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럽의 개신교회 분열과 미국 교파주의 역사

        정일웅(Il ung Chung) 혜암신학연구소 2015 신학과교회 Vol.4 No.-

        이 논문은 유럽 개신교회의 분열과 미국 개신교회의 교파주의의 역사를 다루었다. 먼저 루터의 종교개혁의 역사에서 파생된 독일 지역의 루터교회와 쯔빙글리와 칼빈에게서 시작된 스위스 지역의 개혁교회 역사가 다루어졌다. 그리고 독일 지역 내에서 루터교회와 개혁교회와 연합교회가 어떻게 서로 대립하면서도, 그 대립을 극복하고 어떻게 연합된 하나의 독일 개신교회(EKD)가 형성되었는지, 그 역사를 상세히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영국 종교개혁 역사가 다루어졌는데, 거기서 파생된 영국성공회와 장로교회, 침례교회, 감리교회, 청교도운동 등의 역사가 소개되었다. 마지막으로 미국 개신교회의 역사는 역시 유럽 개신교회에서 파생된 여러 교파들이 옮겨간 교회들의 역사로서, 미국독립 이후 200년간의 역사에서 그 교회들이 어떻게 다양한 교파들의 교회가 생겨나게 되었는지, 그 대표적인 교회들을 소개하였다. 물론 유럽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에 의하여 시작된 영국국교회, 장로교회, 회중교회, 개혁교회, 침례교회, 감리교회 등을 중심으로 소개했으며, 이러한 교회들은 다시 미국이란 환경에서 시대 변화와 여러 신학 논쟁의 결과로 분파되었으므로 미국 교회 분열의 역사도 간략하게 다루었다. 그리고 교회연합 운동과 관련하여 미국 개신교회의 큰 두 흐름인 진보주의적인 교회들과 보수주의적인 교회들을 소개하였는데, 전자는 세계교회협의회(WCC)와 관계하여 연대하는 모습이라면, 후자는 신학의 근본주의적인 경향을 극복하면서, 새로운 연대로서 움직이는 복음주의 운동과 연결하고 있는 점이다. 이 논문의 결론으로 필자는 이러한 유럽과 미국의 개신교회 분열의 역사와 분파의 역사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오늘날 현존하는 한국 개신교회의 여러 교파의 뿌리가 어디에 기인하고 있는지가 확인되기를 바라며, 나아가서 한국 개신교회가 교파 분열을 극복하고, 이제 화합하고, 연합하여 이 시대의 더 큰 복음의 과제 성취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을 피력하였다. This paper addresses the disunion of European Protestant churches and the denominationalism of American churches in a historical perspectⅣe. First, it traces down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Reformation centering on the Lutheran church in Germany and the Reformed church by CalⅥn and Zwingli in Switzerland. Especially, German churches were formed into EKD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Lutheran, Reformed, and United churches. Second, English version of religious reformation is analyzed with the specifications of Anglican, Presbyterian, Baptist, Methodist, and Puritans. Lastly, American church history is the transplanted version of European history of churches. Transplanted, it shows its own process of interacting with the new enⅥronment and a variety of theological controversy. American churches represent Episcopal, Presbyterian, Congregational, Reformed, Methodist, etc. As far as the church union movement is concerned, the progressⅣe party of American churches is associated with WCC while the conservatⅣe one the new evangelical movement, which has overcome fundamentalist theology. In conclusion, this elucidation of the history of the disunion of European and American churches is expected to inspire Korean churches, currently suffering lots of fission, to overcome such disunion and integrate each other with the promise of achieⅥng larger task of the Gospel.

      • KCI등재

        교회역사 재조명 운동의 필요성 고찰 - 광주광역시에 있는 교회를 중심으로 -

        김호욱 ( Kim Ho-wook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7 역사신학 논총 Vol.31 No.-

