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재고찰

        윤해성 한국경찰연구학회 2016 한국경찰연구 Vol.15 No.4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교통사고를 야기한 운전자에 대한 처벌의 특례를 규정함으로써 피해를 신속히 회복하고 국민의 편익을 증진할 목적으로 제정되었다. 이 법은 고의로 교통사고를 일으켜 타인의 생명과 재물의 손괴를 야기 하지 아니한다는 통념 하에 공익적 목적에서 인정된 위험의 원칙과 경미범죄의 비범죄화의 추세에 의한 처벌의 특례를 규정하였다. 한편, 교통사고의 증가에 따라 악질적인 중대한 사고의 경우는 처벌의 엄격화를 실현하기 위하여 11대 중과실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형사처벌 대상이 된다. 그러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형법상의 업무상과실 또는 중과실치사상죄에 대한 특별관계에 있는데도 불구하고,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도로 교통사고에 대한 처벌의 특례를 인정함으로써 형법상 일반과실범과의 형평성 문제를 야기하고 있으며, 나아가 보험사기를 야기하는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다. 원인은 교통사고처리특례법으로 인하여 교통사고발생시 자동차보험에 가입되었다면 보험회사가 합의와 처리를 다해준다는 인식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교통법규위반과 교통사고 발생률의 증가를 가져온다. 이와 같이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극히 정형화된 일부의 경우만 처벌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그 해석과 운용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재검토해 보고 형사정책적인 관점에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을 폐지 내지는 전면적인 개정방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중대한 사안의 경우에는 반드시 경찰에 신고하여 경찰이 현장조사를 명확하게 하며, 정확한 현장조사를 바탕으로 검찰이 기소하고, 법원에서 과실과 책임을 심리할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국민의 교통윤리의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경찰의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통사고시 사고당사자는 경찰에게 신고를 하여야 할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하였다.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ASCSTA)」 was enacted to allow rapid recovery from injury and to enhance the public's benefit by regulating a special case on punishment for driver accused of causing a traffic accident. Under the common notion of traffic accidents caused without any intentional damage of one's life and property, this law regulated a special case on punishment by danger rule identified with public purpose and trend of decriminalization of petty offense. Meanwhile, in the case of malicious accidents caused by the increase of traffic accidents, one is charged with criminal offense by strict punishment for 11 gross negligence exceptionally. However, ASCSTA brings about equity issues of ordinary negligence and insurance fraud based on criminal law by admitting special case on punishment of traffic accidents, despite special relations of ASCSTA to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resulting in death and injury based on criminal law. Due to the ASCSTA, if one owns car insurance in a traffic accident, it is caused by avoiding punishment with the perception of insurance company taking responsibility of settlement and treatment. This brings about increase of traffic rule violation and percentage of traffic accident situations. Since the ASCSTA punishes standardized cases only, it manifests diverse problems in its interpret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such issues, this thesis reexamines problems and solutions of the existing ASCSTA and offers solutions from a criminal justice perspective. To begin with, abolition and general solution of ASCSTA are reviewed. Moreover, in the case of a significant matter, it mentions that one must report to the police for distinct field investigation, prosecutor must file charges based on accurate field investigation, and the court must hear negligence and liabilitsy. To do so, this thesis emphasizes that the public's ethics of traffic safety must come first and the victim must report to the police for accurate investigation.

      • KCI등재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에 대한 약간의 고찰

        최상욱(Choi, Sang-U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20 江原法學 Vol.59 No.-

