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평화·통일교육 : 방향과 관점」의 개선방안

        이병호(Lee Byoung-ho) 한국통일교육학회 2020 통일교육연구 Vol.17 No.2

        통일부의 「통일교육지침서」는 20여 년 간 국가교육과정에서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기준으로서 여러 역할을 수행해 왔다. 문재인 정부인 2018년 「통일교육지침서」는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으로 문서명을 바꾸고, 발간주기는 필요시, 문서의 성격은 기존의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기준 제시에서 방향과 관점의 제시로 바뀌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측면에서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을 분석·검토하여 개선 방향과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째, 「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법적·교육과정적 지위와 의미, 목적과 역할 및 기능을 탐색하였다. 둘째, 범교과 학습주제인 학교 통일교육의 문서체제 개선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문서 체제 개선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고찰하였다. 셋째,「평화·통일교육: 방향과 관점」의 개선 방향과 방안을 설정·제시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문서명은「00(년) 평화·통일교육 기준」으로, 발간 주기는 ‘주기적이되 필요시 규정과 절차에 따른 개정’으로, 문서의 역할과 기능은 ‘국가의 통일교육 기준 제시’로, 진술 및 제시 형태는 ‘가능한 국가교육과정 문서체제와 부합되도록’ 등이다. 이외에 ‘평화·통일교육 기준 문서 체제 개선’, 「2021 평화·통일교육 기준」 개발에 대한 조속한 연구와 실행, ‘평화·통일’ 정규과목 개설에 대한 관심과 연구 필요성 등을 제안했다. For nearly two decades, the Educational Guidelines on Unification (published and revised every year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served as a valuable set of standards for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 in the national curriculum. However, in 2018, during the rule of the Moon administration, the yearly publication had to go through major changes: 1) its title changed into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 2) it will not be updated nor revised on yearly-basis if not necessary; 3) it no longer defines educational goals and content standards but just gives out general direction and basic standpoint for unification education. Through this research, I will look into the「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 Direction and Standpoint」as a part of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ystem, so as to define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To this end, I first studied the legal position and meaning of the said publication as a curriculum, as well as its role and purpose. In addition, I contemplated on the improvement model for the document system of the national curriculum to improve its counterpart of the unification education, a cross-curricular theme. Finally, I came up with a proposal on where and how improvements can be made in the publication.

      • KCI등재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민용성,최화숙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0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다문화 사회와 다문화 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들을 탐색하였다. 또한 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 총론 문서상에 제시된 다문화 내용 요소를 분석한 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논의하였다. 논의 결과,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으로 하나의 체제적인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교육과정 각 구성 요소별로 지향해야 할 점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즉, 정체성과 다양성 있는 목표 구성, 소수 인종과 문화 집단의 총체적 관점이 포함된 내용 선정, 교과 및 교과 외 활동을 통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기회를 통합적인 방법으로 제공, 목표, 내용 및 방법 등과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평가를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이러한 네 가지 요소를 하나의 체제로 연결할 수 있는 인적․물적 지원도 개발 방향의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해 얻은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일부 소수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는 학교 교육과정은 학교 교육과정의 목표뿐만 아니라 내용, 방법, 평가 그리고 기타 인적․물적 지원까지도 다문화 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체제와 방향으로 구성되고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기 위한 학교 교육과정의 내용은 즉흥적이고 일시적인 필요에 의한 프로그램 제공이 아니라 체계적인 틀을 갖춘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향후 다문화 사회에 대응하여 학교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matching up to multicultural society. In order to attain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 which relat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n searched the changes from school-based curriculum in the present. Also analyzed the multicultural contents element which is presented in 7th and 2007 revised curriculum documents. The result for the search of th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ould be arranged as follows : First,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be preferentially aimed at purposing not only identity of the minority race but diversity of culture. Second, reasonable and various contents which contain general perspectives of the minority and cultural community should be selected. Thirdly, to provide selected contents efficiently, equal opportunity should be given through curriculum and extra-curriculum and utilize only the integration methods. Fourth, in evaluating aims, contents and methods should be consistent and systematic. Lastly, this process can provide the ground for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positive through only the correlation and understanding as well as the institutional support.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suggestions for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could be presented as follows : First,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for not a minority but all the various and different students. Second,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and constituted toward the system and direction for realization of multi-education for not only aims, contents, methods, evaluations but various personal and material support. Thirdly, contents presented by the multicultural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not provide an extemporaneous composed program but be developed to the direction with systematic structure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provide current and significant points to draw the pla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confronts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Key Words : multicultural society,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atic perspective

