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청산화강암의 압쇄암화작용 동안에 미구조 변화

        강지훈(Ji-Hoon Kang) 한국암석학회 2015 암석학회지 Vol.24 No.2

        거정 장석반정을 다량 함유하는 청산화강암이 연성전단변형을 받아 압쇄암화되는 동안에 일어난 미구조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변형된 청산화강암의 암석구조와 미구조 연구를 수행하였다. K-장석에서 특징적인 미구조는 미세킹크, 미세단열, 밀메카이트, 플레임 퍼어사이트, 코아 외부에 아입자 발달이 없는 코아-맨틀구조 등으로 인지된다. 미세킹크는 미세 단열되거나 미단열된 K-장석들에서 모두 관찰되고, 미세킹크의 축 방향은 미세단열에 의해 경계져 있는 양쪽 K-장석으로 연장된다. 밀메카이트와 플레임 퍼어사이트는 미세 단열된 K-장석들의 입계에 고 변형량의 집중으로 발달한다. 사장석에는 미세단열, 변형쌍정, 킹크대 등이 우세하게 관찰된다. 거정 사장석 반정의 입도 세립화는 역시 미세단열작용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러나 미세 단열된 K-장석과 달리 미세 단열된 사장석에는 코아-맨틀구조가 관찰되지 않는다. 화성기원의 누대구조를 중첩하는 변형쌍정은 변형정도가 낮은 저 변형암에서 종종 관찰된다. 고 변형암에서 변형쌍정의 엽층들은 일반적으로 공액성 킹크대의 둔각 이등분선 방향으로 발달하고, 미세단열 내지 미세단층 되어 무질서한 배열을 보인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징적인 미구조로부터 청산화강암의 압쇄암화작용 동안에 미구조는 다음과 같이 발달하였음을 제시한다: 거정 K-장석 반정에 미세킹크의 출현과 사장석에 킹크대와 변형쌍정의 출현, 미세단열작용에 의한 거정 장석반정들의 입도 세립화, 미세 단열된 K-장석에 밀메카이트와 플레임 퍼어사이트 그리고 입계이동 재결정작용에 의한 K-장석 조각들의 입도 세립화와 함께 코아-맨틀구조의 출현. Rock structural and microstructural analyses on the deformed Cheongsan granite, which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feldspar megacrystals, have been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microstructural change during the mylonitization by ductile shear deformation. In K-feldspars, the characteristic microstructures are recognized as microkinks, microfractures, myrmekites, flame perthites, and core-andmantle structures without the development of subgrains in outer core-zone. Microkinks are observed in both the microfractured and unmicrofractured K-feldspars and the directions of their axes are generally extended across the adjacent K-feldspar fragments bounded by microfractures. Myrmekites and flame perthites are found on the strain-localized boundaries of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In plagiclases, microfractures, deformation twins and kink bands are predominant. Grain size reduction of plagioclase megacrysts also occurs by microfracturing but the core-and-mantle structures like the case of K-feldspars are uncommon in the microfractured plagioclases. The deformation twins, which overlap the igneous zoning structures, are often found in less deformed rocks. The twin lamellae in more deformed rocks generally bisect the obtuse angles of conjugate kink-band boundaries, and are microfractured or microfaulted and randomly oriented. From such characteristic microstructures, thu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micostructures during the mylonitzation of Cheongsan granite was developed as follows: production of microkinks in the K-feldspar megacrysts and of deformation twins and kink bands in the plagioclase megacrysts, and then grain-size reduction of the feldspar megacrysts through microfracturing, and then production of core-and-mantle structures (grain-size reduction of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through grain boundary migration), myrmekites and flame perthites in the microfractured K-feldspars.

