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의 교수학습 개발에 대한 요구분석 연구 II : 동국대학교 학생들의 요구분석을 중심으로

        박명희,김성훈,박명숙,박종호,이성림,이중권 동국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교육문제연구 Vol.17 No.-

        본연구의 목적은 1차 연구인 교수의 교수학습 관련 요구도 조사에 이어 학생들의 교수학습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여 교수들의 요구도와 학생들의 요구의 차이를 파악하고 대학 교육의 질 관리를 위한 교수학습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학습여건에 대해 시설, 설비, 교육기자재에 대한 개선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고 교수의 교수법 개선에 대한 요구가 다음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담당과목 교수님의 강의에 대한 열의가 개선되어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은 전체 조사대상 학생의 약 76.9%에 이르고 학생들이 좋은 과목으로 언급한 과목 유형은 교양보다 전공과목에서, 수강학생수는 30명 이내의 소규모 수업에서 보다 많이 나타났다. 학생들이 좋아하는 교수는 강의에 열정적이며 잘 가르치고 학생들과 상호작용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참여 수업-토론중심, 발표중심, 프로젝트 중심, 실험실습 중심 수업-에 대한 공통적인 만족 사항은 참여를 함으로써 학습 내용에 대한 흥미와 동기가 생기고 자율적으로 학습을 하게 됨으로써 학습 효과가 크다는 점이다. 실험실습 수업은 “많이 했으면 좋겠다”는 의견이 다수 제시되고 있어서 학생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업방식으로 나타났다. 교수와 학생들 사이에 교수방법에 대한 요구에서 일치하는 부분과 불일치하는 부분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교수들은 강의식 이외의 수업-토론식, 발표중심, 프로젝트중심 수업-에 대해 효과적이라고 평가한 것에 비해 이러한 수업 방식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높지 않고 오히려 강의식과 실험실습 수업에 대해 만족도가 다소 높게 나타나서 수업효과에 대해 학생과 교수 사이에 인식 차이가 발견되었다 Related to the previous study on the demands of professor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demands on the part of the students in matters of professor teaching and learning to find the differences in demands and to serve as basic data of future teaching methods for course quality management.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facilities and education equipment wer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demand for better teaching methods incorporated by the professors. About 76.9% of the surveyed students said that the enthusiasm on the part of their professor was lacking, and the courses that the students found satisfactory were mostly major courses rather than distribution courses, and were mostly small scale classes with less than 30 students. The students also said that they favored professors who were enthusiastic and qualified for teaching, as well as those who had more interaction with the students. The common satisfaction for student participation classes - discussion, research, project, or experiment and practical training oriented - was in the fact that participation encouraged interest and motive on the part of the student, and that a more liberal learning environment lead to higher learning effectiveness. A lot of students said that they would “like to have more” experiment and practical training courses, making this the most favored class method. We could see some common and some different demands for teaching methods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In other words, the professors thought that teaching methods other than lectures - discussion, research, project oriented classes - were more effective, while the students were not as pleased with these forms of classes, but more approving of lecture or practical training clas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ir perception of effective course teaching methods.

      • KCI등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 Choi Jin Ho ) 한국피아노교수법학회 2017 음악교수법연구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그동안 지속되어 온 피아노 교수학 관련 연구들의 연구유형과 주제들을 파악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현황을 밝히고 미래의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가 나아가야할 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출간되는 대부분의 논문이 포함된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논문 검색엔진인 RISS(www.riss.kr)를 통해, 그동안 한국에서 출간되어온 피아노교수법 관련 논문들의 데이터를 확보하여,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나아갈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는 한국 피아노교수법 학회의 발전과 맥을 함께하고 있었으며, 5시기로 구분된 피아노교수법학회의 역사적 흐름과 정확히 일치하는 발전 양상을 보였다. 둘째, 피아노 교수법 학회지인 ‘음악교수법연구’가 전체 한국 피아노교수법 연구논문의 73%(n=112)를 포함하고 있어, 피아노 교수법 연구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피아노교수법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62.7%(n=96)가 대학생(전문가) 및 초등학생에 집중되어 있고, 유아, 성인, 특수계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어 연구대상의 쏠림현상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76%(n=117)의 논문이 문헌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양적연구는 11%(n=18)에 그쳐, 피아노교수법 연구의 연구방법론적 다양성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thodological trend of piano pedagogy research in Korea and provide suggestions to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of Korean piano pedagogy.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used RISS (www.riss.kr), the web search-engine regulated by Korean government for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developmental stages of the Korean piano pedagogy research was the same as those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iano Pedagogy(KAPP). Secondly, the ‘Research in Music Pedagogy(RMP)’, a main journal of KAPP, was the most important journal contributing studies of Korean piano pedagogy in that 73% of piano pedagogical studies in Korea was published in RMP. Thirdly, research subjects in Korean piano pedagogy focused on college and elementary students while toddlers, adults, and special needs were very limited. Lastly, majority of Korean piano pedagogy studies were review articles(76%). Thus, studies in Korean piano pedagogy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es and subjects.

