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 대학교육 도입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백종면,박양근 한국취업진로학회 2012 취업진로연구 Vol.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고 적용 방안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 저 문헌조사를 통해 NCS의 우리나라 도입 배경과 개념 그리고 개발 현황과 시범운영 결과를 파악하였 다. 그 다음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정부출연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표준을 도입 또는 활용하는데 있어서 의 제약요인을 파악하고 그 해소 방안을 도출하였다. 4년제 대학에서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활용을 제약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는 먼저, 학문의 지식 과 이론체계, 지식방법론 등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학문 지향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현장의 실무 직무능력의 표준화를 통해 현장기술인력이나 중견기술인력 양성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NCS기반 교육 과정은 고급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는 그 적용이 적절하지 않다고 보기 때문이다. 두 번째 요인은 NCS기반 교육과정의 도입을 위해서는 기존 교육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와 교육과정 개편이 불가피한데 이로 인한 전공 불일치 해소와 교수인력의 충원,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 의 확보 등이 현실적 제약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제약요인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4년제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 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하며, 둘째, 4년 제 대학의 경우에는 전문대학 등 직업교육기관과는 달리 NCS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가 구조적, 의식적으로 어려우므로 지금처럼 소수의 과정을 NCS기반 교육과정으로 시범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는 데 그쳐서는 안 되며 보다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nd suggest the ways of applying it as a means of promoting the field-suitability of education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do thi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e background, concepts and status of the NCS were identified together with the pilot operating results. Then the interviews of policy-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constraints in utilizing the NCS and the ways to resolve them were derived as follows. Two constraints a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One is the academic nature of universities which is oriented for academic knowledge, theoretical system, methodology and so on. The NCS-based curriculum, whose main purpose is to cultivate field-workforce and middle-level technicians, is considered inappropriate for the universities. The other one comes from a realistic reason that the introduction of NCS-based curriculum inevitably results in full-scale review of existing curriculum and financial burdens. To overcome these constraints, two ways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irst, the NCS-based curriculum needs to be applied from the viewpoint of complementing rather than replacing the existing curriculum or certification system. Second, unlike the voc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olleges and vocational high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incere concern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universities for the NCS-based curriculum. For this reas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at the national level are required more than the pilot-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 대학교육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촉진 방안 연구

        백종면(Baik, Jong-Myun),박양근(Park, Yang-Keun) 대한경영학회 2012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4년제 대학에서 교육과정의 현장적합성을 제고하는 수단으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epency Standard)의 활용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 사업을 담당하고 있는 정책담당자 및 관계기관의 전문가, 대학 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표준의 활용을 가로 막고 있는 제약요인을 먼저 파악한 후에 그 극복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NCS기반 교육과정이 기존 교육과정이나 인증시스템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보완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NCS가 도입될 시 기존 교육과정의 변화로 인한 심리적,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NCS의 개발과 대학에서의 적용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에 산업체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이라는 점이다. 아울러 NCS활용확산을 위해 NCS기반 교육과정의 개발과 시범적용을 통해 효과성을 널리 알리고, 정부의 각종 대학재정지원사업과 연계하는 등 대학이 위험과 부담을 감수하고 NCS의 활용을 시도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인 유인책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use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in order to enhance the field(on-site) suitability of university curriculum.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the interviews of policy makers, experts and professors, this study recommends the ways of promoting the use of NCS-based curriculum at the universities. First, the utilization of the NCS for the university curriculum should be to comp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rather than to replace it. To alleviate the psychological and financial burdens of universities,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industry is also essential in the whole proc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NCS at the universities. In addition, the active involvement and supports of the government are required in terms of conducting pilot-development and pilot-application of NCS-based curriculum, providing the incentives or linking the utilization of NCS with the government"s various funding-projects for the universities.