      • KCI등재

        피아제의 ‘INRC변형구조’에 근거한 초등 고학년의 통합교육모형

        은은숙(Eun, Eun-Suk) 새한철학회 2016 哲學論叢 Vol.83 No.1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따르면, 초등저학년(1-3학년) 사고를 지배하는 논리적 구조가 ‘전군의 구조’이고, 고학년(4-6학년)의 사고를 지배하는 논리적 구조는 ‘INRC변형구조’이다. 이런 차원에서 본 연구자는 ‘INRC변형구조’에 근거한 초등고학년 통합교육모형을 구성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형은 바로 초등교사의 인식체계를 새로이 구성하게 할 것이며, 결국 초등통합교육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러한 의도에서 첫째로, ‘INRC변형구조’의 속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를 초등 고학년의 수학-과학 교과 및 국어-도덕 교과의 교수법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논증할 것이다. 말하자면, INRC변형구조는 수리 논리의 구조적 토대가 될 뿐만 아니라, 언어 논리의 구조적 토대가 된다는 것을 논증하고자 한다. 특히 구체적인 한 실례를 위해서 초등고학년 아동의 인지 과정에서 핵심 개념들 중의 하나인 비례개념의 구성에서 INRC변형구조가 하는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둘째로, 구조-구성주의 교수-학습 모형의 관점에서, 일선 교사가 주지하고 실천해야 하는 9개의 핵심적 단계, 즉 1)질문하기 2)기본 용어 정의하기 3)기본 개념과 주변 개념의 관계성을 구조화 하기 4) 그러한 구조화에 내재하는 관계법칙을 명제적 문장으로 표현하기 5) 이러한 명제적 표현을 형식적 기호로 형식화하기 6) 이러한 형식화를 그래프나 그림으로 도식화하기 7) 이러한 구조를 구체적인 다양한 상황들에 적용하기 8) 이러한 구조의 적용을 거부하거나 위반하는 개별적인 사례 찾기 등이 갖는 의미를 분석하기 9) 이러한 예외적 사례를 포섭할 수 있기 위해서 기존의 구조를 수정하고 보다 강력한 새로운 전체성의 구조를 구성하기이다. 이러한 9개의 단계는 오직 교사만을 위한 교수법의 모형인 것만은 아니다. 이러한 단계는 그대로 학생이 자신의 지식을 구조화할 때, 따라야 하는 단계들이다. 이러한 차원에서 본 연구자가 지향하는 통합교육모형은 “교수모형”과 “학습모형”을 분리하지 않고 양자를 통합하는 “교수-학습 모형”과 연관하여 구성될 것이다. According to the theory of Piaget’s genetical epistemology, the structure of grouping is the one on which the thinking of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1-3 years) is dependent, INRC being the structure controling the thinking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4-6years). In this context, I would like to construct the leaning-teaching model for educational process of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point of view of INRC transformation. I want this model to make the teacher have a new system of knowledge, and make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integrating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ith this purpose, I would first analyse the property of the INRC transformation, and the possibility of its application into the educational process of mathematic-scientific and language-social text. In other word, I would like to argue that this structure is not only the principle of mathematical reasoning, but also the linguistical. As an example, I would analyse the concept of proportion in order to see the function of this structure in the think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I would analyse 8 stages which the teacher of elementary school should understand and fallow: 1) questioning, 2) defining the elementary concept, 3) struct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ions, 4) expressing the structuralization into propositional form, 5) transforming the propositional form into mathematical form, 6) visualizing the mathematical form into picture or graph, 7) making an application of the structure into concrete situation, 8) searching the contrary example violating this principle. These 8 stages are not only for teachers, but also the students. The model that I would like to construct is neither the leaning nor the teaching, but learning-teaching model.

