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과학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스템’과 ‘에너지’ 핵심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박경숙 ( Kyungsuk Park ),정현도 ( Hyeondo J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8 科學敎育硏究誌 Vol.4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5개국(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의 내용 요소와 종적·횡적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는 국제적으로 교육과정 연계성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스템은 과학과 기술 또는 다른 내용과 통합하기 위한 틀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구와 우주과학 내용 영역의 횡적과 종적인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핵심 개념인 시스템에 대한 비교 결과는 뉴질랜드의 경우 수준을 토대로 학년과 교과 사이의 연계성을 위해 시스템과 인간 활동 간의 상호관련성, 시스템의 상호작용, 시스템의 특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캐나다나 싱가포르의 경우, 과학과 기술 내용에 대한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시스템과 에너지 개념이 특정 학년과 내용 영역에만 한정되어 있어서 연계성의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은 그 수준에 따라 다양한 학년을 위해 체계적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다. 결론적으로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은 충분한 학생의 학습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학습발달과정과 연계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학생들의 핵심역량과 능력을 배양하고 과학 교육을 향상시키기 위해 횡적과 종적인 연계성을 기초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r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ontinuity of Korean Science &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with focus on the science curricula or standards in five countries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the United States, Korea). Original docume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s or standards of each country collected from NCIC comparatively analyzed the big concepts of the 'system’ and 'energy’ based on features of related components of curriculum contents,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big concepts of systems and energy were used internationally to consider the curriculum continuity. In most countries, the big concept of system was used as a framework to integrate science with technology or other contents. In particular, it was also utilized to strengthen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in earth science and space science contents area. In the comparison of countries for the system as the big concept, New Zealand focused interrelationship between system and human activities, systems’ interaction, levels and features of system concept for the linkage between grades and subjects on the basis of level. In the case of Canada and Singapore, science and technology are combined to strengthen contents’ connection. However, the revised 2015 curriculum has a lack of continuity and sequence because the concepts of system and energy were concentrated on a specific grade and contents’ area. The curriculum was not developed systematically for multiple grades according to their levels. In conclusion, Korean science curriculum requires sufficient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and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s and curriculum continuity. In addition, it is very important to constitute the curriculum based on the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in order to improve science education and to foster students’ key competencies and abilities.

      • KCI등재

        2019 개정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수학교육의 연계성 분석

        민미희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iculum continuity between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1~2st grade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domain, educational content are analyzed in both curriculum by 6 criteria, which are continuity(extension, reinforcement, repetition) or discontinuity(extinction, retrogression, ga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bjective of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ere more inclusive and detailed than Nuri curriculum. Second, classification of five content domains both for mathematical content of Nuri curriculum and for mathematics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was continued. Third, Most educational content had high degree continuity, but some categories did not. In the numbers and arithmetic operation section, the numbers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arithmetic operation showed discontinuity(gap). The figures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measurement section, comparison of quantity and length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time showed discontinuity(gap). The regularity sec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In the data and probability section, classification showed high degree of continuity, but diagram and graph showed discontinuity(gap).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curriculum continuity, and suggests further studies through investigating how they are implemented in real educational setting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초등학교 1~2학년군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의 연계정도와 연계 형태를 연계(확대, 심화, 반복), 비연계(역행, 격차, 소멸)의 분석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두 교육과정의 목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교육과정의 5개 내용 영역 구분이 연계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교육과정의 수학교육 내용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다. 수와 연산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수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연산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형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측정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양의 비교는 반복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각과 시간은 격차의 형태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길이는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규칙성 영역은 반복, 확대,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자료와 가능성 영역은 연계와 비연계가 모두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분류하기는 반복, 심화의 형태로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 만들기와 그래프 그리기는 격차로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9 개정 누리과정 적용에 맞추어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검토함으로써 보육 및 유아교육현장에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를 가진다.

