 泰西(西國)에서 활용하고 있는 '空氣疎通之器'의 도입과 일본의 새로운 시비법으로 干鰯(메르치) 활용하는 법의 활용을 주장하였다. 池錫永은 보리에 대한 시비를 강조하였는데, 肥料水가 兩麥에 가장 적당하다고 주장하면서, 조선의 실정에서 求得할 수 있는 시비재료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시비법을 추천하고 권장하고 있었다. King Gojong distributed order for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almost every year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Gojong of Korea. Also in 1871 he celebrated Royal plowing in person similarly Yeongjo's celebration. In addition he established experiment station for farming and stockbreeding, Choi Gyeongseok managed this experiment station. We can assumed that King Gojong intended introduced western farming method through this experiment station. And King Gojong created the space for encouragement of agriculture in the area of the northern auspices part of outer-Sinmu Gate. He built Kyeongnongjae and DaeYuHeon. We can find the will to strive to scrutiny and wishing to present the norms of agriculture. We analyz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farming esp. in method of fertilization from three nongseos, NongJeongSinPyeon(New Manual for Agriculture) compiled by An, Jongsoo, NongJeongChwalYo(Brief Summary for Agriculture) compiled by Jeong, Byeongha, JungMaekSeol(Theory of Barley's Importance) compiled by Ji, Seokyeong. These three nongseos was compiled in the 1880s, we can find the nature of the discussion the introduction of Western farming. The synthesis method that utilizes a lot of fertilizer materials based on advanced method of fertilization technology with reference to the principles of western agriculture. In the case of anchovy, we find that the new Japanese method of fertilization imports.

      • KCI등재

        조선후기 풍속화의 農繁期 들밥(饁)과 술(酒)

        유옥경(Yu, Okkyong)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美術史學 Vol.- No.27

        조선후기 풍속화에 나타난 농번기 음식과 관련된 행위의 이미지, 즉 봄에 논밭을 갈고 여름에 김매고 가을에 추수하는 장면 속의 들밥을 내어오는 여인과 술 항아리를 들고 따르는 아이, 그리고 내어온 음식을 함께 먹는 농부들의 표현은 농사의 때를 제 때에 맞추어 부지런히 일함의 상징이었다. 尹斗緖, 鄭敾, 趙榮?, 金斗樑·金德夏, 金弘道, 金得臣, 劉淑, 李昉運 등이 남긴 田野風俗像은 화본이나 상상속의 모습이 아닌 살아 숨 쉬는 사실의 진정성이었다. 들판의 始終 광경을 그림으로 잘 나타내어 勸農目的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農家의 풍정을 통해 ‘태평성대’를 표상하는 조선의 통치 이념인 四季의 秩序, 生産, 無逸精神에 토대를 두고 있는 爲民的 성격의 예술의 표출로 검토된다. 또한, 농번기 노동에 제공된 들밥과 술은 수고한 농부들의 배고픔과 갈증을 해소시켜주는 勸農振作의 慰勞飮食이었다. ‘밥’은 모든 음식의 대명사였으며, 반찬은 그 철에 맞는 맛을 많게 하여 기운을 기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술은 조선시대 酒禁啓導의 과정 중에서도 권농정책의 일환으로 농번기 힘든 일을 하는 농부들에게 허용되었고, 이는 금주계도 속의 얼핏 모순되어 보이지만 국가를 운영하는 데 있어 중요한 측면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나 본고에서의 음식과 관련된 행위의 모티프가 화면 전체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의미 규명, 그리고 그 가운데에서의 음식에 대한 검토가 완전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회화 작품의 표층적인 이해가 아닌 한 시대의 문화풍조와 시대상의 일면을 읽어낼 수 있는 심층적 분석의 기반으로서, 시각문화론적 측면에서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접근하였다. Images related with the farmers eating in the field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captured by genre painters of late Joseon, such as those of women carrying deulbap followed by their children carrying wine pots, and farmers eating the food brought to them in the paintings capturing the farmers busy in the field tilling soil in spring, weeding in summer, and harvesting in autumn symbolized diligence and hard work of the Korean farming communities. The "Scenes of Folk Customs in the Field" (田野風俗像) captured by great painters of late Joseon such as Yun Du-seo, Jeong Seon, Jo Yeong-seok, Kim Du-ryang, Kim Deok-ha, Kim Hong-do, Kim Deuk-sin, Yu Suk, and Yi Bang-un are characterized by "real scenery," not certain imaginary landscapes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from old masters, that capture truthful fragments of real lives of common people. Their genre paintings depicting the farmers in the field were largely produced to boost agricultural productivity. The paintings took the scenes of idyllic rural life to represent a peaceful reign, performing their function as works of art to express the governance for the welfare of people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that valued the order of the four seasons, bounty of nature, and diligence. The deulbap and drinks offered to the farmers working hard in the field during the busy farming season were then intended to comfort the farmers by easing their hunger pangs and quenching their thirst and promote the importance of farming. For Korean farmers, the cooked rice the call Bap represented all the food they eat to survive while the side dishes, largely made of seasonal products, symbolized the energy they received from nature. While the Neo-Confucian ruling elites of Joseon emphasized the harm of consuming alcohol, they allowed farmers toiling in the field to drink alcoholic beverages as an effort to boost agricultural production. My discussion in this study about the motives of the activities related with food depicted in the genre paintings, and the significance of eating in the farming field may not be persuasive enough. My approach in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significance of the genre paintings in connection with visual culture and contribute to laying a foundation for in-depth analyses leading not to shallow understanding on the paintings but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ociocultural aspects of the era when the paintings were produced.

