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강위생용품 관련 교육이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이경희,정은서,Lee, Kyeong-Hee,Jung, Eun-Seo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5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향후 이와 관련된 구강보건교육 방향의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2013년 12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서울 및 경기도에 위치한 치과의원에 내원한 환자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이 중 응답이 미흡한 21부를 제외한 다음 수집된 자료의 93.4%에 해당되는 299부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구강위생용품 관련 구강보건교육과 인지, 사용간의 상관관계는 구강위생용품 관련 구강보건교육을 받는 경우 구강위생용품 인지 정도(p<0.001)와 사용 정도(p<0.001)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강위생용품 인지정도가 증가할수록 사용 정도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둘째, 구강위생용품 교육은 종속변수인 구강위생용품 인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이상의 결과에서 구강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구강상태에 적합한 구강위생용품의 올바른 지식과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의 기회를 넓히고, 환자에게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사용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대중적인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 홍보를 통해 구강건강 향상에 기여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to provide the implications of dental health care training direction in the future after researching the effect on the use of dental hygiene devices,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patients who visited dental clinic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for about 6 months between December 2013 and May 2014. Among them,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by analyzing 299 copies accounting for 93.4% of the collected data after excluding 21 copies lacking in answer. It was shown that education about dental hygiene devic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dependent variables, perception of dental hygiene devices (p<0.001). Based upon the results above, it is considered that for the sake of prevention of oral diseases, more opportunities to learn correct knowledge and usage of suitable dental hygiene devices for individual oral conditions should be provided for patients, and active patient education as well as the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publicity of systematic and popular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will contribute to improved oral health.

      • KCI등재

        국내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대외경쟁력 현황 및 강화방안 :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심재희(Shim Jae Hee) 한국상품학회 2016 商品學硏究 Vol.34 No.1

        중국 구강위생용품 내수시장은 세계 최대 소비시장일 뿐만 아니라 향후 성장 가능성 역시 매우 커 국내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발전을 위해서 중요한 시장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구강위생용품 산업을 대상으로 양국의 경쟁력 수준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대중국 경쟁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강위생용품 산업을 치약, 치실, 칫솔, 기타 제품으로 분류하고 이들 품목에 대해 한·중 양국의 최근 10년간의 무역통계를 HS 6단위 기준으로 확보한 후 이를 토대로 국제경쟁력 측정지수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대체적으로 중국은 구강위생용품 산업에서 한국에 비해 경쟁력이 비교우위를 나타내고 있는 가운데 세부 품목에서는 한·중 양국이 경합관계에 있으며, 경쟁력의 변화추이에서는 한국이 중국에 비해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산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중국 내수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안하고 있는 한편, 연구방법 면에서는 제한적인 데이터 활용과 분석방법 등에서 한계를 가진다. 연구의 한계점으로 제시된 사항들을 보완하여 향후 연구는 분석 대상 품목을 다양화하고 경쟁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정교한 분석방법을 활용함과 동시에 목적 시장을 나이, 소득, 지역 등으로 세분화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미연구 대상이었던 국제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국가 간 경쟁력을 학술적으로 처음 분석하고 있고, 실무적으로는 국가 경쟁력 차원의 구강위생용품 산업의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mpetitive level of oral hygiene industry between Korea and China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oral hygiene industry from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trade statistics of Korea and China for oral hygiene industry were obtained from UN Comtrade website and the competitiveness measurement index were used to analyze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China. The results indicate that in the oral hygiene industry the competitiveness of China generally shows a comparative advantage compared to Korea, whereas in the oral hygiene products the competitiveness of Korea and China is in contention. This study suggests useful implications for the competitiveness of Korea's oral hygiene industry in the Chinamarket and has a fewlimitations in data utilization and analysis method, etc. Further studies including diversifica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use of sophisticated analytical method, and segmentation of the target market, etc. should be conducted. This study is the first academic analysis o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oral hygiene industry and can be utilized as a basis for policy-making of Korea's oral hygiene industry.