      • KCI등재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국제 비교: 광합성 개념 중심으로

        이효녕 ( Hyonyong Lee ),여채영 ( Chaeyeong Yeo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5

        우리나라 교육과정은 2007 개정 및 2009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개선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정 방향은 질 높은 교육과정을 위해 연계성 강화에 초점을 두었다. 교육과정에서 연계성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이다. 연계성에는 계속성 및 계열성을 포함하는 종적 연계성과 통합성에 관한 횡적 연계성이 있다. 계속성과 계열성은 교과 내용이 반복되고 지속되는 위계를 의미하며, 통합성은 교과 간 내용의 수준, 범위, 관련성을 말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한 기준을 세워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종적 및 횡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과학교육의 성취 수준이 높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갖춘 국가(영국, 캐나다, 미국, 핀란드, 싱가포르, 대만)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생명과학 광합성 개념의 연계성을 국제 비교 함으로써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연계성 강화 근거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은 종적 연계성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횡적 연계성에 소홀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횡적 연계성이 높은 영국, 미국, 핀란드와 같이 ‘자연’, ‘환경’과 같은 관점을 도입하고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다. 둘째, 실제 교육 현장에서 개념의 단순 반복 또는 개념의 특정 학년에 집중으로 계속성과 계열성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 대안으로 Big Idea와 같은 내용 체계나 개념 구성의 기준을 마련하고 캐나다, 미국, 싱가포르의 교육과정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스템’의 관점 도입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횡적 및 종적 연계성의 공통 기준으로서 교육과정의 교육 내용이 학생들의 발달이나 수준에 적절한지 확인할 수 있는 근거가 부족하였다. 개념 위계와 교육 순서를 제시하는 근거로 최근 해외에서 학생의 학습발달과정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학습발달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에 따라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The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making efforts to improve education to foster competencies that the future society demands through the 2007 and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evised curricula focus on enhanced articulation for the quality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is analyzed for vertical and horizontal articulation. In addition, the study found a problem in Korea``s curriculum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sought improvement. Furthermore, the study compared internationally articulation of the concept of photosynthesis, of whi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ur science curriculum focuses on vertical articulation and has relatively neglected the problem of horizontal articulation. To compensate for this problem, curriculum design should introduce aspects of ‘nature’ and ‘environment’ and should consider the interests and concerns of students, as countries with high horizontal articulation do. Second, the actual education field has a problem with the a lack of continuity and sequence because of concentration of concept in a specific grade or simply repeating the concept across multiple grades. These results have led to alternative proposals that should arrange basis of concept configuration such as ‘Big Idea’ and should establish the adoption of ‘systems’ frequently appearing in the other curricula. Finally, there may be mentioned a lack of research on students`` learning progression, which can be a common standard of horizontal and vertical articulation.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has been a trend overseas, but there exists no study to fit Korea``s situation, so education fields need to conduct the appropriate research on learning progression as part of the commitment to high-quality curriculum.

      • KCI등재

        빛과 전기 개념의 연계성에 관한 과학과 교육과정의 국제 비교

        이효녕,박병열,전재돈,이현동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6 교과교육학연구 Vol.20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7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빛’과 ‘전기’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현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의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고 앞으로의 교육과정에서 연계성을 강화하는 일반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원문 및 번역본이며, Tyler(1949)의 교육과정 조직 원리를 바탕으로 종적·횡적 연계성을 기초로 과학과 교육과정 내의 ‘빛’과 ‘전기’개념에 대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적으로 교육과정의 학년 간, 그리고 교과 간 연계의 강화를 위해 ‘빛’과 ‘전기’에 대한 중요 개념을 큰 개념으로 설정하고, 저학년부터 고학년까지 나선형 교육과정을 토대로 개념의 반복학습을 이루어나가지만 주변 생활과 현상에 대한 내용에서부터 과학적 개념의 추상적인 원리로 점차 확장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도 나선형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점차 학습 내용을 심화해 나가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 분석한 비교 국가들에 비해 내용의 범위와 수준이 성취 기준에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고 다른 단원과의 횡적 연계성도 낮음을 볼 수 있었다. 앞으로의 우리나라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함에 있어서는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연계성을 강화하는 큰 틀이 필요하며 나아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전문가, 교사, 학부모, 학생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to strengthen the science curriculum articulation of Korea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focus on the articulation of science curriculum concerning the ‘light’ and ‘electricity’ concepts in seven countries. National science curriculum of each country complied from NCIC comparatively analyzed the concept of ‘light’, and ‘electricity’ based on Tyler’s curriculum organizing principle(1949) that is vertical, and lateral connectivity. As a result, the concepts of big idea about ‘light’ and ‘electricity’ was utilized internationally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grades and subjects. As students advance to higher grades, their learned concepts repetition based on the spiral curriculum and concepts expand from simple phenomenon to complicated and discrete theorem. In Korean science curriculum that learning standard was not clear on the range of teaching concepts and level. In addition, lateral connectivity was les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In addition, Korean science curriculum requires appropriate tools to strengthen curriculum linkage and when configuring the science curriculum, reflect demand of curriculum experts,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 KCI등재