      • KCI등재

        교수와 사관생도 간의 교수역량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이정열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22 한국군사학논집 Vol.78 No.1

        대학의 교수자 즉, 교수의 주된 임무는 교육(teaching)과 연구(research) 그리고 봉사(service) 분야이다. 이러한 교수의 임무 중에서도 교육(teaching) 분야는 최근 4차 산업혁명과 학령인구 감소 등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른 ‘대학교육의 질’ 제고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교육역량의 발전과 전반적인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교수역량 평가는 반드시 필요하다. 교수역량에 대하여 피 교수자가 인식하는 평가 결과는 대학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교수가 지각하는 평가 결과는 교수활동의 개선에 환류되어 피 교수자와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육군3사관학교 교수와 사관생도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을 비교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하였다. 1단계에서는 교수역량 이론, 교수역량 측정 도구, 육군3사관학교 학위교육 제도에 관한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2단계에서는 교수 및 생도들을 대상으로 '교사 역량' 척도를 활용한 교수 역량 인식을 측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t-검정 및 분산분석 수행 결과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의 인구통계학적 요인 중 연령과 직급에 따른 교수역량 인식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사관생도의 인구통계학적 요소에서 학년, 학점, 전공에 따라 교수역량 인식의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교수와 생도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강의 준비영역, 강의 진행영역, 강의 정리영역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수들에게 교수 역량 강화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 수행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관학교의 '교육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 KCI등재

        교수의 도덕적 측면

        유현옥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논총 Vol.36 No.4

        . 본 논문은 교수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교수 행위에 대한 전통적 도구적· 기술적 접근이 간과하고 있는 교수 행위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촉구하는 논문이다. 교수 행위의 도덕적 측면은 교수 행위가 지식을 매개로 교사와 학생이 맺는 관계 뿐만 아니라,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변화에서부터 잠재적이고 드러나지 않은 변화까지 포함하여 학생들이 학교 경험을 통해 이루게 되는 변화, 그리고 교사 자신의 삶과 지식 및 제도와의 관계 등등에 대한 끊임없는 성찰을 포함한다. 교수 행위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이해는 교수 행위가 단지 도덕성에 대한 교수 행위를 포함하여 도덕교육의 내용이나 훈육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며, 모든 교수 행위가 학생들의 능력과 태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도덕교육과 일차적으로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 대한 이해에 기초한다. 교수 행위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도덕 교육을 특정 교과 교육이나 교사의 훈육을 통한 도덕성의 교수로 보는 전통적 관점에 도전한다. 교수와 도덕 교육의 일차적 관련성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볼 때, 도덕교육을 다른 교과 교육과 구분하거나 인성에 대한 일반적 기대 및 훈육의 문제로 보는 전통적 관점은 지식과 도덕성을 이원론적으로 구분하고 나아가 도덕교육과 다른 교과를 이원론적으로 구분함으로써, 다른 교과의 교육 내용이나 교수방법 및 그 성과를 포함하여 교육실천 장면 전반에 대한 도덕적 성찰의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교수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촉구하는 데 있어, 먼저 도덕교육에 대한 전통적 관점의 특징과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교사-학생 관계가 교사와 학생의 자아 형성 및 삶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교수 행위의 도덕적 측면에 대한 인식에 있어 교사-학생의 관계를 참여적 관계로 보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면서, 교수 실제에서 학생을 교사의 관심과 가르침을 받는 수동적 존재로 보는 전통적 관점에 도전한다. 그리고 교사가 교수 행위의 도덕적 측면을 이해하고 교수 행위의 도덕적 결과에 관심을 가지게 될 때, 이러한 관심은 교사로서 그들의 존재 자체가 학생들의 능력과 이해와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책임의식을 확립하는 데 기초가 됨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교수 행위는 단지 그 객관적 성과에 기초해서 판단하고 평가하는 도구적·기술적 행위가 아니며, 지식을 매개로 하여 교사와 학생이 관계를 맺게 되는 본질적으로 도덕적 행위라는 점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있다.

