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특징

        이문기 대구사학회 2024 대구사학 Vol.155 No.-

        이 논문은 지금까지 제대로 검토되지 않았던 1907년에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의 종류와 그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07년 대구에서 작성・배포한 국채보상운동 취지서는 모두 4종이었다. ㉮대구광문사가 1907년 1월 31일에 작성한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1차 취지서」), ㉯대동광문회가 2월 중순 경에 수정한 「국채보상취지서」(「2차 취지서」), ㉰‘대구금연상채회’가 2월 21일에 작성한 「국채담보취지서」 및 ㉱이와 동시에 작성한 「통문」이 그것이다. 이 4종의 취지서는 국채보상의 필요성과 방법론 등 대의 면에서는 상통하는 바가 많지만, 교정과 윤문, 필요에 따른 구절의 첨삭 등으로 서술에서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엄연히 구별되는 별도의 문건이었다. 둘째, 대구광문사가 작성한 「1차 취지서」인 「국채일천삼백만원보상취지」는 대구광문사 사장 김광제와 부사장 서상돈 명의의 공함 형식으로 국내외에 널리 배포된 문건이었다. 발의 직후인 1907년 1월 31일에 발표된 이 「1차 취지서」에는 대표 발기인인 김광제・서상돈 외에도 광문사 사원 장상철 등 14명이 발기인으로 함께 참여하여 그 수는 도합 16명이었다. 이 「1차 취지서」의 개요는 국민들의 충의가 국가의 흥망을 좌우한다는 원론, 우리 민족의 현실에 대한 자책, 국채로 인한 국가적 위기와 국채보상의 필요성, 금연으로 국채를 보상하자는 방법론의 제시 등으로 요약될 수 있는데, 그 주지(主旨)는 이후 「2차 취지서」와 「국채담보취지서」 및 「통문」에까지 계승되어 국채보상운동의 불변의 지표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 문건은 1907년 2월 21일자 대한매일신보 에 게재되어 대구에서 전국 최초로 국채보상운동이 발의・발기되었음이 전국에 알려져 운동의 확산과 동참을 이끌어내는 기폭제가 되었다. 셋째, 대동광문회가 「1차 취지서」를 수정한 「2차 취지서」는 「국채보상취지서」라는 제목으로 1907년 2월 중순 경에 발표되었다. 발기인은 대표 발기인이었던 김광제와 서상돈을 필두로 하여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과 회원 13명이 참여하여 외형상 도합 17명이었다. 그러나 여기에는 김광제가 중복 포함되어 사실상 16명이었다. 다만 「1차 취지서」의 발기인 중 광문사 사원 권석우・최일홍・김봉준・박병옥 등 4명이 제외되고 그 대신 대동광문회 회장 박해령・회원 서병오・정재덕・추교정 등 4명이 새로 참여하는 변화가 있었다. 「2차 취지서」는 글의 형식을 편지글에서 취지서 형식으로 바꾸었고 새로운 제목을 내세웠으며 자구에 대한 부분적인 수정과 윤문을 가하여 작성한 새로운 문건이었다. 넷째, 1907년 2월 21일 ‘대구금연상채회’는 「국채담보취지서」와 「통문」이라는 제목으로 2종의 취지서를 동시에 작성・발표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이전의 「1・2차 취지서」의 대의를 그대로 계승했지만 가상 독자층을 서로 다르게 상정한 점이 특징이었다. 전자는 보다 읽기 쉬운 현토(懸吐)한 국한문 혼용체의 평이한 문장을 구사하여 다수의 대중을 대상으로 삼은 데 비해, 후자는 유교 경전의 구절이나 역사고사 등을 인용한 순한문체의 문장을 사용하여 지역 향교를 거점으로 하는 향촌 지식인들을 그 독자층으로 설정하였다. 이 2종의 취지서는 주로 경북 내 대구 등 41개 향교를 중심으로 배포되어, 이후...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which has not been properly reviewed until now. A summary of what was revealed i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 total of four types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prospectus written and distributed in Daegu in 1907. ①Daegugwangmunsa's 「National debt 13million-won repayment prospectus(國債一千萬圓報償趣旨)」(「the 1st prospectus」) prepared on January 31, 1907, ②「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國債報償趣旨書)」(「the 2nd prospectus) revised by Daedonggwangmunhoe in mid-February, ③「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國債擔報趣旨書)」 prepared by the ‘Daegugumyeonsangchaehoe’ on February 21st, and ④「The