      • KCI등재

        문헌정보학 전공에서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활용한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 교수자의 교육경험을 중심으로 -

        권선영,차성종,Kwon, Sun-Young,Cha, Sung-Jong 한국비블리아학회 2016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7 No.3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전공의 교육과정에서 NCS를 적용한 교과목을 실제로 운영한 교수자들의 경험을 FGI 조사를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향후 NCS 기반의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는 첫째, 교육현장에 도입된 NCS에 대해 교수자들은 전반적으로 NCS의 취지와 배경을 잘 알고 있었고, 문헌정보학 NCS 교과과정에 대해 직무요소 도출의 비 적절성, 실제 교육 및 실무현장의 의견 미반영, NCS 분류체계의 문제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NCS 교과 운영 경험에서는 산출물 서류 작업의 부담감, 평가의 방법이나 시기의 차별성, 학생과의 의사소통 필요성에 대한 의견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NCS 교과 운영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적절한 수업인원 및 교육시간의 부여 필요성, 추가 교육시간 및 재평가의 필요성, NCS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지원시스템의 구축 필요성, 실습기자재의 구비 필요성, 상대평가제도와 NCS 평가제도와의 불일치 문제, 교육현장 및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능력단위와 수행준거의 보완 필요성 등을 제기하였다. 넷째, 향후 NCS 교과의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수업인원의 적절한 배정, 실습기자재의 충분한 지원,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수성 및 현장 실무와 경험을 반영한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개선 등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문헌정보학 전공에서 향후 NCS에 기반을 둔 적절한 교육과정 설계 및 운영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 depth the personal experience of Instructor during National Competence Standards (NCS) Curriculum at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We conducted in depth interview (FGI) with participants who had recently experienced and data analysis was undertaken. We hope this study that an application of NCS would be activated fully in Library, educational institutes and qualifying examination institutes and that diverse feedbacks from related parties would makes leading to a better updated version of NCS development. As a result, First, The instructor had generally familiar with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NCS. and they issued the inadequacies of job elements, non-reflection of the opinion on field education, the problems of classification of NCS. second, In the experience of NCS curriculum operating, There were the paperwork burden, Problems of methods of evaluation, evaluation period discrimination, the need to well communication with students. Third, In the problems on the NCS Curriculum operating, we found that there were The need on the proper Class size/hour, additional education, re-evaluation, Support system for NCS Curriculum operation, tools for practice, discrimination between relative evaluation and NCS evaluation, Enhancement for Competence/Standards. Fourth, On The ways of improving for NCS curriculum, We found that There were Class size, Support tools for practice, The improvement Competence/elements/standards based on LIS characteristic.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contribute for improving the overall environment Based upon FGI analysis, several new directions for NCS education in the filed LIS curriculum a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국가직무능력표준(NCS)형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전준현(Jeon, Joon Hyun)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7 문화콘텐츠연구 Vol.0 No.9

        본 연구는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 개발과 운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이하 NCS)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NCS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직무 수행 능력을 지식, 기술, 태도를 표준화하여 산업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국가표준을 말한다. 하지만 NCS는 직업교육훈련기관인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등에서 기술인력을 양성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어 4년제 대학에서 국가직무능력을 활용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가직무능력표준형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여 산업계에서 만족할 수 있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에서 이루어지는 NCS 교육과정을 K대학교 휴먼ICT 연계전공 교육과정에 적용하기 위해 NCS형 학습모듈을 설계하였으며, 학습모듈 설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교육과정 개발 시 산업현장 전문가와 교육훈련 전문가가 함께 참여하여 다양한 SME(Subject Matter Expert)의 특강을 진행하였으며, 성공적인 NCS형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직무수행능력평가서, 평가결과서를 통해 후속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NCS를 개발하거나 이용하려는 4년제 대학이나 교수자들은 산업계의 요구에 맞는 인력양성 및 현장 실무형 학습을 설계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idea of NCS curriculum project and to develop the curriculum and operations corresponding to the industrial demand. NCS is the nation-wide standard designed to standardize and systematize the capability(knowledge, technology and attitude) required for each person to undertake their task in industrial field according to industry field and level of the task. However, NCS is focused on train the technical personnel 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ex. College, Polytechnic University). Accordingly, NCS applications of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hard to find. Hen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urriculum which can satisfy the demand of business by suggesting methods and procedures of developing NCS curriculum. This study creates NCS learning modules to apply NCS curriculum in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 to K University Human ICT interdisciplinary study course. Moreover, this study seeks to find some problems with creating the learning modules. The expert of workplace and educational trainer started special lecture of SME(Subject Matter Expert) in the process of course development. They expect to do a follow-up study by evaluating NCS and other results, leading to successful development of NCS curriculum. In this study, we propose a new model for NCS-based curriculum development and operations. Also, NCS was utilized to complement the existing curriculum.