        한국교회는 자국으로부터 한반도에 파송 받은 선교사가 입국한 이후부터 계산할 때 여130년의 선교역사를 가지고 있다.좀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2017년은 한국교회에 미국 북 장로회 의료 선교사 알렌이 입국한 지 137년이 되는 해이다.알렌 이 미국 북 장로회 의료 선교사로 파송받아 중국 상해에서 활동하다가 조선 땅을 밞은 때가 1884년 9월 20일이기 때문이다. 한반도에 복음이 들어 와 교회가 설립되기 시작한 지 여130 년이 지나면서 한국교회사에 대한 관심이 학계를 넘어 교회설립 역사가 오래된 개별교회와 지역사회 등으로 그 지평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개별교회는 자신들의 교회역사를 출판하면서 그 교회가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력이 무엇이었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학자들에게 연구를 의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학자와 해당 교회가 의식적이든지 아니면 무의식적이든지 역사를 곡해하거나 왜곡시키는 일들이 발생하고 있다. 개별교회 역사의 곡해 또는 왜곡이 일어나는 부분은 설립자가 누구인가? 교회가 최초로 설립된 위치는 정확하게 어디인가? 등 다양하지만, 가장 많은 부분은 개별교회의 설립년도에 관한 내용이다.개별 교회 설립년도가 중요해 진 것은 교회 역사를 정확하게 기록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자신의 교회가 그 지역의 기독교복음전래의 구심점 역할을 하고 싶은 생각이 그 중요 원인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또 다른 중요한 원인은 사료의 부족, 학자의 연구 부족, 그리고 학자의 편협적인 사료 활용 등에 있다. 필자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특정교회의 설립 년도를 편협적인 사료활용으로 왜곡시켰던 사례와 사료의 부족 및 학자의 연구 부족으로 발생한 개별교회 설립역사의 곡해 사례를 살필 것이다.그런 다음, 교회역사학사와 각 교회가 교회역사의 곡해 또는 왜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It has already been more than 130 years since the Christian gospel through Protestantism began to spread to Korea by missionaries sent from the missionaries' own native denominations. More precisely, the year 2017 marks the 137th anniversary of the arrival of Allen, a medical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the United States in America(PCUSA), to Korea. This is because September 20, 1884, when Allen, who was sent to the Medical Missionary from PCUSA in Shanghai, China, arrived on the Korea peninsula. Over the past 130 years since the gospel has spread to the Korea peninsula, the interest in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has been growing steadily over the past few decades. As the church publishes its histor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in which scholars are commissioned to study what the church has in the community. In this process, church historians and churches, whether they wear conscious or unconscious, w ould have committed the mistake of producing distorted church history. The distortions in the history of each church can vary, such as who is the founder or exactly where the church was f irst established. But the greatest part is when the church was founded. The importance of when each church was founded is purpose to accurately record the history of each church, but it is often the case that the desire of one's own church to serve as a base for the history of christian gospel arrival in the region. Another important cause is the lack of historical data and research by church historians, and the application of narrow historical source of church historians. I am going to show the case of the year of the establishment of a particular church that is distorted by the intensive use of the historical source of the church historian and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church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or research by church historians focusing on the church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Finally, I will then propose ways to prevent that church historians and churches pervert each church history.

      • KCI등재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본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론과 역사이해에 관한 연구