Public Document(通文)」 prepared at the same time by the same organization. Although these four types of prospectus have much in common in terms of the purpose, such as the necessity and methodology of national debt repayment, they were clearly separate documents with partial differences in description due to proofreading, revision, and correction of passages as necessary. Second, 「the 1st prospectus」 written by DaeguGwangmunsa was a document widely distributed in the name of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In this 「the 1st prospectus」 announced on January 31, 1907, including Gwangmunsa employee 14people participated as promoters. The outline of this prospectus can be summarized the main note passed down to later prospectus and became an immutable indicator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addition, this document was published in the DaehanMaeil Shinbo on February 21, 1907, making it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that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was first initiated in Daegu, and became a catalyst for the spread and participation of the movement. Third, 「the 2nd prospectus」, which was a revised version of the 「1st prospectus」 by Daedonggwangmunhoe, was announced around mid-February 1907 under the title 「The the National debt repayment prospectus」. The promoters were 16 people in total, led by Gwangmunsa President Kim Gwang-je and Vice President Seo Sang-don, who were the main promoters, as well as Daedonggwangmunhoe Chairman Park Hae-ryeong, Vice Chairman Kim Gwang-je, and association members. However, this is a change in which four of the 16 promoters of the 「the 1st prospectus」. 「The 2nd prospectus」 was a new document written by changing the format, introducing a new title, and adding partial corrections and revisions to the wording. Fourth, on February 21, the Daegugumyeonsangchaehoe simultaneously prepared and announced two types of statements titled 「The National debt collateral prospectus」 and 「The public document」. These two types of prospectuses inherited the purpose of the previous 「1st and 2nd prospectus」, but were characterized by assuming different virtual readerships. The former targeted the majority of the public by using simple sentences, while the latter used sentences in a pure Chinese writing style that quoted passages from Confucian scriptures or historical events. Local intellectuals based at local Confucian schools(鄕校) were selected as the readership. These two types of statements were mainly distributed to 40 local schools in the Gyeongbuk, contribut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in the Gyeongbuk region.

