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한말 고위직의 중립화론에 대한 연구

        정시구 ( Jeong Si Gu ) 한국행정사학회 2014 韓國行政史學誌 Vol.35 No.-

        이 논문은 구한말 러일전쟁 이전 중립화론의 전개과정에 대해 고위직 집권층을 중심으로 어떻게 전개 돼 왔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구한말의 한국은 전형적인 약육강식의 제국주의에 침략을 막지 못하고 열강들의 이권개입으로 국운은 풍전등화와도 같았다. 한반도 중립화는 1882년 임오군란 이후 청에 밀려 위기에 몰린 일본에 의해 처음으로 제기됐다. 그러나 결과적으로는 일제에 의해 방해를 받았는데 일본은 자신들의 안위를 위해 한국을 체계적으로 해체하면서 제물로 삼았다. 구한말 한국의 중립화 정책은 현실적으로 그 실현가능성이 의심스러운 문제였다. 그런데도 러일전쟁으로 일본이 승리할 때까지 한국이 추진한 중립화 정책은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일본의 대륙침략에 대한 욕망을 막지 못한 가장 큰 원인은 국내적으로는 집권층의 인물들이 친정, 친일, 친러, 친미로 분열됐기 때문이었다. 동학혁명(1894) 당시의 중앙군의 병력은 3,000명에 불과하고 전투능력과 사기가 떨어져 농민으로 구성된 동학군에게조차 대패하여 외세의 군대를 요청하여 국난을 더욱 자초했다. 구한말 한국의 중립화론을 통해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밝히기 보다는 논리적 재구축을 시도하고자 한다. This paper is to study how the senior officials’s policy of neutrality took for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utralization before RussiaJapanwar in Late Choson. Great Han Empire``s defense for the imperialist powers had not builded, Choson was under the interference of Chong after the policy for the balance among the Powers due to ``The event in Keomun-do`` in 1882. The Japan Ministers to Late Choson han a point negative view for subject of Late Choson``s independence. Late Choson``s neutralization was raised for the first time by Japan in crisis pushed the event in Keomun-do since 1882. However, as a result, Japan got interrupted Late Choson``s independence, and Korean was sacrificed by the Japanese while systematically dismantling for their well-being. The government policy of Late Choson``s neutralization is realistically feasible because thesuspect was the problem. Nevertheless, neutralization policy is promoted by the Korean government until the Japanese victory in the Russia-Japan War. Therefore the desire for a continental invasion of Japan did not stop until its war. As the biggest reason for Japan``s invasion, senior national officials of Great Han Empire was disunited by a maiden foreign powers, Chong, Russia, Japan, America so on.At Dong-Hag Revolution(1894) time, Choson government``s military forces had only 3000 servicepersons, and they hadn``t even the ability to fight off the Dong-Hag Revolution consisting of farmers. So Choson government had more a national crisis by requesting a foreign army. Through the neutralization of Late Choson, this paper logically try to rebuild the historical facts at the time of that.

