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 분석의 최신 동향 고찰

        황명화,심지수 서울대학교 국토문제연구소 2024 地理學論叢 Vol.70 No.-

        대중교통 서비스 이용의 공간적 형평성 확보는 국민의 이동권을 확보하고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 과제이다. 이 과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전국 및 지역의 대중교통 서비스 이 용 여건, 특히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신의 국내외 연구 고 찰을 통해,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에 관한 개념과 공통적 분석 프레임워크를 정리하고, 전국을 대상으로 한 국내 분석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 검토 결과, 「대중교통 현황조사」,「농어촌서비스 기준 이 행 점검·평가」등의 국가 사업은 분석의 공간 단위, 기초 도로망 데이터의 정밀성, 접근성 측정 및 취약성 기 준 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최신의 분석 사례들을 살펴본 결과, 소지역 단위 분석, 고정밀 도로망 및 교 통카드 데이터 활용, 인구 및 신규 대중교통 수단을 고려한 취약성 진단 등의 변화를 포착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 대중교통 접근 취약지역 분석에 있어 미시적 공간 단위의 도입, 표준 데이 터 정의 및 관련 생산 인프라 구축, 인구 및 신규 대중교통 수단을 고려한 다차원적 취약성 진단 등을 발전 방 향으로 제시하였다. Ensuring spatial equity in the use of public transport services is crucial for people’s mobility rights and quality of life. Achieving this involves a systematic analysis of access to public transport services, particularly vulnerable areas across a country and within regions. Through a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ims to define a concept of vulnerable areas of public transport access, delineate a common framework for analyzing them, and proposing improvements to existing territorial approaches for such an analysis in Korea. Our review indicates that national projects like the “Public Transport Status Survey” and “Inspection and Evaluation of Implementation of Rural Service Standards” face limitations in terms of the spatial unit of analysis, precision of road network data, accessibility measurement, and vulnerability criteria. Recent studies advocate for smaller spatial units of analysis, high-precision road network and transport card data, and inclusive vulnerability assessments considering population and new transport modes. The study thus suggests enhancing national projects by introducing micro-level spatial units, establishing standardized data and analytical infrastructure for common uses, and assessing vulnerability more comprehensively through incoporation of new factors such as population and new transport modes.

      • KCI등재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인한 비 반복 혼잡 추정 연구

        정연식,조한선,김주영 대한교통학회 2010 대한교통학회지 Vol.28 No.2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pply a method that estimates the amount of traffic congestion (vehicle hours of delay) caused by traffic accidents that occur on freeways in Korea. A key feature of this research is the development of a method to separate the non- recurrent delay from any recurrent delay that is present on the road at the time and place of a reported accident. The main idea to separate these two delays is to use the speed difference between speed under accident condition and speed under normal flow condition. For the case study application, two datasets were combined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1) accident data and (2) traffic flow data. Eventually, the results can be useful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accident reduction program, for strategic plans to cope with congestion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for rectification of the estimation method for traffic congestion costs. 본 논문의 목적은 고속도로 교통사고로 인한 비 반복적 발생 혼잡을 추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개발된 방법을 국내 고속도로 교통사고에 적용하여 비 반복적 발생 혼잡을 추정하는 것이다. 교통사고로 인한 비 반복적 발생 혼잡은 반복적으로 혼잡이 발생하는 지역에서도 발생하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혼잡과 비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혼잡의 구분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각 구간별, 시간대별 평균속도와 교통사고로 인해 낮아진 속도와의 차이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방법을 활용하여 2008년 1년간 수집된 교통류 자료와 2008년에 발생된 교통사고 자료의 융합을 통한 비 반복적 발생 혼잡을 추정하였다. 이러한 교통사고로 인한 비 반복적 발생 혼잡은 교통사고 관련 개선 프로그램의 효과분석, 교통사고 대응 전략의 수립, 비 반복적 발생 혼잡비용의 추정을 통한 교통혼잡비용의 추정방법의 개선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도시 교통문제에 대한 연구