      • KCI등재

        숙종대 명사(明史) 진강과 명 사적의 재인식 - 『황명통기(皇明通紀)』의 진강을 중심으로 -

        윤정(Yoon, Jeong)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4 No.-

        본고는 숙종 후반 처음으로 진강된 명사에 대한 인식을 『황명통기(皇明通紀)』를 매개로 살펴본 것이다. 명사가 사서(史書) 진강의 대상이 된 것은 당대사의 범주에서 벗어났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조선 조정이 공식적으로 明이 멸망한 과거의 왕조임을 천명하는 것이었다. 『황명통기』는 명대 당대사로 편찬된 직후 조선에 유입되었는데, 이에 대한 인식은 비판적이었다. 이러한 인식은 임진왜란 후 명의 전례(典禮)가 강조되고 명 사적을 이해하는 전거로 활용되면서 변화하였고, 숙종대 진강교재로 채택되었다. 명대 사적 중에서 현안과 관련하여 논란이 되었던 것은 명 세종(嘉靖帝) 때 있었던 사친(私親) 추숭(追崇)이었다. 『황명통기』는 저자인 진건(陳建) 당대에 있었던 추숭에 대해 긍정적이었고 광해군과 인조가 명의 사적을 명분으로 사친을 추숭하여 현종대까지도 이에 대해 비판적인 기조가 이어졌다. 하지만 숙종은 역사적 전례를 매개로 원종 추숭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제기하는 신하들에게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이에 따라 인조 왕계의 시원으로 가지는 원종의 위상이 정립되고 추숭에 대한 부정적 입론이 약화되었다. 이와 함께 건국 과정에서 갈등을 빚었던 명 태조(洪武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병자호란 후 북벌(北伐)과 권농(勸農) 등 긍정적인 요소가 지적되곤 하였지만 형정(刑政) 운영 등을 매개로 비판적인 인식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인식은 숙종대 들어 명 태조의 권농정책과 예제정비를 매개로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숙종대 당시 북벌(北伐)을 폐기하고 내수(內修)를 위한 정책을 실시하는 정책기조의 전환과 궤를 같이 하는 것이었다. This piece of writing examines the perception of Ming-Shi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the royal study sessions during the latter half of King Sukjong"s reign through 『Hwang-myeong-tong-gi(皇明通紀)』. That the history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included Ming-Shi means the history lecture overstepped the bounds of contemporary history, and it also means the royal government in Joseon officially defined its standpoint that Ming dynasty(明) was fallen dynasty. After being compiled as contemporary history of Ming dynasty, 『Hwang-myeong-tong-gi(皇明通紀)』 came into Joseon. And in King Sukjong"s reign, it was selected as a textbook for the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The most notable change in the process of lecture in the royal study sessions was raising king"s real parents" rank(私親追崇) in the reign of King Sejong of Ming(嘉靖帝). Because King Gwanghaegun and King Injo raised their real parents" rank based on precedents of Ming dynasty,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on the issue. However, King Sukjong stood firm against vassals who criticized the issue of raising Wonjong"s rank based on historical precedents. Thus, the status of Wonjong as the origin of King Injo"s royal genealogy was established and negative opinions on raising his rank became weakened. In addition, because of operating penal administration(刑政), the perception of King Taejo of Ming was critical. However, the perception of King Taejo of Ming have changed positively through active agriculture encouragement policies and organization of ceremony. This perception provided historical justification for abolishing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北伐) and implementing policy for domestic demands(內修).