        김명배 숭실사학회 2009 숭실사학 Vol.23 No.-

        이 논문은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논문은 두가지 방법을 취한다. 첫 번째 방법은 그의 작품인 교회사 연구하고, 그 작품 속에서 그의 역사이해를 관찰한다. 두 번째 방법은 에큐메니칼 역사방법론을 서술하고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한다. 유세비우스는 초대교회의 가장 중요한 역사가이며 종종 그의 교회사 의 중요성으로 “교회사의 아버지”로 언급된다. 이 작품은 예수그리스도에 의한 교회의 설립으로부터 콘스탄틴 황제까지의 교회의 역사를 다룬다. 이 작품 속에서 유세비우스는 여섯 개의 주제들 예를들면 사도적 전승, 교회사 속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들과 인물들, 이단의 발전, 유대인의 운명, 기독교인의 박해와 순교, 그리고 초대교회에서 성서의 본문과 정경의 역사 등을 제시한다. 그리고 그는 이 작품 속에서 첫째로 전체역사를 통해 관통하는 것은 신적 섭리와 은총이라고 생각하였으며, 둘째로 콘스탄틴의 도래가 이러한 진보의 절정이라고 믿었다. 한편 1981년 스위스의 바젤에서 개최된 국제교회사협의회는 에큐메니칼 교회사서술방법론에 관하여 토론하였다. 이 모임에서 교회사가들은 하나의 거룩한 보편적인 에큐메니칼 교회사 서술을 위한 과제를 제출하였다. 이 에큐메니칼 교회사 서술은 시간, 공간, 그리고 하나님의 전체백성의 보편성으로 특징지어질수 있다. 그리고 이 에큐메니칼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그룹 보고서들은 교회들의 다양성, 초대교회사에 대한 연구, 세속역사가들과의 대화가 필요하다는데 동의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에큐메니칼 관점에서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과 역사이해를 평가하였다. 이 논문에 따르면, 유세비우스의 역사서술방법은 에큐메니칼 역사서술방법과 공통점과 차이점을 모두를 지니고 있다. 우선 공통점은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가 에큐메니칼 역사서술이 강조하는 초대교회사의 보고이며, 세속역사가들과의 대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는 다양한 교회들의 역사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으며, 민중들의 역사를 다루고 있지 않는다는 점에서 에큐메니칼 역사서술방법과 차이점을 지닌다. This paper is to estimate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n Ecumenical Perspective. To obtain this purpose, this paper takes two methods. The first method researches Eusebius’ historiography in his work, Ecclesiastical History and examines his understanding of history in it. The second method is to study the historiography of An Ecumenical Perspective and estimate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in An Ecumenical Perspective. Eusebius is the most important historian of the early church and is often referred to as the “Father of Church History” because of the significance of his Ecclesiastical history. This work covers the story of the church from its establishment by Jesus Christ to the time of the Emperor Constantine. In this work, Eusebius identifies Six broad subjects: the successions of the apostles, the most important events and persons in the history of the church, the development of heresy, the fate of the Jews, the persecution and martyrdom of christians, and the history of the text and canon of Scripture in the early church. In this work. Eusebius has two ideals of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First, he thought that Permeating the entire history is the idea of divine Providence and grace. Second, he believed that the advent of Constantine was the culmination of this progression. Meanwhile, in 1981 the international council of church historians held in Basel, Switzerland discuss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historiography of An Ecumenical Perspective. At the meeting church historians presented the task for An Ecumenical history of the una sancta catholica. It must be characterized by catholicity in time, in space, and of the whole People of God. And also, in order to carry out the task of ecumenical church history, the reports of groups agreed that the diversity of churches, the study of early church history, the dialogue with Secular historian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history of people are required. In view of this ecumenical historiography, this paper estimates Eusebius’ historiography and understanding of history. According to this paper, Eusebius’ historiography has the common grounds and differences with this ecumenical historiography. the common grounds is that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has the sources of early church history and the dialogue with Secular historians. the differences is that Eusebius’ Ecclesiastical History has not the diversity of churches and the presentation of the history of people.

      • KCI등재

        역사신학의 과제와 종교개혁 교회사관

        임원택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3 역사신학 논총 Vol.43 No.-

        역사신학의 과제는 하나님 말씀인 성경을 올바르게 풀고 가르치는 것이다. 역사를 살필 때 중요한 것이 사관이다. 사관의 차이가 역사 해석의 차이를 낳기 때문이다. 교회사관은 교회관에 따라 결정된다. 교회사관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 신령파 교회사관, 종교개혁 교회사관. 로마 가톨릭 교회사관은 성육신하신 예수 그리스도의 신비한 몸과 로마 가톨릭 교회를 동일시한다. 그 결과, 교회와 교회 전통이 절대시 되고, 성경 해석도 교회의 결정과 가르침에 종속된다. 신령파 교회사관은 교회와, 예수 그리스도 안에 있는 계시의 역사성의 상관관계를 영적으로 단절한다. 신령파 교회사관의 문제는 불가시적 교회라는 교회의 본질적 개념 안에서 교회의 역사성이 사라져버린다는 사실이다. 종교개혁사관은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의 긴장 관계 속에서 교회사를 살핀다. 건전한 전통은 계시의 말씀인 성경에 근거해 분별하며, 주관적인 성경 이해를 피하기 위해 교회의 역사와 전통에 자문한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을 가지고 교회사를 연구한다면, 세계교회적 보편성과 지역적·민족적·역사적 특이성이 균형을 유지하도록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균형 잡힌 교회사관을 가지고 있으면, 오늘날 교회가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상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점검하고 동시에 성경적 교회상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도록 방향을 제시하는 교회사의 과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종교개혁 교회사관의 적용 실례로 다음과 같은 주제들에 대한 해석들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해석을 제시했다. 교회의 기초(마 16:16-19), 교회와 국가의 관계, 신약성경의 정경화 과정, 예수 그리스도의 지상명령(마 28:18-20).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is the right interpretation and teaching of Holy Scripture. In studying historical theology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view of history. For a different view of history results in a different interpretation of history. Views of church history are strongly associated with conceptions of the Church. There are three main forms of history of the Church: the Roman Catholic, the Enthusiastic, and the Reformed. The Roman Catholic conception of the Church identifies the mystical Body of Christ with the historically verifiable Roman Catholic Church. As a result, the Roman Catholic Church places absolute trust in their church and church tradition, and their interpretation of Holy Scripture is subject to the decision and teaching of their church.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Enthusiastic conception of the Church consists in its spiritualizing severa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the historicity of the revelation in Jesus Christ. The basic significance and problem of this lies in the fact that the historicity of the Church disappears in the essential conception of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assumes the antithesis between a visible and an invisible Church. The Reformed Church discerns between sound and unsound traditions by Holy Scripture, the revealed Word of God, and considers history and tradition to avoid arbitrary interpretations. A historical theologian with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should always give his or her mind to keeping the balance between ecumenicity and relevancy, in other words, universality and particularity. If we have a balanced and sound view of church history, we can achieve the task of historical theology, that is, to evaluate the Church of today how much it conforms to the teaching of Holy Scripture, and to help it take the right direction in order to realize the ideal of the Biblical Church. As examples of the interpretation of church history according to the Reformed conception of the Church, following subjects are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the Church(Matthew 16:16-19), the relation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the process of canonization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great commission of Jesus Christ(Matthew 28:18-20).

