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와 대학생의핵심역량 간의 연계성 분석: D 대학을 중심으로

        김경희,이순화,김보성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3 상담심리교육복지 Vol.10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liberalarts education based on core competencies set for each university and perceived learningperformance level are related to the core competency level(correlation, regression, and IPA). Tothis end, students at D university were asked to respond using DEU liberal arts education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questions and the DEU-CCDS(core competency scale). As a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except for 'democraticcommun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satisfaction and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education significantly explained all core competencies exceptfor ‘democratic communication’. 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IPA analysis, the corecompetency components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the areas of maintenance reinforcement(5), continuity maintenance(1), and progressimprovement(1). In addition, the core competency components related to the learning outcomesof educ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areas of maintenance reinforcement(5), continuitymaintenance(1), progressive improvement(3), and focus improvement(1). This is significant inthat the quality level of liberal arts education was confirmed through the satisfaction and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core competencycomponents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examined. 본 연구는 대학에서 설정한 핵심역량 기반 교양교육에 대해 대학생이 얼마나 만족하는지의 정도와 자신이 지각한 학습성과 수준이 이들의 핵심역량 수준과 연계된 정도를 상관, 회귀 및 IPA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 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DEU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 문항과 DEU-CCDS(핵심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응답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민주적의사소통’핵심역량 구성요소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교양교육의 만족도및 학습성과가 ‘민주적의사소통’을 제외한 모든 핵심역량을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IPA 분석 결과, 교양교육의 만족도와 관련된 핵심역량 구성요소들은 유지강화(5개), 지속유지(1개) 및 점진개선(4개) 영역에 분포하였으며, 교양교육의 학습성과와 관련된 핵심역량 구성요소들은 유지강화(5개), 지속유지(1개), 점진개선(3개) 및 중점개선(1개) 영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양교육의 만족도 및 학습성과를 통해 교양교육의 질적 수준을 확인함과 동시에 교양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핵심역량 구성요소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의 인식, 만족도 및 학습 성과로서의 학습역량 측정

        김남희,정미애 한국교양교육학회 2018 교양교육연구 Vol.12 No.6

        This study explored 704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of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teaching and a variety of methods used by instructors of general education was positive. Second, students’ high-order competencies showed lower than the other competencies. The competence of cooperation with others was high while the perceptions on the learning outcomes of competence of mathematical problem analysis, usage of the perceptions IT resources, globalization, and employment were low. Third, the overall satisfaction on general education was medium. Third, compared with the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the levels of all the factors in this current study were higher. Based on the finding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improve general education we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to do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 variety of 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s on assignments and tasks should be provided. Third, courses for improving competences of high-order problem solving, and usage of IT resources need to be offered. In addition, since the quality of teaching and students’ interaction with instructors highly affected the satisfaction of general education, boost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providing efficient methods for explaining course contents, and supporting adequate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considered for better quality of general education. 본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 과정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 및 만족도, 학습성과에 대해 조사하여 대학 교양교육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총 704명의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 석,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교양수업 담당 교수들이 다양한 수업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강의 의 질에 대한 인식도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고차원 능력의 강조에 대한 인식은 다른 지표 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학생들은 교양교육을 통해 팀원으로 활동하는 능력이 배 양되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능력에 기여하였다고 인식하는 정 도가 뒤를 이었다. 반면, 수리적 문제 분석, IT자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대한 교양교육의 학습 성과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교양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보통 정도를 보여주었다. 셋째,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지표에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상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교양 교육과정, 학습활동, 학습 성과 및 교육만족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 중에서 교육만족도와 교육과정 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교양교육과정 운영 개선에 대해 몇 가지 점들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첫째, 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을 통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 방식 및 활동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성적평가 방법의 다양화와 적정성 및 과제에 대한 피 드백 제공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은 자신의 수리적 문제 분석 능력, IT자 원 활용 능력 및 국제화 역량, 그리고 취업역량 배양에 교양교육의 기여정도가 많지 않다고 인식하 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의 개설 및 개발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아 울러, 교수의 강의의 질 및 교수와의 교류가 학생들의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 로 나타났으므로 교수자는 학생들의 학습동기 유발, 강의 내용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 적절하고 충분한 학습 자료의 제공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수업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 KCI등재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상현(Baek Sangh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대학생의 교양과목 수강현황 분석과 교양교육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 9차년도(2014)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4년제 대학 재학중인 1,66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교양과목은 기초교육, 심화교양교육,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의 4대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과목의 일반적인 수강 현황을 살펴본 결과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 영역의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이 기초교육영역과 심화교양교육영역의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교육영역의 경우 한국어 및 영어 등의 주요국가 의사소통교육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의 비율이 높은 반면, 기타외국어 의사소통 교육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한 학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학년, 전공형태, 전공계열, 대학소재지, 대학 설립유형에 따라 교양과목 수강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양교육은 학습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교양지식 발달에는 기초교육, 심화교양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고차적 사고능력발달에는 도구적 실용지식 교육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대인관계능력 발달에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융복합능력 발달에는 심화교양교육, 비학술적 체험교육, 도구적 실용지식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liberal education improves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students. To that end, this study used the 9th year data of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applied a taxonomy that divides universities curriculum of liberal and general education into following four areas; basic general education, in-depth general education,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and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Firs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and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was lower than that of basic general education and in-depth general education. In basic general educ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was high while that of other foreign languages communication skills. Seco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els of liber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genders, grade, major, major type, location of university, type of university. Third, the four variables of lib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students. Instrumental/practical knowledge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learning outcomes. Basic gen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knowledge of liberal education, high levels of critical thinking, and in-depth gener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knowledge of liberal education, creative and integrated competencies. Non-academic experiential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competencies, creative and integrated competencies.