      • KCI등재

        초등학교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 개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 중심으로

        김정희(Kim, Jeong-hee),이강순(Lee, Gang-soon)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2 교육논총 Vol.42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쌍방향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다.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의 목표는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데 있다. 무용은 표현 수단으로 신체를 활용하는 것이고, 영어는 말하기, 쓰기 등으로 자신이 생각을 나타낸다. 따라서, 표현을 매개로 무용교육과 영어교육의 융합교육을 실시하여 쌍방향 수업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표현능력 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에서 교수학습 계획 및 교수학습자료를 제시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내용 분석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소통역량 함양을 목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둘째, 수업 방법은 쌍방향 수업과 대면 수업으로 나누었으며 쌍??향 수업으로는 ZOOM, PADLET을 제시하였다. 셋째, 평가 방법으로 쌍방향 수업 평가 방법을 구안하였다. 코로나로 새로운 교수방법이 필요한 때이다. 쌍방향 수업으로 원격수업에서의 비대면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교사와 학생의 소통이 가능한 수업을 마련하고자 한다. This study seeks to construct a STEAM program in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that can be implemented in interactive classes. Two-way classes require new communication methods. Although interactive classes are conducted virtually, they address the limitations of the lack of physical presence in remote classes as well as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Physical expression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aim to encourage learners to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The purpose of dance education is to enable individuals to use their body as a means of expression, while the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s to strengthen individuals’ ability to convey their thoughts through speaking and writing. Therefore, the intention i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skills necessary for interactive classes through a convergence of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in terms of expression. To apply this to the school environment, teaching and learning plans and materials are presented in program development. The research method involved investigating previous studies, convergence programs, and curriculums through content and comparative analyses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s. To ensure the expertise, diversity, and validity of program development,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 physical education, dance education, and English education. Further, the development process of programs—from planning to performance—involved the close cooperation of incumb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implementing these programs in the actual field. This study first construct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a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program involving physical expression and English education to aid in interactive classes, with “expression” being the aim. Second, the study distinguished possible learning activities in interactive and face-to-face classes. Third, a convergence program that can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interactive classes was developed, focusing on dance education.