      • KCI등재후보

        “구한말 지형도” 지명에 나타나는 ‘뫼(山)’ 등의 분포 양상에 대하여

        미즈노 슌페이 한국지명학회 2013 지명학 Vol.19 No.-

        A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mountain" by place names of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tudies a one-50,000th topographical maps which Japan produced from 1895 through 1906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lace names of those maps a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the method to read are written in katakana words aside. Through this katakana words, we can know how the then place name was read. The word to mean a mountain in Middle Korean was ‘moe(뫼ㅎ)’, however, by the 19th century, this word became extinct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n(산)’ which was a word derived from Chinese. But ‘moe’ is not used in the daily language life, but is left in the place name in the form of ‘me(메, 매)’, ‘mi(미)’.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for the place names, the following things became clear about distribution of the vocabulary to mean a mountain. (1) ‘Me’ are distributed in a large area from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peninsula to the northwestern part. (2) ‘Mi’ are distributed around Gyeonggi-do and Chungcheong-do that are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3) The area where both 'mi' and 'me' are distributed over is in Gyeonggi-do, Chungcheongdo. Therefore, firstly ‘moe’ turned into ‘me’ and were used in a large area, but ‘mi’ appear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peninsula, and the use range seemed to gradually enlarge it. 이본 연구는 구한말에 제작된 5만분의1 지형도인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와 1911년-12년에 걸쳐 제작된 “제2차 지형도”의 지명 및 그 주음(註音)을 통해 ‘산(山)’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밝히고 그 변천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중세 국어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 어휘는 ‘뫼ㅎ’이며 이 어휘는 문헌상에서 18세기 중엽까지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한자어인 ‘산(山)’의 영향으로 점차 도태되고 실제 언어생활에서 소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산악 명칭 및 산악에서 유래된 지명에는 여전히 ‘뫼’가 포함돼 있으며, ‘뫼’에서 변화된 것으로 보이는 ‘메’, ‘매’, ‘미’가 포함된 지명도 넓은 범위에 분포돼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및 “제2차 지형도” 지명의 주음을 통해 ‘산’을 나타내는 어휘의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자어인 ‘산’이 전체의 약 80%를 차지하고 반면에 고유어인 ‘뫼’, ‘메’, ‘매’, ‘미’ 등도 6% 정도에 불과했다. 그 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형도 상에서 ‘メ(me)’로 주음된 ‘뫼’, ‘메’, ‘매’는 한반도 각 지역에서 넓은 분포를 보인 반면에 ‘ミ(mi)’로 주음된 ‘미’는 주로 경기도․충청도에서 집중적인 분포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산을 나타내는 고유어는 ‘뫼’가 가장 오래된 형태이며 ‘뫼’에서 변화된 ‘메’, ‘매’ 등이 널리 쓰였다가 한반도 중앙에서 생겨난 ‘미’가 점차 세력을 확대시켜 나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18세기 이후 한자어인 ‘산’의 세력 확장으로 이들 고유어 어휘는 도태되어 지명이나 한자의 자석(字釋) 등에 화석화된 형태로 남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한국시가(詩歌)에 대한 구한말 서양인들의 고찰과 인식 -James Scarth Gale을 중심으로-