      • KCI등재

        전문대학 세무 및 회계 관련 학과의 NCS 기반 교육과정 활용 실태 및 개선 방안

        윤우영 ( Wooyoung Yun ),정원일 ( Wonil Jung ) 한국회계학회 2017 회계저널 Vol.26 No.6

        NCS는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지식ㆍ기술ㆍ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부문별ㆍ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NQF 구축에 있어 핵심도구이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 NCS에 대한 잘못된 오해로 인해 산업체 현장중심 교육의 본질적 목적보다 행정업무의 부담이 교수자들에게 가중되는 부작용이 초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세무 및 회계 관련 학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설문조사, FGI를 통해서 NCS 기반 교육과정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첫째, 활용도가 높은 능력단위와 학습모듈의 개선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으며, 둘째, NCS 능력단위를 교육으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직무능력평가결과서의 적용성을 높이고, NCS 활용 교과목에 대해서는 절대평가(Pass/Non-Pass) 또는 자율성을 부여하여야 하며, 셋째, 수업운영 및 평가와 관련된 활동들을 분석하여 중복된 활동을 제거하여 교수자가 직무수행능력 완성이라는 교육의 본질적인 역할에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마지막으로 교육의 현장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 실습실 환경 개선, 교수학습방법 및 평가방법 개선, 산학협력활동 등에 대한 지속적인 행ㆍ재정적인 지원을 제안하였다. NCS 기반 교육과정의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세무 및 회계 관련 학과의 경쟁력을 제고하여 능력중심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NCS is an organization of th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etc., which are needed for performance of jobs at industrial fields, systemized by the government in terms of industry sectors as well as level. It is a key tool for NQF establishment. However, due to misunderstanding of NCS in the education field, the burden of administrative work is adversely affecting professors rather than the original aim towards industrial field-oriente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ways to improve performance of NCS-based curriculum through surveys and FGI primarily from the professors in tax and accounting related departments. In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elimination of duplication and improvement on the widely used Competency Unit and Learning Module, second, the process of transferring NCS Competency Unit into education is needed and the applicability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 should be improved, and Absolute evaluation(Pass/Non-Pass) or autonomous evaluation should be given to the NCS-based course, and third, activities related to classroom operation and evaluation are analyzed to eliminate duplicated activities so that teachers can concentrate on the essential role of education, finally, we proposed continuous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or on-the-job training, improvement of laboratory environment,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and industry-academy cooperation activities so as to enhance the field of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NCS-based curriculum and it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competence-based society by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tax and accounting departments.

      • KCI등재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안재영,이찬주 한국직업교육학회 2018 職業 敎育 硏究 Vol.37 No.2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tudy out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CS based curriculum are composed of the following 4 areas, 11 competencies and 35 sub-competencies. ‘Needs and learning environment analysis(area 1)’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analyzing needs’,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 and their 7 sub-competencies. ‘Curriculum organization(area 2)’ is composed of 4 competencies of ‘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learning modules’, ‘developing subjects’, and their 10 sub-competencies. ‘Curriculum operation(area 3)’ is composed of 3 competencies of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15 sub-competencies. ‘Curriculum evaluation and feedback(area 4)’ is composed of 2 competencies of ‘evaluating curriculum’,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 and their 3 sub-competencies. Secondly,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ies is as follows; ‘implemen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 has the highest relative importance of 19.6%, followed by ‘evaluat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14.2%), ‘evaluating curriculum’(12.5%), ‘giving feedback on the curriculum’(11.2%), ‘preparing teaching-learning activities’(9.2%), ‘developing subjects’(8.6%), ‘analyzing and selecting NCS competency units・learning modules’(7.5%), ‘setting educational goals and workforce type’(6.6%), ‘analyzing learning environment’(5.4%), ‘analyzing needs’(3.9%),‘organizing and operating curriculum committee’(1.5%).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선정, 교과목 편성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실행, 교수・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학습 실행(19.6%), 교수・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고교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모델 탐색

