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ECD PISA의 의도와 실제 간 차이 탐색: 교육과정 개혁에 대한 권력 효과를 중심으로

        김종훈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2

        The present study aims to explore the differences between what the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originally intended through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and how it was actually implemented, as well as to see what these differences originate from. The OECD emphasizes that key competencies and PISA as a comparative tool for measuring competencies are products of consensus among various actors and countries, and it was their original intention to provide scientific and objective data to each participating country through PISA, thereby helping them to reform education systems. However, contrary to this intention, national and/or regional curricula around the world have converged to focus on key competences, and the OECD’s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exerts an excessive influence on national education. The OECD intervention in national education has paradoxically resulted in the centralization of authority over education reform at a national level.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discourse of education reform led by the OECD should be referenced in a way that is appropriate to the context of each country rather than as an absolute standard. 이 글은 글로벌 교육개혁에 대한 OECD의 의도와 그것이 국가 교육 차원에서 실제로 구현된 양상 간의 차이를 탐색하고, 이러한 차이가 무엇으로부터 기인했는가를 살피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OECD는 핵심 역량과 PISA가 다양한 주체 간 합의의 산물임을 강조하고, PISA를 통해 각 참여국에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이로써 각국의 교육개혁을 위해 도움을 주는 것이 그들의 본래 의도임을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의도와 달리, PISA가 시행됨에 따라 역량을 중심으로 세계 여러 나라의 교육과정이 수렴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OECD는 국가 교육에 과도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국가 교육에 대한 OECD의 간섭과 개입은 역설적으로 교육개혁에 대한 권한과 책무를 각국의 정부에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이 글은 OECD의 의도와 국가 교육과 관련하여 실제로 구현되는 양상 간 발생하는 차이를 평가 도구에 내포된 ‘권력 효과’의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이 글은 OECD가 주도해 온 교육개혁의 담론을 절대적인 기준이나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기보다, 각국의 상황과 맥락에 맞는 방식으로 받아들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5.31 교육개혁방안 중 ‘교육재정 GNP 5% 확보’의 성과와 과제

        송기창(Song, Ki Cha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5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4 No.4

        이 연구는 5.31교육개혁안의 일환으로 교육개혁위원회가 발표했던 교육재정 GNP 5% 확보방안의 성과를 평가한 후, 교육재정의 과제를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정부의 교육재정 관련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관련 선행연구와 각종 법령정 보를 고찰하였다. 교육재정 GNP 5% 확보를 위하여 1995년말에 「교육세법」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법」을 개정하였고, 1995년말에 「학교용지확보에 관한 특례법」과 「교육환경개선특별회 계법」을 제정하였으며, 1996년 4월에 「시 · 군 및 자치구의 교육경비보조에 관한 규정」 을 제정하였다. 목표연도인 1998년까지 3년 동안 62조 3,954억원을 확보할 계획이었으 나, 실제로 확보한 재원은 56조 6,425억원으로 계획 대비 90.8%였으며, 1998년 GNP 대비 교육재정의 비율은 4.3%였다. 1998년까지 교육재정을 GNP 5% 수준까지 확보하는 데는 실패했다 하더라도 교육 재정 GNP 5% 확보방안의 일환으로 입법되었던 교육재정 관련법령이 1999년 이후에 도 지속되었고, 국민의 정부의 교육재정 GNP 6% 확보방안과 맞물려서 교육재정 확 충을 견인하는 밑바탕이 되었다. 그러나 지방교육채 발행을 통한 재원조정 관행의 고 착화, 지방교육재정 확보 책임의 전가 구조화, 지방교육자치와 일반지방자치의 통합 촉진, 지방교육재정구조의 복잡화와 재원의 불안정화, 교육재정 확충 논리의 실종 등 교육재정 GNP 5% 확보방안의 부정적 결과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evaluate the outcomes on ‘the Measure for Increasing Educational Budget to 5% of GNP’(hereinafter, "GNP 5% Measure") of 「5.31 Education Reform Program」, and to present tasks to improve the educational finance system. To accomplish these purposes, the government statistics of educational finance, earlier studies, and information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were analyzed. In 1995, the Government and the Assembly amended the Local Education Finance Subsidy Law and Education Tax Law, and enacted the Law on the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rocurement, Etc. of School Sites and the Law on Special Account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to five percent of GNP. In 1996, the Government amended Regulations on the Financial Support of Counties and Cities for the Schools’ Expenses. As a result, the Government planned to secure the educational budget of 6,239.54 billion won, but actually secured educational budget was 5,664.25 billion won, that is 4.3% of GNP, from 1996 to 1998. The government did not accomplish to increase the educational Budget to 5% of GNP in 1998, but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for GNP 5% Measure contributed to raise the educational budget increase since 1999. In spite of many outcomes of GNP 5% Measure, the tasks to reduce negative any outcomes of GNP 5% Measure are as follows: the habitual practices to cover revenue shortfall by issuing local education bond, the structure to shift responsibility of securing local education budget upon local government, the trend to go ahead with a plan to merge local educational autonomy system and local autonomy system, the more complicated structure to secure the local education budget, the unstable change of revenue source of local education budget, and the absence of the logic to secure the more educational budget.