      • KCI등재후보

        한국재림교회 선교적 교회개척을 위한 역사적 제언

        최경천(Choi, Gyeongchun) 삼육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신학과 학문 Vol.30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desperate need of church planting for the Korean Adventist Church by finding the principles of church planting from the early history of Adventist Church.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earches some useful historical resources regarding mission and church planting of the early Adventist Church and Korean Adventist Church. This study suggests to rebuild the church planting as the primary agenda by the recovery of the pastor’s role as church planters, to implement the model of laypersons’ church planting, to make young people participate in church planting, and to redesign the curriculum of theology department align with church planting agenda. 본 연구는 역사 속에 나타난 재림교회 교회개척의 유산과 정신들을 재정립하여 선교적 교회개척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초기 재림교회의 교회개척 역사와 초기 한국 재림교회의 선교 상황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교회개척을 위해 (1) 교회개척을 위한 목회자의 역할 회복, (2) 평신도 교회개척 모델 확산, (3) 다음 세대 젊은이들의 교회개척 참여, (4) 신학과 교육과정을 교회개척 중심으로 재편해야 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역사 경험에 대한 종교개혁적 성찰

        천병석 한국조직신학회 2017 한국조직신학논총 Vol.48 No.-

        In commemoration of 500 years since the Reformation, this treatise seeks to re-illuminate faith and theology of Korea's Protestant churches from the light of Luther's theology. Presently, Korea's Protestant churches need to undergo changes from within and without. They don't have, however, any idea from where to start the changes. In this respect, Luther's Reformational discovery can be regarded as the starting point for changes of Korean churches. It's because his theological discovery changed not only the Medieval churches also the whole European society. That said, the point of this treatise is not targeted to the objects of change. It's neither about individuals, churches, nor about societies but important is what is the sources bringing about changes. As Luther considered the old church as Babylonian captivity, we need to have self-examin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It is revealed that principle of justification by faith is not working in our country, since Korean churches have been too dependent on the United States and its churches, beyond being friendly to them. It is surely one of our country's historical experiences just like the victim mentality caus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or the Korean War. These experiences hinder meaningful changes based on faith-experiences. Historical experiences, which are merely relative and partial, may prevail in human matters but can't obtain ultimate legitimacy in front of God. Only faith-experiences based on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as 'being righteous by God's righteousness' are able to bring about true changes to churches and society. Such faith-experiences have been handed down to us in the form of confession of faith of Korean churches, surviving internal life of church history, which we can identify particularly in the Great Revival of 1907 in Korea. The heritage of the Reformation can be and should be applied to the reforms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Although ‘Indigenous theology’ and ‘Minjung theology’ were presented as the possibility of Korean theology in Korean theological history, they could not bring as much fruit as expected for the mission and ministry of the church for society because they could not theoretically subject the Korean church's unique faith experience. A meaningful change in Korean church and society is in rediscovering and practicing the principles of the reformational theology that Luther discovered and practiced 500 years ago, like the slogan of “Ad Fontes” (return to the source). 이 논문은 종교개혁 500주년을 맞아 한국개신교의 신앙과 신학을 루터신학의 빛에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한국개신교는 안팎으로 변화를 요청받고 있다. 하지만 어디서 시작해야할 지 당혹해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루터의 종교개혁적 발견은 한국교회를 위한 변화의 출발점으로 여겨진다. 그의 신학적 발견은 중세교회뿐만 아니라 유럽사회를 바꾸어 놓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글의 논점은 변화되는 그 대상에 있지 않다. 개인이거나교회거나 혹은 사회가 문제가 아니라, 변화를 가져오는 원천이 무엇인가가 중요하다. 다만 루터가 당시의 교회를 바벨론 포로로 보았듯이, 복음이 적용되어야 할 대상으로서, 한국 교회와 사회의 현실에대한 반성이 필요하다. 그것은 한국교회가 미국과 미국 교회에 우호적인 것 이상으로 종속되어 칭의론적 신앙의 원리가 작동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미국경험은 일제와 6.25로 인해 겪은 피해의식과 마찬가지로 우리민족이 겪은 여러 역사 경험 중의 하나이다. 그러한 경험들이 민족적 무의식 속에 고착되면 신앙 경험에 의거한 의미 있는 변화를 방해하기도 한다. 역사 경험은 상대적이고 부분적이어서 인간사에서 통용될 뿐 하나님 앞에서 궁극적인 정당성을갖지 못한다. ‘하나님의 의로 의롭게 된다’는 칭의론적 신앙 경험만이 교회와 사회에 진정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그런 신앙경험은 한국교회의 신앙고백과 교회사의 내적 생명을 이어오는 것으로서, 특히 1907년 대부흥운동에서 역사 경험적으로 확인될 수 있다. 종교개혁의 칭의론적 유산은 한국 교회와 사회의 개혁을 위해 적용될 수 있고 적용되어야 한다. 토착화신학과 민중신학이 한국 신학의가능성으로 제시된 바 있지만, 한국교회의 고유한 신앙 경험을 신학적으로 주제화하지 못했기에 사회를 위한 교회의 선교와 목회를 위해 기대만큼의 결실을 거둘 수 없었다. 한국교회와 사회의 의미 있는변화는 ‘Ad Fontes’(근원으로 돌아가자)라는 종교개혁기의 구호처럼, 500년 전 루터가 발견하고 실천했던 칭의론적 신학의 원리를 재발견하고 실천하는 데에 있다.