        유치원 수학과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연구

        박교식,김지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개발에서 두 교육과정을 연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5세 누리과정과 이에 따른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지도 내용, 그리고 현행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교육과정 및 그에 따른 교과서의 지도 내용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의 여섯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도형 영역의‘공간적 관계’나 확률과 통계 영역의 ‘자료 수집’과 같이, 5세 누리과정에서 완성되고 있는 내용을 1학년 교육과정과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5세 누리과정과 1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지는 않지만, 2~6학년 교육과정이 연계되는 경우, 어느 한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위계를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K-지도서≫가 5세 누리과정을 준수하고 있는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넷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5세 누리과정 관련 요소와 초등학교 교육과정 관련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K-지도서≫의 각 [활동]에서 수학 지도 내용을 명시적이고 체계적으로 취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교육과정 개발에서 유아수학교육 전문가와 초등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의 협업 체제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connections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teacher’s manual books according to it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and textbooks was analyzed to find the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link the two curricula in the development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five following implications could b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nect the cont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which were completed in that curriculum like ‘spatial relation’in geometric figure domain and ‘data collection’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domain to the contents of the 1st grade curriculum. Second, in the case of the contents no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1st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but connected between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the contents of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re-adjust the hierarchy based on one of the curricula. Third, it is necessary to check whether ≪K-teacher’s manual book≫ obey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or not. Fourth,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related elements of the NURI curriculum for 5 years old children and elementary 2nd ~6th grade mathematics curriculum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Fifth, it is necessary to handle the mathematics contents explicitly and systematically in [activity] in ≪K-teacher’s manual book≫.

      • KCI등재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 분석 -누리과정과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장혜원,이화영,임미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연계가 미흡한 내용에 대한 연계성 확보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누리과정 내에서 ‘수학적 탐구하기’의 위상을 고찰하고, 수학적 내용 측면에서 내용 영역의 범주 및 3~5세 누리과정의 수학적 탐구하기의 세부 내용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1~2학년군 성취기준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각 내용 영역에서 역연계 및 비연계 요소가 파악되었으며, 그에 따른 논의로부터 유치원 교육과정과 초등수학 교육과정의 내용 연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for securing continuity of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and kindergarten curriculum. To do this, we considered the status of ‘mathematical exploration’ in Nuri curriculum and analysed the correspondence of content-domains and the continuity between Nuri curriculum for ages three to five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based on th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The result of these analyses reveals that the classification of five content-domains both for ‘mathematical exploration’ of Nuri curriculum and for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coincides. We also recognized th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which are considered as reverse continuity or as discontinuity of Nuri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all the five content domains. The former means being lower in levels or reduction in ranges from Nuri curriculum to elementary one. The latter means that some reconstructed achievement criteria are included in only one of the two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everal ways to secure the continuity between Nuri curriculum and 2009 revised national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 분석: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조성민,박지현,최인선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3