      • KCI등재

        몽골 정부의 최근 교육개혁 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안 : 「수업혁신 핵심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바옌사이칸 바아산쿠(Baasankhuu Bayansaikha),남수경(Soo kyong Nam) 한국비교교육학회 2017 比較敎育硏究 Vol.27 No.6

        이 연구는 몽골 정부가 2014년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수업혁신 핵심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육개혁정책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향후 개선 방안을 찾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울란바토르 소재 6개 학교의 교사(최종 분석 291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교사들은 ‘핵심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도 및 만족도, 자신감은 높았으나, 프로그램의 운영 과정 및 평가 부분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핵심프로그램’의 성공적 시행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교육재정과 좋은 환경 및 시설을 선택하였다. 셋째, 교사의 개인배경이나 학교 특성에 따라서 ‘핵심프로그램’에 대한 동의 정도와 운영에 대한 평가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적 개선점으로 학교 환경 및 시설에 대한 우선적 개선, 저경력교사에 대한 교사 연수와 집중훈련의 강화, 학생평가에 대한 이차평가시 교사의 자율성과 전문성 보장 노력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Mongolian Core Education Programs(Core Program)’ to be opera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order to attain the purpose, we surveyed 291 teachers from 6 school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fully to develop each child as goal of ‘Core Program’ and agreed to proceed continuously with improvement.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operational processes and evaluation system of ‘Core Program’. Second, teachers chose educational finance, good environment and facilities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Core Program.’ Third, depending on the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or school characteristics, they recognized differently in the degree of consent and operation of ‘Core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first of all we suggest to improve the school environment and facilities, to enhanc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focusing on the low-term teachers, and to enlarge the autonomy and expertise of teachers in secondary assessment system.