      • KCI등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노원경 한국교원교육학회 200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직접 미치는 영향과 학생의 학습전략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및 이론에 근거하여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외생변수로,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는 내생변수로 설정하였으며 내생변수 중 학습전략은 매개변수로 구조방정식에 포함되었다. 분석은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년도(2007년)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학업성취도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는 서로 유의한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갖는다. 둘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은 학생의 학습전략과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고 학습전략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준다. 셋째,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이 긍정적일수록 학생은 학습전략을 많이 활용하고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학업성취도의 향상을 가져오게 된다. 넷째, 과목별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학 과목이 영어와 국어 과목에 비해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있어서 학습전략이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J대학교 교수역량강화를 위한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

        임명희(Im Myoung 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이 연구는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에 대한 교수자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으로 교수자 역량 강화를 통한 대학교육의 질 향상에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대상은 J대학교 교수 249명의 설문 내용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5.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교수역량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대응표본 t-검정하였다. 그리고 Borich 요구도와 The Locus for Focus 분석을 통해 교수직급별 교수역량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직급별 교육요구도 순위를 바탕으로 교수역량의 순위를 알 수 있다. 교육요구 분석 결과 교수역량 1순위는 학생의 동기부여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교수 직급별로 요구하는 역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결론 교수자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공통적인 교육역량 지원뿐만 아니라 교수자 특성을 고려한 지원노력이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대학특성을 고려한 교수역량 강화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fessors capac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education.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of 249 professors of J University. For data processing,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was performed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importance of teaching competency and performance using the SPSS 24.0 statistical package. And through the analysis of Borich s needs and The Locus for Focus, the priorities of teaching competency by faculty position were derived. Result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it is possible to know the ranking of the teaching competency based on the importance and execution of the teaching competency recognized by the instructor, and the education demand by pos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educational needs, the first priority in teaching competency was student motivation.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mpetencies required for each professor position. Conclusions Therefore,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support common educational competencies but also to support effort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ctors.

      • KCI등재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능력개발에 대한 중고등학교 교원의 인식분석

        유정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2

        이 연구는 중고등학교 교육현장의 교수학습상황과 교원의 교수능력개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 지역 중고등학교 교사 300명이었으며, 회수된 설문지는 295개였다. 빈도분석, 기술 분석 및 교차분석을 통해 교수방법 및 교수매체의 선호도와 활용도를 알아보았고, 상관관계 분석 및 분산분석을 통해 교수방법, 교수매체, 교수능력개발 인식과의 관계 및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교원이 가장 선호하는 교수방법은 질문식(3.72점, 5점 만점)과 강의식(3.71점)으로 나타났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방법도 강의식(4.31점)과 질문식(3.44점)으로 나타났다. 선호하는 교수매체는 교재(4.01점)와 인쇄물(3.97점)로 나타났고, 가장 많이 활용하는 교수매체도 교재(4.39점)와 인쇄물(4.07점)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강의식의 선호와 활용은 타 방법 선호 및 활용과 부적상관을 보였고, 교재의 선호와 활용은 파워포인트 등 타 매체의 선호 및 활용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강의식을 선호하는 교사는 교재를 선호하였으며, 교수능력개발에 대한 인식 및 직업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등학교 교원들은 교수능력개발을 위한 노력 중 참고자료 찾기(4.26점)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준비를 위해 일정시간을 할애하는 것(3.8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비교적 많은 즐거움을 느끼는 것(3.92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분석결과 집단별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파워포인트에 대한 선호도와 활용도’, ‘자신만의 수업기술보유’, ‘가르치는 일에 대한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 20대와 30대의 교사들이 40대 이후의 교사들에 비해 파워포인트 선호도와 활용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와 30대 교사들에 비해 50대 교사들이 자신만의 수업기술을 갖고 있었고, 학생을 가르치는 일에 대해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 유의미하였다. 경력별 집단차이를 보았을 때, 신규-5년 미만의 교사들에 비해 15년 이상 된 교사들이 자신의 수업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 이야기재연전략교수와직접교수가읽기장애아동의읽기 유창성과이해력에미치는효과비교