      • KCI등재후보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 성취를 위한 대학 교양교육과정 체제 연구

        신행자 한국교양교육학회 2013 교양교육연구 Vol.7 No.5

        A de-standardiz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being accelerated in domestic colleges and universities such as the three-year bachelor's degree, five years of Bachelor-Master as linked courses. Als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is improved because undergraduate colleges, liberal arts have been introduced and need to strengthen of liberal education at the University. However, many universities try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ttempt to improve and to develop quickly, so they trend to emphasize operational aspects and to neglect the essence of liberal education itself. In this study, I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alyzed the liberal education goals and objectives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the status of those liberal education courses. I reflected the explored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to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and suggested the step to build rational and systematic curriculum. In other words, first, it should state goals and objectives of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explicitly. Second, it should organize to achieve those objectives related to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Third, it should configure contents should be learn that focused on learner-centered activities. During curriculum to build, it should explicitly state objectives for course and non-course program based on Bloom’s objectives, those objectives should match competences across such as higher order cognitive thinking skills, learner-centered learning experienc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and psychomotor skills. In addition, I proposed to run a variety of performance assessment such that discussion, observation, demonstration etc. that is reasonable assessment because of connection with its objective. It is considered that such liberal education curriculum can attain significant learning outcomes are faithful to the nature of liberal education. 빠르게 생성되는 지식들을 끊임없이 학습해야하는 평생교육의 시대가 도래하였고, 국내 대학에서는 전문대학의 3년제 학사과정, 4년제 대학의 5년 학·석사 연계과정 등 교육체제의 탈규격화가 가속되고 있다. 또한 학부대학, 교양학부 등이 도입되고, 대학의 교양교육 강화와 융·복합 교육 도입 필요성으로 교양교육과정이 개선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국내의 많은 대학들은 교양교육과정을 조속히 개선·발전시키려고 하려다 보니 운영적인 측면만 강조되어 교양교육 자체의 본질을 등한시한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사회의 교양교육의 본질을 고찰하고, 국내 대학의 교양교육 목표와 교양교육과정 현황을 분석하였다. 고찰한 대학 교양교육 본질을 반영하여 선행 연구이론을 토대로 체계적인 교양교육과정을 구축하고 그 단계를 제시하였다. 즉, 교양교육과정 목적과 목표를 명시적으로 진술하고, 그 연관성을 기술한다. 목표 달성 수단이 되는 교과목과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조직하여, 학습자 중심의 활동에 초점을 두어 학습할 내용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교양교육과정 구축시 교과목과 비교과활동 프로그램들의 학습목표는 고차의 인지적 사고력,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활동 경험을 통해 성취되는 정의적 태도와 가치, 그리고 심동적 기술들을 아우르는 본질적인 교양교육의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Bloom의 교육목표 진술법을 토대로 구체적으로 진술하도록 제언하였다. 또 그 목표와 연계된 타당한 평가를 위해 토론, 관찰, 실험·실습, 시연 등 다양한 수행평가를 실행하도록 제언하였다. 이와 같은 체제는 교양교육 본질에 충실한 의미있는 교양교육 학습성과를 성취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역량기반 교양교과목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S대 교과기반 평가(CEA) 사례를 중심으로

