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 F. Bollnow 교육적 분위기의 교육적 의의

        강기수 ( Gi-su Kang ) 안암교육학회 2016 한국교육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란 무엇이며, 이러한 교육적 분위기가 지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Bollnow의 교육 적 분위기의 사상적 전통과 의미를 고찰하고, 교육적 분위기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그 양면성을 아동의 측면과 교육자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다음, 이러한 분위기가 지니고 있는 교육적 의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Bollnow는 교육적 분위기에 대한 주장을 통해 교육을 아동과 교사의 존재와 삶에 관련되는 교육적 관계와 기분에 주목하여 고찰함으로써, 교육현상에 대한 구체적, 본질적 접근을 시도 하였다. 또한 교육실제에서 교육자의 기분뿐만 아니라 아동의 기분과 태도를 중시하여 아동 을 교육의 주체로 인정하고, 아동의 내면에 교육적 의지가 존재하며, 아동이 교육받고 싶어 하는 존재임을 인정하여 아동을 새로운 교육적 지평에서 이해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교육적 분위기는 단순히 교육에 영향을 미치는 부가적인 요소가 아니라 교육 의 성립과 성공적인 교육 실현을 위해 필수불가결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특히 교육자와 아동의 관계와 그러한 관계에서 기인하는 기분을 핵심 요소로 하는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는 갈등과 불신의 분위기가 만연해 있는 한국 교육 현실에 바람직한 교육적 분위기 조성 의 필요성과 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 점에서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is and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In order to achieve such study purpose, it first reviewed ideological tradition and meaning of the Bollnow``s pedagogic atmosphere; it divided the double-sidedness, which was the feature of the pedagogic atmosphere, into children``s aspect and educators`` aspect; and then, it attempted to determine to look into the educational meaning kept by the pedagogic atmosphere. According to result of the research, Bollnow paid attention to and understood educational relationship and feelings related to existence and life of children and teachers through an assertion of the pedagogic atmosphere; he sought specific and essential understanding of educational phenomenon; and, he recognized children as the subject of education by focusing on not only feelings of educators but also feelings and attitude of children in education field. In addition, it made it possible to have new educational understanding about children by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educational will existed inside children and children wanted to be educated; it focused on relationships between educators and children and on feelings based on such relationships; and so, it made us know that the pedagogic atmosphere was essential element for establishment of education and successful education. Especially, the pedagogic atmosphere of Bollnow has an educational meaning in that it may provide a clue to create desirable pedagogic atmosphere in Korea education reality under which atmosphere of conflict and distrust is prevalent.

      • KCI등재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통해 본 어린이-교사 관계론

        이현주(Lee HyunJoo),유혜령(Yeu HaeRy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교육론이 지배적인 현대에 교육적 상황의 정서적 측면이나 분위기 요소의 현상학적 중요성을 주장한 독일의 실존교육론자 Otto 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 개념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어떠한 형태의 어린이와 교사간 관계가 강조 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그는 어린이의 입장에서 볼 때 교육적인 분위기는 안정과 즐거움이 깃든 것이어야 하고, 어린이의 자발적인 감사와 순종의 본성을 북돋아줄 수 있는 특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며, 교사의 입장에서는 어린이에 대한 신뢰, 사랑과 인내의 덕목이 교육적 분위기의 핵심 요소가 된다고 하였다. 이 같은 분위기 속에서 맺어지는 어린이-교사 관계는 ’근원적 마음씀’의 관계, 지평융합적 나-너의 관계 만남의 관계, 기다림과 희망의 관계로 해석된다. 교육 현장의 분위기의 현상적 특성과 관계맺음의 성격은 교육이 근원적으로 인간관계에 기초하며 그 관계기 엮어내는 각각의 구체적인 맥락과 분리될 수 없는 것임을 알려 준다. It is attempted in this study to question what might be the desirabl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teacher in the Otto F.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This is to reconceptualize the genuine nature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going beyond the scientific notion of child-teacher relationship, that is hierarchical, uni-directional, and power-laden. The Bollnow's notion of "pedagogical atmosphere" is the foremost example of his phenomenological analyses on educational reality, and thereby this study focuses on the anthropological and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In his analyses on pedagogical atmosphere, Bollnow emphasizes, from child's perspective, the voluntary gratitude and obedience as the child's intrinsic natures, and suggests that pedagogical atmosphere for child should be filled with the feeling of security and joy. From teacher's perspective, he stresses the trust in child's being and capability and the virtues of love and patience as the crucial components of being a teacher. In such atmosphere child and teacher get into the process of mutual "Bildung," i.e. the relationship of the fundamental care(Sorge) of and waiting for each other's being, the I-Thou relationship leading to a true "encounter" and to the fusion of different horizons of each other. This relationship would be truely pedagogical as it relates a child to a teacher and vice versa, within which they come to belong to mutual hope for each other.