        장병철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와 직접교수가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는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교수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는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교수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가 직접교수보다 읽기장애아동의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는데 더욱 효과적인 전략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읽기 전략의 부재, 기억의 결함, 낮은 정보 처리 등의 특징을 가지는 초등학교 읽기장애아동의 열약한 읽기 유창성과 읽기 이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이야기 재연 전략교수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중학교 통합학급 미술 담당 교사의 교수적 수정 실행도와 지원 요구

        김진희,김정연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7 No.3

        This study researche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inclusive classroom and the support needs for art class, and it has significance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a follow up study of development for effective teaching of art and its corrective measures. This study surveyed 114 art teachers of regular secondary schools with special classes in Jeju, Gwangju. 87 out of 89(78.07%) respondents were investigated and had insincere answers. Only 2 were exemp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level of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 environment’ was the most frequently executed type as average 3.26 out of the highest possible score of 5 points. Whereas, the 'modification of instructional evaluation' was recognized most rarely executed type as average 2.90 out of 5 points. The most art teachers in all areas indicate a high degree of support needs, this means a partnership with teachers related to the inclusive art education for qualitative achievement and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As a result, the methodological approach for qualitative integration is needed rather than the discussion of the rationale for the inclusive education. The content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at teachers need are important, so specific information on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will be provided. 본 연구는 중학교 통합학급의 미술교과 수업에서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정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효과적인 미술교과 지도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광주광역시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일반 중학교의 미술 담당 교사 87명을 대상으로 교수적 수정의 5가지 하위 유형(교수 환경, 교수 집단, 교수 방법, 교수 내용, 평가)을 중심으로 실행도와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중학교 통합학급의 미술교과 수업에서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는 전체 5점 기준으로 3.06의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 유형별로는 교수 환경에서 가장 높은 실행도를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수 방법, 교수 내용, 교수 집단, 평가 방법의 순서로 낮은 실행도를 나타냈다. 교수적 수정의 적용을 위해서는 특수학급 교사와의 협력을 통한 지원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통합학급에서 성공적인 미술교과 수업을 위해 교수적 수정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적극적인 실행의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다.

      • 교수업적 평가제에 관한 연구

        송미섭 경희대학교 부설 교육문제연구소 1999 論文集 -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Vol.15 No.-

        교수업적평가의 목적은 교수의 자기 개발동기를 부여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하기 위한 것이고 그렇게 함으로써 대학이 추구하는 교육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려는데 있다. 교수업적평가를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긍정적인 측면은 교수업적평가체제가 교수개인과 교수가 속해 있는 대학 고유의 목적과 필요에 따라 고안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교수업적평가의 유연성은 대학과 교수 개인의 발전욕구를 충족시킨다고 보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에서 비교적 새롭게 도입되고 있는 교수업적평가의 필요성, 기본원칙, 내용과 방법, 그리고 그 결과의 활용에 대하여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faculty assessment is needed. Faculty assessment serves the dual purposes. Faculty members need assessment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ir work better and to guide the progress of their careers, Institutions need assessment information to judge the work of their faculty in light of institutional expectations and to direct faculty development so that resources and rewards are provided to those who make contributions to the profession and the institution The work of the faculty is difficult to describe because it is not uniform across all institutions or disciplines. However a pragmatic approach is used in selecting three areas to represent the diversity of the faculty work. That is teaching,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y, and professional service. Collecting evidence to assess professors teaching, research and creative activity, and professional service should embrac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Assessment is more than measurement. The evidence supplied for the assessment of faculty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must meet the demands of trustworthiness, dependability, applicability, defensibility, and relevance. Many studies indicate that more credit is often given to research rather than teaching and professional service. faculty uses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faculty assessment to facilitate and maintain intrinsic interest and motivation for self-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controlling uses of the outcome from faculty assessment are perceived as a means of acquiring institutional accountability. However it is threatening when the function of assessment emphasizes controlling rather than informational use. therefore the use of assessment should be geared toward more intrinsic motivation rather than extrinsic motivation of the facu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