        강상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Competency-bas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since the turn of the 21st century’s knowledge-based society, in which both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innovation have accelerated. Changes in the era and social needs have led to inevitable shifts i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educa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a signal that shows that the function and role of education also need to be changed. Despite the criticism that it is being developed as a sort of trendy, educational discourse without sufficient reflection, competency-based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large part due to its substantive character. As a result, the methodology of how to implement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becomes important.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s the attempt to set the learner's competency development as the core value of education, design and operate the curriculum, evaluate the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based on the set competency, and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education. To be sure, there is no curriculum that does not require some improvement or modification. Improvement is based on evaluation. This is why we need to evaluate the operation of any given curriculum. Competency-based assessments in course units serve as a mechanism for continually improving the curriculum. This is why we have course embedded assessments of competencies in competency-based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a practice for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course embedded assessment. This paper is a kind of case study, which will take into account lecture design, the evaluation method, and the improvement plan (CQI) for the evaluation of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ourses. The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we introduce conceptual models for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a competency-based liberal arts curriculum, along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s improvement process based on the ADDIE model. Next, evaluation and improvement cases of competency-based courses are introduced. The case study consists of analyzing and designing the operation of the course,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and deriving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lecture. Finally, this paper concludes with recommendations.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면서 등장한 역량기반 교육은 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지식이나 정보의전수에서 기존 지식이나 정보를 활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의 배양으로 변화될 필요가있음을 보여주는 시그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양교육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기위한 조건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으며, 역량기반 교양교육의 측면에서 교과기반 평가, 즉 CEA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역량 형성을 교육의 핵심가치로 설정하여 교육과정을 설계, 운영하고, 설정된 역량에 근거하여 학생들의 성취정도를 평가하여,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에 반영하여 교육의질을 높이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핵심은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있는교과목 단위에서 관련 핵심 역량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성취하고 있는지 평가하여 그 결과를 교육과정의운영과 개선에 반영하는데 있다. 역량 기반 교육에 대한 비판도 무시할 수는 없으나 역량기반 교육은실체적 성격을 띠며 중요해지고 있다. 그렇다면 역량 기반 교육의 형식과 내용을 어떻게 채워나갈것인가 하는 방법론이 중요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기반 평가를 역량기반 교양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보고,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CEA 모델을 참고하여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수업운영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핵심역량에 기초한 교과목 학습목표 중심의 평가, 즉 CEA에 기초한역량기반 교양교육 운영 사례(practice)를 제시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역량기반 교과목운영에 기초한 개선의 사례로서 미국 공학교육인증 프로그램의 교과목 기반 역량평가 소개, 서울소재S대학에서 2017년 2학기부터 시도한 역량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사례를 중심으로 역량 기반교양 교과목 수업설계, 평가방법, 개선안 도출방안에 대한 소개, CEA 적용 교과목 담당 교수의 인식조사결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대학마다 상황이 다르므로 대학에 맞는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설계 및 운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제 하에, CEA에 기초한 역량기반 교양 교육의실행에서 중요한 요소들을 제언하는 것으로 마무리한다.

      • KCI등재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학습성과와 교양교육

        김희동(Kim, Hee-Dong),지인영(Jhee, In-Young) 한국교양교육학회 2009 교양교육연구 Vol.3 No.1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이 1999년 미국의 공학교육인증제를 국내에 도입한 이후, 기존의 공학교육의 틀과는 다른 공학교육의 교과과정과 운영방법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학교육인증제도의 도입에 따라 변화하는 공학교육의 평가요구사항과 그 평가 방법에 대해서 살펴본다. 공학교육인증제도에서의 인증기준과 교양교육과의 관련성을 설명한다. 인증기준에는 기존의 교양교육을 대체하는 전문교양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전문교양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교양교육의 개편이 필요하며 여기에 교양교육 담당 교수들과의 상호보완과 협조가 필요하다. 공학도들을 대상으로 교양교육을 제공하는 교수들이 이해하고 있어야 할 공학교육 인증제도를 소개함으로써, 교양과목 담당 교수들이 공학교육인증제의 정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도 본 논문의 목적에 포함된다. Ever since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introduced American accreditation system for engineering education to Korea in 1999, a change in the curriculum and the processing of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needed. This paper deals with how the assessment criteria and the assessment methods are changing in Engineering Education with the introduction of ABEEK accreditation system. The authorization standard in ABEEK system contains the new concept of liberal education in professions called as ‘complementary study’ in place of traditional liberal education. To make the best result of the ‘complementary study’, the existing system of liberal education has to be reformed and herewith, the mutual cooperation with the faculty in charge of the liberal education is obviously needed. Moreover, this paper provides the necessary information to faculty members teaching liberal education subjects to engineering students so that the liberal arts professors can play important roles in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by explaining that system to them.