        교통사고에 대한 신속한 회복촉진을 목적으로 1981. 12. 31 제정된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은 교통사고를 일으킨 운전자에 관한 처벌특례인 제3조 제2항 및 제4조 제1항이 그 핵심을 이루고 있다. 교통사고로 업무상과실치상죄 또는 중과실치상죄, 과실재물손괴죄(도로교통법 제151조)를 범한 운전자는 피해자가 불처벌의사를 표시하거나(제3조 제2항 본문) 또는 교통사고를 일으킨 차가 자동차 종합보험에 가입된 경우(제4조 제1항 본문)에는 공소를 제기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다만 제3조 제2항 단서 또는 제4조 제1항 단서에 규정된 예외사유에 해당하는 경우는 공소제기가 가능하다.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1항은 피해자의 상해결과가 운전자의 교통사고를 통하여 유발된 경우에만 적용되며, 그렇지 않으면 형법 제268조가 적용될 뿐이다. 양자의 법정형은 동일하지만 형법 제268조는 반의사불벌죄가 아니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처벌특례를 규정하고 있는 제3조 제2항 본문은 그 형식에 비추어 볼 때 반의사불벌죄를 규정한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피해자가 제1심 판결이 선고되기 전에 불처벌의사를 밝힌 때에는 공소기각판결을 선고해야 한다. 또한 제3조 제2항 단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12개 예외사유는 구성요건요소가 아니라 공소제기조건을 규정한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12개 예외사유가 경합하더라도 하나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죄가 성립할 뿐이고 각 예외사유마다 별개의 죄가 성립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위반죄로 기소되었으나 12개 예외사유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명된 때에는 실체판결을 할 것이 아니라 공소기각판결을 선고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12개 예외사유에 해당함을 알고 행위한 경우에 처벌특례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이론이 없다. 과실이 있는데 불과한 경우는 처벌특례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라고 해야 한다. 한편 운전 중 과실로 재물을 손괴하고 도주하였으나 피해자의 불처벌의사가 있는 경우 운전자의 죄책이 문제된다. 과실재물손괴죄(도로교통법 제151조)와 달리 조치미이행죄(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제148조)를 반의사불벌죄로 보아야 할 이유는 없다. 그리고 통고처분에 따른 범칙금 납부행위의 효력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가 문제된다. 도로교통법 제164조 제3항에 따라 당해 범칙행위에 대해서는 다시 처벌되지 않는다. 그러나 법원의 재판을 거치지 않은 경찰서장의 통고처분에 대하여 법원의 확정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인정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was enacted on December 31, 1981 to promote fast restoration in traffic accidents. The core of the Act is Article 3, Clause 2 and Article 4, Clause 1, which address special cases about the drivers causing a traffic accident. When a driver commits crimes of professional negligence resulting in injury, gross negligence resulting in injury, or negligence resulting in property damage(Article 151 of Road Traffic Act) in a traffic accident, the case cannot be prosecuted if the victim expresses an intention of no punishment(Article 3, Clause 2 of the Act) or the person that has caused a traffic accident has comprehensive care insurance(Article 4, Clause 1 of the Act). The case can be, however, prosecuted in case of the exceptions prescribed in Article 3, Clause 2 or Article 4, Clause 1 of the Act. Article 3, Clause 1 of the Act is applied only when the injury outcome of the victim is caused by a traffic accident by a driver. If it is not the case, Article 268 of Criminal Code is applied. The two articles have the same statutory punishment, but Article 268 of Criminal Code does not concern crimes not prosecuted against objection. Given the format of Article 3, Clause 2 stipulating special cases of punishment, it is valid to say that it is a provision for crimes not prosecuted against objection. If the victim expresses an intention for no punishment before first trial sentencing, the court should give a sentence for the dismissal of a prosecution. In addition, the 12 exception cases stipulated in Article 3, Clause 2 should be understood as conditions of prosecution rather than components. Even if the 12 exception reasons are in competition, only one crime of violating the Act will be established. No separate crimes will be established for each exception reason. If it turns out that there are no 12 exception reasons in a case prosecuted for the violation of the Act, it will be valid to dismiss the prosecution instead of substantive decision. There is no theory to support the exclusion of actions committed under the knowledge of 12 exception cases from the special cases of punishment. If there is just negligence, special cases of punishment will not be excluded. If a driver commits negligence resulting in property destruction while driving and flees and the victim has no intention for punishment, the driver’s liability for the crime will be an issue. Unlike the crime of negligence resulting in property damage(Article 151 of Road Traffic Act), there is no reason to take the crime of not taking a measure(Article 54, Clause 1/Article 148 of Road Traffic Act) as a crime not prosecuted against objection. It is an issue how to set the scope of effect in the act of paying fines according to disposition of notification. There is no second round of punishment for the concerned violation of a regulation according to Article 164, Clause 3 of Road Traffic Act. It is not, however, valid to recognize the same effect of the court’s final ruling for the police chief’s disposition of notification that has not tried in the court.