      •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 신리지역의 준퇴적동시성 변형구조

        이영엽,Lee Young-Up 한국석유지질학회 1998 한국석유지질학회지 Vol.6 No.1

        진안분지 서변 중앙부에 위치한 신리 지역에서는 주로 셰일 협재 조립질 사암과 사암/셰일이 호층을 이루는 만덕산층과 셰일이 우세한 달길층이 분포한다. 이 층들에서는 조립질 사암상, 사암/셰일 호층상, 셰일상 및 화산암상 등의 네 가지 암상이 관찰된다. 조립질 사암과 사암은 저탁암의 특성을 보이며, 셰일은 호수 이암의 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이 퇴적암상은 호수 퇴적물 기원으로 해석된다. 이 퇴적암 내에는 비교적 큰 규모의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등이 변형되지 않은 상하부의 퇴적층준 내에 한정되어 발달한다. 습곡 및 스러스트 단층 내에는 팽창(swelling)구조, 부우딘(boudin)구조, 소습곡 및 소규모 역단층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곳에 발달하는 두 조의 습곡은 동형 습곡에 해당되며, 하부의 습곡은 습곡의 정도가 층의 상부를 따라 점점 감소하면서 동심(concentric)습곡을 이룬다. 습곡 내 팽창 구조는 습곡의 축면에서, 부댕 구조는 날개부에서 각각 관찰되며 연성 퇴적물이 이동하여 형성되었다. 스러스트 단층에서는 미끌린 면을 따른 연질 퇴적물의 변형과 소규모 습곡 및 이동 사암체 전면부의 로브형(lobe type) 변형이 관찰되며, 계속된 구조 운동으로 인한 듀플렉스(duplex)구조로 발달하였다. 분리된 사암체 전면 상하부 계일 내에는 비대칭성과 킹크(kink)습곡이 각각 관찰된다. 스러스트 단층에서의 팽창 구조, 부우딘 구조, 로브형 변형 및 소습곡 구조들도 퇴적물의 미고화 상태에서의 유동성과 변형을 지시한다. 습곡과 스러스트 단층 모두는 또한 구조의 규모나 퇴적층의 특성에 비해 열극의 발달이 적어, 변형 당시 퇴적물의 가소성을 보여준다. 스러스트 단층의 측면을 따라서는 동시 발달로 추정되는 정단층이 있다. 작은 규모의 변형구조로는 슬럼프, 말린층리, 횡와습곡과 티그마틱 습곡, 불꽃구조 및 짐구조등이 관찰된다. 이는 퇴적동시성에서 준퇴적동시성의 변형구조들로서 분지 퇴적물이 퇴적된 이른 시기부터 조구조 운동이 영향을 미쳤음을 지시한다 이런 여러 가지 특징들은 퇴적물이 퇴적된 시기부터 고화되기까지 분지 지역에 조구조운동이 계속되었음을 지시한다. In the Sinri area located at the mid western boundary of the Jinan basin, the Manduksan Formation which mainly consists of coarse sandstone narrowly intercalated with shale and the alternation of sand and shale and the Dalgil Formation mainly of shale are distributed. It consists of four lithofacies, such as coarse sandstone, interbedded sandstone/shale, shale and volcanic rock lithofacies. All sediments are interpreted to be deposited by turbidity currents and free fallouts in a lacustrine basin. In these rocks many penecontemporaneous defomation structures are observed such as fold and thrust fault at large scale, and swelling, boudin structure, flame structure, load structure, ptygmatic fold and convolute bedding at small scale. All these structures are developed between upper and lower undisturbed sedimentary strata. Two large folds are similar folds, but lower one gradually developed into concentric shape. The swelling structures by convergence of the sediments are observed in the hinge area and the boudin structures are developed in the limb. The thrust faults including minor folds and sandstone lobes show duplex structure with asymmetric and kink fold on and below in front of the detached sandstone layer. Development of the swellings, boudins and lobes indicates the flexbility of the sediments during deformational episodes. The folds and thrust faults rarely contain fractures relative their scales and lithologies. This feature also indicates the retrievability of sediments during deformation. At the flanks of the thrust faults the normal faults are formed contemporaneously. The deformation structures at small scale such as flame structures, load structures, ptygmatic folds and convolute beddings are syndepositional and penecontemporaneous, which show the effects of tectonic movements. All these deformed sedimentary structures of the Sinri area suggest the continuing tectonic movements during and/or after deposition.