      • KCI등재후보

        핵심역량 기반의 대학 교양교육 운영 방안 - 단국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전은화 단국대학교 교양기초교육연구소 2021 교양기초교육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양교육에 있어서 핵심역량을 어떻게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며, 환류를 통해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지에 대한 대안을 제 시하는 데 있었다. 본 연구를 위해 교양교육과정에서 어떻게 핵심역량을 설정하고 측정하는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양교육과정에 역 량 중심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 운영을 단 순히 인력 양성을 위한 사회 기능적 관점으로 볼 것이 아니라 학생의 고른 성장을 돕기 위한 적절한 교육과정, 교육방법, 그리고 교육환경적인 인프라를 총체적으로 구축한다는 측면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으로 운영하는 목 적은 학생의 측면에서는 강의실에서 배우는 것과 실제 수행 간의 간극을 좁힘으로 써 실행력을 함양하도록 돕고, 조직의 측면에서는 교육과정 운영 성과를 기반으로 정책을 세울 뿐 아니라 정책 적용의 결과로 실제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환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역량중심 교양교육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 는 교양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대학의 인재상과 교양교육대 학의 목표에 부합하는 핵심역량의 구성 비율을 설정한 후, 교과목별로 주요 핵심역 량을 매치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과정을 운영한 후에는 핵심역량의 변화 정도를 분 석하고 그 결과를 교육과정 개선을 통해 환류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향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적절한 교양교육 방법과 교수 모 형의 보급, 신뢰로운 평가 도구의 개발, 그리고 교육과정에 대해 내용 중심이 아니 라 목표와 방법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lternatives for how to reflect core competencies in curriculum of liberal arts education, analyze the effects, and improve the curriculum. For this study, previous researches on how to set and measure core competencies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rawn. Introducing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oper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not simply as a social and functional point of view for nurturing human resources, but from the aspect of overall construction of an appropriate curriculum,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infrastructure to help students grow even. The purpose of operating the curriculum centered on competencies is to help students to develop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ctual performance from personal perspectives, and not only to establish policies but also to support and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s organizational perspectives. In order to actually operate a competencycentered liberal arts curriculum effectively, there have to be defined the core competencies pursu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set the ratio of the core competencies that meet the goals of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selected the core competencies matching the subjects. After the curriculum operation, there should be analyzed the degree of improvements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returned the results through curriculum improvement. In order for the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to operate effectivel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models and reliable evaluation tools not centered on contents but focused on goals and methods for the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A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조한나,김은예 한국교양교육학회 2024 교양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 분석으로 교양교육에 대한 시사점을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소재 A 국립대학 재학생 2,042명의 설문 응답결과에대해 상관분석과 기술통계, 학생 배경특성별 학습 성과 차이 분석,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에 대해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배경특성에따른 학습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학습성과가 낮게나타났다. 또한, 예술대학 학생들이 사범대학, 인문사회과학대학, 공과대학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수업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강의계획서 영역’의 학습목표의 명확성, ‘강의내용 영역’의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강의내용 구성, ‘강의 운영 영역’의 교수자의충분한 강의 준비, 강의 진행 도중 교수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주차별 강의의충실성, 적절한 보강 실시, ‘학생평가 영역’의 수업 방법에 대한 적절한 학습 평가 방법 활용, 과제물과평가 결과에 대한 적절한 피드백 제공이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강의계획서 영역’의 학습목표 명확성은 강의 내용 이해 정도만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강의 운영영역’의 강의 진행 도중 교수자와의 활발한 의사소통,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주차별 강의의 충실성,적절한 보강실시는 지식(역량) 향상 정도만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반면, ‘강의 운영 영역’의강의 내용 변경 안내의 적절성은 부적으로 유의하게 지식(역량) 향상 정도를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양 교과목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교수자의 역할의 중요성,강의계획 수립 시 학습목표 달성을 위한 강의 내용 구성, 충분한 강의 준비, 강의 도중 학습자와 활발한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입 등 적절한 학습평가 방법 활용이 필요하며, 과제물이나 평가 방법및 피드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general education by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042 enrolled students at A NationalUniversity located in Chungnam. For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differences in learningperformance according to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learningperformance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were conduc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rom the results of analyzingthe difference in learning outcomes based on studen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we can see that the first-year students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in satisfaction than their second and third-year counterparts. Additionally, students fromthe College of Ar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compared to those from the College of Education,College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and College of Engineering. Secondly, the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learningoutcomes showed that in the “Course Syllabus Area”,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Course Content Area” theorganization of course content for achieving learning objectives, and in the “Course Operation Area,” factors such as instructors’adequate preparation, active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during lectures, adherence to the weekly course schedule outlinesin the syllabus, and appropriate supplementary sessions significantly predicted learning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dditionally, in the “Student Evaluation Area,” the use of appropriate assessment for teaching methods, as well as providingsuitable feedback on assignments and evaluation resul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learning outcomes. Furthermore, wefound that the clarity of learning objectives in the “Course Syllabus Area” only moderately predicted the understandingof course content. Additionally, factors in the “Course Operation Area” such as active communication with instructors duringlectures, adherence to the weekly course schedule, and appropriate supplementary sessions only moderate predicted knowledgeand skill improvement. However, we also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notifying the students of any changes in course contentin the “Course Operation Area”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knowledge and skill improvement. Basedon the above research findings, it is recommended that instructors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ir role in influencinglearning outcomes in general education courses. Additionally, it is crucial that instructors carefully structure course contentduring the planning phase to align with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Adequate preparation by instructors, activeengagement with students during lectures, and the implementation of strategies to enhance interaction should be prioritized. Furthermor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for teaching and providing constructive feedbackon assignments and evaluations is essential. This study also suggested deriving recommendations for assignment criteria,evaluation methods, and feedback mechanisms.