        박종관(Jong-Gwa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2

        본 연구는 천안시를 대상으로 도시교통문제를 다루었다. 본 연구는 문헌조사와 실증조사를 병행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394부를 SPSS 15.0버전으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천안시의 도시교통문제는 출ㆍ퇴근시의 교통체증 현상, 대중교통의 불편, 주차문제, 자동차로 인한 대기오염, 교통사고로 인한 불안 등을 들 수 있다. 교통문제의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합리적 교통수요의 관리에 따른 교통체계의 개선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천안시는 대중교통의 이용대상인 대학생이 많으므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할인을 적용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야 한다. 셋째, 대중교통중심체제의 강화 및 개선을 통한 교통체증의 해결이 필요하다. 넷째, 도로 등 교통시설의 공급확대, 가로망체계 정비 및 신호운영체계의 개선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특히 천안에는 오래된 도로의 정비가 필요하고 도로망이 복잡하게 얽혀있는데 이를 간단하게 개선함으로써 보다 접근성이 좋아질 것이다. 다섯째, 주차문제의 해결과 이용자들의 교통질서 의식함양 등 선진 교통문화의 정착이 필요하다. This study dealt with Traffic Problem to Cheonan city. This study ran parallel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ctual pro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394 enforce frequency analysis in SPSS 15.0 versions. Traffic Problem to Cheonan city include the discomfort of public transportation, parking problem, pollution of automobile, traffic accident. By improvement of traffic problem, first, improvement plan of transportation system by administration of logical traffic demand should be readied. Second, because Cheonan city is many an university student who is use target of public transportation, public transportation utilization ratio must raise through discount application. Third, solution of traffic jam need to the improvement and strengthening of system of public transit. Fourth, Cheonan city must push ahead with supplies of traffic facility, modify of transportation network, and improvement of operating system. In particular, Cheonan city need to modify old road and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hough road network briefly. Fifth, Cheonan city need fixing of van traffic culture such as solution of parking problem and traffic order consciousness fostering of users.

      • KCI등재

        다차원 척도법을 활용한 개인형 이동장치 인식에 관한 연구

        박선진,오주석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3

        최근 개인형 이동장치 시장규모가 확대되고 이용자가 늘어남에 따라 교통사고 피해 등 사회적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개인형 이동장치를 정의하고 통행원칙을 수립하였으나 이러한 노력이 교통수단으로서의 개인형 이동장치의 통행안전을 완전히 확보하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방법을 통해 도로이용자들이 교통수단으로서의 개인형 이동장치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다른 교통수단들과 상대적으로 비교하고자 하였다. 자동차를 포함한 7가지 교통수단들의 속성을 접근성, 편리성, 경제성, 안전성, 유희성 및 친환경성으로 나누어 비교평가하고, 다차원 척도법을 적용하여 교통수단 간 지각된 유사성을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형 이동장치 중에서는 전기자전거가 교통수단으로서 가장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었으며 경제성과 편리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다차원분석 결과, 도로이용자들은 교통수단을 전형성과 목적성에 의해 분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형 이동장치는 원동기와 가장 유사하게 인식되고 있었으나 동시에 다른 교통수단과 확연히 구분되는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정책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Social concerns about personal mobility devices(PM) such as damage from traffic accidents are increasing with the recent expansion of the PM market and the increase in use. The government defined PM and established traffic rules through the revision of the Road Traffic Act, but these efforts have not completely secured the safety of PM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how road users are aware of the PM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rough a survey method and to compare it with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The attributes of seven modes of transportation, including automobiles, were compared and evaluated by dividing them into accessibility, convenience, economy, safety, playfulness, and eco-friendliness, and the perceived similarity between the means of transportation was evaluated by applying a multidimensional scaling(MDS) method. As a result, e-bicycles were evaluated as the most suitable means of transportation among PM and were highly evaluated in terms of economy and convenience. The results of MDS showed that road users classified transportation means by typicality and purpose, and PM were recognized as most similar to mopeds, but still, they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discussed policies related to personal mobility devices and presented the limitations and utilization plans.

      • KCI등재

        교통사고 관련 형사법규들의 체계적 해석

        문채규(Moon, Chae-Gyu)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33 No.-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 내지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및 교특법 제3조 제2항 등과 관련하여 이른바 신원확인조치가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사상자를 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 내지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의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에 따른 조치”, 교특법 제3조 제2항의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 조치”에 포함되는가에 대하여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분석·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보호법익이나 입법취지, 그리고 관련법규와의 죄형균형의 관점 등에서 볼 때,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필요한 조치’에 신원확인조치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고, 둘째,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필요한 조치에 신원확인조치를 포함시키지 않는 한에서는,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및 교특법 제3조 제2항의 문언적 해석이나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과의 체계적 해석의 관점에서, 신원확인조치를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의 요구조치에 포함시키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신원확인조치가 특가법의 도주운전죄의 성립과 무관한 요소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신원확인조치의 불이행은 여전히 도주운전죄의 성립요건인데, 단지 신원확인조치가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에 따른 조치’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도주의 개념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원확인조치를 구호 등 필요한 조치와 분리시켜 도주의 개념요소로 해석하게 되면, 구호 등 필요한 조치의 불이행과 신원확인조치의 불이행이 모두 충족되어야 도주운전죄에 해당할 수 있고, 도주운전죄를 이렇게 제한적으로 적용하여야만 비로소 도주운전죄의 현저한 가중처벌이 정당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신원확인조치를 구호등 조치의 내용에 포함시켜 해석한 결과, 신원확인조치와 구호조치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불이행한 채 사고현장을 이탈하는 경우에 일관되게 특가법의 도주운전죄의 성립을 인정하는 판례의 태도는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도시교통수단별 교통비용 비교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이장호,정경옥 한국교통연구원 2023 交通硏究 Vol.30 No.3