        New Zealand had reformed their national curriculum with competence and are applying the revised curriculum. As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clothed with competency-based curriculum, New Zealand ma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Korean revised curriculum. In this study, we examine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in New Zealand. In addition, we analyze the standards into the New Zealand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curriculum connectivity’ that is one of important curriculum criteri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is, we look an overview of the relation between the New Zealand curriculum and NCEA, which is the core of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 system in New Zealand, and analyze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New Zealand curriculum and the Korean curriculum. And we establish analysis framework of curriculum connectivity based on these comparison analysis contents, and analyze Korean mathematics standards with corresponding levels from among the New Zealand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ew Zealand curriculum includes the most of standards whic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 to enter university of natural sciences of engineering need to require. In addition, the New Zealand curriculum highlights statistical research activities for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real life. From perspective of curriculum connectivity, ‘in-depth contents’ adding on to repeating mathematical concepts or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New Zealand curriculum.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함에 따라 역량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혁하고 이를 실천에 옮긴 뉴질랜드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뉴질랜드 교육 체제 및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연계성의 관점에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질랜드 교육 체제 및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펴보고, 뉴질랜드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각 교과에서 진행된 연계성 분석틀을 바탕으로 연계성 분석 기준을 설정하고 뉴질랜드의 교육과정 중 우리나라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준의 성취목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뉴질랜드 수학과 교육과정은 우리나라에서 이공계열로 진학하려는 학생들이 이수하는 과목의 학습내용 성취수준을 대부분 포함하고 있고, 실세계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통계적 탐구 활동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계성 측면에서는 수준이 올라감에 따라 다루는 개념 또는 내용의 범위가 넓어지거나 수준이 높아지는 ‘심화’의 형태를 띠는 경우가 많았다.

      • KCI등재

        유초 연계성 측면에서의 미국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 분석

        김경철,성영실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3

        본 연구는 유초 연계성 측면에서 미국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유아교육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시 구체적인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미국 메릴랜드 주 몽고메리 카운티의 교육과정인 Curriculum 2.0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인 ‘초등통합 교육과정(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amework)’의 각 영역별 구성과 세부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교육과정 내용 연계성 분석 준거는 타일러(Tyler)의 교육내용 조직원리인 계속성, 계열성, 통합성을 사용하였다. 세 가지 준거를 기초로 하여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이 어떻게 실제적으로 연계를 이루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 메릴랜드 주의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은 다양한 측면에서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첫째, 미국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 내용은 학년 수준이 올라가면서 동일한 교육내용 요소들이 지속적으로 제시되는 계속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둘째, 교육과정 내용이 동일한 교육 내용이 점차적으로 심화되고 확장됨으로써 학습자의 지속적인 성장발달을 도모하는 계열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교육과정 내용이 다른 영역이나 활동 간에 교육과정 요소들을 통합하며 수평적으로 연결시키는 통합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와 같은 교육과정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우리나라의 누리과정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 방안으로, 다양하고 체계적인 연구결과를 반영한 교육과정 구성, 교육과정 개정 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공동개발 협의회 구성, 유아·초등 교사들의 활발한 교류 확대를 위해 다양한 연수 및 장학 프로그램 등 적극적인 의사소통과 교육의 기회제공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articu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curriculum articul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then offer the implication and fundamental data for curriculum articulation when revisi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 in South Korea. For this research, ‘Elementary Integrated Curriculum Framework’ in Montgomery County Public Schools in Marylan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was analysed by the principles of contents organization in curriculum of Tyler: continuity, sequence, and integr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research are as followings. First, the conten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 show continuity. The contents of both curriculums are emphasized although grade-level has changed. Second, the conten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 show sequence. The contents of two curriculum are deepen and expand by grade-level goes up. Both curriculums enhance continuous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the school. Third, the contents of kindergarten and elementary curriculum show integration. The contents domains of two curriculums are connected and integrated horizont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meaningful improvement ways for curriculum articulation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re suggested.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이혜은(Lee Hae E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하여 유아수학 능력에 대한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수학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고 선행 유아수학능력평가도구를 고찰하여 평가도구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수학교육과정의 연계성에 기초한 평가도구는 첫째, 초등학교 입학 전후 시기인 만 5, 6세 유아의 수학능력을 개별 진단 및 집단별 발달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둘째, 평가의 내용영역은 두 교육과정의 공통된 교육내용 및 유아수학교육의 최근 동향을 고려하여 규칙성, 수연산, 공간ㆍ도형, 측정, 통계영역으로 한다. 셋째, 평가방법은 유아의 과제수행물을 통하여 각 수학내용영역별 질적, 양적 준거에 따라 개인내, 개인간 비교가 가능하도록 하며 교육과정 운영에서 실시하기 용이해야 한다. 넷째, 유치원 수학교육과정의 총괄 및 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아의 성취도를 평가한 결과는 두 기관의 수학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imed to review and to suggest in developing a valid and reliable assessing tools that is based on continuity of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I compared the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nalyzed the mathematical evaluating instruments for young children and then suggested several guidlines to develop new assessing tools. The research content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assessing tools based on a continuity of mathematical curriculums between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an find adequacy of the mathematical development of 5-6 year-old-children. Second, the tools of content can be consisted of regulation, number sense, space and shape, measurement and statistics. Third, the tools can be performed as individual or as group with simple materials such as worksheets Forth, evaluating criteria with qualitative category and quantitative scoring helps a valid and reliable assess Fifth, a result of the tools should be applied to reconstruct a mathematical curriculum.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의 초⋅중등 ‘가정생활’ 분야의 연계성 및 중복성 분석