      • KCI등재

        지역대학 교양수업의 운영여건과 학습성과가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안영식,서희정 동의대학교 디그니타스교양교육연구소 2024 교양교육실천연구 Vol.8 No.특집호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대학교 교양수업의 운영여건과 학습성과가 이들의 교양교육 만족도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부산지역 D대학교의 2023학년도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에 응답한 3,157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독립변수인 운영여건은 개설환경의 양호함과 수업구성의 적절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학습성과는 교양교육을 통해 성취되길 기대하는 6개 핵심역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요인이 교양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교양수업의 운영여건과 학습성과 모두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고 있으며, 70%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두 요인 모두 교양교육 만족도를 설명하는 강력한 요소임이 확인되었다. 특히 학습성과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교양수업을 통한 핵심역량의 함양이 교양교육 만족도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classes at universities affect their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education in regional university. For this purpose, researchers used data from 3,157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2023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survey of D-university. The operating conditions,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 include the goodnes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class, and the learning outcomes consist of six core competencies that are expected to be achieved through liberal arts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both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learning outcomes of liberal arts classes have significant explanatory power, and seventy percent of them have explanatory power, confirming that both factors are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particular, the influence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is relatively high, confirming that the learning outcomes through liberal arts classes are an important factor that changes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 KCI등재

        미국 헌터 대학의 역량중심 교육과정과 평가 시스템 운영 사례 연구: 역량중심 교육과정 개발 ‧ 운영 ‧ 관리 체계 모형 개발

        최미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Hunter College has established general education considered essential for intellectual develop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as core curriculum, and defined learning outcomes for each course and area. In addition, the college provides a rubric that can evaluate the learning outcomes of the core courses to be used for evaluation and feedback. It is worth noting that Hunter College, in the institutional level, is doing its responsibilities for learning outcomes with general education. Hunter College has established a system that periodically evaluates general education and major programs, and requires departments and professors to present evidence of improving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competencies. In addition, learning outcomes and course maps are presented in the annual report on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and the results of assessments through rubrics and evidence of improvement efforts are presented. The example of Hunter College, where an institution, departments, and professors conduct assessments based on learning outcomes provides many implications for Korean universities. This study presented a systemic cycle model for developing, operating, and managing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based on the case study of Hunter College so that Korean universities can refer to it. 헌터 대학은 학부생의 지적 발전에 필수적이라고 고려하는 교양 교과목과 영역을 중핵과정으로 설정하고 과목 및 영역별 학습 성과를 규정하였다. 또한 대학 측에서는 중핵과정의 학습 성과를 평가할 수 있는 루브릭을 제공하여 평가에 활용하고 피드백 하도록 하고 있다. 헌터 대학이 대학 차원에서 교양교육을 중심에 두고 학습 성과에 대한 책무를 다하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헌터 대학은 주기적으로 교양교육과정 및 전공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확립하고, 학과와 교수들이 학생의 학습 성과 및 역량을 향상시킨 증거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학습 성과 평가 연례 보고서에 학습 성과와 과목 맵을 제시하고 루브릭을 통한 평가의 결과와 개선노력의 근거를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대학과 학과와 교수들이 학습 성과 중심의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헌터 대학의 사례는 한국 대학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2020년 1월부터 8월까지 자료수집 및 3차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헌터 대학의 사례를 분석하고 한국의 대학이 참고할 수 있는 역량 중심 교육과정의 개발 ‧ 운영 ‧ 관리 체계 순환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