      • KCI등재

        한국교회사와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차이점 그리고 그것의 공헌과 한계: 역사의 문학성을 중심으로

        고훈 ( Ko Hoon )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20 영산신학저널 Vol.0 No.54

        본 논문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한국교회사 연구자들이 언급한 역사의 ‘문학성’이 무엇인지 정리하고, 그들이 말한 ‘문학성’과 이만형의 연구가 기초하고 있는 포스트모던 역사학이 말하는 역사의 ‘문학성’의 차이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둘째, 역사의 문학성과 관련된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방법론이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에 제공할 수 있는 공헌과 한계를 역사서술, 역사 자료, 역사 방법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기존 연구자들은 역사의 ‘문학성’(역사서술의 문학적 형식), 역사의 ‘이야기성’(문학적 형식의 이야기형태), 역사가의 ‘상상력’(선지자적 안목)을 강조하면서도, 역사는 문학이라는 ‘소설’과는 다르며, 실제로 발생한 역사적 사실에 기반을 둔 서술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포스트모던 역사학은 역사와 문학 그 둘 사이의 구분을 허물고, 텍스트 혹은 언어가 역사의 의미를 결정한다는 것이 기존 연구자들의 입장과 가장 큰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나아가 포스트모던 역사서술이 줄 수 있는 공헌과 한계와 관련하여, 첫째, 기존 한국교회사 연구자들의 역사적 사실과 역사 플롯/의미에 대한 인식을 성찰하게 만든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최대한 객관적으로 역사를 인식하고자 하는 노력 및 사실에 기반을 둔 역사서술을 포기하지 말아야 하며, 역사 인식 신념에 대한 전통적 역사학과 포스트모던 역사학 사이의 입장 차이를 줄이는 것, 포스트모던 역사학도 해체라는 관점과 자신의 주장을 중심으로 역사를 재구성하는 것임을 기억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 둘째, 포스트모던 역사학은 원자료에 대한 전통적 역사학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관점과 자료에 대한 비평적 관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공헌에도 불구하고, 자료에 대한 외적 비판 혹은 텍스트 비판은 하지 못한다. 셋째, 역사적 사실 규명과 해석이라는 역사 방법론을 넘어 역사(歷史)가 ‘누구’에 의해서 그리고 ‘어떻게’ 구성되는가에 대한 새로운 역사 방법론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다양한 학제 간 연구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의 공헌은 포스트모던 역사학의 도전에 대한 응답의 하나로서, 한국교회사 연구 방법론으로 역사의 ‘문학성’이라는 관점을 다시 환기시키고, 일반학계에서 통용되는 포스트모던 방법론에 대한 대화 및 토론을 모색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historical literature between the two views of historiography history by organizing the academic flow and through stressing the historical literature of Korean church historiography and 2)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s and limitations of postmodern historiography to the study of Korean church history. The following findings have been observed as a resulg of this study. Although current scholarship has mentioned historical literature history (literary form), narrativity (story), and imagination (prophetic insight), it has emphasized the separation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and underlines the need to base historiography upon historical fact. Conversely, postmodern history has argued that history and literature cannot be separated from one another and, in fact, it remains that texts determine historical meaning and not the past itself. These a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views of historiography. Regarding postmodern history’s contributions and limits, we can mention: First, although postmodern history can help us to reconsider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history, there remains a real past and historians are able to recognize the past itself. We should not abandon the quest for seeking an objective view of history. Therefore, we should try to overcome the gap between traditional historiography and postmodern historiography. Second, postmodern history can assist us in understanding the paradigm shift in primary sources from fact to narrative or memory. There is a weakness in underemphasizing historical criticism. Third, postmodern history can offer a new method of "who" recorded the events and how historians have described the past, but that requires multidisciplinary aproaches. Finally,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relates to providing an impulse to the importance of historical literature and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in postmodern history.