      • KCI등재

        해상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제정에 관한 비판적 고찰과 해상교통사고시 선박운항자의 형사적 과실책임에 대한 제언

        백상진 한국법제연구원 2013 법제연구 Vol.- No.45

        Koreanische Import-und Exportwaren werden in den meisten Fällen durch die Schifffahrt durchgeführt. Die Arbeitsumgebung der Schifffahrtsbetreiber ist jedoch sehr schlecht. So werden Einschiffung von koreanischen Seeleute vermeidet, während Einstieg von ausländischen Seeleute an Bord zunehmen. Schifffahrtsbetreiber können immer auf die Gefahren von Unfällen ausgesetzt werden, obwohl sie ihre beste Sorgfaltspflicht erfüllen, da die Schifffahrt selbst immer in Gefahr ist. Darüber hinaus entstehen eine enorme Sachschäden sowie auch Todesfälle im Fall eines Schiffskonflikts. Die Schifffahrtsbetreiber werden somit mit Angst vor Strafe überwältigt. Unter diesen Umständen hat die Schiffskreise besondere Vorteile der Bestrafung durch das spezielle Gesetz zur Behandlung der Verkehrsunfälle im Falle des Landverkehrs bemerkt. Die meisten Ansichten sympathisieren auf der Grundlage der besondere Vorteile der Bestrafung mit der Behauptung, dass ein besonderes Gesetz auch im Seeverkehr wie im Landverkehr konstituiert wird, um die bevorzugte Behandlung der Strafe zu genießen. Die Aufsätze, die diese Behauptungen unterstützen, konzentrieren sich darauf, um die Ansichten der Schiffskreise im Hinblick auf die Politik anstatt der Konsistenz der strafrechtliche Theorie widerzuspiegeln. In diesen Umständen wird es erst überprüft, dass was im Falle des Seeverkehrs die Theorie ist, die kriminelle Fahrlässigkeit zu beschränken. Kritisch wird weiter das besondere Gesetz zur Behandlung der Verkehrsunfälle im Falle des Landverkehrs überprüft, das ein Modell des Entwurfs zum besonderen Gesetz im Seeverkehrsunfall ist. Der Vorschlag zum besonderen Gesetz im Seeverkehrsunfall wird danach auch kritisch untersucht. Auf dieser Basis wird die Richtung zur strafrechtlichen Verantwortlichkeit der Schifffahrtsbetreiber vorgeschlagen. 우리나라 수출입 물동량의 대부분은 선박을 통하여 운송되고 있지만 선박운항종사자의 근무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따라서 자국 선원이 승선을 기피함과 동시에 외국 선원의 승선이 증가하고 있다. 선박운항 자체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선박운항자가 최상의 주의의무를 기울인다고 할지라도 사고의 위험성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 선박이 충돌할 경우에는 막대한 재산상의 손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까지 초래되므로 선박운항자는 처벌의 두려움에 시달리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해운업계에서는 육상교통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에 따른 처벌의 특례를 주목하게 되었고, 이에 근거하여 해상교통에서도 육상교통과 유사한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을 제정하여 처벌의 특례를 누리자는 주장이 대세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는 논문들은 형법적 이론의 일관성 보다는 단지 정책적 측면에서 해운업계의 입장을 반영하도록 치중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현대 위험사회에서 새로운 위험을 양산하고 있는 해상교통의 경우에 선박운항자의 형사과실책임을 제한할 수 있는 이론이 무엇인지 우선 검토하고 있다. 이어서 해상교통사고처리특례법안의 모델인 육상교통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 뒤, 해상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제안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있다. 이에 근거하여 현대 위험사회의 위험통제방안으로써 선박운항자의 형사과실책임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교통사고처리특례법 등의 법적․제도적 개선을 통한 교통사고 감소 방안에 관한 연구