      • KCI등재

        한정된 계측 변위를 이용한 구조물 변형 형상 추정

        최준호,김승준,한승룡,강영종,Choi, Junho,Kim, Seungjun,Han, Seungryong,Kang, Youngjong 대한토목학회 2013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3 No.4

        구조물의 변형 형상은 구조해석을 위한 중요한 정보이다. 구조물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도 충분한 변위 계측점이 확보되어 명확하고 합리적인 구조물의 변형 형상이 도출된다면 이를 이용한 구조해석이 가능 할 것이다. 하지만 실제 구조물에서는 한정된 비용으로 인해 충분한 변위 계측점이 확보되지 못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구조물 변형 형상의 도출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구조물 변형 형상 추정을 위해 최소의 변위 계측 데이터를 이용한 효과적인 구조물의 거동 형상 추정기법인 SFSM-LS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기법은 구조물의 변형 형상을 추정하기 위해 계측 대상 구조물의 사전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여러 구조 거동 형상을 기본 구조형상함수로 정의하고, 이들 함수를 추정 변위의 오차를 최소화 시키는 각 함수의 가중치로써 중첩한다. 2경간 연속교 모델의 수치해석을 통해 개발된 알고리즘을 검증하고 매개변수 연구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의 매개 변수인 구조형상함수, 변위 계측 위치, 변위 계측 개소에 대한 형상 추정 결과의 특성을 분석하고 Polynomial, Lagrange, Spline 보간법과 형상 추정 정밀도를 비교하여 개발된 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적은 개소의 변위 데이터로 정밀한 형상을 추정하는 결과를 도출하여 제안된 기법의 우월성을 입증하였다. The structural deformed shape is important information to structural analysis. If the sufficient measuring points are secured at the structural monitoring system, reasonable and accurate structural deformation shapes can be obtained and structural analysis is possible using this deformation. However, the accurate estimation of the global structural shapes might be difficult if sufficient measuring points are not secure under cost limitations. In this study, SFSM-LS algorithm, the economic and effective estimation method for the structural deformation shapes with limited displacement measuring points is developed and suggested. In the suggested method, the global structural deformation shape is determined by the superposition of the pre-investigated structural deformed shapes obtained by preliminary FE analyses, with their optimum weight factors which lead minimization of the estimate errors. 2-span continuous bridge model is used to verify developed algorithm and parametric studies are performed. By the parametric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stimation results obtained by the suggested method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essential parameters such as pre-investigated structural shapes, locations and numbers of displacement measuring points. By quantitative comparison of estimation results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polynomial, Lagrange and spline interpolation, the applicability and accuracy of the suggested method was validated.

      • KCI등재

        철골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변형률 기반 하중 식별

        오병관,이지훈,최세운,김유석,박효선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2

        본 연구에서는 철골 골조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위하여 계측한 변형률을 통해 구조물에 작용한 하중을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시스템 식별 연구에서 구조물의 강성 등을 변수화한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에 작용한 하중과 이로 인해 구조물에 발생하는 변형률 간의 관계를 행렬로 정의하고, 이 행렬 및 작용한 하중을 변수화 한다. 계측한 변형률과 변수를 통해 추정한 변형률사이의 차이를 오차함수로 설정하고 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인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구해진 변수와 계측변형률을 통해 작용한 하중을 식별하고 구조물의 하중 변화 시 미계측 지점의 응답을 추정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하중 식별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해 3차원 철골 골조 구조물의 정적 가력 실험을 수행하였고, 계측한 변형률을 통해 가해진 하중을 낮은 오차 수준으로 식별할 수 있었다. 또한, 하중 조건 변화 시, 계측한 변형률을 통해 모니터링 대상이 되는 미계측 지점의 변형률을 0.17~3.13%의 오차 범위로추정하였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식별법이 철골 구조물의 보다 현실적인 안전성 모니터링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proposes a load identification for the safety monitoring of the steel structure based on measured strain data. Insteadof parameterizing the stiffness of structure in the existing system identification researches, the loads on a structure and a matrix (the unit strain matrix) defin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strain and load on structure are parameterized in this study. The errorfunction is defined by the difference between measured strain and strain estimated by parameters. In order to minimize this errorfunction, the genetic algorithm which is one of the optimization algorithm is applied and the parameters are found. The loads onthe structure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founded parameters and measured strain data. When the loads are changed, the unmeasured strains are estimated based on founded parameters and measured strains on changed state of structure. To verify theload identification algorithm in this paper, the static experimental test for 3 dimensional steel frame structure was implemented andthe loads were exactly identified through the measured strain data. In case of loading changes, the unmeasured strains which aremonitoring targets on the structure were estimated in acceptable error range (0.17~3.13%). It is expected that the identification metho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the safety monitoring of steel structures more practically.