      • 교육개혁에 부응하는 과학영재 교육센타 육성 방안 연구

        허형,이군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997 정책연구 Vol.- No.-

        Paul Kennedy(1989)는 ‘강대국의 흥망(Rise and fall of great powers) ’ 에서 국가가 흥하고 망하는 기준을 영토, 인구, 생산력, 그리고 군사력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이 기준을 가지고 15세기부터 20세기에 이르기까지 강대국들의 흥망을 자세하게 분석하고 미국의 국가정책 수립에 중요한 제언을 하였다. 그러나 하버드 대학의 정치학 교수 Joseph Nye (1991) 는 ‘Bound to lead : The changing nature of American power` 에 서 21세 기의 국가 흥망의 기준은 Kennedy가 제시했던 것과 같은 hardware적인 힘이 아니라 정치제도의 형태, 첨단과학기술 수준, 그리고 교육의 질과 같은 software적인 힘이라고 하였다. 그는 이러한 software적인 힘의 수준에 따라서 강대국의 흥망성쇠가 결정되는 것이라고 하며, Paul Kennedy의 입장을 비판하였다.이러한 Joseph Nye 교수의 이론은 많은 발전론자들의 공감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우리 나라는 약 5천년의 역사에서 이제 문민정부의 탄생과 함께 자유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정치제도를 실현해 나가기 시작했고, 1993년 6월에 실시된 금융실명제를 통하여 투명한 자유시장 경제체재를 발전시켜 나가고 있다고 하겠다. 따라서 우리가 앞으로 더욱 발전시켜야 할 부분은 첨단 과학기술과 교육의 질을 향상하는 일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더군다나 21세기의 사회의 발전이 과학기술에 의해 주도된다는 점을 인식한다면 우리나라가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룩하지 않고는 선진국 대열에 들어설 수 없음은 너무나도 자명한 사실이다.그러나 21세기를 눈앞에 둔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과학교육, 특히 과학영재교육은 선진 외국에 비하여 상당히 낙후되어 있으며, 이로인해 뛰어난 과학영재의 발굴과 양성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고 하겠다.특히 한 나라의 과학기술의 수준이 뛰어난 과학영재들의 존재 여부에 달려 있으며, 이들을 제대로 발굴하여 양성해 내는 것이 국가와 인류를 위한 중요한 책무임을 인식한다면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이러한 체계적인 과학영재 교육시스댐의 구축에 대한 요구는 다음의 4가지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첫째, 교육의 본질적인 측면에서의 요구이다.교육의 본질적 측면에서 참다운 교육이란 교육활동의 최종 수혜자인 학생 각자의 재능을 발굴하여 그것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분야에서 능력이 뒤처지는 학생은 보다 쉬운 수준의 교재와 자료를 투입하여 학생의 이해를 돕게 하고, 보다 능력이 뛰어난 학생은 고도의 수준 높은 창의적 사고활동을 할 수 있는 여러가지 자료와 활동을 제공하여 그 분야에서의 재능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교육활동이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그러나 현재의 교육제도는 학생 개개인의 다양성과 능력을 조장하는데 다소의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뛰어난 창의성과 탐구능력을 지닌 과학영재를 발굴 육성해 내는 데에는 어느 정도의 한계를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그렇다고 해서 이 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체적인 교육체계를 전면 수정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사회적 혼란을 고려해 볼 때 불가능하리라 여겨진다.따라서 교육체계의 전면적인 수정과 혁신보다는 현재의 교육체계를 보완해 줄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시스템을 교육체계 개혁의 발판으로 삼는것이 보다 타당하리라 여겨진다. 이러한 변에서 볼 때 과학영재를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것은 교육의 본질적 측면을 조장하고 교육의 효파성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여져질 것이다.둘째, 국가발전의 필요의 측면에서의 요구이다.다가올 21세기의 미래사회가 정치적·경제적으로 급속히 개방화·세계화 되는 동시에 급격한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사회의 정보화를 가속화 시킬 것이며 이는 국가간, 지역간, 그리고 기업간의 경쟁체제를 급진전시킬 것이다. 이처럼 격화되고 있는 국제경쟁사회에서 변화의 물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세계변혁의 시대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확보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특히 국제경쟁사회에서의 주도권 확보는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선진화를 요구하지만, 과학기술이 사회문화의 밑바탕이 된다는 점을 인식해보면 과학기술분야에서의-발전이 국가의 경제·사회 발전의 초석이 된다는 것은 너무도 명확하다.셋째, 과학기술 교육의 선진화에 대한 요구이다.현재 한국에서의 과학영재교육은 일반학교에서 과학 우수아들을 위한 특별프로그램과 과학고등학교에서의 과학영재교육, 그리고 과학교육원에서의 영재교육으로 크게 대별될 수 있다.특히 이 중에서도 과학고등학교는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들어갈 수 있는 선진국 수준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하여 13년 전에 설립한 과학영재를 위한 특별 교육기관으로서 과학영재교육의 대표주자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처럼 순수한 과학교육을 위하여 설립한 과학고등학교 마저도 오늘날 과학교육의 본질적 활동인 탐구활동보다는 명문대학 입학을 위한 입시준비에 급급한 상태에 있으며, 일반 초·중·고등학교에서의 특별 과학영재 교육프로그램도 거의 유명 무실화 되고있다.이와같은 과학영재의 발굴과 교육에 대한 국가적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의 과학교육은 제자리를 잡을 수 없고 따라서 선진국 수준의 첨단과학기술의 발전은 기대하기 어려운 것이다.이러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학부설 영재교육센타의 설립을 통해 대학과 과학고등학교, 일반 초·중·고등학교, 그리고 과학교육원의 유기적 연결고리를 형성하여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 시스템을 구축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넷째, 현실적인 연구의 필요측면에서의 요구이다.지난 1995년 5월 31 일에 발표된 교육개혁 조치에 의하여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의 설립 및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새로운 과학영재 교육의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계기가 형성되었다. 이로인해 권역별 특수과학고등학교의 발전과 함께 전국 각 권역에 과학영재교육센타를 설립함으로써 각 권역의 과학영재들에게 체계적이고도 진정한 의미의 과학영재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상에서 살펴본 체계적인 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요구는 과학교육의 수월성을 추구하는 통합적인 과학영재교육체제의 개발을 유도하고 있다고 하겠다.이 연구의 주목적은 전국 각 지역에 설립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터의 모형을 마련하는데 었다. 이 모형은 앞으로 우리나라 각 권역에서 과학영재교육센터를 설립하고 운영하며 감독하는 모든 지침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동시에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운영 개선 방안도 제시될 것이며, 앞으로 설립된 대학부설 권역별 과학영재교육센타와 과학고등학교 및 과학교육원의 유기적인 관계를 정립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 사례 고찰 - 역량기반 (competency-based)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소경희(So Kyunghee),이상은(Lee Sangeun),박정열(Park Jungyeol) 한국비교교육학회 2007 比較敎育硏究 Vol.17 No.4