      • KCI등재

        순조대 초반 권농책(勸農策)의 시행과 양전(量田) 추진

        염정섭 ( Jeong Sup Yeom ) 역사교육학회 2013 역사교육논집 Vol.50 No.-

        This essay aims to describe the front and the rear circumstances in King`s order of agriculture promotion, the dispatch of secret royal inspector, Yangjeon(Land Survey) plans and propels. King Sunjo(純祖), the king after King Jeongjo(正祖) was only 11 years old when he first became the king. He didn`t miss the King`s order of agriculture promotion, which became King`s routine agriculture promotion. Emulating Jungjo, he also poclaimed King`s order of agriculture promotion, which written by himself. Also he emphasized agriculture promotion, at every place of receptioning with officers. In 1808, at the age of 19, Sunjo struggled to take the lead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by his own will. Sunjo`s struggle for the government administration also took place in enforcement of agriculture promotion. In 1809 march, Sunjo unprecedently poclaimed King`s order of agriculture promotion, which made governor of a county investigate people`s difficulty and hardship. King Sunjo modeled King Jungjo`s order of agriculture promotion which made governor of a county investigate people`s difficulty and hardship. at 1798. Sunjo mobilized governor of a county to apprehend Joseon`s state and make solutions for them. King Sunjo accepted dispatch of secret royal inspector to many districts as one of the policy for agriculture promotion. King Sunjo sent secret royal inspectors to all around the country to inquire people`s difficulty and hardship in 1808. The regulation imposed to secret royal inspector, which called ``Jaegeosamok``, contained many parts of policy for agriculture promotion. Most of the duty of the secret royal inspector was whether governor of a county carried policy for agriculture promotion or not. The most tipical point of policy for agriculture promotion during the Sunjo`s reign was the part of founding and propel of Yangjeon (Land Survey). As the 19th century beginned, the controversy about the Yangjeon(Land Survey)`s necessity rose. From the year 1811 there was opinion that the Yangjeon (Land Survey) is necessary. Opinion pro and cons Yangjeon rose and argued, at last the propel of Yangjeon was decided at 1819. As the work to enforce Yangjeon was progressing, in August 1820 Jeolla district governor Yi, Seogu`s cons proposal Yangjeon, which was admit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propel of Yangjeon stopped. The goal of Yangjeon work at those times was centered to equality of imposition of tax. They tried to eliminate the factors that made inequality in imposition of tax, and they was also aimed to clear the corruption of landed gentry and make profits go to the nation and the commoners.