        윤지현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22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are connected and overlapped in the ‘family life’ area of Practical Arts(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s. The procedure and results are as were like below. First, the types of criteria for analyzing curriculum contents are developed. The connectivity are classified as ‘discontinuous hierarchy’ and ‘spiral hierarchy’ and duplication are classified as ‘repetition (high level of overlapping)’, ‘reproducing’, ‘deepening (intermediate level of overlapping)’, ‘substitution’, and ‘omission (low level of overlapp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the ‘Human Development’ area showed higher connectivity with a deepening type of duplication. The ‘Safety’ and the ‘Lifelong Planning’ concepts showed lower connectivity.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Curriculum, the secondary Home Economics curriculum showed a considerable increase in the level of difficulty and the volume compared to the elementary curriculum. There was low connectivity between the content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in the core concepts ‘Safety’ and ‘Lifelong Planning’, an intermediate level of connectivity in ‘Life Culture’ and ‘Management’, and high connectivity in ‘Development’ and ‘Relationship’. Also, there was a high level of duplication in the core concepts ‘Safety’ and ‘Lifelong Planning’, being classified as ‘reproducing’, ‘substitution’, and ‘omission’, analyzed to have low connectivity. When structuring the curriculum contents with a spiral hierarchy, one should connect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ontents organically: the hierarchy with core concepts considering the different characters of constructuring knowledge in each school level, with a moderate volume, with a moderate difficulty level, with a moderate level of duplication of the contents, and with the minimum level of repetition of the same topics within the same school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분석을 위한 연계성 및 중복성의 준거유형을 개발하여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의 초등 및 중등의‘가정생활’ 분야의 내용 연계성 및 중복성을 분석함으로써 차기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교육과정구조화의 원리가 초·중등에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연계성과 중복성을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내용 체계화 구조를 분석하기 위한 연계성과 중복성의 준거 유형들을 개발하였다. 연계성은 ‘분절된 위계형’과‘나선의 위계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중복성은 ‘반복형’(상), ‘재현형’과 ‘심화형’(중간), ‘치환형’과 ‘생략형’(하) 등으로 구분할수 있는데 중간 정도의 중복성을 보일 경우 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중·고 내용을 비교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에서 심화형 중복성을 나타내어 높은 연계성을 보이며, ‘가정생활과안전’에서는 ‘안전’ 개념이, ‘자원관리와 자립’에서는 ‘생애설계’ 개념에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초등에 비해 중등의 ‘가정’ 내용은 난이도와 교과 내용의 양의 증가폭이 매우 큰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심화형 중복성을 보이며 연계성이 높아 체계적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으나 ‘가정생활’ 분야의핵심 개념 가운데 ‘안전’과 ‘생애설계’는 학교급 간의 연계성이 낮은 편이었고 ‘생활문화’와 ‘관리’는 중간 정도의 연계성을보이며 ‘발달’과 ‘관계’는 높은 연계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나선형 교육과정으로 교과의 내용을 구조화 할 때는 초등과 중등의 내용을 유기적으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실과와 기술·가정 각각의 학교급별 교과 지식체계를 구성하는 특성들을 고려한 핵심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해야 하고, 적정한분량 및 난이도를 고려해야 하며, 적정한 내용 중복의 정도를 고려해야 하고, 동일 학교급 내에서 동일 주제의 반복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