      • KCI등재

        교육학적 분위기 담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7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2 No.6

        The study of the atmosphere has been hardly handl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ue to the irrationality of the atmosphere and difficulty in the research method of the atmosphere research. The atmosphere research in pedagogy is also very limited, and the people who have discussed the atmosphere discourse so far in relation to education and learning are limited to phenomenologists such as Van Manen influenced by Bollnow and also Bollnow. In fact, analyz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in everyday life, the atmosphere plays a very important role and role in education and learning. Depending on the mood, education and learning are greatly affected, but the research on this is very limited. Especially, in Korea,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that systematically linked the atmosphere discourse with educational discourse. In this study after discussing the positions of Bollnow and Van Manen who have studied the atmosphere discourse in pedagogy, I explored the pedagogical meaning by discussing the atmosphere discourse of philosopher and aesthetist Böhme. Bollnow argued that if the atmosphere discourse in the pedagogical viewpoint mentions the moo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hildren, teachers and students while Van Manen discussed the atmosphere at the level of educational activities from the viewpoint of teachers and schools. The position of these two is expanded by Böhme, according to which the atmosphere goes beyond human relation to space and materi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study of atmosphere in discourse of educational research. 분위기에 대한 연구는 분위기가 가지는 비합리성과 분위기연구가 가지는 연구방법상의 난점으로 인문사회과학에서는 거의 다루어지지 못했다. 교육학에서의 분위기연구 또한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루어졌고, 교육 및 학습과 관련하여 분위기 담론을 지금까지 논의한 사람은 Bollnow와 Bollnow의 영향을 받은 Van Manen과 같은 현상학자들로 제한된다. 실제로 일상에서의 의사소통과정을 분석해보면 분위기는 교육과 학습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와 역할을 담당한다. 분위기에 따라 교육과 학습은 큰 영향을 받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일천하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분위기담론을 교육담론과 체계적으로 연계해서 논의한 연구 또한 매우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교육학에서 분위기담론을 연구해 온 Bollnow와 Van Manen의 입장을 다룬 후, 철학적 분위기담론을 논의함으로써 그 교육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Bollnow는 교육학적 관점에서의 분위기 담론은 부모와 자녀,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적 차원의 분위기를 언급하였다면 Van Manen은 교사와 학교의 관점에서 교육적 행위의 차원에서의 분위기를 논의하였다. 이 둘의 입장은 철학적 논의에 의해 확장되는데 이에 따르면 분위기는 인간의 관계성을 넘어서 공간성과 물질성에까지 이른다. 본 연구는 향후 교육연구담론에서의 분위기연구에 대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려고 한다.

      • KCI등재후보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의미 찾기

        정진성 ( Jin Sung Jung ),최남정 ( Nam Jung Choi ),임부연 ( Boo Yeun Lim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3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유아교육현장의 대표적인 교육활동이며 유아와 교사 간의 교육적이고 질적인 상호 작용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간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분위기의 정서가 가진 교육적 중요성을 인식한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근거하여 유아교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이야기 나누기 시간을 재조명 해보고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야기 나누기가 활발하게 일어나는 만 5세반을 대상으로 10회기의 비참여관찰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해석학적관점으로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실에서의 이야기 나누기 시간은 몸의 통제로 즐거움이 사라지고, 수업만을 위해 존재하며, 생동감이 없어 훼손된 교육적 분위기로 보이고 있었다. 한편, 이야기 나누기 시간의 의미를 회복하기 위한 교육적 분위기로 민주적 분위기, 유아와 동행하기, 유아와 교사의 지평 좁히기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야기나누기 시간은 세계 내 존재인 교사와 유아의 교육적 만남이 되어야 하며, 유아 중심이나 교사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배움이 숨 쉬는 관계중심의 교육을 위한 교육적 분위기를 조성할 것을 제안한다. Circle time is one of the major early childhood educational activities that accounts for two-thirds or more of normal daily classroom hours. Preschoolers and their teachers can have an educational and quality interaction with one another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ircle time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and the meaning of it based on Bollnow`s theory of encounter and pedagogical atmosphere who was aware of the pedagogical importance of atmospher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year old preschoolers in a class named "sunshine." They usually had a lot of circle time,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 in this class was conducted in 10 sessions. After observation data were gathered, a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from a hermeneutical perspectiv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It is required to consider and reflect what interrupts interaction and what makes preschoolers unhappy to create a good pedagogical atmosphere from the viewpoint of preschoolers. Teachers should have confidence in preschoolers and get themselves to be patient enough. Finally, the kind of pedagogical atmosphere should be created so that teachers and preschoolers can be receptive to each other and enjoy circle time to realize their pedagogical encount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is suggested that circle time should function as a way of pedagogical encounter between teachers and preschoolers who exist in the same world, and that a good pedagogical atmosphere useful for relationship-centered education which can lead to authentic, genuine learning should be generated instead of merely sticking to preschooler-centered or teacher-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수업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분위기에 기초한 실시간 원격 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한 탐구