      • KCI등재

        一般系 高等學校 漢文敎育의 問題點 및 改善 方向

        李殷光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4 漢字 漢文敎育 Vol.12 No.-

        한문교육의 문제점에 대해서는 학회 등을 통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는데, 본 고에서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의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 교과서 내용과 체계의 문제, 수행평가의 실태 및 문제점, 교수-학습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대학수학능력 시험 및 한자능력검정시험의 실태 및 개선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일반계 고등학교 한문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한국한문교육학회'에서 발표되었던 사례들과 '전국 한문 교사 모임', '경기도 중등 한문교육 연구회' 등에서 방학 중 연수회를 갖고 논의되었던 사례들을 참고하였으며, 경기도내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육 과정 운영 실태와 본교 학생들의 설문을 참고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첫째, 교육과정 운영상의 문제점으로는 7차 교육 과정에서 한문 과목이 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어 학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고, 입시 위주의 교육과정 운영으로 한문 수업 시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개선방향으로는 한문 교사들이 변화되는 교육과정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한문 교육의 당위성을 설명할 수 있는 논리를 확고히 하여 학교 관리자나 교육과정 운영회 등에 적극적으로 개진하여 정상작인 교육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서 내용상의 문제로 학생들의 설문을 조사한 결과로는 한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70% 이상의 학생이 비교적 긍정적인 답을 하였지만 교과서 내용에 대해서는 과반수 이상의 학생이 부정적인 답을 하였다. 교과서 내용 체제에 있어서는 한문 교과의 특성에 맞는 전통적이고 고전적인 요소들을 뽑아내어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이 장기적인 안목에서는 더 바람직할 것이라 여겨진다. 셋째, 수행평가의 문제점으로는 학생이나 교사 모두 좋은 취지에도 불구하고 부담이 너무 크다는 것이다. 개선 방향으로는 타 교과와 중복이 되지 않는 시기에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업 시간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리라고 본다. 넷째, 교수-학습의 문제점으로는 학생들의 수준이 일정치 않아 지도하기에 어려움이 많다는 것이다. 개선 방향으로는 수준이 일정치 않은 학생들의 실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입학 전 방학 기간을 이용한 '한자 익히기' 과제를 부여하거나, 학교 내 '한자 한문 경시대회' 등을 통해 관심을 증대시키고 수행평가 등을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하겠다. 교수-학습 형태에 대해서 '칠판 수업을 주로 하고 ICT 활용은 홍미유발을 위한 도구로'라는 의견에 50% 이상의 학생이 회망하였다. ICT를 활용한 다양한 교수-학습의 자료가 개발되어야 하겠으며 수업 형태도 학생들은 교사 위주의 강의식(43%)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나, 교과 내용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교수-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다섯째, 대학수학능력 시험 및 기타 문제점으로는 '한문' 교과가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 '제2외국어/한문'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관계로 학생들이 얼마나 '한문'을 선택할 지가 초미의 관심사이며, 한문 교과의 장래와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개선방향으로는 대학입학전형시 보다 많은 대학에서 학교생활기록부 및 한문 영역의 반영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하겠으며, 각급 학교에서는 대입 수능에서 '한문'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적극 홍보를 하고 교사들의 의견이 대입수능 시험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리라고 본다. 마지막으로 한자능력검정 시험에 대한 문제인데 일부에서는 한자능력검정 시험이 지나치게 상업성을 띠고 있는 것에 대하여 우려하고 있고, 한문보다 한자만을 강조해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개선방향으로는 한자, 한문과 관련된 학회, 또는 대학 교 수, 일선 학교 교사들이 함께 참여하는 한자와 한문이 고루 출제된 한문능력검정시험을 주관하는 단체를 만들어 한자, 한문 교육 및 보급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리라고 본다. Although the problems of the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have been discussed in various view points through Chinese Literature Academy, etc. in this thesis, I have researched as to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in academic high school,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Character, the actual situation of the performance test and its problem, and the way of improving the test of the probation of the ability of the Chinese Literature. In order to catch the problems in educ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by referring the examples made public by 'The Academy of the Education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and The Academy of the education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those discussed by The National Chinese Character Teachers' Meeting and Kyung-gi provincial Secondary School Academy of the Education of Chinese Literature held during summer vacation. I have tried to find out the way of improving those problems abstra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done to students. First, as the problems of the management of the curriculum, because Chinese Literature was organized as the optional subject, there have been many differences depending on schools and the tendency of lessening the amount Chinese Character is taught. As one of the ways of improving those problems, by understanding the curriculum of the education of the Chinese Literature correctly, and establishing the reason that can explain why the Chinese Character should be taught in high school through stating their views positively to the organization of school curriculum or school master, we should try to make the educational curriculum carry out normally. Second, as the problems in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Character, Seeing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done to students, though more than 70% of students gave comparatively positive answers, regarding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Literature,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gave a negative answers. .In the system of the contents of the text of Chinese Literature, I think it more desirable to compose the text by abstracting the traditional and classical elements suitable for the features of the Chinese Literature. Third, as the problems of performance test, in spite of the good purpose of the test, students and teachers feel burdensome too much. As one of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problems, the test should not be done in the period of overlapping with other subjects, and the method of utilizing the school hours properly should be considered. Fourth, as one of the problems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subject, it is very difficult to instruct the students due to their various levels. As one of the ways of improving their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among various levels of students, I think there are many ways like assigning the students to learn Chinese Characters before entering high school,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at subject through contest of reading and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in school and making good use of the results in the performance test. Regarding the typ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 subject the opinion that centering on the lesson using blackboard and the utilization of ICT can be an instrument of raising the interest was approved by more than over 50% of the students. I think various materials of learning and teaching using ICT should be developed and the method of lecturing centered on teachers was preferred(43%), however,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done depending on the contents of the text. Fifth, as the problems of SAT test and other test, because this subject is included in the 2nd foreign language, it is the imminent interest how many students will choose that subject, and I think it will be an important factor. As the way of improving the problem, I think more universities should raise percentage of reflecting the subject of Chinese Character and the record of school life. I think teachers should inform positively to make students select Chinese Character and make teachers opinions reflect well in the SAT Finally, as for the test of the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Chinese Characters, some are worried that the test takes on commerciality too extremely. The idea is cautiously proposed that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should not be emphasized more than Chinese Literature. As one solution , much more endeavor for supplying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etter should be done through making organization held by the association related with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or the meeting composed of professors, school teachers and the test made up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Literature evenly.