      • KCI등재

        구강 위생의 역사와 치위생의 정체성

        황윤숙,허소윤 한국의료윤리학회 2020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3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identity of modern dental hygiene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oral hygiene. Until the 18th century, the cleansing of one’s mouth was done mainly to remove halitosis or whiten teeth. Prior to the advent of ‘dental hygiene,’ types of behavior that could be considered as acts of oral hygiene were driven by instinctive and preference-oriented demands of individuals and cultures. The view that proper dental hygiene, including the removal of dental calculus and food debris, could be helpful in preventing dental diseases arose only after the invention of the microscope and the discovery of oral microbiome. ‘Mouth Cleaning,’ which had usually been done by barbers and barber-surgeons until the 18th century, evolved into dental hygiene services, including ‘tooth brushing instruction (TBI),’ ‘gum management,’ or ‘scaling’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Although science was instrumental in making preventive dentistry the main function of modern dental hygiene,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roots of the profession of dental hygiene. This article contributes to this new line of research by providing narrative accounts of oral hygiene from a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help to shape a new paradigm for dental hygiene. 본 연구는 구강 위생의 역사 속 치위생의 정체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구강 위생은 인류의 삶 속에서 문화, 풍습, 의식, 그리고 심미안 등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거 인류는 식편압입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마음의 안정을 찾기 위해, 종교적 의무에 의해 이를 쑤시고 입을 헹궜다. 구강 세정은 구취를 제거하고 하얀 이를 얻기 위해 행해지기도 했다. 18세기까지 구강청소는 대부분 구취제거와 치아미백을 위한 행위로 인식되었다. 20세기 초 치과위생사의 탄생과 함께 치위생의 범주 아래 통합되기 전까지, 구강 위생은 본능적이고 취향 주도적 수요에 의해 흘러왔다. 20만년 남짓한 인류의 역사속에서 예방적 관점의 구강 위생은 200년 남짓하다. 치석을 제거하고 음식물 잔사를 제거하는 것이 치아우식과 치주질환의 발병을 늦출 수 있다는 견해는 현미경을 통해 치면세균막과 구강세균을 우리 눈으로 직접 볼 수 있을 때가 되어서야 싹트기 시작했다. 18세기까지 이발외과의들 혹은 일부 치과의사들에 의해 행해지던 구강청소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하여 오늘날 ‘예방관리’, ‘잇솔질교육(tooth brushing instruction)’, ‘잇몸관리’ 등의 서비스로 바뀌었다. 이런 과학적 정당성에 힘입어 오늘날 치석제거와 잇솔질교육을 위시한 예방업무는 치과위생사 업무 중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과위생사 업무 범위 확립 과정에 관한 역사적, 철학적 고찰이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구강 위생 행위 변화를 사회적, 문화적 관점에서 이해하고자 하는 치위생의 ‘내러티브’를 시도한다. 이를 통해 자칫 진료협조와 예방으로 고착될 수 있는 치위생학의 패러다임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구강 위생의 역사는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러나 그 본질은 바뀌지 않았다. 접근방법과 해석방법의 변화가 있을 뿐이다. 역사적 고찰을 통한 치과위생사 역할 고민은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서 치위생학이 길을 잃지 않고 바른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구강 위생의 역사를 살펴봄으로써 치과위생사 정체성 탐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 KCI등재

        고등학생의 구강위생용품에 대한 인지, 실천 및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 조사

        오나래(Na-Rae Oh),서수연(Su-Yeon Seo),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2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구강위생용품의 인지, 실천실태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올바른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K지역 고등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강위생용품을 인지할수록 구강위생용품의 실천도(p<0.05)가 높은 결과를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인식(p<0.05)과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올바른 실천을 위해서는 구강위생용품의 교육의 필요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의 올바른 세치제 사용양 인지에서 모1/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지만, 실천도에서는 모3/3사용이 가장 높게 나왔다. 연구결과 구강보건교육에만 국한 되지 않고 실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학업으로 인해 의료기관에 접근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구강보건교육의 습득경로 대중매체의 경로로 더 보급하고 학교구강보건교육 시행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시행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practice status and perceived oral health awareness of oral hygiene product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to utilize it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can use the correct oral hygiene products. The results of the self -filling questionnaire survey of 260 high school students in K area were as follows. (P <0.05), which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ubjective oral health perception (p <0.05). his implies the need for educa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for proper practice in using oral hygiene products. The use of oral hygiene products was the highest in 1/3, but in practice, the total use was highest.It is thought that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hat can affect not only the oral health education but also the practice is needed. For the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accessing medical institutions due to their studies, the way to acquire oral health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the development of public health education programs and the implement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 KCI등재

        주관적 구강보건지식과 구강건강행태가 개인구강위생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정미,이은주,권수진 보건의료산업학회 2014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8 No.2

        This research aims to improve oral health knowledge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effect of subjectiv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on personal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targeted for adults who visited a dental hygiene laboratory at B University in Busan for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management and procedure from September 23, 2013 to December 12, 2013, and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adults’ personal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by inducing behavior on oral health. Results derived from the research are as follows. Oral health education is a prerequisite to improve personal oral hygiene management ability through improvement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behavior, which leads to improved personal oral health and furthermore promotion of national oral health through not just simply transmitting oral health knowledge, but desirable change in oral health behavior based on oral health knowledge.