      • KCI등재

        하르낙의 교회사 서술에 대한 방법론적 비판

        김성욱 ( Sung Wook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2 성경과신학 Vol.61 No.-

        교회사를 서술하는 작업에는 역사에 대한 이해와 기독교에 대한 이해 그리고 신학적 입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2,500년의 역사학의 흐름 속에서 "역사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이 있었고, 그와 동시에 기독교의 본질에 관한 논의도 구약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계속적으로 있었다. 역사이해에 있어서 인간의 역사만을 정리할 것인가 아니면 보이지 않으나 자신의 계획대로 역사를 이끌어가는 하나님을 인정하는 역사를 인정할 것인가는 역사학의 중요한 전제이다. 역사와 교회에 대한 서술을 살펴볼 수 있는 예로 하르낙의 작품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역사학 방법론의 한계는 하나님을 인정하지 않고 서술하는 것에 있다. 하나님께서 역사를 자신의 뜻대로 이끌어가신다는 사실을 이사야 14장에 나타나는 앗시리아 제국의 역사를 통하여 달리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르낙은 교회의 역사를 서술함에 있어서 리츨신학의 결론을 자신의 전제로 삼고 있다. 기독교가 그리스 정신과 융합되면서 신학이 변질되었고, 그 일에 바울 사도의 역할이 있기 때문에 바울사도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며 역사에서도 하나님의 인도를 외면하고 있다. 그가 파악하는 역사는 역사적 사건과 영향사 그리고 현실의 독자의 인식이라는 세 가지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크게 본다면 실존주의적인 역사이해인 것이다. 이와 달리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그 본질을 인간의 죄악으로 평가하는 로이드 존스의 역사이해는 하르낙의 역사이해와 분명하게 대비된다. 현대의 역사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역사 속에서 살아가며 자신의 영역을 개척해가는 인간이다. 하지만 객관적인 역사서술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역사관 혹은 실존적인 역사를 강조하게 된다. 이와 대비되어 성경은 역사를 이해함에 있어서 현재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어 과거, 현재, 미래의 전체 역사만이 아니라 온 우주에 관한 섭리자이신 하나님을 전제하고 있다. 시간과 공간의 모든 영역을 그리고 심지어 인간의 마음까지, 모든 것을 주관하는 하나님을 역사서술에 분명하게 표현하는 것도 학문적인 방법일 것이다.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perspective understanding of history and the gospel. Although there are many perspectives to understand the history, most of them have their own limitations because they do not presuppose the divine revelation and the invisible world. If we would deny God as the Ruler of history, it is impossible to find the genuine meaning of history. For example, with such the perspective, we cannot explain the destruction of the Assyrian which was one of the strongest nations in the contemporary world in B.C. 8th century. But Isaiah 14:24 clearly shows it happened under God`s plan. It is said to have occurred in the providence of God. Isaiah chapter 14 & 37 presents clearly about the progress of history. It is not continuous coincidence or not moved by a great force in the political situation and relationship. It clearly shows that God, the ruller of the history, has managed and led the world and history for His people. Another important element in history is the Gospel. Since the 19th century Ritschl-School had influenced on the theology and Christian life, especially Adolf von Harnack, who denied the suffering,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d emphasized the human values and ethics. He ignored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and distorted the essence of the gospel. Also we can suggest that the describing about the works of God is to be a academic methode.