        이성남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29 No.2

        The factors of the traffic accident can be found by various causes. There may be various causes such as weakness of infrastructure, backwardness of signal system, backwardness of traffic culture, lack of order of citizens and consciousness of compliance, and these factors act as a complex cause through mutual interaction. Currently, the National Assembly calls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Handling as the main cause of traffic accidents, and argues that the abolition of this law should raise compliance awareness and human rights awareness. However, although the special provision of the Traffic Accident Treatment Act may provide a cause for some traffic accidents, it is unlikely that the system is the main cause or the main cause of frequent traffic accidents. The causes of traffic accidents have not been studied yet.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exclude the fact that the Traffic Accident Treatment Act acts as a cause of some traffic accide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human factor of accident inducement through finding the problems of the system of the law. Automobiles are a vital tool for the majority of our people in modern life and can not fundamentally prevent traffic accidents that occur during their use and operation. Especially, everybody can be a perpetrator and a victim. In view of the fact that the possibility of a small-scale subcontractor or an inferior transportation worker who is frequently exposed to the traffic acciden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president or executive of the company, Resolving is a hasty problem-solving approach. In addition, even if an alternative law is made by abolishing the Special Act on Traffic Accident Handling, it is necessary to inevitably introduce a special procedure for illegal acts in the Road Traffic Act or a simple procedure based on the summary judgment law. In this case, In case of expanding the object of judgment, it can not be regarded as a superior method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which only adds inconvenience of the people and makes it impossible for the victim to file a attacker against victim’s Explicit statement of intention. Therefore, the punishment of the injured driver through the criminal procedure through the abolition of the traffic accidents special treatment law requires a careful approach.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은 여러 원인이 작용할 수 있다. 가령 도로 등 기반 시설의 취약, 신호체계의 낙후, 교통문화의 후진성, 국민들의 질서 및 준법 의식 부족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요인은 서로 상호 작용을 통해 복합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현재 국회에서는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 교통사고의 주원인이라고 지목하여 이의 폐지를 통하여 준법의식과 인권의식을 높여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교통사고처리법의 특례 규정이 일부 교통사고 발생에 원인을 제공할 수 여지는 있으나 동 제도가 교통사고의 빈발의 주요인이라거나 근본원인이라고 보는 것은 무리가 있다.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밝혀진 연구결과는 드문 실정이다. 다만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이 일부 교통사고의 유발요인으로 작용하는 점을 전혀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동 법의 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발굴을 통해 사고유발의 유인 요소를 제거해 나갈 필요가 있다. 자동차는 현대 생활에 있어 우리 국민의 대다수의 필수도구이고 이를 이용하고 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 특히 국민 누구나 가해자와 피해자가 될 수 있으며 교통사고의 운행에 자주 노출되어 있는 운수 영세업자나 열악한 운송업 종사자가 가해자로 될 가능성이 회사의 사장이나 임원에 비해 현저히 높은 현실을 고려할 때 오로지 형사처벌을 통하여 해결한다는 것은 성급한 문제해결 접근 방식이다. 또한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을 폐지하여 대체법안을 만들더라도 도로교통법상의 범칙행위에 대한 특례규정이나 즉결심판법에 의한 간소한 처리 절차를 불가피하게 도입하여야 할 것인데 이 경우 범칙금 통고 처분 대상의 범위를 확대하고 즉결심판의 대상을 확대하여 운영할 경우에는 국민의 불편만 가중시킬 뿐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공소를 제기할 수 없도록 하는 현행 체제와 비교하여 월등이 우월한 해법이라고 볼 수도 없다. 따라서 교통사고처리특레법의 폐지를 통하여 형사절차를 통하여 가해운전자를 처벌하는 방안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

      • KCI등재

        현대 위험사회에서 선박운항자의 형사책임에 대한 비판적 고찰과 입법적 제언

        백상진 한국법제연구원 2016 법제연구 Vol.- No.51

        In our country where has meager endowed resources, international import and export is a serious issue that affects the very existence of the nation and most of the import and export trade volume is transported via marine transportation. Despite the great social benefits of marine transportation, our crews are reluctant to works related with marine transportation for poor working conditions in the maritime and fear of criminal punishment, so it is being replaced by a foreign crews. Accordingly, shipping agencies and society claim to enact of Special act on marine traffic incident process on the model of Special act on land traffic incident process for ship operator’s improved working conditions and activation of the shipping industry. In the study, firstly, it suggests a role of a preferred criminal law in the risk society in the background of maritime traffic, and it reviews ship operator’s limitation on liability by the principles of allowed risk and trust. Next, after it is analyze claims to enact Special act on traffic incident process and Special act on traffic incident process in the critical positions, it presents a legislative direction to criminal liability of ship operators and the shipping company according to risk control of ship operation in terms of ensuring maritime traffic safety. 부존자원이 빈약한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수출입은 국민의 사활이 걸린 중대한 문제이며, 이러한 수출입 물동량의 대부분은 해상교통을 통하여 운송되고 있다. 그렇지만 해상교통의 중대한 사회적 유익성에도 불구하고 우리 선원은 해상근무조건의 열악함과 형사처벌의 두려움으로 점차 승선근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외국선원으로 대체되고 있다. 따라서 해운관련 기관과 학회에서는 선박운항자의 근무환경개선과 해운산업활성화를 위하는 한 방편으로 육상의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을 모델로 하여 해상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제정을 주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해상교통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는 위험사회에서 바람직한 형법의 역할을 우선 제시하고서, 이를 바탕으로 허용된 위험과 신뢰의 원칙을 통한 선박운항자의 책임제한 여부를 검토하고 있다. 이어서 교통사고처리특례법과 해상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제정 주장을 비판적 입장에서 분석한 뒤, 해상교통의 안전확보의 측면에서 선박운항의 위험지배에 따라 선박운항자 및 선박회사의 형사책임에 대하여 입법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교통사고 형사합의에 대한 법적 고찰