        김승우 ( Seung U Kim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4

        이 논문은 구한말 선교사들을 비롯한 서양인들의 한국문학 관련 기록, 특히 詩歌 관련 논의들을 분석·검토하는 데 목적을 둔다. 1880년대 이전 서양 관찰자들의 기록에서는 대개 한국문학에 대한 폄시적 견해가 발견된다. 한국에 어떠한 종류의 연희문화도 일반화되어 있지 않다는 견문을 바탕으로 한국의 문학은 기형적이고 원시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다고 결론지은 오페르트(Ernest J. Oppert)나, 한국인들 사이에 자국어에 대한 멸시가 존재하는데다가 작품 창작 역시 한문 위주로만 이루어지고 있기에 한국 고유의 문학이란 희작적 성격의 것밖에는 발견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내비친 그리피스(William E. Griffis)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반면, 1880년대 이후 한국에 직접 들어와 활동하던 서양인들이 많아지면서 한국을 관찰하는 그들의 시각도 한층 정밀해진다. 이 시기 입국한 서양인들 가운데 특히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연구 분야에서 중대한 업적을 남긴 인물이 제임스 게일(James S. Gale)이다. 게일은 조선후기 목판본 가집 『南薰太平歌』를 통해 한국의 시조를 접하게 되면서 소재 시조 작품을 영역하여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시와 문학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잡지에 기고하기도 한다. 그는 알레고리와 은유를 한국시의 특징으로 지적하는데, 이렇듯 시조를 통해 촉발된 한국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은 그러나 1900년 무렵을 지나면서 완연히 한문 문헌에 대한 탐독으로 경사된다. 한글로 작성된 작품들은 한자어가 다수 포함되거나 한문으로 이루어진 작품들에 비해 표현이 조잡하고 내용 또한 크게 빈약하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논리는 결국 한국의 문학이란 중국문학의 전범을 따른 사례들, 즉 한문학 작품 이외에는 크게 주목할 만한 것이 없다는 시각으로 귀결되기에 이른다. 더 나아가 그는 한국문화의 본령이자 특장이라 여겼던 중국적 특질이 20세기 들어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고 개탄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게일은 『東國李相國集』 소재의 한시 작품을 영역하여 출판하는 것을 자신의 마지막 과업으로 생각하였으나, 중국문학과 크게 다를 것이 없는 한국문학의 면면으로는 서구 독자들에게 어떠한 관심도 끌기 어려웠기에, 결국 게일의 번역 원고는 끝내 출판될 수 없었고, 한국에 대해 40년간 지속해 왔던 그의 연구 역시 서구인들에게 뚜렷이 계승되지 못한 채 오랜 기간 잊히게 된다. 한편, 게일과 더불어 한국문학에 대한 고찰과 논의를 주도했던 구한말의 또 다른 선교사 호머 헐버트(Homer B. Hulbert)는 여러 측면에서 게일과는 대척적인 견해를 표명하였기에 양자의 관점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헐버트에 대해서는 후고에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This paper is aimed on looking into Westerners` writings on Korean literature - especially on Korean poetry in the period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Both Ernst J. Oppert and William E. Griffis who experienced Korea indirectly through China or Japan in 1870s gave negative views on Korean Literature in their books. That is, Oppert concluded that Korean literature was inferior and undeveloped, for Koreans didn`t have any concrete dramatic art forms while even Chinese and Japanese had several of them. Similarly, Griffis also wrote that Korean people much preferred composing in Chinese characters; as a result, no serious verses in Korean language could be found. On the other hand, James S. Gale, a renowned missionary from Canada, who stayed in Korea from 1888 to 1927, produced more scholastic achievements in the studies of Korean poetry as well as Korean history and culture. After encountering and looking through Namhuntaepyeongga(南薰太平歌), an anthology mainly composed of Sijo(時調) and printed in the mid-19th century, he translated the verses from it in English and presented his viewpoints of Korean poetry and literature in the Korean Repository in 1895, where he pointed out suggestiveness and allegory a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iterature. However, his interest in Sijo and Korean vernacular verses moved soon to Korean works in Chinese, and he started to think that literary works in Korean vernacular were much coarser than those in Chinese. As a result, he focused on translating Korean works in Chinese instead. Especially, Gale intented to publish his translations of the verses in Donggukisanggukjip(東國李相國集) in his later years in England, but his manuscripts could not finally come out because few westerners were interested in Korean verses which looked like almost the same as Chinese ones. Another missionary, Homer B. Hulbert, who leaded the studies on Korean culture among westerners in Korea in the period of the Greater Korean Empire, also presented his views on Korean poetry and literature, which conflicts with Gales`. Hulbert`s writings on Korean literature will be reviewed in the following paper.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 지명에 나타난 ㄱ구개음화 현상에 대하여