          이 글의 직접적인 목적은 캐나다 퀘벡주의 교육과정을 검토하는 데 있다. 퀘벡주는 최근의 교육과정 개혁을 통해 오랫동안 유지해 오던 교육과정을 ‘역량기반’이라는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새롭게 구조화했다.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기반 접근’은 학교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지식을 전달하는 관점이 아니라 학생들의 역량 개발에 초점을 두는 것으로, 최근의 사회변화에 맞물려 주목받고 있는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역량기반 접근이라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어떠한 모양새를 띨 것인지에 대해서는 그동안 활발한 논의나 탐색이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 점에서 퀘벡주의 역량기반 접근에 의거한 새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역량기반 접근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by reviewing recently reformed curriculum of Quebec in Canada. Recently, through the curriculum reform, Quebec newly organized the curriculum structure that had been maintained for a long time. The new curriculum is characterized by its competency-based approach. Competency-based approach to curriculum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competencies rather than the transmission of knowledge. Because of recent societal changes, competency-based approach has drawn great attentions. However, almost few studies have attempted to address how competency-based approach can be concretely actualized, and how it can be applied to curriculum design. The new curriculum in Quebec could be appropriate for examining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This study examines the general context of curriculum reform in Quebec, and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Quebec competency-based curriculum by analyzing the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This study ends with discussion about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ompetency-based approach in reference to school curriculum.

      • KCI우수등재

        비교교육의 관점에서 살펴본 한국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특징과 과제: 초ㆍ중등교육을 중심으로

        이상은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1

        Recently, 'key competencies' have been regarded as a key word for new educational reform in 21st century. Many countries in OECD, EU have bee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policies based on key competencies in their education system. Korea is no exception.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published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dopted key competencies explicitly. In addition, the goal of Free Learning Program which has been implemented as a key educational policy toward school innovation in this government is to achieve key competencies. In this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educational reform for key competencies in Korea from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perspective.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ly I explored the trends of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global context by analyzing the results conduc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OECD, EU and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 in US. Next, I analyzed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in Korea focusing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Free Learning Program. Lastly I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llenges of key competencies education in Korea focusing on four dimensions; curriculum and instruction, assessment,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school organiz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핵심역량 교육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이 갖는 특징과 과제를 탐색해 보는 데 있다. 이 글의 주된 연구방법은 문서 분석이다. 국내외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동향을 분석하기 위해 이와 관련된 문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EU, OECD 등 국제적 수준에서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교육의 동향을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 '교사 전문성', '학교조직 재구조화'의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최근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의 현황을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자유학기제 등의 주요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한국의 핵심역량 교육정책이 갖는 특징과 과제를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은 외국의 사례와 유사하게 핵심역량 교육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을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개혁하고 학생 참여형 수업을 강화하는 흐름을 보였다. 평가 정책 또한 과정중심 평가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제적 동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에서 핵심역량을 반영하는 방식, 국가 교육과정 상에서 핵심역량 평가에 대한 접근 방식, 특히 자유학기제를 통한 평가 방식의 변화와 관련하여서는 한국적 맥락의 독특한 특징을 보였다. 교사 전문성과 관련하여서는 외국 사례들과 마찬가지로 현직 교사교육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그 초점이 수업 및 평가 방법 개선이라는 당면 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교사의 역할에 대한 근본적인 반성까지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조직 재구조화 측면에서는 자유학기제나 진로교육 정책을 통해 학교 내부의 구성원들 간의 협력 및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를 적극적으로 실행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제한된 기간 동안 특수한 정책 사례라고 이해될 가능성을 안고 있었다.