        김자회,방희명,주성구 국회입법조사처 2016 입법과 정책 Vol.8 No.1

        According to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in Korea, a driver of a vehicle who causes injury of another by reason of a traffic accident shall be punished by imprisonment for not more than five years or by a fine not exceeding 20 million won. Generally the driver cannot be prosecuted against the express wills of the victims notwithstanding some specific cases where the driver causes the death or injury of victims due to traffic accidents by operating a vehicle in violation of signals, by operating a vehicle in excess of the speed limit by 20 km/h, by crossing a median line of the road, by operating of a vehicle without obtaining a driver's license or by operating a vehicle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etc. If there is a settlement between the driver and victims, the driver can be released without charge or will get lenient punishment. Since the victims will generally withdraw all civil and criminal lawsuits against the drivers in return for some (or a lot of) money under the settlement, the settlement can be an effective method to reduce criminal responsibility of the driver. This paper is analysing the Supreme Court's judgment on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 and several debates relating to it, and it tries to provide an implication. 교통사고처리특례법에 의하면, 차량의 운전자가 교통사고로 인하여 사람을 부상케 하면 5년 이하의 금고 또는 2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법이 정하는 일정한 경우-피해자가 사망하거나 가해자가 교통신호 위반이나 속도위반, 무면허운전, 음주운전 등-를 제외하고는 교통사고 발생 시 일반적으로 피해자의 명시한 의사에 반하여 교통사고 가해자를 기소할 수 없다. 교통사고 형사합의가 있는 경우 가해자는 기소 없이 풀려나게 되거나 처벌을 받더라도 감경 받을 수 있게 된다. 피해자는 합의시 향후 모든 민형사상 이의를 제기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합의하기 때문에, 사실상 형사합의는 교통사고 가해자의 형사상 책임을 경감시키는 효율적인 제도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교통사고 형사합의의 의의 및 법적 성격, 교통사고 형사합의급 지급에 대한 대법원의 판례, 교통사고 형사합의의 취소 및 무효의 가능성, 교통사고 형사합의금과 보험금의 이중지급시의 법률관계,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과의 관계 등의 제반 법적 문제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비교법연구(比較法硏究) : 이른바 악질(惡質) 교통사범(交通事犯)에 대한 일본(日本)의 입법례(立法例)와 우리에 대한 시사점(示唆點)