      • KCI등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주요 내용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윤지훈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0 No.-

        This study attempted to roughly examine the direc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in mind at the outline level. First,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cluding the "overview of the curriculum design." Personality' introduc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necessity, role, or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o that everyone who encounters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stated as the direc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point of arrival for students to achieve, but it was intended to present feasible objective in the schoo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and the level of learners' Classical Chineses and Classical Chinese learning. The "content system" was designed to foster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 life by integrating the subject's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The "area" was set in two areas: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s"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s." In the case of high school "reading Chinese classics"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a separate area was not se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jects.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system consisted of content elements and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must be known in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process and function of acqui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that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development method and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 were also examined, and "achievement standard commentary" was developed only when misunderstanding or confusion may occur in the school field, or additional explanation or emphasi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a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extbooks in public education in Korea, that is, they serve as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염두에 둔 교과서 개발 방향 등을 개요 수준에서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과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등의 분석을 통해 설정한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중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를 비롯하여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성격’은 한문과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문 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 혹은 본질과 의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한문과 교육과정을 접하는 모든 사람이 한문과가 지닌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목표’는 한문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으로 진술하되, 학교 현장의 요구와 학습자의 한자 및 한문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가 가장 큰 부분인 ‘내용 체계’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과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게 하여 삶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영역’은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의 경우 ‘한자와 어휘’, ‘문장’ 2가지를 영역으로 설정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편제되는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와 ‘언어생활과 한자’의 경우는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내용 체계의 범주는 해당 교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요소 및 개념과 원리, 지식․이해를 습득하는 과정과 기능, 해당 교과목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가치와 태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취기준’의 개발 방식 및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으며, ‘성취기준 해설’의 경우 성취기준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오해 및 혼동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거나 추가적인 설명이나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개발하고,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은 영역 또는 해당 과목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강조하거나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을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개발 방식과 함께 교과서가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갖는 위상, 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수업의 매개체이자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 경찰 양방형 온라인 교육훈련에 대한 고찰 : 경기북부경찰청 지역경찰 순찰팀장 대상으로