      • KCI등재

        Curriculum Reform for the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Sangeun Lee(이상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2

        이 글의 목적은 국내 중학교에서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 동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개발을 위해 국가 교육과정 수준에서 설계된 국내 중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이와 같은 교육과정 개혁으로 인해 교실 수준에서 교사들이 겪는 변화와 도전과제는 무엇인가? 셋째,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학생들은 새로운 교육과정 변화와 자신들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는가?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문서 분석 방법을 활용하였고, 세 번째 연구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지는 중학교의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혁은 먼저의도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간학문적 접근의 확대, 학습량 감축,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확 대 등의 특징을 보였다. 다음으로, 실행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수업은 학생 참여형 활동이 강조되고, 평가는 학생들의 성장 과정에 초점을 둔 과정 평가와 수행 평가의 형태가 확대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교사들 간의 학습 공동체를 활성화하며, 나아가 교사들에게 학교 밖 지역사회와의 협력을 요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은 실행 과정에서 업무량 증가, 관련 자료 부족 등과 관련하여 어려움과 불만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경험된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를 경험한 학생들이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만족도 및 자신의 핵심역량 발달 정도에 관해 긍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학생 및 학부모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도 공존하고 있었다. 결론 부분에서는 이러한 국내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변화가 ‘21세기 진보주의 교육의 부활’이라는 특징을 나타낸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topic of “key competencies” has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worldwide within the discourse on curriculum reform. Recently, in South Korea, a new form of curriculum for students’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throug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 new educational policy, “Free Semester Program” has been adop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cent trends of curriculum reform for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To analyze them, the present study used the conceptual framework of curriculum expression, which distinguishes between the intended curriculum, the implemented curriculum, and the experienced curriculum. This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nded curriculum” designed to develop students’ key competencies in Korean middle schools? (2) What are the changes and challenges faced by teachers in aspect of “implemented curriculum” intended to pursue key competencies? (3)What ar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new curriculum and their development of key competencies in terms of “experienced curriculum?” To deal with this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document analysis and reanalyzed data from a survey questionnaire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 KCI등재

        유아교육에 있어서의 프로그램 평가의 역할

        이진희 한국아동교육학회 2004 아동교육 Vol.13 No.2

        유아 프로그램의 실제를 이해하고 교육의 질을 개선하는 데 있어서 프로그램 평가는 큰 몫을 담당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유아교육 현장에서 아직 체계적으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다. 이 연구는 먼저 프로그램 평가의 역사적, 사회적 발달 배경 및 역할을 개관한 뒤 미국에서 유아 프로그램 평가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프로그램 평가가 가장 활발하고 다양하게 실시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에도, 결과 평가에 지나치게 치중하거나 각 유아 프로그램의 상환이나 특색을 반영하지 못한 채 일반화된 유아프로그램 기준을 강요함으로써 프로그램 평가의 제 기능은 충분히 살리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미국의 사례를 토대로 하여, 필자는 우리나라에서 프로그램 평가가 보다 의미 깊고 유용하게 실시될 수 있는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Program evaluation can help early childhood educators deepen their understandings about educational practices and thus improv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Korea has not taken advantages of systematic program evaluation. This article is aimed at assisting educators to better comprehend roles and uses of program evaluation in understanding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The author first reviews historic and social background of modern program evaluation in general, and moves to American practices regarding program evaluation in early childhood programs. There have been persistent concerns that American program evaluation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are under-theorized when compared to the larger field of educational evaluation, in spite of the quantity of evaluation. Reliance upon outcome-oriented evaluation and standards-based monitoring can diminish potentials of program evaluation and deprofessionalize early childhood educators. Drawing upon various advanced models of program evaluation, early childhood programs in Korea are encouraged to fully utilize benefits of program evaluation.