      • KCI등재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이광희 대한소아치과학회 2007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4 No.2

        연구 목적은 영유아의 구강위생관리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중의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을 조사하여 분류하고 안전성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익산시내 영유아 보육자들 672명에게 구강위생관리용품의 사용경험을 포함한 구강위생관리방법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영유아용 구강위생관리용품은 구강 티슈, 손가락 칫솔, 성장단계별 칫솔, 전동칫솔, 어린이용 칫솔,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을 포함한 성장단계별 치약, 어린이용 불소치약 등이 있었다. 사용 경험은 구강티슈가 62.5%, 손가락 칫솔이 70.9%, 3단계 칫솔이 55.9%, 삼켜도 되는 영유아용 치약이 87.4%이었다. 이를 닦아주기 시작한 때는 이가 날 때부터와 생후 1년경이 79.0%, 생후 2년경과 3년경이 21.0%이었고, 이닦기 중 치약을 삼키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22%이었고 48~59개월에서는 9%, 60개월 이상에서는 3%로 감소하였다. 보육자가 어린이 이를 닦아주는 비율은 48개월 미만에서 52%, 48~59개월에서는 42%이었고 60개월 이상에서는 26%이었다. 영유아기 구강위생관리의 기본 방법은 이닦기를 통해 치아표면의 치태를 제거하는 것이며, 이닦기의 주된 방법은 칫솔질이고 치약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시에는 질식, 삼킴, 목구멍 손상 등에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3세 이전에는 불소치약의 사용이 권장되지 않으며, 사용시에는 최소량을 사용하고, 삼키지 않고 뱉도록 보호자가 지도 감독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mprove the oral hygiene methods for early childhoo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oral hygiene materials for early childhood and the oral hygiene methods used by 672 caregivers in Iksan city. The oral hygiene materials were oral tissue, finger brush, toothbrush set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electric toothbrush, child toothbrush, toothpaste sets according to the growth stages including eatable toothpaste, and child toothpaste. The rate of caregivers who used each materials was 62.5% for oral tissue, 70.9% for finger brush, 55.9% for toothbrush sets, and 87.4% for eatable toothpaste. 79.0% of caregivers began toothbrushing from first eruption and about 1 year of age. The rate of swallowing toothpaste was 22% before 48 months, 9% from 48 to 59 months, and 3% after 60 months. The rate of children brushed by caregivers was 52% before 48 months, 42% from 48 to 59 months, and 26% after 60 months. The basic method of oral hygiene management for early childhood is to remove the dental plaque by toothbrushing, and the toothpaste may be used. Suffocation, accidental swallowing, and injury to the throat must be avoided. Generally, the fluoride toothpaste is not recommended before 3 years of age. The least amount of fluoride toothpaste should be used and caregivers should supervise children to prevent the swallowing of toothpaste.

      • KCI등재

        구강조직 미세환경 특이적 구강청량제 개발의 필요성

        김태영,정재광,안서영,하정홍,김안나,이상일,안창현,김지연,김재영 대한구강해부학회 2023 대한구강해부학회지 Vol.44 No.1

        Recently, oral care market is mainly driven by increasing people’s awareness about oral hygiene. Mouthwashes are becoming increasingly popular among oral care products. Consumers in oral care market desire for new or more functionally improved mouthwashes.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new conceptual and functional mouthwash products that are tissue- and condition-specific, including gingivitis, periodontitis, and implantit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consider the relevant cellular and histological research results findings accumulated by advanced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periodontal disease, which is the most common oral disease, can be prevented and treated depending on the progress and oral tissue specific micro-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mouthwashes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development new products with remarkable ingredients. 전세계적으로 위생 및 개인 외모 유지에 대한 의식이 높아지면서 구강 위생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구강청량제는 휴대하기 간편하고 입안을 헹궈내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소비자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제품의 시장 규모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콘셉트 및 고기능성구강용품의 개발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환경을 선도할 수 있는 신개념의 구강위생제품의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해서는, 고도화된 과학기술에 의해 축적된 연구결과를 이용한 제품의 개발 및 생산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특히 외래 다빈도 상병 진료 1위를 차지하는 치주질환은 진행정도와 구강환경에 따른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여, 기존 구강청량제의 한계에 대해 분석하고 기능적으로 월등하고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성분들을 탑재하여 새로운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의 확립이 필요하다.