      • KCI등재

        충북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지역운동사상 의의

        김형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1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69

        The National Dept Repayment Movement which started from Dagu on February in 1907 rapidly spreaded across the country. Regional agencies for the repayment organized by Do, Gun, Myun(Korean civic units) announced its ‘prospectus’ and opened fundraising. Chungbuk province started the fundraising at the beginning of March. There were 10 repayment agencies in the province including Hojung Dept Repayment Organization(호중국채보상의조회), Okcheon No Smoking Repayment Organization(옥천단연의무회), Jincheon Dept Repayment Organization(진천 국채보상회), Boeun Deptm-No Smoking Repayment Organization(보은 국채보상단연동맹회), Yeongdong Dept Repayment Organization(영동국채보상회). In fact, such groups leaded the donation. Civic centers or main traffic hubs such as Cheongju, Chungju, Okcheon, Jincheon engaged in the donation activity earlier than any other regions. Proportionally to it, the activity got a fruitful income. Generally, people donated a specific sum of money as to their living standard. Some organizations such as family groups based on strong blood ties actively took part in the donation. Participation of confucian scholars was one of catalysts for encouraging voluntary donation of many people in the region. Merchants also actively donated in response of economic aggression by Japan. Even thieves donated and this developed into national movement. But Religious groups don’t engaged in this movement going along with the atmosphere. The movement of National Dept Repayment in Chungbuk province sunk into a swamp of stagnation since August like any other provinces. But people in the province started to find a new social order. They realized their social duties through an deep understanding on reality and self awareness. The movement started for economic independence from Japan developed into social reform. Various economic movements such as the Movement for Local Product Promotion(물산장려운동) in Japanese colonial rule began from this historical context. 1907년 2월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일시에 국내외로 확산되었다. 행정구역인 군을 단위로 조직된 국채보상회는 「취지서」를 발표와 동시에 모금활동을 적극적이었다. 충북지방은 3월 초부터 본격적인 의연금 모금에 들어갔다. 한말 국채보상운동이 지닌 역사적인 의의는 바로 여기에 찾을 수 있다. 도내 조직된 국채보상회는 호중국채보상의조회ㆍ옥천 단연의무회ㆍ진천 국채보상회ㆍ보은 국채보상단연동맹회ㆍ영동 국채보상회 등 최소한 12개소 이상이었다. 이러한 조직은 의연금 모금을 사실상 주도하는 중심단체였다. 청주ㆍ충주ㆍ옥천ㆍ진천 등 행정ㆍ상업도시나 교통 요충지는 비교적 일찍부터 의연활동을 추진했다. 성과도 이와 비례할 만큼 활성화로 나타났다. 모금 방식은 생활 정도에 따라 일정한 금액을 배렴ㆍ갹출하는 등 향촌공동체 운영원리를 활용하였다. 강한 족적 기반에 근거한 문중 조직이나 친위대ㆍ상무사 등 공동조직체는 의연금 모집에 적극 활용되었다. 유생 참여는 주민들로 하여금 자발적인 동참을 유도하는 요인 중 하나였다. 상인층 적극적인 동참은 경제적인 침략에 대한 자구책 일환이었다. 심지어 죄수ㆍ도둑ㆍ백정ㆍ걸인 등 사회적으로 가장 천시되었던 계층도 참여했다. 이는 국민운동으로 진전할 수 있는 요인이었다. 반면 종교계는 동참은 거의 찾아볼 수 없는 분위기였다. 국채보상운동은 8월 이후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침체기에 직면하였다. 그러나 충북인은 이를 통하여 새로운 사회질서를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현실인식 심화와 자아각성 등은 사회적인 책무를 일깨우는 요인이었다. 자립경제 도모를 위하여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은 변혁운동으로 승화되어 나갔다. 일제강점기 물산장려운동 등 경제운동은 이러한 역사적인 연원에서 비롯되었다.

      • KCI등재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자료를 통해 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성격

        심상훈(Shim, Sang-Hun) 동아인문학회 2015 동아인문학 Vol.33 No.-

        이 글은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소장하고 있는 「성산이씨 홍와고택」 고문서 중 국채보상운동과 관련한 자료를 중심으로 경북지역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양상과 그 특징을 정리한 것이다. 「성산이씨 홍와고택」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자료는 고서 1,739책, 고문서 7,952점, 기타유물 37점 등 모두 9,728점에 달하는 방대한 분량이다. 그 가운데 주목할 자료는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로서 약 50여종이며, 국채보상운동의 전후사정을 알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 특히 또한 국채보상운동의 쇠퇴 후 모금한 기금을 신학교 건설을 위한 자금으로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간찰 등도 확인되었다. 국채보상운동 관련 자료는 운동이 시작되기 전의 상황과 고령 지역에서의 활동 내역, 이후 의연금의 사용 내역 등이 고스란히 전해져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과정과 독립운동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이다. 고령지역 국채보상운동은 혁신유림이 주도하는 가운데 ‘대동단결’에 의한 사회질서를 모색한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성리학적 지배질서를 통한 향촌공동체의 강화, 즉 한주학파는 시대의 흐름을 보아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향촌 자치에 입각한 유교의 보편주의를 내세우게 되었다. 개항 이후 경북 고령은 유림의 본고장으로 충의관에 입각한 변혁운동을 도모했던 지역이다. 이른바 한주학파는 전통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서구사조를 수용하는 데 적극적이었다. 사회진화론이나 만국공법 수용은 ‘교조적인’ 성리학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 유연한 입장을 견지할 수 있었다. 명성황후 시해사건이나 단발령시행에도 직접적인 저항보다 일제 침략의 불법성을 열강에 적극적으로 알리는 데 노력하였다. 이러한 인식은 이후 일제 침략과정에 그대로 투영되어 실천적인 문제로 귀결되었다. 국채보상운동은 처음부터 순수한 애국 충정에서 각지에서 자발적으로 일어난 것으로서, 전국적인 통일된 지휘체계 하에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때문에 일제의 방해・탄압 책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끝내 좌절되었던 것이다. 운동이 비록 좌절로 끝나긴 하였으나 국권 회복을 위한 투쟁의 하나로서 그 역사적 의의는 큰 것이었다. 국채보상운동에 참여한 수많은 대중들은 자신들이 국가의 주인이라는 국가의식을 크게 신장시켰으며, 동시에 민족공동체 의식을 깨우치게 되었다.