        전미연,이지현,송해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4

        The success of the implementation of NCS in the educational practices depend on whether NCS can be effectively reflected in the curriculum of Vocational schools. Effective implementation of NCS in the curriculum demands vocational teachers to play a critical role in subsequent practi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stablish the newly required competence factors of vocational teachers as NCS based high school vocational training curriculum is introduced. Literature reviews on competency requirement for vocational teachers was performed, followed by interviews with a panel of experts who have related experiences and expertise, and Delphi validations of the resulting sets of competencies. Five sets of competency groups and twelve sub-competencies with fifty-five behavioral indicators were finally derived. First group was vocational training and education competency. Second group was understanding NCS. Third competency group was linking competency between industry and school. Fourth, guiding competency both for students' career and life, and fifth, administrative competency were finally form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vocational teachers under NCS based high school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n order for them to understand the goal and background of its introduction, and to conduct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은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인력과 직업교육에서 배출되는 인력의 양적․질적 불일치를 줄여서 교육의 결과가 인적 자원의 생산성 향상으로 직결될 수 있도록 역량중심 직업교육을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NCS 정책의 성공은 NCS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가에 달려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를 실제로 교육현장에서 실행하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할과 역량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이 도입됨에 따라 새롭게 요구되는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요소가 무엇인지 규명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기존의 전문교과 교사의 역량을 분석 및 종합한 후, NCS 기반 교육과정을 시범적용하고 있는 학교 교원과 NCS 전문가 패널 인터뷰를 실시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전문교과 교사에게 새롭게 요구되는 역량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새로운 역량은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받아, 최종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에서 요구되는 전문교과 교사의 5가지의 역량군과 하위 역량 13개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도출된 5가지 역량군과 이와 관련된 하위역량군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교육훈련이라는 역량군 아래 수업계획 및 준비 역량, 수업 진행 역량, 수업 평가 역량, 실험실습 수업 역량, 수업 연구 역량이 도출되었다. 둘째, NCS 이해라는 역량군 아래 NCS 개념 이해 역량, NCS 기반 교육과정 이해 역량, NCS 학습 모듈 활용 역량이 도출되었다. 셋째, 산학연계강화의 역량군 아래 산학겸임교사와의 유대 강화 역량, 지역사회 산학협동 교육 역량이 도출되었다. 넷째, 진로생활지도 역량군 아래 진로지도 역량, 생활지도 역량이 도출되었다. 다섯째, 행정업무 역량군 아래 행정업무 역량이 도출되었다. 또한 각각의 역량별로 행동지표들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교과 교사들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NCS 교육과정을 도입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 훈련하기 위한 지침 역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에 NCS를 효과적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여 능력중심사회에서의 전문적인 인재 양성에 이바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 KCI등재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4년제대학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을 위한 중요도분석연구

        김재경(Kim Jae Kyung) 한국산업정보학회 2017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는 4년제 대학의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과 연관된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에서 제시된 학습모듈을 파악하고 정보시스템개발 교육과정에 대한 NCS의 활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두 전문가 그룹인 대학교수와 정보시스템개발자를 대상으로 NCS의 응용SW엔지니어링 분야에 속한 26개 능력단위의 중요도를 계층화분석과정을 통해 능력단위별로 쌍대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능력단위별 능력단위요소들에 상대적 중요도는 요구사항 확인하기, UI요구사항확인하기, 물리데이터저장소설계하기, 개발자통합테스트하기와 개발자결함조치하기로 나타났다. 둘째, 초 · 중급개발자 그룹은 시스템개발 이행단계에 속한 능력단위요소를 보다 중요하다고 판단하였고, 고급개발자 그룹은 이론중심의 설계와 관련 있는 능력단위요소를 중요하다고 제시하였다. 또한 교수자 그룹은 두 개발자 그룹이 각각 중요하다고 판단한 실무 및 이론적 내용 모두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정보시스템개발 관련 직무수행역량의 함양과 교육의 질적제고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arning Module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Related to the Information Systems Development Curriculum of 4-year Colleg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NCS to the Curriculum, and to Examine Implications. The Importance of 26 Competency Units in the Applied SW Engineering of NCS was Compared by Area Experts Composed of 14 Information Systems Developers and Professors of 7 Universities who Teach Software Engineering Subjects Through the Hierarchical Analysis Process (AHP). The Results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Competency Elements was in order of ‘Confirming the Requirements’, ‘Checking the UI Requirements’, ‘Designing the Physical Data Repository’, ‘Testing Developer Integration’, and ‘Fixing Developer Defects’. Second, while the Entry and Intermediate Level Developer Group Determined that the Competency Elements Related to the IS Development Implementation Stage is more Important, the Advanced IS Developer Groups Consider the Competency Elements Related to the Theory-oriented Design Stage as Important Competency. In Addition, the Group of College Professors was Found to Choose all the Practical and Theoretical Competency Elements that Two Developers Groups Considered Important. Implication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Job Performance Competence and Quality of Education Related to IS Development can be Enhanced.