        미즈노 슌페이 한국지명학회 2012 지명학 Vol.18 No.-

        A purpose of this articleis to clarify a k-palatalization phenomenon of Korean by the place name of the map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article studies a one-50,000th topographical maps which Japan produced from 1895 through 1906 in the Korean Peninsula. The place name of this map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the method to read is written in katakana aside. The place name which reflected a k-palatalization is distributed over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kip-’ (adjective of a ‘deep’ meaning) causes a k-palatalization and becomes ‘jip-’. I examined distribution of the place name including ‘kip-’ ‘jip-’ and tried to grasp the diffusion of the k-palataliz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the end of 19th century. As a result, it was recognized that ‘jip-’ which became a palatal was distributed over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idely. However, it was recognized that ‘kip-’ which did not become a palatal was distributed over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a k-palatalization did not spread enough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is time. Meanwhile, ‘jip-’ appeared in place name Of Gangwon-do Cheorwon. Originally it has been considered that k-palatalization did not happen because ‘kip-’ appeared in this district. Because ‘jip-’ appears in the district near Cheorwon, it is thought that thisdistrict is located on a boundary line of ‘kip-’ and ‘jip-’. But ‘jip-’ is not distributed over the northwest district of the peninsula, it is thought that k-palatalization did not happen in this district. However, it is thought that there is the area where palatalization did not happen in this district either because "kip" is distributed over the coastal area of Hamgyong-do. 본고는 일본이 구한말에 제작한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의 지명을 통해 ㄱ구개음화 현상의 분포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지형도의 지명은 한자로 표기되었으나 가타카나(片假名)로 그 독법(讀法)이 주음(註音)되었다. 그 주음 중에는 지역적 특징이 반영된 것들도 많아 그 당시의 지역 언어의 실상을 파악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깊-’, ‘짚-’(深)이 포함된 지명의 주음을 통해 당시에 ㄱ구개음화 현상이 어느 정도 확산되고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행 연구 결과와 달리 경상도와 전라도의 경계 지역에 ‘깊-’이 유지된 지명이 분포돼 있었음을 밝힐 수 있었으며 그 당시 이 지역에서는 아직 ㄱ구개음화를 거치지 않았던 가능성이 있음을 지적했다. 또한 ㄱ구개음화 현상을 경험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어온 강원도 철원에서 ‘짚-’이 포함된 지명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평안도와 황해도의 지명에서는 ‘깊-’만 나타나 이 지역에서는 ㄱ구개음화를 경험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함경도의 동해 연안 지역에서도 ‘깊-’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지역에서도 ㄱ구개음화를 거부한 지역이 있었음을 지적했다.

      • KCI등재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

        이성진 한국경호경비학회 2009 시큐리티연구 Vol.- No.21

        구한말의 호위제도 고찰은 개항 이후의 고종의 친정, 그리고 대한제국시대의 국내외적으로 위기에 처한 시대의 왕실호위제도에 대한 고찰이다. 그러나 이 시대의 호위제도를 이해하기 위하여 1863년 고종이 즉위하고 흥선대원군이 집정하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60년간의 세도정치로 인하여 문란해진 왕권을 강화하고 국방력 강화와 비변사를 폐지하며 종전의 삼군부로 부활하였다. 이러한 조치는 왕권 강화에 도움을 주었고 허약했던 중앙군을 강화하여 상비군을 늘리고 군기를 숙정하게 되었으며 신무기를 개발하는 등 군사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다. 대원군 실각 후 고종이 친정을 했다고 하나 대원군과 민비세력과의 불화로 인한 불안에 대처하여 궁궐 숙위를 전담하는 무위소를 설치한 이래 , 2군영 제도 실시의 친군영, 용호영의 부활, 시위대 친위대 등으로 이어진 갑오개혁까지의 호위체제의 변화는 법제적인 것이 아니었고 일본, 청국, 러시아 등 외세의 변화상황에 따라 주체적으로 힘을 다한 것이었다. 일본이 침략경쟁에서 승리한 이후 독무대가 되는 상황의 변화로 인해 대내의 국가수호에 대한 노력의 효과가 약화되었으며, 더욱이 갑오개혁 이후 경무청 내에 왕실 업무를 담당하는 경무서를 둔 것과 대한제국시대의 경무서를 경위원과 황궁경위국으로 개편되었던 제도역시 일본의 영향 아래 들어가게 되어 무력화되었다. 그러나 역경에서 이루어진 그 노력과 분투의 과정은 역사에 길이 빛날 것이다. 따라서 왕실을 호위하는 세력이 일본에 넘어간 대한 제국시대의 호위제도와 모든 상황전개는 제도가 아무리 완벽하게 수립되어 있을지라도 국력이 이를 뒷받침해주지 못할 때 왕실의 호위제도는 무력화될 수밖에 없다는 역사적 교훈을 확인할 수 있다. The guard system in the last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established at the time of the struggle of invading world powers and the loss of the Dynasty rights, was strengthened to protect the Royal family and the Dynasty from the attacks of foreign powers. While investigating both the military system and the guard system from the beginning of King Gojong's direct royal governing to the time of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e realize that the Joseon Dynasty not only lost the support of the public but also had little power to cope with the aggression of foreign countries. The reformation and strengthening by Daewongun, King Gojong's father, was made in preparation for King Gojong's direct royal rule. Nevertheless, the intervention of foreign countries in the domestic affairs of the Joseon Dynasty got worse. As opposed to their intervention, Queen Minbi had engaged in politics, which resulted in murderous attempts on her. The Joseon Dynasty had tried to reform and intensify the guard system. New names such as Muwiso, Chingunyeong, and Siwidai, had been given respectively. Such reformation and intensification had little effect because of two successive victories at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of Japan. Japan occupied the Joseon Dynasty by force after all. The guard system of Daehan-jeguk(the Empire of Korea) was eventually incapacitated; an army in the cause of justice was raised instead. However, The state of things and the guard system at that incapacitated period gives a good lesson for the establishment of a modern guard system at the present day.