      • KCI등재

        한국기독교 교회의 아동선교복지 사업에 관한 연구

        김안식 한국실천신학회 2011 신학과 실천 Vol.0 No.27

        한국기독교교회는 아동선교복지사업에 대하여 제외되고 무관심과 잠식되어가고 있는 실정이어서 아동선교복지사업을 실천하는데는 교회의 잠재력을 개발하여야 한다. 현재정부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아동복지서비스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회는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과 실천이 증대되고 있으면서 아동복지에 관한 사업은 가치관과 모금과 봉사에 그치도 마는 실정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아동들이 보람과 만족을 느끼며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잠재능력을 가지고 있는 한국기독교 교회의 아동선교복지사업 접근 방법을 위하여 성서에서 아동복지 근거를 고찰하고 말씀이 선포되는 교회의 본질이 무엇인지 성서적 근거와 복지신학의 기초를 선교 역사적 사명을 문헌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우뚝 솟아있는 교회의 아동선교복지 사업의 문헌연구와 조사 연구로 나누어 기독교의 복음 실천의 선교공동체로서 교회의 아동복지 사업이 더욱 효율적으로 실천할 수 있도록 아동복지 사업의 방법을 모색하는 기초적인 역사의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서 아동복지의 성서적 배경, 신학적 기초와, 목회와 아동복지 목회실천 방안으로서 아동복지, 아동복지사업의 교회의 역사적 배경과 현대 한국교회 아동복지사업을 살펴본 후 기독교교회의 사회복지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교회내의 현 한국기독교 교회의 사회복지사업 현황과 인식정도를 KNCC 가입교단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선교적 책임을 느끼며 아동복지사업 쪽에도 큰 비중을 두고 있으나 아직도 개 교회 중심으로 맡겨버린 교단도 있다. 조사연구에서는 교회 아동복지사업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지를 도구로 하여 조사하였다. 아동선교복지의 전문 인력이 거의 없고 아동복지의 일반적인 서비스 제공은 지역사회 교회내의 욕구에 그저 끌려가는 예방책으로 대처하는 현실이었다. 아동복지사업의 목적은 선교사업과 불쌍한 이웃을 돕는 차원보다는 교회의 역사 내지 본질적 사명이니까 해야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아동복지사업을 실시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가 재정부족과 교회인식 부족, 전문 인력 부족으로 나타나 있지만 기회만 있으면 꼭 실천할 것으로 나타났고, 재정이나 인적자원을 아동복지시설의 자원봉사로 유도하고 법인을 설립하여 교회내의 대상별(어린이집, 유치원, 탁아소, 청소년상담, 모자원, 쉼터, 공부방)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겠다는 의견이 많음을 볼 때 아동복지사업의 전망이 밝아온다. 새 천년의 시대의 변화와 예수그리스도의 아동복지 의도를 정부나 민간시설에 맡기지 말고 교회가 능동적으로 교회 내 아동복지사업을 활성화하려면 전문인 양성과 잠재력을 활용하여 평일에 닫아놓았던 교회의 문을 활짝 열어 예수그리스도의 살아있는 모습으로 방황하고 유리하는 아동들을 끌어안고 함께 놀아주고 섬겨주는 태도로 예배실개방과 시설의 모든 공간을 아동복지사업을 위하여 개선되어야 한다. It is a real situation that Korean, Christian Churches are unconcerned and careless about chid welfare work, and therefore, in order to revive their child welfare work, they should develop the powers latent or potential energy within them. At present, it is a real condition that child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institutions lack and are not satisfactorily sufficient. Even though churches have concern with child welfare work and in its practice, still they have some problematic points such as limiting their activity only to extend their sense of value of child welfare work, to collect contributions, and to render services to child welfare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ays to develop the church's potential energy to improve and better its child welfare services so that children feel satisfactory and find the worthiness of living and they quality of living be improved. so, in order to approach to the purpose, the ground of child welfare was reviewed in the Bible along with the essence of churches where child welfare is proclaimed as their important task and the mission of child welfare in the history of missionary work, based on welfare theology, with reference to some documents. Christian Church ha its long history of child welfare work and has continuously practised its activities and services throughout its history. So this study intended to provide some basic data necessary to grope for some better methods of child welfare work, based on the reference to some documents and inspective studies on the church's child welfare work highly risen as an important task in communities so that churches as missionary communities practising their gospel preaching can carry out child welfare work more efficiently. Through studies on some documents, both the biblical context and theological ground of child welfare were closely reviewed along with child welfare as a plan to practice it in terms of pastorship, the church's historical context of child welfare work, and the child welfare work of modern, Korean Christian Church. And in order to grasp the realities of the church's child welfare work, some questionnaires were used to inspect 106 churches by post. Findings are as follows: 1) It appeared there is scarcely any special manpower for child welfare work in churches; and it is a reality that provision of the usual services of child welfare is only dragged by the need of those churches in the community as a way to protect children. 2) It appeared that more than half of churches do not perform child welfare work; the most difficult part in carrying out child welfare work is financing; and since many small churches are located in farming and fishing villages with absence of children, operation of the facilities for child welfare is difficult. However, there are many responses that if better conditions are given, church should carry out its child welfare work regardless of the government and nongovernment child welfare institutions in a dimension of social services. It was also found out that the purpose of child welfare work should be based on a dimension of the church's mission in therms of its history and essence, rather than a dimension of its missionary work and helping poor neighbors. Additionally as a suggestion, in order to go with the change of a new age of 2000s and Jesus Christ's intention to give children welfare, churches should actively activate its child welfare work, not entrusintg special manpower and utilizing its potential energy, should show the love of Jesus Chris toward children, fully opening the door of church, with an attitude such as hugging children, playing with them, serving them; and all the space of chapel and its facilities should be improved for child welfare.