        손기식 ( Ki Sik Sonn ) 법조협회 2005 법조 Vol.54 No.10

        日本은 2001년 刑法의 一部를 改正하여, 刑法 제27장 傷害의 罪 중에 危險運轉致死傷罪(刑法 제208조의2)의 규정을 신설하였다. 위 改正法律은 같은 해 12. 5. 法律 제138호로 公布되어 같은 해 12. 25.부터 施行되고 있다. 日本 刑法 제208조의 2는 ``危險運轉致死傷``이란 題目 아래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① 알콜 또는 藥物의 영향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運轉이 곤란한 상태에서 4輪 이상의 自動車를 走行시키고 그로 인하여 사람을 負傷시킨 者는 10년 以下의 懲役에 처하고, 사람을 死亡케 한 者는 1년 이상의 有期懲役에 처한다. 그 進行을 制御하기 곤란한 高速度로 또는 그 進行을 制御할 技能이 없으면서 4輪 이상의 自動車를 走行시켜 그로 인하여 사람을 死傷케 한 者도 같다. ② 사람 또는 車의 通行을 妨害할 목적으로 走行 중인 自動車의 바로 앞에 進入하거나 기타 通行 중인 사람 또는 車에 현저히 접근하고 또 중대한 交通의 危險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속도로 4輪 이상의 自動車를 運轉함으로 인하여 사람을 死傷케 한 者도 前項과 같다. 赤色信號 또는 이에 상당하는 信號를 의도적으로 무시하고 또 중대한 交通의 危險을 발생시킬 수 있는 速度로 4輪 이상의 自動車를 運轉함으로 인하여 사람을 死傷케 한 者도 같다. 위와 같은 危險運轉致死傷罪에 관한 日本 刑法의 新規定은 종전의 규정 아래서는 악질적인 交通事犯에 대하여 응분의 무거운 刑으로써 대처할 수 없고 특히 피해자 또는 그 유족이 납득할 수 없다고 하는 여론의 비판에 몰려 신설되었으나 改正法이 施行된 후 新規定은 실무상 빈번히 적용되기에 이르렀고, 이는 이러한 규정에 대한 실무현장에서의 필요성이 컸음을 증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危險運轉致死傷罪는 故意行爲로서의 危險運轉行爲가 행해지고, 그로부터 의도하지 않은 死傷結果가 발생한 때에 성립하는 犯罪로서 순전한 故意犯은 아니고 일종의 結果的 加重犯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 基本行爲인 危險運轉行爲의 構成要件을 엄격히 制限解釋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한편 交通刑法의 分野에서 가장 先進的인 國家들 중 하나인 獨逸에서는 이러한 惡質的인 交通事犯에 대하여 어떻게 規律하고 있는지 살펴보면, 獨逸刑法 제315b조는 ``道路交通에 대한 危險한 侵害``란 제목 아래 交通妨害行爲로 道路交通의 安全을 침해하고, 그로 인하여 他人의 身體나 生命 또는 중대한 가치를 지닌 타인의 재물에 危險을 발생시킨 때에는 최고 1년 이상 10년 이하의 自由刑에까지 처할 수 있도록 하고, 제315c조는 ``道路交通의 危險 發生``이란 제목 아래 酒醉·마취 기타 안전운전불능상태에서 차량을 운전하거나 우선권무시, 앞지르기방법위반 운전 등 위험하여 쉽사리 事故로 연결되는 7가지 交通秩序違反行爲를 하여 他人의 身體나 生命 또는 중대한 가치를 지닌 財物에 危險을 발생시킨 경우에는 5년 이하의 자유형 또는 벌금형에 處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交通事故處理特例法은 業務上過失致傷의 경우에는 反意思不罰을 원칙으로 하고 다만 10가지 예외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反意思不罰의 例外로 하여 事故運轉者를 處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立法은 나름대로의 理由를 발견할 수 있으나 그 경우에도 法定刑은 여전히 일반의 業務上過失致傷罪와 동일한 5년 이하의 禁錮 또는 2千萬원 이하의 罰金으로 되어 있어 惡質的이고 重大한 交通事犯에 대한 處罰로서는 결코 엄하다고 할 수 없고 日本의 改正刑法이나 獨逸刑法의 상응하는 諸 規定과 비교해 볼 때에도 지나치게 가볍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惡質的이고 重大한 交通違反行爲와 이에 起因한 業務上過失致死傷罪의 유형을 열거하여 刑法 제15장의 交通妨害의 罪 중에 예컨대 危險運轉罪와 이 罪의 結果的 加重犯의 形態인 危險運轉致死傷罪라는 별도의 構成要件을 신설하고, 그 法定刑도 交通違反의 危險性과 結果의 重大性에 따라 보통의 道路交通法違反罪나 業務上過失致死傷罪에 비하여 대폭 引上함으로써 악질적인 交通違反行爲를 억제하여 交通事故로 인한 人命被害와 財産的 損害를 줄일 수 있도록 刑法과 特例法 등 관계규정을 改正할 필요가 절실하다.