      • KCI등재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지진 거동

        문성권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0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13 No.1

        임의의 층에서 평면적에 큰 차이를 보이는 3차원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지진 거동 특성과 지진 거동 특성에 미치는 바닥 슬래브의 면내 변형 효과를 연구하였다. 비정형 setback 구조물의 전반적인 지진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베이스 부분의 평면적과 타워 부분의 평면적의 비(R/sub s/)와 단(setback) 발생 위치(L/sub s/)등을 매개 변수로 사용하였다. 48개의 비정형 setback 구조물들에 대한 해석 결과로부터 정형 구조물과 달리 setback 구조물의 경우에 단(setback) 발생 위치 근방에서 매우 급격한 층 전단력의 변화가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이 구조물의 지진 거동에 미치는 영향은 횡방향 저항 요소의 배치에 따라 크게 좌우되며 횡방향 저항 요소들간의 강성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는 전단벽-프레임 시스템의 경우에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은 구조물이 받게 되는 밑면 전단력을 감소시키며 특히 L/sub s/=0.1인 프레임-전단벽 시스템에서 두드러진다. 또한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은 전단벽이 설치된 프레임에 대해서는 층 전단력의 감소 효과를 가져오고 전단벽이 설치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해서는 층 전단력의 증가 현상을 가져온다. 또한 횡방향 강성의 차이로 발생한 베이스 부분과 타워 부분에서의 바닥슬래브의 면내 변형으로 인하여 모든 층의 층 변위가 크게 증가됨을 알 수 있다. Seismic behavior of 3-dimensional setback structures showing abrupt reductions of the floor size within the structure height and the effect of in-plane deformations of floor slabs on the seismic behavior of those structures are investigated. To find out general seismic behavior of 3-dimensional setback structures two parameters, level of setback(L/sub s/) and degree of setback(R/sub s/) are used.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forty eight setback structures show that a sudden change in story shear near setback level is occurred for irregular setback structures. The effect of in-plane deformation of floor slabs on the seismic behavior of setback structure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arrangement of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s and it is more pronounced for frame-shear wall system showing large difference in stiffness among the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s. The in-plane deformation of floor slabs results in reduced base shear, especially for FW-type structures with L/sub s/=1.0. Also, it brings about reduced story shear for the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 with shear wall and increase in story shear lot the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 without shear wall. The in-plane deformation of floor slabs at the base portion and/or tower portion due to difference in stiffness among the lateral load resisting elements brings about increment of floor displacements at all floor level.

      • KCI등재

        FBG센서를 이용한 다경간 강재 보 구조물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위한 변형률 분포 추정 기법

        오병관,이지훈,최세운,박효선,김유석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4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에서는 불특정 분포하중에 대한 다경간 연속 보 구조물의 변형률 분포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추정 기법은 해석적 방법이 아닌 계측한 변형률 데이터로부터 최소제곱법을 이용한 커브 피팅을 통해 변형률 분포를 추정하였다. 제시한 다경간 보 연속 구조물의 변형률 추정 기법은 멀티플렉싱이 가능한 FBG센서를 이용하여 다경간 연속 강재 보 정적 가력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분포 하중과 집중하중에 의한 변형률 분포의 추정 정확성 및 변형률 추정에 사용되는 계측점 수에 따른 추정 오차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5.89 (하중 step1), 6.26% (하중 step2) 오차로 최대 변형률 지점에서의 변형률을 추정할 수 있었다. 추정을 위한 변형률 계측 센서 수를 감소시킨 경우 오차가 증가 (0.26~0.37%)하는 것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적 기법을 통해 다경간 보의 변형률 분포를추정함으로써 특정 형상의 분포 하중에 대해서만 적용이 가능한 해석적 변형률 추정 기법의 한계를 넘어 불특정 분포 하중에 대한 변형률분포 추정이 가능해졌고 추정 변형률 분포를 통해 최대변형률 발생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 This study proposes an estimation method of strain distribution for multi-span steel beam structure under unspecific loading conditions. The estimation method in this paper employs the curve fitting using the least square method from measured strain data,not analytical method. To verify the proposed estimation method, a static loading test for multi-span steel beam on which distributed and concentrated loads act was conducted. The strain data for verification was measured by FBG sensors that have multiplexing technology. The analysis of the accuracy of strain estimation for distributed and concentrated loads and the errors byconsidering the number of measured points used in the estimation were conducted. In the maximum strain points, the strains couldbe estimated with the errors of 5.89% (loading step 1) and 6.26% (loading step 2). In case of decreasing the number of sensors,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errors increased (0.26~0.37%). Through the curve fitting method, it is possible to estimate the strain distribution (maximum strains and their locations) of multi-span beam for unspecific loads and go over the limit of the analytical estimation method which is suitable for specific distributed loads.