        강경리(Kang, Kyunglee)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1 교육혁신연구 Vol.3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수업 공간의 특성과 교육적 분위기에 기초한 실시간 원격수업의 개선 방안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D대학교에서 한 학기 동안 교수법 관련 교직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질적 접근인 성찰일지 작성과 심층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이 경험한 실시간 원격수업 공간의 특성은 교수자의 관점에서 실시간 원격수업 인프라가 구축된 장소, 네트워크의 안정성을 기반으로 교수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 학습자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수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는 장소, 학습자의 관점에서 사이버 공간과 물리적 공간으로 구성된 장소, 교수매체 활용 역량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교수매체와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장소, 교수자와의 질문과 피드백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다른 학습자와의 소통 중심 활동이 원활하지 않은 장소,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다양한 경험이 이루어지는 장소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경험한 실시간 원격수업 공간의 교육적 분위기는 교수자의 관점에서 실시간 원격교육 인프라에 대한 부담감, 학습자와의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소극적 태도, 수업에 대한 다양한 시도를 통한 수업에 대한 성취감, 학습자의 관점에서 시간과 비용의 효율성 면에서 만족감, 교수자와의 질문과 피드백의 어려움으로 인한 낮은 몰입감, 교수자, 다른 학습자와의 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한 낮은 친밀감,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다양한 경험을 통한 자기주도 학습에 대한 성취감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 공간의 맥락에서 효과적인 실시간 원격수업에 대한 시사점은 수업의 준비 단계에서 물리적 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안정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 수업의 실행 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의사소통을 통한 공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 수업의 평가 단계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교수·학습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경험을 통한 자신감의 교육적 분위기 형성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대학수업 공간의 맥락에서 효과적인 대학수업을 위해서는 대면수업의 물리적 공간과 실시간 원격수업의 물리적 공간의 연계를 통한 수업 공간의 혁신, 대면수업의 물리적 공간과 실시간 원격수업의 사이버 공간의 연계를 통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 강화, 대학수업 공간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mprovement plan of real-time remote clas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class space focusing on the experiences of college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2 students who took teaching methods class for one semester, and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such as writing a reflection journal and in-depth interview. Results: From the instructor s point of view,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al-time remote class space were a place where real-time remote class infrastructure was built,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ing medium based on the stability of the network occurred, a place where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s was not smooth, and a place where the various attempts were made for the class, from the learner s point of view, a place composed of cyber and physical space,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 with the teaching medium based on the learner s ability to use teaching media, and a place where the questions and feedback with the instructors were not smooth, a place where the interaction-oriented activities with other leaners were not smooth, and a place where the various experiences for self-directed learning were made. Second, From the instructor s point of view, the educational atmosphere was found to be the burden on the real-time remote class infrastructure, the passive attitudes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non-verbal communication with the learners, and the achievement for the class through various attempts, from the learner s point of view, the satisfaction in terms of time and cost effectiveness, the low immersion due to difficulties in the question and feedback with the instructor, the low intimacy due to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and the achievement for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s. Third, the effective real-time remote class was needed to formate the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stability through reorganization of physical space in the preparation stage of classes, empathy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the execution stage of classes, and confidenc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evaluation stage of classes. Conclusion: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class were the innovation of the class space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the physical space of face to face class and the physical space of real-time remote class, the reinforceme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learner through the link between the physical space and the cyber spa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perceptions about class space.