      • KCI등재

        교통사고처리특례법의 문제점과 존폐논의에 대한 검토

        김봉수(Kim, Bong-Su) 한국형사법학회 2013 형사법연구 Vol.25 No.3

        The legislative purpose of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he Traffic Accidents(ASCSTA)」is to facilitate a prompt recovery of damages caused by traffic accidents and to promote convenience for people's everyday life by providing special cases on criminal punishment for drivers involved in traffic accidents through occupational or gross negligence. But, at 02. 26. 2009, concerning ASCSTA Art. 4 ①, in 7-2 ruling, the Constitutional Court said that this clause violate fundamental rights of the constitutional law of the victims, the right to state during the proceedings of the trial and the right of equality. According to the amendment in conformity with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rivers inflicted serious bodily damage shall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if there was no agreement with the victim. However it remains an interpretative problem with reference to exceptions of punishment prescribed the condition of Art. 3② and Art. 4. According to the body and condition of Art. 3②, the drivers that caused the accident should not be punished against the victims intention unless the drivers does not apply to eleven exceptional conditions of Art. 3②. Further, as prescribed by Art. 4, if the drivers that caused the accident take up an full insurance coverage, it was regarded that the victims don't want to punish the drivers that caused the accident. But above-mentioned two exceptions prescribed the condition of Art. 3② and Art. 4 do not relate with the legislative purpose of ASCSTA. This legislation case such as the exception of Art. 4 in ASCSTA is especially unparalleled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Consequently, it is desired that we should abolish two exceptions prescribed ASCSTA and prescribe the punishment of driver's illegal act relative to the accident through rather negligence crimes of the Criminal Law than a special law such as ASCSTA.

      • KCI등재후보

        교통사고 관련 형사법규들의 체계적 해석 -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 제5조의3 제1항 및 교통사고처리특례법 제3조 제2항의 ‘필요한 조치’ 중 ‘신원확인조치’의 포함 여부를 중심으로 -

        문채규 전북대학교 부설법학연구소 2011 법학연구 Vol.33 No.-

        Die Verkehrsstrafrechte enthalten für den Verkehrsunfall einigermaßen unübersichtliche und schwer durchschaubare Regelungen. Die Vorschriften wird von einer verwirrenden, ständig wachsenden Auslegungskasuistik geradezu überwuchert. Der vorligende Beitrag zum geltenden Recht bemüht sich -gleichsam in bewußter theoretischer Distanz zur Vielfalt der Deteilprobleme - um die Klärung der Grundstrukturen und der immanenten Gesetzessystematik. Im Vordergrund stehen dabei § 54 Abs.1 Straßenverkehrsgesetz und § 5-3 Abs. 1 Gesetz über die schwerere Strafe der bestimmten Delikten. § 54 Abs.1 Straßenverkehrsgesetz hat seinen Grund nicht in dem, daß § 54Abs.1 den Schutz von privaten Vermögensinteressen zum Inhalt hat, und zwar das Interesse der Geschädigten und der Unfallbeteiligten daran, das Unfallgeschehen im Straßenverkehr auf mögliche Rechtsbeziehungen hin festzuhalten und dafür einer unmitelbaren und alsbaldigen Aufklärung zuzuführen, jedoch gehören zu dem Tatbestand nach § 54 Abs.1 die Pflichten zu ermöglichen die Feststellung seiner Person zugunsten der anderen Unfallbeteiligten und der Geschädigten. Zugleich gehören sie zu dem Tatbestand nach § 5-3 Abs. 1 Gesetz über die schwerere Strafe der bestimmten Delikten. Sie sind weiter die ausschlaggebenden Inhalten der Maßregelen.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 내지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및 교특법 제3조 제2항 등과 관련하여 이른바 신원확인조치가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사상자를구호하는 등 필요한 조치” 내지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의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에 따른 조치”, 교특법 제3조 제2항의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규정에 의한조치”에 포함되는가에 대하여 학설과 판례의 입장을 분석·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에 이르렀다. 첫째,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보호법익이나 입법취지, 그리고관련법규와의 죄형균형의 관점 등에서 볼 때,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필요한조치’에 신원확인조치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하고, 둘째,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의 필요한 조치에 신원확인조치를 포함시키지 않는 한에서는,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 및 교특법 제3조 제2항의 문언적 해석이나 도로교통법제54조 제1항과의 체계적 해석의 관점에서, 신원확인조치를 특가법 제5조의3 제1항의 요구조치에 포함시키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신원확인조치가 특가법의 도주운전죄의 성립과 무관한 요소가 되는 것은 아니다. 즉, 신원확인조치의 불이행은 여전히 도주운전죄의 성립요건인데, 단지 신원확인조치가 ‘도로교통법 제54조 제1항에 따른 조치’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이 아니라, 도주의 개념요소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처럼 신원확인조치를 구호 등 필요한 조치와 분리시켜 도주의 개념요소로 해석하게 되면, 구호 등 필요한 조치의 불이행과 신원확인조치의 불이행이 모두 충족되어야 도주운전죄에 해당할 수 있고, 도주운전죄를 이렇게 제한적으로 적용하여야만 비로소 도주운전죄의 현저한 가중처벌이 정당화 될 수 있다. 따라서 신원확인조치를 구호등 조치의 내용에 포함시켜 해석한 결과, 신원확인조치와 구호조치 중 어느 하나만이라도 불이행한 채 사고현장을 이탈하는 경우에 일관되게 특가법의 도주운전죄의 성립을 인정하는 판례의 태도는 재고되어야 한다.