      • KCI등재

        『四時纂要』가 조선 전기 농업사에 끼친 영향 : 重刻本 『四時纂要』를 중심으로

        안현철(Ahn, Hyun-Cheol) 부산경남사학회 2024 역사와 경계 Vol.129 No.-

        본고는 선조 24년에 판각된 『四時纂要』(重刻本)를 통해 조선 전기 농업사에 어떤 영향이 있었는지를 살펴보겠다. 唐末 五代 시기에 저술된 이 책은 중국 뿐만 아니라 한반도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 책이 한반도로 유입된 시기는 고려 말로 추정된다. 한반도에 유입된 이후 조선 세종 시기 권농을 위해 활용되었으나 세종 이후 수령들이 권농에 관심을 가지지 않게 되면서 『사시찬요』가 사람들에게 서서히 잊혀진다. 그러나 15~16세기 조선에서는 국가, 지방관, 지식인들이 여러 農書를 편찬하였다. 이런 환경은 『사시찬요』를 발견한 유희잠과 박선도 그 영향을 받았다. 두 사람은 이 책을 전파하고자 했으나, 자본문제로 힘들었다. 그러나 박선이 경상좌병사가 되면서 重刻本을 판각한다. 박선의 발문에서 판각한 이유를 분명하게 자본이 해결되었기 때문이라고 분명하게 언급하였다. 그러나 박선이 근무한 당시 울산은 왜구로 인한 외부적인 피해, 부정부패 및 자연재해 등의 문제로 인해 힘든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중각본을 판각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This paper will look at the impact 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rough the 『sìshízuǎnyào(四時纂要)』(重刻本) engraved in the 24th year of King Seonjo. Written at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book affected not only China but also the Korean Peninsula. It is estimated that the book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After its introduction to the Korean Peninsula, it was used for Kwonnong during the King Sejong period, but after Sejong, the leaders were not interested in Kwonnong, and 『sìshízuǎnyào』 was slowly forgotten by people. However,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of Joseon, the state, local officials, and intellectuals compiled several agricultural books. This environment was influenced by Yoo Hee-jam and Park Sun-do, who discovered 『sìshízuǎnyào』. The two tried to spread this book, but it was difficult due to capital problems. However, as Park Sun becomes a left soldier in Gyeongsang Province, he engraves 重刻本. In Park Sun’s statement, it was clearly mentioned that the reason for the engraving was that capital was clearly resolved. However, at the time Park Sun worked, Ulsan was in a difficult situation due to problems such as external damage, corruption, and natural disasters caused by Japanese pirates. It is presumed that the engraving was made while solving this situation.

      • KCI등재

        신라 尼師今 시기 왕권의 추이

        이기봉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71

        This article examines the transition of royal authority during the Isageum period of Silla, with a focus on the king’s ruling activities. Special attention is given to actions directed toward officials and commoners. During this period, officials were rewarded for their military achievements, and there were also instances of punishment.. This examination reveals that during the Isageum period, the king aimed to assert his position as the supreme military commander by rewarding and punishing officials. During the Isageum period of Silla, disasters occurred frequently, leading to various damages. However, the response to these disasters was not proactive. Although droughts and floods occurred frequently, effective responsive measures such as promotions or tax reductions were rarely implemented. During this period, there were efforts by the king to stabilize the livelihood of the people through agricultural encouragement policies but these efforts also had certain limitations.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inadequate response to disasters that harmed the people after the king’s agricultural encouragement measures were implemented through royal decrees. 이 글에서는 신라 尼師今 시기 왕권의 추이를 국왕의 통치행위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이 중에서 官人과 民을 대상으로 한 행위에 관심을 두었다. 이 시기에는 군사적 공로를 세운 관인에 대한 포상이 이루어졌으며 처벌한 사례도 찾아진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신라 이사금 시기에 이루어진 국왕의 관인에 대한 포상과 처벌은 자신이 군사통수권자로서의 위상이 있음을 알리고자 하는 목적에 이루어졌다고 보았다. 신라 이사금 시기에 災害는 자주 발생하여 다양한 피해로 이어졌다. 그렇지만 이러한 재해에 대한 대응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旱災와 洪水가 빈번하게 발생하였지만 이에 대한 사후 대책으로서 가장 효과적이었던 진급이나 조세감면과 같은 대응 조치가 이루어진 경우는 적었다. 이 시기에는 국왕이 권농정책을 추진하여 민생의 안정을 도모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이 역시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 이는 下令을 통한 국왕의 권농조치가 시행된 이후에 민들에게 피해를 야기한 재해에 대한 대응양상이 미비하였다는 점을 통해서 짐작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