      • KCI등재

        교육적인 것의 의미 고찰 -van Manen의 해명을 중심으로-

        정광순 ( Kwangsoon Jeong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6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van Manen이 해명한 ``교육적인 것``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교사는 어떤 사람인지, 교사가 하는 교육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그래서 교사교육을 어떻게 해야 하고, 교육학이 축적해야 할 지식이 어떤 지식인지 등의 질문을 van Manen이 어떻게 해명하는지를 밝혔다. 연구 결과,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이 분위기를 타는 활동이며, 교육학 및 교사교육은 교육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교사가 어떤 생각을 하고, 어떻게 개입해야 하는지를 알려 주는데 필요한 교육을 해야 한다고 논의하였다. 이에 본 고찰을 통해서 현상학적 해석학자로서 van Manen의 교육적인 것은 교육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일이며, 이것을 그는 Pedagody에 대한 해명 과정에서 제시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the interpretation of pedagogy by van Manen. This study investigated van Manen`s interpretation of educational phenomenology regarding who teacher is, what teaching is, how to educate teachers, and what educational knowledge is. As a result, first, it discussed that van Manen`s pedagogical is atmosphere activity that guides teachers how to think and behave in learning situations. van Manen as a phenomenological interpreter suggested what we should research, what educational(pedagogical) knowledges are through explaining teacher`s intervention in place where teaching and learning are in progress. And it was recognized that pedagogical atmosphere i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pedagogy.

      •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영어교육에서 탐구적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이혜경(Lee Hae-kyoung)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敎育論叢 Vol.5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를 가르치는 교사로서 전문적 발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중 탐구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탐구적 교수학습의 목적은 가르치고 배우는 과정을 더 잘 이해하고, 영어교사로서의 전략 방법 종류를 넓히며, 영어 교실에서 제공되는 배움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인데, 이러한 탐구적 교수학습 활동의 일반적 주제는 교실에서의 의사소통 유형, 교사의 결정, 학습자가 지식을 적용시키는 방법, 교실에 영향을 주는 분위기, 교육적인 분위기, 그리고 교사가 전문가로서 개발하고 성장하려는 스스로의 평가 등이다. 또한 탐구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도구와 정보수집 방법에는 5분쪽지, 교사 평가 조사서, 현장회고 메모, 동료로부터의 피드백 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n introduction to reflective teaching. The purposes of reflective teaching are threefold: (1) to expand one s understanding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2) to expand one s repertoire of strategic options as a language teacher; and (3) to enhance the quality of learning opportunities one is able to provide in language classrooms. Some general topic areas reflective teachers often explore are: (1) communication patterns in the classroom; (2) teacher decision making; (3) ways in which learners apply knowledge; (4) the affective climate of the classroom, (5) the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6) a teacher s self-assessment of growth and development as a professional. In this paper I will show you four tools that should be useful to teachers interested in processes and procedures of reflective teaching: five-minute papers, formative teacher assessment surveys, retrospective field notes, and formative feedback from peers.

      • KCI등재

        O. F. Bollnow의 『교육적 분위기』에 나타난 유아교육론 탐구

        최은주 ( Choi Eun-ju ),강기수 ( Kang Gi-su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8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ant education theory that appeared in O. F. Bollnow’s ‘educational atmosphere’ (Die Pädagogische Atmosphere, 1964), and that was in order to clarify the significance of infant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ideological tradition and tendency of the educational atmosphere, and examined Bollnow’s infant educatio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infants and educators based on previous examination, and finally presented significance of infant education. Studies have shown that Bollnow’s new educational prospect for infants by recognizing them as educational entities, namely who willing to get on education while accepting educational relationships and feelings as important elements of education in the ‘educational atmosphere’. In particular, the trust and love of educators, and the stability of infants resulting from such trust and love of educators, had an important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they make possible patience and expectations for educators, appreciation and obedience for infants. In conclusion, Bollnow’s theory of educational atmosphere suggested ‘educational atmosphere’ based on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feelings of this relationship by way of sine qua non, which is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 as well as a successful education. In particular, the educational atmosphere could be said that there is much to suggest to the site of infant education suffering from conflict with parents in that it places great importance on trust, mood between infants and teachers and educational virtue among the educational parties.

      • KCI등재후보

        O.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강기수 한국교원교육학회 200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0 No.3

        이 연구에서는 O.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와 인내의 문제를 고찰하였다.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는 인간 그 자체를 믿는 것으로서 모든 인간 관계 형성의 근거가 되며, 교육 성립의 전제가 된다. 지속적인 신뢰 속에서 발생하는 인내는 시간을 허용하고, 시간에 일치하여 사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교육 실제에서 가장 획득하기 어려운 미덕 중의 하나이다. 교육자의 미덕으로서 신뢰와 인내는 아동으로 하여금 안정의 감정을 지니게 하여 올바른 성장을 가능케 하며, 희망을 가지고 자신의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을 가능케 한다.특히 불신과 갈등, 그리고 초조와 불안이 만연해 있는 오늘의 한국 교육현실에서 교육자의 미덕으로서의 신뢰와 인내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중요한 교육자의 미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