      • KCI등재

        IB의 국내 공교육 도입 추진 쟁점 분석

        이기명(Ki Myu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 바칼로레아(IB)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대해 개진한 내용을 분석하여 찬반 쟁점의 기준 영역과 하위범주를 드러내는 데 있다.방법 이를 위한 자료 수집 및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언론 보도 기사 270건과 학술 논문 및 연구보고서 33건, 총 303건의 원자료를 처리하고 분석하여 찬반 쟁점 개념을 도출하였다.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개념의 공통된 성질들을 묶어 하위범주로 범주화하고, 하위범주를 쟁점 기준 영역인 상위범주로 범주화하였다.결과 연구 결과, 쟁점의 기준이 될 수 있는 영역을 교육철학, 교육사회학, 교육정책학, 교육평가로 설정하였다. 각 영역에 따른 하위범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철학적 쟁점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대 IB 교육과정 실행 문제와 학생의 학습 측면, 둘째, 교육사회학적 쟁점으로는 교육격차⋅교육 불평등⋅교육 양극화 문제, 사교육 발생 문제, 셋째, 교육정책학적 쟁점으로는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자율성 및 교육 거버넌스 주권 침해 문제, 교육예산 배분의 형평성 문제, 교원 수급 문제, 넷째, 교육평가 쟁점에서는 대입제도와의 연계 문제, IB 평가 결과에 대한 공정성과 신뢰성 보장 문제이다.결론 IB의 국내 공교육 도입에 있어 쟁점 기준과 하위범주를 도출하기 위해 303건의 자료를 분석하여 쟁점 기준 영역을 4가지로 범주화하고, 각 기준 영역에 따른 하위범주별로 찬반 내용을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결론을 통해 자기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갖춘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이 절실한 불확실한 국제화 시대에 IB가 우리나라 공교육에 주는 영향력이 큼을 유념하여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함을 제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eal the criteria and subcategories of controversy arising from the adoption of IB programs in public education in Korea.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data from 270 press reports and 33 academic papers and research reports were analyz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the sociology of education, the policy of education, and the evaluation of education were derived as the criteria of the issues. Subcategories for each area are as follows: First, the issue of educational philosophy is the revised 2015 curriculum vs. IB curriculum implementation issues and the students learning aspects, second, the issue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include the educational gap, educational inequality, education polarization, and the occurrence of private education, third, the issue of educational policy is the autonomy of the curriculum operation of unit schools, the equity of allocation of education budgets, the recruitment of teachers, fourth, the issue of education evaluation is about the college entrance system and the fairness and reliability of IB evaluation results.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303 data to derive issues criteria for IB s introduction of public education in Korea and categorized 9 subcategories and 4 upper catego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ggested that IB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public education in Korea, which requires creative convergence human resources development.

      • 대학 우수학생 교육프로그램의 정의․철학․비전

        김순임(Kim, Soon-Im),박구용(Park, Goo-Yong) 국제지역연구학회 2013 국제지역학논총 Vol.6 No.1

        본 논문에서는 한국 대학의 교육프로그램이 우수한 인재 육성 및 학부교육 선진화 모델 구축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질적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여, 통섭형 인재 육성 및 대학교육 혁신을 이끄는 프로그램으로 발전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재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우수학생 교육프로그램의 개념 정의, 철학적 토대, 미래 지향적 비전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미국의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자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review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korean honors program necessary for leading to innovation of the higher education, drawing upon the perspective that a study is needed to achieve the program"s goal of establishing the advanced model in the area of undergraduate education. To this end, we have tried to define of the term, describe the philosophical ground, and suggest a future-directed vision mainly relying on the information from the institutions of the United States. After examining the american honors programs, we could define the program for the undergraduates as ‘a specific educational environment playing the pacesetting role of innovating the undergraduate education, providing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in which the participants can develop the academical and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hrough the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 led by the excellent faculty’. Moreover, we described the philosophy of the program as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open to any critical challenge and new change in order to build the reform model for interdisciplinary, innovative, heuristic undergraduate education through the new perspective with respect to the creation of knowledge, the desirable change by the experienced learning, and the appropriate method of the questioning’. Finally, we tried to suggest a temporary vision of the program for the departmental level. The definition, philosophy, and vision formulated in the writing for the korean honors program need to revise for the specific use at the korean universities in which the mission, goals, objectives, or the intended learning outcomes are different respectively. In addition, it is also demanded to develop the program assessment system which can monitor and improve the program"s function. Last but not least, it is cruci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voices of the members and the cultural factors in the process of making decision and implementing the relevant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