      • KCI등재

        舊韓末과 日帝强占期禮書刊行의 傾向과 意味硏究

        조창규(Jo Chang Gyu)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본 연구는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를 전후한 시기에 폭발적으로 증가한 禮書간행 현상에 주목한 것으로 개별 편저자의 예(禮)에 관한 학문적 견해보다는 전체적인 간행의 경향과 의미를 시대적, 문화적 맥락 하에서 분석한 것이다. 이에 이 시기 간행된 예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전반적인 간행의 경향과 의미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節要本, 祝辭類, 笏記類예서의 간행이 두드러진다. 둘째, 주로 통과 의례를 시행하는 실제적인 절차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마을 단위에서 거행하는 집단적 의례의 절차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었다. 넷째, 학교에서 거행하는 학생들의 의례의 절차를 기록하는 경향이 있었다. 다섯째, 사라져 가는 전통 예절에 관한 안타까움이 표출되고 있었다. 여섯째, 전통 문화의 보존과 수호하는 정신이 내포되어 있다. 이상을 통해, 결론적으로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민족 문화의 전통과 정신을 수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실천의 일환으로서 예서의 간행이 이루어졌음을 밝힐 수 있었다. Decorums books here means the etiquette books. The etiquette books were published in two periods, most of the summary. And that is a book of manners are those written procedures. This was to protect the identity of the country. Preserving the procedure of manners is because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he country. This trend has been very useful way to preserve the identity of the country in a state of crisis. When the form is preserved because content also be preserved.

      • KCI등재

        구한말과 일제 강점기 지문학(地文學)의 도입 및 변화에 대한 연구

        안종욱 한국지리학회 2023 한국지리학회지 Vol.12 No.1

        구한말 및 일제 강점기에 ‘지문’은 보편적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중등 지리 과목 중 가장 심화된 내용을 담고 있던 계통지리 과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해방 직후 중등 지리 과목인 ‘자연환경과 인류생활’의 교수요목과 구한말 및 일제 강점기 초기의 지문학 교과서 내용 간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지문’이 등장하고 사라지는 과정을 대한제국과 조선총독부의 교육 관련 각종 법령 및 이에 포함된 중등교육 학과 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여, 해당 시기 일본 학계의 지리학 정의에 관한 논의와 문부성의 교수요목을 비롯한 법령의 변화상도 함께 다루었다. 지문학 관련 내용은 1910년 무렵 일본의 중등학교 지리과 교수요목에서 ‘지문’이라는 과목명이 사라진 후에도, 인문지리가 더해진 ‘지리학통론’이나 ‘지리개설’ 등의 과목을 통해 고유의 자연지리적 특성을 유지해 왔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해방 직후의 중등학교 교수요목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의 형사사법과 민사분쟁형 고소사건 :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경험