        교통시설의 건설과 유지관리, 교통수단의 운영 등을 위해 매년 막대한 비용이 집행되고 있지만, 교통수단별 전체적인 교통비용의 추정이나 이를 근거로 한 수단간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2019년 서울시를 대상으로 각 교통수단별로 발생하는 교통비용을 추정하고, 이를 통행량 규모로 나누어 통행거리당 발생하는 교통비용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의 교통수단별 교통비용은 승용차가 가장 크고, 버스, 도시철도, 택시, 자전거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통행인-km당 교통비용을 비교하면 승용차, 택시, 버스, 도시철도, 자전거의 순서로 나타났다. 특히, 버스의 통행거리당 교통비용은 승용차나 택시의 절반 수준이었으며, 도시철도는 1/4 수준, 자전거는 1/6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비용 항목별로 보면 승용차나 택시는 내부비용과 외부비용이 모두 큰 것으로 분석되었고, 도시철도는 내부비용이 버스보다 크지만 외부비용이 가장 작은 수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에 우선을 두고 있는 서울시의 교통정책방향에 정당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며, 그 안에서도 준공영제를 시행하고 있는 버스에 비해 도시철도와 자전거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이 연구는 통행거리당 교통수단별 교통비용을 비교하고, 향후 대중교통과 자전거에 대한 수단전환 유도를 위한 방향성을 도출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 large amount of cost is spent every year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the operation of urban travel modes, but there is no estimation of the overall transport costs by travel mode or comparison among them. Therefore, this study estimated the total transport cost incurred by each urban travel mode for Seoul in 2019, divided it by the volume of traffic, and compared the transport cost incurred in unit trav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nsport cost according to unit travel was the largest in passenger cars, followed by taxis, buses, urban railways and bicycles. In particular, the transport cost per unit travel of bus was half of those of a passenger car or taxi, the transport cost per unit travel of urban railway was analyzed to be 1/4, and the transport cost per unit travel of a bicycle to be 1/6 of those of a car or taxi.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Seoul's transportation policy, it is necessary to limit financial support for taxis, and support for urban railways and bicycles is relatively insufficient compared to bus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transport costs of each travel mode per unit travel and derives a direction for inducing modal shift for urban railways or bicycles in the future.

      • KCI등재

        알뜰교통카드를 활용한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분석 기준 개선 방안 연구

        심상우,정준영,오관교,김민석 한국ITS학회 2023 한국ITS학회논문지 Vol.22 No.3

        수요대응 교통수단 및 자율주행 대중교통서비스 등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나 수요대응 교통수단의 도입 기준인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은 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의 부재로 운영자 중심으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이용자의 대중교통 접근성을 파악할 수 있는 알뜰교통카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법정동보다 작은 GRID 분석을 통해 동일 법정동 내에서도 대중교통 접근성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적용한 결과 현재 대중교통 최소서비스 수준에서는 확보 지역인 많은 법정동이 비확보지역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알뜰교통카드 데이터의 접근 시간은 이동 시간과 대기 시간을포함하고 있으므로 확보 여부 판단 기준에 대한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피에조센서의 차량 축 카운트를 활용한 교통량보정시스템

        정승원(Seung-Weon Jung),오주삼(Ju-Sam Oh)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차종별 교통량 자료는 건축 · 도시 · 교통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되는 중요한 자료이다. 교통량자료는 상시조사와 수시조사를 통해 수집되어 도로교통량 통계연보에 매년 연평균일교통량(AATD)으로 제공된다. 상시조사는 매설형 교통량 수집 장비 (AVC)를 통해 수집되며, AVC는 교통량을 검지하는 루프센서와 축수를 검지하는 피에조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교통량 수집 장비는 매설형의 특성상 검지 장비 고장 등으로 인한 결측자료가 발생된다. 기존방법에서는 과거 데이터와 지점 주변의 교통량 추세를 통해 보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시간적 · 공간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보정에 활용되는 기데이터 또한 보정값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의 축을 검지할수 있는 피에조센서를 활용하여 획득되는 누적 축수를 통해 축보정계수를 산출하여 결측된 교통량을 보정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존 방법의 한계점인 시간적 · 공간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비교 평가 결과 기존의 방법보다 오차율이 더 낮게 도출되었다. 축 카운트를 활용한 교통량보정시스템은 간단한 알고리즘으로 바로 현장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보정방법으로 판단된다. Traffic data by vehicle classification are important data used as basic data in various fields such as road and traffic design. Traffic data is collected through permanent and temporary surveys and is provided as an annual average daily traffic (AATD) in the statistical yearbook of road traffic. permanent surveys are collected through traffic collection equipment (AVC), and the AVC consists of a loop sensor that detects traffic volume and a piezo sensor that detects the number of axes. Due to the nature of the buried type of traffic collection equipment, missing data is generated due to failure of detection equipment. In the existing method, it is corrected through historical data and the trend of traffic around the point.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reflect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that the existing data used for correction may also be a correction value. In this study, we proposed a method to correct the missing traffic volume by calculating the axis correction coefficient through the accumulated number of axes acquired by using a piezo sensor that can detect the axis of the vehicle.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flect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methods, and as a result of comparative evaluation, the error rate was derived lower than that of the existing methods. The traffic volume correction system using axis count is judged as a correc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field system with a simple algorithm.