      • KCI등재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현대적 계승에 관한 몇 가지 해석과 논점

        정재요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1 대구경북연구 Vol.20 No.1

        What can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be inherited today? This paper consists of experimental level of exploration of this question. Searching for the spirit of the times through the spirit of history will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continuation of the community. In this context, the main text examines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t the level of ‘sharing pain: sociology of overcoming crisis’, ‘sharing rights: politics of human rights development’, and ‘sharing goods: economics of profit solidarity.’ In addition, the main text focuses on declaration of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a medium that connects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examines the presentization of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research plan,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was interpreted in the following points. The importance of community solidarity, the development of human rights for the socially weak, the establishment of a democratic public sphere, the introduction of a tax system for vertical equality etc. They provided some implications for seeking the spirit of today's times as an interpretation based on the spirit of sharing,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derived from the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s such, the spirit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can function as a historical spirit useful for seeking sustainability of the democratic republic as an ideological resource of the community that encompasses the whole era.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오늘날 어떠한 내용으로 계승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시론적(試論的) 수준의 탐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정신을 경유하여 오늘의 시대 정신을 모색하는 것은 공동체의 지속요건에 대한 중대한 시사를 제공해줄 것이라는 판단 하에, 본고에서는 국채보상운동 정신을 ‘고통의 나눔: 위기 극복의 사회학’, ‘권리의 나눔: 인권 신장의 정치학’, ‘재화의 나눔: 이익 연대의 경제학’의 수준에서 각각 검토해본다. 아울러 본문에서는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공공기억의 매개로 특히 국채보상운동 취지서에 주목하여 국채보상운동 정신의 현재화를 고찰해본다. 이상과 같은 기획에 따라 연구를 수행한 결과 오늘날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공동체 연대의 중요성, 사회적 약자의 인권 신장, 민주적 공론장 구축, 수직적 평등을 위한 조세제도의 설계 등의 수준에서 해석될 수 있었다. 이들은 국채보상운동 정신에 내재한 시대초월적인 가치인 나눔과 책임정신 그리고 연대 정신에 입각한 해석으로서, 오늘의 시대 정신을 모색하는 데 일정한 시사를 제공해준다. 이처럼 국채보상운동 정신은 과거-현재-미래를 아우르는 통시적이고 항구적인 공동체의 사상적 자원으로서, 민주공화국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역사 정신으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강원도 국채보상운동의 전개양상과 지역운동사에서 위상

        김형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5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2