        문준영(Moon Joon-Young)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법학연구 Vol.48 No.1

        민사분쟁의 당사자가 분쟁을 유리하게 해결하기 위하여 고소를 하고 형사사법기관을 동원하는 것은 한국의 형사사법의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본고에서는 전통시대, 구한말, 일제시대를 거치며 민사분쟁과 형사절차의 결합, 민사분쟁해결을 위한 형사사법기구의 동원이 어떠한 모습으로 전개되었는지 살펴보았다. '민사사건의 형사사건화 경향’은 민사와 형사의 엄격한 이원론에 바탕을 둔 근대법제의 틀 속에서 문제화된다. 따라서 근대 이후의 법제 속에서 문제 상황의 기원과 구조를 해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일제시대에 초점을 맞추어 경찰과 민사분쟁의 접촉통로와 검찰당국의 인식과 사건처리라는 두 가지 면에서 민사분쟁형 사건과 형사사법기관의 관계양상을 살펴보았다. 경찰서장의 민사쟁송조정이나 20년대의 "경찰의 민중화" 노선에 따른 인사상담소 설치 등에서 볼 수 있듯이, 일선 경찰기관이 일상생활의 민사적 분쟁과 접촉하고 분쟁에 관여할 수 있는 공간이 넓었다. 이것은 경찰과 일상분쟁의 접촉면을 확장된 것을 의미하지만, 민사적 성격의 형사사건의 유입과 사법경찰 기관의 대처 방식에 대해 직접적으로 말해주지는 않는다. 1930년을 전후한 시기 검찰당국의 발언에서 전형적 사례들을 찾을 수 있었다. 단순히 형사기관이 민사분쟁사건과 접촉하는 것이 아니라, 민사분쟁의 해결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형사사법기관을 동원하는 현상이 문제된 것이다. 특기할 것은 당시 검찰실무가들은 이 현상을 조선 특유의 문제로 인식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일본과 조선에 공통된 범죄현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한국에서 '민사사건의 형사사건화 경향'을 구성하고 있는 또 다른 요소 즉 검찰이 '분쟁조정자적 행태’를 보인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면, 식민지시기에 문제의 기원이 있었다고 섣불리 말할 수는 없다. 본고에서는 다루지 않았지만, 1950년대 이후 검찰자료를 통하여 형사고소사건의 폭증, "검사실의 민사법정화" 경향에 대한 우려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해방 이후의 형사사법실무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며, 본고는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In Korea, it has been pointed out as the serious problem of the criminal justice administration that a party of the civil dispute mobilizes the organ of the criminal justice in order to resolve his case effectively to his advantage. In this article, I examined the question historically: by what mechanism civil disputes flowed into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nd when the typical phenomenon appeared or became visible. In pre-modern legal system, the dichotomy between civil and criminal affair was not clear. The traditional civil procedure(詞訟: sa-song) always tended to be connected with the criminal sanction. However, this might be characterized as a common feature found in any pre-modern legal systems. The very dualism which separate civil and criminal affair strictly and then make the situation, which this article treated, regarded as abnormal and troublesome, is modern. It was introduce by the judical reform in Korea in late 19th century. In colonial period, there were two devices through which the police contacted with people’s ordinary disputes. One is the civil arbitration by the chief of a police station. The other is the civil affairs office(人事相談所: in-sa-sang-dam-so) in the police station which was installed under the slogan of "making the police familiar to people." Although these two must have broadened the possibility for the police to engage people’s ordinary dispute, we can find typical cases in the statements of some prosecutors in early 1930s. According to the documents of the prosecutor’s office, it became an issue that some people tactfully made a use of the criminal justice organization in order to win their civil case. The prosecutors, however, did not regard the problem as proper one to Korean people, but rather as common crimiNoogical phenomenon between Korea and Japan. If we focus on another aspect of the problems, that the prosecutor engaged the people’s disputes referred to him as if he were arbitrator, it is necessary to examine further the situations of Korean criminal justice system for 1950-1960’s to explain the origin of the present problem.