        최돈수 한국자치경찰연구학회 2022 한국자치경찰논총 Vol.1 No.2

        경찰의 교육훈련은 코로나-19의 팬데믹 상황으로 대면방식이 대부분 취소되고 비대면으로 전환되었다. 경찰청에서는 코로나-19상황 이전에도 경찰 사이버교육포털을 이용하여 대면교육 훈련의 보조수단으로 비대면 방식의 원격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단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의 한계가 상존하는 상황에서 일방적 교육훈련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일선 시도경찰청 교육센터에서도 양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을 도입하였다. 경기북부경찰청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지역경찰 순찰팀장에게 5일 과정의 양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을 실시하였다. 경찰의 교육훈련은 시대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야 하고, 한발 더 나아가 교육훈련을 통해 경찰관 개인의 행동 변화 및 인식, 가치, 태도가 변화되게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훈련 종료 후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바탕으로 양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의 효과성 증대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 양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은 대면교육을 대체할 교육훈련시스템이 될 수 있으며, 경찰청, 경찰인재개발원, 시도경찰청 교육센터, 현장강사의 협업 우수사례로 사료된다. 다만, 일선 시도경찰청에서 처음 실시한 양방향 온라인 교육훈련으로 설문응답자 제안 사안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The police's education and training were mostly canceled and turned non-face-to-face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of COVID-19. Even before the COVID-19 situation, the National Police Agency used the police cyber education portal to provide non-face-to-face remote education and training as an auxiliary means for face-to-face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of unilateral education and training in a situation where the limitations of unidirectional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exist,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were also introduced at the education center of the Frontline Provincial Police Agency. The Gyeonggi Northern Police Agency conducted a five-day course of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head of the local police patrol team subject to this study. Police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respond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and go one step further to change the behavioral changes, perceptions, values, and attitudes of police officers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easures to increas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conducted after the end of education and tra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can be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to replace face-to-face education, and is considered an excellent example of collaboration between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National Police Agency, the Provincial Police Agency's education center, and field instructo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closely review the proposal of survey respondents as it is the first two-way online education and training conducted by the metropolitan and provincial police offices.

      • KCI등재

        장애무용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통해 바라본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

        홍혜전 무용역사기록학회 2020 무용역사기록학 Vol.5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isability dance education by analyzing disability dance education research trends. Among the papers related to disability dance education registered in the 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46 papers published, which were published from 2010 to October 2019 were exam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keywords analysis. As a result, the research scope has been expanded to the emotional, physical, and social adaptation targets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 number of studies on the use of dance for the purpose of physical rehabilitation while related keywords have been f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social members' awareness of the disabled arts through the disability dance education, and it is urgent to develop a dance arts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degree of disabilities and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arts of disabilities. This study suggests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educates the disabled to become professional dance artists. 이 연구는 장애무용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있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orea Education Research Information Service)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무용교육 관련 논문 중 2010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0년간 게재된 46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 출판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자료처리방법 별로 자료를 수집, 내용분석과 주제어 분석을 통해 장애무용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정서적, 신체적, 사회적응 측면으로 연구범위가 확대되었으며, 신체재활을 목적으로 한 무용 활용 연구들이 주로 발견되었다. 또한 정서, 사회적응, 심리, 인성 등과같은 내면적 요소와 관련이 깊은 주제어가 다수 발견되었다. 이는 정서적으로 불안한 장애인의 정상화원리에 입각한 긍정적인 삶을 위한 장애무용교육 연구가 꾸준하게 진행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향후장애무용교육의 방향성은 장애무용교육을 통해 장애예술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인식 전환이 요구되며, 장애의 특성과 정도를 고려한 무용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장애무용예술교육전문가 양성이 시급하고, 장애인이 전문적인 무용예술가가 될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육기관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 KCI등재후보