      • KCI등재

        불확실한 하중을 받는 강재 보 구조물 안전도 모니터링을 위한 변형률 분포의 회귀 분석적 추정

        이지훈,최세운,박효선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3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7 No.2

        보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해당 부재의 구조적 상태를 보여주는 보여줄 수 있는 변형률을 기반으로 한 모니터링 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대 변형률과 같은 부재의 상태를 대표할 수 있는 변형률이 발생하는 정확한 위치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은 한, 계측된 변형률을 토대로 합리적인 평가를 할 수 있게 하는 추가적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변형률계에 의해 계측된 이산데이터를 이용하여 강재 보 구조물의 변형률 분포를 추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에서는 보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미지의 하중으로 가정하였기 때문에, 실제 적용성을 향상 시켰다. 최종적인 변형률 분포는 회귀 분석을 통해서 함수 형태로 주어진다. 본 기법을 이용한 추정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서 분포하중, 집중하중, 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는 강재 보 구조물의 휨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을 통해 추정 변형률의 값을 직접 계측한 값과 비교해 본 결과, 임의의 위치에서도 절대 오차 2.32με 이내로 변형률을 추정할 수 있었으며, 전체 변형률 분포는 3.32% 이내의 상대오차로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강재 보 모니터링 시스템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o evaluate the safety of a beam structure, strains are measured as an indicator of structural states. However, unless strain sensors are installed exactly on where maximum or other representative strains occur, the techniques by which rational assessment through measured strains is accomplished are required. Thus, this study suggests a process to estimate strain distribution on the steel beam from discrete strains measured by sensors. In the presented technique, the targeted beam is regarded to be subjected to unknown loads so that applicability is enhanced. Final strain distribution is given as form of a function after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estimation, a bending test for steel beam on which distributed and concentrated loads simultaneously act is conducted. From the comparison between estimated and directly measured strains in the test, the curve of strain distribution and the strain at arbitrary location could be predicted within maximum relative error 3.32% and maximum absolute error of 2.32με, respectively. Thus reliable and practical monitoring is expected to apply effectively for the steel beam structure.