      • KCI등재

        해상교통류 평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김광일(Kwang-Il Kim),정중식(Jung Sik Jeong),박계각(Gyei-Kark Park)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2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2 No.6

        선박교통류 평가는 대상해역 해상교통특성 파악을 통하여 정량화된 체계화된 교통관리를 수행함으로써 해양사고를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해상교통류의 특성은 선박자동식별장치(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가 선박에 설치됨에 따라 이 장치에서 수신된 정보를 토대로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상교통관제센터(VTS, Vessel Traffic Services)에서 선박으로부터 수집된 위치, 속력, 침로, 시간 정보로부터 항로상에 해상교통류를 평가하기 위한 시뮬레이터를 구현하였다. 그 결과 해상교통관제센터에서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선박 통항량, 통항분포, 선박속력분포, 기하학적 충돌빈도가 계산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해상교통류평가 평가는 해상교통관제사가 해상교통관리의 관점에서 해상안전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유효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ritime traffic assessmen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maritime traffic and to prevent maritime accidents. The maritime traffic assessment can be calculated from the ship trajectory data observed by using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This paper developes a maritime traffic assessment tool using ship"s position and speed, course, time data from ships navigating waterways. The results are represented in terms of the number of traffic quantity and traffic distribution, speed distribution, geometric collision candidates. The developed tool will contributes to advance maritime traffic safety by VTS(Vessel Traffic Services).

      • KCI등재

        거시-미시 순차적 교통시뮬레이션 방법과 부분상세지구의 동적 O/D추정

        이진학,김익기,김대현 대한교통학회 2014 대한교통학회지 Vol.32 No.6

        The study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analysis accuracy such that the interactive effects of transportation changes between outside and inside of sub-areas were sequentially considered in the analysis by linking a macroscopic network analysis and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A dynamic O/D estimation method was developed for practical implement of sub-area microscopic simulation analysis by using the results of macroscopic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of selected link analysis at the cordon line of the sub-area, departure time data of household travel survey, timely observed traffic volume data at the cordon. This estimated dynamic O/D for the sub-area made it possible to analyze traffic phenomena in details. Various detailed phenomena such as traffic queues, delay at intersection, and conflicts between vehicles, which is impossible to be grasped through a macroscopic analysis, can be analyzed with the dynamic microscopic traffic analysis. Through implementing an empirical study and validation, the study provided a reference result about accuracy of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of a sub-area to help its application for real transportation policy analysis. 본 연구에서는 거시적 넓은 지역에 대한 교통 분석과 부분상세지구(sub-area)의 교통 분석을 서로 단계적으로 연계하며 상호 교통 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을 동시적으로 함께 반영하여 방법을 제안했다. 이와 같은 거시적-미시적 연계 분석을 위해 거시적 네트워크 분석, sub-area analysis, 가구통행실태의 출발시각 자료, 부분상세지구의 경계지점에서 시간대별 관측 링크 교통량 자료를 융합 분석함으로써 부분지구에 대한 동적 O/D 교통량을 추정하는 실무적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추정된 동적 O/D 교통량을 입력 자료로 하여 부분상세지구에 대해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분석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국소적 지구의 교통정책 분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미시적 동적 분석은 거시적 네트워크 분석으로는 파악할 수가 없었던 대기행렬, 교차로 지체, 차량 간 상충 등의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교통정책의 효과를 미세한 교통현상 변화까지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례연구를 통해 거시적-미시적 연계 분석에 의한 부분상세지구 미시 교통류 시뮬레이션 결과의 현실 설명력에 대한 검증 분석도 수행하여 미시적 동적 분석의 정책 활용 가능성에 대한 참고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