      • KCI등재후보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재구성

        신선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reconstitute the communicative competency a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n point of view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firstly, We examine the concept and specific contents of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omparing NCS Korea to similar cases of foreign countries, Australia, United Kingdom, USA. Secondly, we examine the definition of communication competency in NCS korea and argue that the definition is suitable for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Finally. We realize that the definition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of NCS is not sufficient for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and reconstruct the concept and conten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y as a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the university liberal education. 본고는 교양교육의 핵심 항목이자 직업기초능력의 중요 항목인 의사소통능력이 고등교육에서의 기초교양으로서, 그리고 직업 활동을 위한 기초능력으로서, 갖는두 가지 정체성에 주목하면서 이에 대한 정의와 개념화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NCS 직업기초능력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 교육에서 다루게 될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재정의를 시도하였다. 1장 서론에 이어 2장에서, 직업기초능력의 기본 개념과 그것의 하위 요소를 소개하고, 하위능력 중 하나인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기존의 정의와 하위능력의 구체적 내용을 국내외 여러 나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시한 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 포함된 직업기초능력의 하위능력인 의사소통능력의 정의와 하위요 소를 제시하고, 그러한 정의가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에서의 의사소통능력의 내용과 부합되는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마지막 4장에서는 이상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직업기초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과 4년제 대학의 교양교육의 필수 능력으로서의 의사소통능력,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정의와 하위 능력들은 무엇인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NCS 학습모듈 문제점 분석을 통한 효율적 활용 방안 모색

        박민주(Park, Min-Ju),배광민(Bae, Gwang-M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8 교육혁신연구 Vol.28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NCS 학습모듈에 대한 인식 및 이해정도를 확인하고, 현장에서의 문제점 분석을 통한 요율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연구에 부합하는 공공교육훈련기관과 민간직업훈련기관을 선정하고, 소속기관의 교(강)사를 대상으로 학습모듈의 문제점 분석과 효율적 활용방안 모색을 위한 전문가 자문회의 및 표적집단인터뷰(FGI)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기관 및 민간기관 종사자들이 인식하는 학습모듈 문제점으로 소양교과의 경우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능력과의 불일치성이 주요 문제점으로 도출되었고, 전공교과는 NCS 수준(구성, 수행준거 등)이 고려되지 않는 내용 전개, 산업현장에 맞는 직무수행 기술, 자격취득과의 연계성이 주요 사항으로 논의되었다. 학습모듈의 효율적 운영방안으로 훈련기준에 대한 가이드 제공, NCS 학습모듈 개선 시스템 확대, 현장에 적합한 실습예제 제공, 학습모듈을 보완할 수 있는 기타 교재 지원, 능력단위에 따른 특화된 소프트웨어별 학습모듈 발간, 학습모듈에 대한 소정의 편집권 위임이 도출되었다. 결론 및 논의: 본 연구는 직업훈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실질적인 문제점과 효율적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는 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 학습모듈의 활성화를 통한 NCS기반 교육이 정착되고 지속적 확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구결과 활용을 제언한다. 또한 연구결과 적용을 통한 효율적 활용방안의 후속조치에 대한 분석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nderstanding of the NCS learning module and to find out how to use it effectively by analyzing the problems in the field. Meth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selected the public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s and private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as primary topics, and conducted the expert consultation meeting and targeted focus group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blems of the basic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learning module recogniz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civilian engineers were found to be major problems in the ability and content inconsistency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In addition, the problems in the major curriculum are that the content development that does not consider the NCS level (composition, performance criteria, etc.)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the job performance skill suitable for the industrial fiel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qualification acquisition. In order to utilize the NCS learning module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on the training standard or to expand the NCS learning module improvement system and to provide a practical example for the fiel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other textbooks that can complement the learning module, to publish a specialized software-specific learning module according to the capability unit, and to delegate predetermined editing authority to the learning module. Conclusion: This study has found practical problems and effective utilization plan for vocational training workers. This study suggests that NCS-based education can be settled through continuous activation of learning modules. Al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follow - up action of applying the research result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