      • 특집 : 한국 장로교회 분열에 대한 재조명 ; 교회의 전통과 해석: 1953년 기장 분열을 중심으로

        연규홍 ( Kyu Hong Yeon ) 한국장로교신학회 2011 장로교회와 신학 Vol.8 No.-

        1953년 4월 25일 대구서문교회에서 열린 장로회 제38회 총회는 김재준 목사의 파직을 경기노회에 지시하였다. 이에 부당함을 주장하며 조선신학교 측은 1953년 6월 10일에 서울 동자동 한국신학대학 강당에서 호헌 38회 총회를 소집하였다. 그리하여 ``새 역사``의 첫걸음을 내딛게 되었다. 새 역사는 과거와의 단절이 아니라, 과거와의 대화 속에서 지속적으로 원점을 찾아 살아 있는 과거를 재확인하고 그 본질을 계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기장의 역사는 결코 과거와의 단절이 아니다. 그것은 한국 교회 초기의 성서적이고 민족적이며 개혁교회적인 장로교 전통을 올바로 계승하기 위해 살아 있는 과거와의 끊임없는 대화와 배움의 과정이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기장의 새 역사는 무엇을 계승하는가? 첫째, 기장의 역사는 초기 한국 교회의 성서적이고 민족적인 전통을 계승한다. 둘째, 기장의 역사는 해방 후 남한 장로교회의 정통성을 에큐메니칼 정통성으로 창조적으로 계승한다. 셋째, 기장의 새 역사 50년은 어두운 민족의 현대사 속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의 빛을 비춰온 개혁교회의 해방적 전통을 계승한다. 그러나 새 역사는 단지 계승만이 아니라 분명한 과거와의 단절이기도 하다. 기장 역사는 일제의 식민지와 해방 후 분단 상황에서 파행적으로 종교 권력화한 한국 장로교회의 교리주의와 교권주의라는 죽은 과거와의 대결을 통해 그것을 극복하고 ``하나님의 말씀의 자유``(딤후 2:8)를 확보하기 위한 투쟁과 창조의 과정이다. The 38th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structed Geyonggi Synod to dismiss Kim Chai Choon from the minister. Chosun Theological School Group protested against the unjust decision of the General Assembly and held another 38th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for the defense of the Constitution on the 10th of June, 1953. This is the ?rst step for New History. New History is not a discontinuity but a succession of the past. History of the PROK is not a rupture at all. It is a process of discontinue dialogue and living leaning for the succession to bible-centered, nation-centered reformed presbyterian tradition. What does New History of the PROK want to succeed to? First, it succeed to biblical and national tradition. Second, it succeed creatively to ecumenical tradition. Third, it succeed to tradition of liberation of reformed church. But New History of PROK not just succession but also obvious discontinuity. It is a process of struggle against and triumph over clericalism and Pharisaism which had been empowered improperly under the colonial era and the tragic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