      • KCI등재

        일부지역 성인의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융합적 요인

        최유리,김효진,최은미,이영석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6

        본 연구는 일부지역사회에서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증가할수록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보조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는 군에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유의성 있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정기적 치과를 방문하는 사람은 계속구강건강관리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p<0.05). 또한 예방치과서비스를 경험한 군이 계속구강건강 관리에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계속구강건강관리에 대한 경험과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임상 치위생분야에서 계속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필요한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n oral health care performance by analyzing the results of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management for adults. As age increased,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experience is significantly higher. The results have shown that as age increases, interest in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becomes even higher. And, the group using secondary oral care products has significantly higher incremental oral care experience(p<0.05). Also, those who visit dental clinic regularly continue to experience incremental oral health care(p<0.05). In addition, the group that had experienced preventive dental services continued to be significantly highly relevant to oral health care(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experience and influence of incremental oral health management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incremental oral health care program in dental clinic.

      • KCI등재

        대학생의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

        오나래(Na-Rae Oh),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는 대구·경북에 소재하는 대학생 222명을 대상으로 구강위생용품 관리실태에 따른 구강건강인식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었다(p<0.05). 연구대상자가 사용하는 칫솔이 2개인 남성은 43명(19.4%), 여성은 50명(22.5%)이었고(p=0.047), 전공계열은 문과인 대상자는 칫솔을 2개사용 하는 대상자가 18명(8.1%)로 이과전공대상자 75명(33.8%)으로 차이를 나타냈다(p<0.001). 칫솔을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 중 남성은 72명(32.4%), 여성은 46명(20.7%)로 남자가 휴대하지 않는 대상자가 많았고(p<0.005), 이과계열 대학생이 휴대하는 대상자는 83명(37.4%), 문과 대학생의 경우 21명(9.5%)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인식도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3.031배였고(p<0.001), 전공계열이 이과인 집단이 문과인 집단에 비해 2.57배였다(p<0.001). 칫솔을 살균하는 하지 않는 대상자는 살균하는 대상자에 0.459배로 구강건강 인식도가 낮았다(p<0.05). 우리나라의 대학생의 구강보건청책의 수립 및 평가를 위해 객관적 구강건강상태만을 지표로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에 관한 변수의 효과까지 반영하는 만큼 다양한 구강건강인식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연구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ctual condition of oral hygiene products management in 222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Kyungbuk province (p<0.05).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43 men (19.4%) and 50 women (22.5%) with two toothbrushes (p<0.05), and the major subjects were 2 tooth brushes The subjects were 18 (8.1%) and 75 subjects (33.8%) were subjects of science major (p<0.001). Among the subjects who did not carry a toothbrush, 72(32.4%) were male and 46 (20.7%) were female. The number of subjects who did not carry the male was higher (p<0.05)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83 (37.4%), and 21. Oral health awareness was 3.031 times higher than that of male (p<0.001), and the major group was 2.57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population (p<0.001). Subjects who did not sterilize the toothbrush had 0.459 times lower oral health perception (p<0.05). In order to establish and evaluate the oral health polic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only the objective oral health status is used as an index. However,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reflect the variables affecting oral health awareness as much as the oral health awareness reflects not only oral health condition but also socioeconomic variables and the effect of variables on oral health.

      • KCI등재

        군인들의 구강보건 행태가 구강건강 삶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강민경,서혜연,최유리 한국융합학회 2017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8 No.9

        본 연구는 현재 군인들의 구강보건행태 와 구강건강 삶의 질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고.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구강보건 교육을 실시함에 있어 근거 및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총 400명의 서울 경기 지역의 군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361명의 수집된 데이터를 SPSS 19.0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군인들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는 보통이라고 느꼈으며, 구강보건 행동의 실천률은 높지 않았다.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가 좋지 않다고 한사람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좋지 않았다. 또한 군인들은 구강보건교육이 매우 필요하다고 느꼈으며,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와 구강보건교육의 필요성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군인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건강이 구강건강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군인들의 구강보건 교육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보이며, 본 연구 결과는 군인들의 구강 보건 교육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ral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for soldiers. Because this study basis data for the oral health education for soldiers. A total of 400 soldi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were surveyed and 361 data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19.0 program. Soldiers felt that there were oral health moderated, and oral hygiene behavior was not high. Also, soldiers answer that oral health education is necessary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 rated oral health status and the need for oral health education. As the physical health, mental and social health of soldiers is related to oral health, it seems that the oral health education of soldiers should be regularly and this study can be used basic data of oral health education of soldi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