      • KCI등재

        피아제의 ‘전군의 구조’ 및 ‘INRC변형구조’에 근거한 초등통합교육모형 구성의 필요성

        은은숙(Eun, Eun-Suk) 새한철학회 2013 哲學論叢 Vol.71 No.1

        본 논문의 목적은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식론과 인지발달이론에서 해명된 논리적 구조인 ‘전군의 구조’ 및 ‘INRC 변형구조’에 근거하여, 초등학년의 통합교육을 위한 초교과적 통합원리를 개발하고 이것에 근거한 교수-학습 모형 구성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것이다. 피아제가 말하는 ‘전군의 구조’는 구체적 조작기(7-12세)에 고유한 논리적 구조이고, ‘INRC변형구조’는 형식적 조작기(14세 이후)에 고유한 논리적 체계이다. 그런데 피아제가 말하는 발달단계는 피아제 이후 많은 학자들의 다양한 실험에 의해 유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음이 해명되었다. 즉 구체적 조작기는 5세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하여 13-14세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형식적 조작기도 8-9세부터 또는 그 이전부터 시작될 수도 있다는 것이 많은 실험들을 통해서 해명되었다. 이는 교수-학습 방법에 따라, 피아제가 말하는 구체적 조작기와 형식적 조작기의 시기는 얼마든지 조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바로 이점에 착안하여, 연구자는 초등학교 1학년에서 3학년까지를 구체적 조작기로 간주하고, 4학년부터 그 이후를 형식적 조작기로 간주하면서, 피아제가 특성화한 논리적 구조들에 근거한 초등학년 통합교육모델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즉 1-3학년에 해당하는 저학년의 통합교육원리를 위해 ‘전군의 구조’가 활용되고, 4-6학년인 고학년의 통합교육원리를 위해서는 ‘INRC변형구조’가 활용되어야 할 필요성을 논증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to explain, in terms of educational philosophy,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based on Piaget’s logical systems, “grouping” and “INRC group”. The elementary groupings which constitute the only integrated structures accessible at the concrete operational level can be distinguished from formal structures(INRC group) on two counts. First, the grouping are systems of simple or multiple class inclusion or linkage, but they do not include a combinatorial system linking the various given elements n-by-n. As a result, they do not reach the level of a fully developed lattice structure, which would imply such a combinatorial system (structured whole); instead, they remain in the state of semi-lattice. Second, the mechanism of reversibility consists either of inversion (for classes) or reciprocity (for relation), but the two are not integrated into a single system. Piaget distinguishes between learning in the narrow sense and learning in the wider sense. The former involves the mere acquisition of specific responses to particular situations, the latter the acquisition of general cognitive structures. According to Piaget, development which is described by four facts-maturation, experience, social transmission, and equilibration- is learning in the wider sense. So development (learning in the wider sense) which involves the acquisition of general cognitive structures is the more fundamental. These structures are used to give meaning to specific learning and often makes it possible. Thus,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must be based on the logical structures.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logical principles and sentences, children could not figure out not only the affective and the moral duty, but also the function for social cultures and the skills for technical jobs.

      • KCI등재

        수학 문제 변형 유형과 문제 변형 주체에 따른 교사 담론 구조

        최상호 대한수학교육학회 2021 학교수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eacher discourse according to the types and subjects of transformation of mathematical problems. To this end, the data was collected by observing the first semester (44 classes) class of a teacher with 20 years of experience practicing a teaching method that promotes student participation. Among the classes in one semester, there were 10 classes in which a teacher or a student transformed and communicated a problem while a teacher solved a given problem with students and guided the transformation of the problem. The type of problem transformation in the 10th class was to change the assumptions and conditions of the existing problem or to extend the problem. According to the two types of problem transformation and the subject of the problem transformation (teacher, student), each case of a total of 4 semester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tructure of the teacher's discourse that induces problem transformation based on the student's participation independently from the problem transformation type and subject, transforms and solves the problem, and then arranges the routine of problem solving and problem transformation. In this way, the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ccording to the type and subject of problem transformation can be embodied in the teacher's discourse structure, thereby helping to develop a pedagogical method in which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roblem transformation proces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문제 변형 유형과 변형 주체에 따른 교사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20년 실행한 경력 교사의 중학교 1학년 1학기(44개 차시) 수업을 관찰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한 학기 수업 중에서 교사가 학생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고 문제 변형을 안내하는 과정에 교사 또는 학생이 문제를 변형하며 의사소통하는 수업은 10개 차시였다. 10개 차시 수업에서 문제 변형의 유형은 기존 문제의 가정과 조건을 변경하거나 문제를 확장하는 것이었다. 문제 변형의 두 가지 유형과 문제 변형의 주체(교사, 학생)에 따라 각각 1차시씩 총 4개 차시 분량의 수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 변형 유형과 주체와는 독립적으로 학생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문제 변형을 유도하고, 문제를 변형하고 해결한 후, 문제 해결과 문제 변형의 루틴을 정리하는 교사의 담론 구조가 있었다. 이렇게 문제 변형 유형과 주체에 따른 교사와 학생 간의 의사소통 과정을 교사의 담론 구조로 구체화함으로써 향후 문제 변형 과정에 학생들이 참여하는 교수법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