      • KCI등재

        해상교통사고 과실범과 공동정범에 관한 고찰

        박상식,김두상 한국해양경찰학회 2014 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4 No.2

        현재 해상교통에 관한 관계법규나 논의는 부족한 측면이 적지 않다. 해상교통사고 는 육상교통사고와 다르게 신뢰의 원칙이 배제될 뿐만 아니라 교통사고처리특례법과 같은 특례법이 입법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상교통사고 관여자에 대한 처벌이 육 상교통사고 관여자 보다 처벌이 가혹하다. 특히 과실에 의한 사고인 경우에도 큰 처 벌을 받는 것은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할 것이다. 이처럼 육상인가 해상인가에 따라 그 처벌이 달라져 해상근무자를 범법자로 취급 하는 것은 사회적 통합차원에서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형법의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과실에 의한 교통범죄에 대한 형사처벌은 가급적 자제되어야 할 것이다. 즉 형사처벌 은 질서유지를 위한 우리 사회의 최후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과실범의 공동정범에 대하여 대부분의 학자들은 죄형법정주의를 원칙으로 하고 있는 법치국가에서 자신의 행위가 아닌 공동행위자의 행위로 인한 결과까지 책 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부당하다는 이유로 부정하고 있다. 즉 “2인 이상이 공동하여 죄를 범한 때”를 “2인 이상이 공동의 주의의무를 위반으로 죄를 범한 때”로 확대해석하여 처벌하는 현재의 관행은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다. 법관은 법률의 명확성의 원칙을 고려하여 입법자가 선택한 법개념을 가능한 한 좁게 해석하여 가벌성이 확대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판례가 공동정범을 넓게 인정하는 것은 입증의 편의를 도모하 여 법원의 사건처리 부담을 덜고 이론보다는 양형에 의해 구체적 타당성 있는 해결을 하면 족하다는 사고에 기초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론적 통일성 을 포기하는 것은 그 자체가 문제일 뿐만 아니라 피고인에게 지나치게 불리한 해석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법률에 명확한 근거 없이 과실범의 공동정범을 처벌하는 관행은 조속히 중단되어야 할 것이다. Currently, there are shortages of discussion and rule that are ralated to marine traffic. Because marine traffic accident, unlike overland traffic accident, is excluded from principle of trust and laws covering special cases lik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Settlement of Traffic Accidents” are not enacted, punishment of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is more severe than punishment of a participant in overland traffic accident. Especially it has room for improvement of that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caused by negligence is severely punished. Like this, because the punishments depend on whether accident is marine traffic accident or overland traffic accident, in aspect of social integration, it is not desirable that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is treated as offender. So, according to principle of subsidiarity of criminal law, criminal punishments of a participant in marine traffic accident caused by negligence have to be refrained as much as possible. Namely criminal punishment has to be done as a last measure for maintenance of order. And most of scholars deny co-principals of crimes of negligence by reason that taking responsibility for result that is caused by behavior of joint doer is unjust in a law-abiding country that is based upon principle of legality. Namely,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with current practice that judge expand meaning of when two or more people commit crime jointly into when two or more people violate duty of care and punish. Judge has to be careful not to expand possibility of punishment, regarding principle of clarity in law and interpreting narrowly the legal concept that legislator select. Nevertheless, that precedent admit co-principal is based on thinking of “If, considering convenience of proving, load of handling of events of court is lightened and court make resolution that contain specific validity by using determination of punishment rather than theory, it will be enough.” But, like this, abandonment of unity of theory is a problem in itself and, in addition, it can cause interpretation that is excessively unfavorable to defendant. Therefore, practice that co-principals of crimes of negligence are punished without clear basis of law has to be stopped as soon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