        The study on the National Dept Repayment Movement in Gangwon­do merely referred to Wonju and Hongcheon province, so its general reality was not grasped. The social anxiety according to imperfect means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facilities and the spread of war of righteous army was an obstacle of progress of the movement. The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and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world was closely related with the these historical background. The dept repayment agency was committed to lead the movement a certain extent that fourteen agencies were organized in Gangwon­do. The prospectus was dominated by the contents to attract population to voluntary and emulous participation. Given the number of population and economic environment, it is right to say that the number of participation and amount of funds got abreast of other provinces. The 6,412 won which was raised in June 1907 was the best fund in the whole provinces. The participation of Korean geisha called ‘8 Fairies in Gangneung’ and Buddhist monk of Geonbongsa Temple in Gaseong became a fresh impetus.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organization was as yet unconfirmed but they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individually. The opposite to forceful assignment of funds per household have important implication for the collection of subscriptions. Because it disproved that with the voluntary participation, the fund was raised by the force of country districts community. The fact that the market day and Hyanghoeil(鄕會日) were chosen to the day of propaganda and publicity was not estranged to that. Moreover it revealed vividly the atmosphere that the fund­raising activities was developed through the reflecting public opinion. It is worthy of notice that the fund­raising through units such as family and village, which mutual aid, beautiful and fine custom, met to changing social need was the new method. The awakening of self and deepen of awareness of a reality through experience was connected to participation in reform movement. During the time of war of righteous army, the Korean people was active to overthrow the contradiction through establishing the private school and night school. It was accepted as a social and national duty. In this, we could find out the historical meaning and character of National Dept Repayment Movement in Gangwon­do. 강원도 국채보상운동은 원주ㆍ홍천 등지만이 언급되었을 뿐 전체적인 실상을 제대로 파악할 수 없었다. 미비한 교통ㆍ통신시설이나 의병전쟁 확산에 따른 사회적인 불안 등은 국권회복운동 진전을 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정보 교류나 외부 세계와 소통 부재는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과 밀접한 연관성을 지닌다. 의연금 모금을 주도한 국채보상회는 도내에 14개소나 조직될 만큼 왕성한 활동을 전개하였다. 취지서 내용도 주민들 자발적ㆍ경쟁적인 참여를 견인하려는 내용이었다. 참여자나 모금액수도 다른 지방에 비하여 결코 뒤지지 않았다. 당시 인구수나 경제적인 여건 등을 감안하여 비교할 때에는 더욱 그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1907년 6월 1개월 동안 모금된 6,412원은 전국에서 가장 최고를 차지하였다. ‘강릉8선녀’로 지칭되는 기생들, 고성 건봉사 승려와 학생들 참여는 신선한 자극제였다. 여성들은 단체에 의한 조직적인 활동상을 찾아볼 수 없지만 모금 대열에 동참했다. 가구당 강제적인 할당에 대한 반대는 의연금 모금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자발적인 참여와 함께 ‘향촌공동체적’ 강제에 의하여 모금된 사실을 반증하기 때문이다. 장날이나 향회일 등을 선전과 홍보일로 선택한 사실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나아가 여론 수렴을 통하여 모금활동이 전개된 분위기를 생생하게 보여준다. 문중이나 동리 단위 모금은 상호부조라는 미풍양속을 시대변화에 부응한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되는 부분이다. 체험을 통한 자아각성과 현실인식 심화는 변혁운동 참여로 이어졌다. 의병전쟁 와중에도 주민들은 사립학교나 야학을 설립하는 등 모순타파에 적극적이었다. 이는 사회적인 책무이자 국민적인 의무로서 인식되는 계기였다. 강원도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적인 의의나 성격은 바로 여기에서 찾아진다.

      • 한말 서산지역의 국권회복운동

        김형목(Kim Hyung-Mog)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09 충청문화연구 Vol.2 No.-

        A sudden and rapid social change was bright about since in the late of 19c in Seosan region. An immanent factor and a mutual communication via the outside of the world could grope a new public order and change his value together. japanese settlement also became a field for experiencing a foreign culture to the local residents. A land plunderage and a loan sharking conducted by japanese led to awake the anti-japanese and resistant movement against japanese. The expansion of the later righteous army war was related with the background mentioned above. In spite of the enthusiasm and eagerness against brutal aggression conducted by japanese, the righteous army war brought about serious casualties and couldn't achieve the expected results, but succeeded indomitable resistance spirit awakening the independence will against the invasion of a foreign country. The Soe-san and Hae-mi branches of Ghi ho heung Hak hoe organized among the ex and present government officer, educationist and man of property. The spread of enlightenment activity and its voluntary participation became a chance to open their eyes as the social existences. The improvement of the public intellect was a matter of the enlightenment organization's highest priority. The modern education was led by private schools. Some of the representatives were Hae-myoung school, Seo Ryeong school and II-Sin school. Most of the curriculums were elementary school course, but some of them were taught languages such as English or Japanese. However, the modern education movement couldn't avoid poor state on the whole. It was beyond their capacities to meet variation of the times with mutual relationship exchanging just only between residents. The National dept redemption movement started late comparing with the that of Chon An, Hong Sung, Ye San region. The leading members consisted of the ex and present government officer, man of property, renovated Confucian scholar or merchant. The way of fund raising was distribution operated country districts community. The contribution money was generally recognized as responsibility one. The positive and active participation of merchants could lead the residents to recognize a national dept cause a collapse of the 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