        대학통일교육의 기본전제와 방향에 관한 연구

        정경환 한국통일전략학회 2013 통일전략 Vol.13 No.4

        Thus study is aimed to analyse the basic premise and direction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University is the hall of truth and a place breeding up university student as the pillar of the future. Therefore,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means everything to us. The basic premise for the direction establishment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is as followers; First, it is necessary to apprehend the meaning of peace. The peace is a relative value regulating by a absolute value like freedom. Secondly, we need good practice on identifying the real state of North Korea's regime as it is. Thirdly, we must be ride of doctrinism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With this basic premise, the direction of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is as followers; First, it is seeking the keeping of identity of our nation. University's unification education damaging the identity of our nation is not a right education. Secondly, it is seeking the direction succeeding to the historical character of our peoples. We must advance the education bringing up the self-respect and pride for our history. Thirdly, it must advance the direction founding the concrete belief on the universal values like freedom, human right and democracy. Finally, it must emphasize the interrelations between social problems and unification. 본 논문은 대학통일교육의 기본적인 전제와 방향에 대한 것이다. 대학은 진리의 전당으로 미래의 주역인 대학생을 양성하는 곳이다. 그렇기 때문에 대학에서 행하는 대학통일교육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대학통일교육의 방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기본전제에 대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 대학통일교육의 방향 정립을 위한 기본전제로서 첫째, 평화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평화는 자유와 같은 절대적 가치에 의해 규정되는 결과적인 가치이다. 둘째, 북한정권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파악하자는 것이다. 북한정권의 반민주적이고 반인륜적인 특성을 도외시하고 자의적으로 판단하고 재단하지 말자는 것이다. 셋째, 화해와 협력의 지상주의에서 벗어나자는 것이다. 대남적화야욕을 지니고 있는 북한정권에 대하 일방적인 유화정책은 문제가 있다는 판단이다. 이러한 기본전제를 가지고 대학통일교육의 방향을 지적하면 첫째, 대한민국 국가의 정체성을 확고히 견지하자는 것이다.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훼손하는 대학통일교육은 통일교육으로서의 올바른 방향이 아니다. 둘째, 한민족의 역사성을 계승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한민족의 역사를 통해 자부심과 긍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육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인류의 보편적 가치에 대한 굳은 믿음을 기초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고 마지막으로 사회문제와 통일 간의 상관성을 강조해야 한다.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경찰 교육의 방향 및 추진 전략

        이재경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07 경찰학논총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및 경찰 교육의 내·외적인 환경 변화에 따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경찰 교육의 방향을 수립하고, 그에 상응하는 추진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간 경찰교육의 문제로 지적되었던 교육내용 및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경찰교육의 방향과 추진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경찰교육의 내실을 기할 뿐만 아니라 선진교육기반 구축의 기본 틀을 마련하고, 향후 조성될 경찰교육타운이 치안전문가를 양성하고 자기계발을 지원하는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을 더욱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경찰 교육에서는 일반적인 소양 및 능력 개발뿐만 아니라 경찰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기술 습득을 강조하는 경향으로 바뀌고 있다. 즉, 경찰의 현업에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성 신장이 가장 중요한 교육 목표가 된 것이다. 이런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활동, 기법, 시설, 교육전문가, 교육행정 및 운영 지원체제 등 다양한 형태의 지원 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찰교육의 기본 방향은 ‘전문 경찰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교육내용 및 방법의 측면에서 ⅰ) 경찰 전문교육의 심화·확대, ⅱ) 경찰교육 내용에서의 업무 연계성 강화, ⅲ) 경찰교육의 참여식 교육방법 확대, ⅳ) 경찰교육 교재 및 시설의 첨단 정보화의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 방향을 실제로 구현하는 중요성이 실천 전략의 일환으로서, 액션러닝, 사례연구(목표기반 시나리오), 문제해결학습, 이러닝 등 최신 교육훈련 기법을 경찰교육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AI교육의 필요성 분석에 따른 미래 방향 탐색

        유인환,김우열,전재천,유원진,배영권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5

        최근 머신러닝, 빅데이터, 머신러닝 등의 기술 발전을 기반으로 인공지능(AI)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다양한 분야 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고, 미래 산업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는 AI 국가전략을 발 표하는 등 미래 AI 기술 발전과 환경 구축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으며, 교육 분야에서도 AI 인재 양성을 위한 각 종 정책을 개발하고 있다. 그런데 AI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많은 사람들이 동의하고 있으면서도, 구체 적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 형성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AI교육의 내용이나 방법론 등 의 방향에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방향을 설정하는 전제 조건이 되고, 이에 따라 교육 내용과 방법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와 학교 현장의 AI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해보고 이를 토대로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AI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AI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As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y is advanced based on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such as machine learning, big data, and machine learning, it is actively used in various fields and is emerging as the core of the future industry. Accordingly, Korea is laying the groundwork for future AI technology development and environment establishment, such as announcing the national AI strategy, and is developing various policies to foster AI tal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although many people agree on the importance or necessity of AI,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insufficient consensus on specific needs. Looking at related studi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AI education content and methodology, because awareness of necessity becomes a prerequisite for setting th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direction such as educational content and method is determin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AI educa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the need for AI education between experts and the school field,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AI education that everyone can relate 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