      • KCI등재

        인간의 몸과 마음을 다스리는 약

        박일영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03 인간연구 Vol.- No.5

        특정 전통 종교는 특정 문화 전통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한국의 토착 종교와 가톨릭의 만남이 한국 근·현대 100년 속에서 지니는 종교·문화적인 의미를 천착한다. 특히 구한말에 있어서 전통문화와 가톨릭의 만남과 마주침, 접촉과 갈등을 극명하게 드러낸 일대 사건이었던 제주도 「신축교안」(1901)에 종교·사상적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평가되면서,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수신영약』(修身靈藥, 1900)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다. 제주도에 부임한 초창기 가톨릭 성직자들 중에서 유일한 한국인이었던 김원영(아우구스티노, 1869~1936) 신부는 제주도 현지의 토착 종교 및 민간 신앙이 선교의 가장 큰 장애물이라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그가 저술한 『수신영약』은 제주도 토착 종교 및 민간 신앙의 현상들을 비교적 상세하게 다룬 후, 이에 대하여 조목조목 비판하면서 가톨릭의 교리가 올바름을 내세우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한말 가톨릭과 토착 종교의 만남과 마주침을 과제로 하는 본 고의 연구 방법은 먼저 김원영 신부의 『수신영약』을 저본으로 삼는다. 그 안에 들어 있는 핵심적 요소를 가톨릭의 사상과 문화적 요소와 비교하는 작업인 종교현상학적인 연구와 해석을 시도하였다. 그리하여 대전환기였던 구한말 한국 사회에서 벌어졌던 종교간의 만남과 갈등이 보여주었던 실상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의미를 다시 찾아보았다. 본 고는 이러한 시기에 특히 문화 계승의 중요한 장으로서 종교의 위상과 의미를 재인식하는 작업의 일환이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종교간의 만남과 협력의 가능성을 천착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고 여겨진다. A certain religion has close relation with a certain cultural tradition.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dig out the religio-cultural meaning of the encounter and crash between Korean indigenous religion and catholicism in Korean modern time. Especially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the island of Quelpaert(Jejudo, 濟州道), there was a representative Anti-Christian Movement, so-called sinchuk-gyoan(辛丑敎案, 1901). A newly found manuscript written by a Korean catholic priest is estimated as ideological incentive of the mass revolt. The above mentioned manuscript is susinyeongyak((修身靈藥, 1900) by Augustine Kim Won-yeong(金元永, 1869-1936). Augustine Kim Won-yeong was the only one Korean among the missionaries sent to Jeju in the beginning of the Church history of the island. He judged that the indigenous religion and folk-belief of Jeju island were the main obstacle against the catholic mission. As the result of such judgement he wrote the susinyeongyak. First of all, in this manuscript, he dealt with the indigenous religion and folk-belief of Jeju island relatively in detail. And then he criticized these phenomena from item to item. In this way he tried to insist that catholic teaching is the only path to the truth. Augustine Kim Won-yeong was a clergy well-educated but at the same time clearly limited in the "Zeitgeist." So I tried to analyze this susinyeongyak in this article. Becaus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he interpretation/hermeneutics of the encounter between indigenous religion and catholicism in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At first, I tried to do phenomenological research about the core factors in the manuscript. I. e. the central catholic thought melted in the manuscript i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common people in the Jeju island. And then I tired to find out again the meaning of inter-religious encounter and conflict in the time of enormous transition, 100 years ago, for us contemporary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