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변인에 따른 교사들의 다차원적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 간의 관계

        김경연(Kim Kyung-Yun),이용운(Lee Yong-Wun)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6 敎育問題硏究 Vol.0 No.26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ㆍ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다면적 차원에서 접근하여, 인식론적 신념의 차원이 성, 담당교과, 교직경력 등과 같은 교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해 보고, 나아가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 간에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서울 일부지역 중ㆍ고등학교 교사 163명(남 55명, 여 108명)을 대상으로 “타고난/고정된 능력”, “학습노력/과정”, “권위/전문가 지식”, “확실한 지식”의 4개 차원에 대한 31문항의 인식론적 신념검사와 “전통적 교수-학습관”과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묻는 44문항의 교수-학습관 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BR>  첫째, 성과 담당교과에 따른 인식론적 신념의 차이는 없었지만, 경력에 따른 차이가 확인되었다. 10년 이하 교사와 11년-20년 교사 간에는 “학습노력/과정”에, 20년 이하 교사들과 21년 이상 된 교사 간에는 “확실한 지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둘째,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 간의 유의미한 상관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통적 교수-학습관은 4 차원 모두와 상관이 있는 것으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은 “학습노력/과정”과 강한 정적 상관이, “권위/전문가 지식”과 강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셋째, 인식론적 신념의 4차원은“전통적 교수-학습관에 대해 33.5%의 설명력이, “학습노력/과정”과 “권위/전문가 지식”은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에 16.7%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R>  이 연구결과는 앞으로 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교수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교수 연수프로그램의 계획하고 설계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secondary level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using a multidimensional paradigm; to test the differences in the beliefs depending on gender, subject area, and teaching care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dministered a translated version of "Epistemological Belief Questionnaire" and a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questionnaire to the secondary level teachers (N=163).<BR>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s. Firs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depending on subject area but on teaching career. The teachers of less than 10 years teaching career were more likely to believe in "Learning Effort/Process" and less likely to believe in "Certainty Knowledge" than those of more than 11 years. Second,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had correlations with "Certainty Knowledge", "Innate/Fixed Ability", "Authority/Expert Knowledge" and "Learning Effort/Process". In additio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Effort/Process,"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Authority/Expert Knowledge". Finally, the four epistemological beliefs dimensions could predict traditional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while the two dimensions could predict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belief. Together with these results and assumptions, several theoretical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this study.

      • KCI등재

        전문대학 비교과 프로그램 인식차이를 통한 방향성 탐색

        곽민지,정해수 한국미래교육학회 2020 미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미래사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전문대학의 학습자, 교수자의 관점에서 기초학습능력 지원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비교과 프로그램의 체계적 지원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기초학습 역량의 중요도의 경우 교수자가 학습자보다 더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비교과 프로그램별 인식 차이 결 과, 기초학습지원 프로그램에서는 전공기초, 학습클리닉 프로그램, 외국어지원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보다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대학지원 생활 프로그램의 경우에도 교수자가 더 중요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경우 어깨동무튜터링, 생생멘토링, 전공으뜸이 프로그램 모두에서 교수자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모든 프로그 램에서 교수자의 인식이 학습자의 인식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도출된 전문대학 학습자 의 기초학습역량 강화 및 비교과 프로그램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기초학 습역량 인식 개선을 위한 지원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둘째, 기초학습역량 향상을 위한 대학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세부적으로 첫째, 기초학습향상을 지원하는 인력풀 확보 및 인센티브 제공 등 유인책이 제공되 어야 한다. 둘째, 대학 특성에 맞는 비교과 프로그램이 개설되어야 한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은 전공별, 학습자 특성에 맞는 과정으로 체계화되어야 한다. 넷째, 학습자 중심형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개선될 필요 가 있다. 다섯째, 비교과 프로그램의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eeds of supporting on basic learning ability from the perspectives of learners and instructors of junior colleges, and to seek systematic support measures for extra curricular program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mportance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was recognized as more important by instructors than by learners. As a result of check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n extracurricular programs, it was revealed that the instructors perceived that the basic learning support program was more important than the learners in the basic basics, the learning clinic program, and the foreign language support program. In the case of university-sponsored living programs, the instructor also found it more important. Lastly, in the case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instructors perceived 'shoulder tutoring, live mentoring, and majoring majors programs' as more important than leaners did. In all programs, the teacher's perception was higher than the learner's perception. Therefore, first, Measures targeting learners should be sought to improve awareness of basic learning competenc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versity system to improve basic learning competencies. In detail, first, incentives should be provided, such as securing a pool of workers and providing incentives to support basic learning. Second, extracurricular programs suitable for university characteristic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be organized into processes that suit each major and learner's characteristics. Fourth, it should undergo improvement as learner-oriented extracurricular programs. Fifth, it is necessary to form a virtuous cycle of extracurricular programs.

      • KCI등재

        대학에서의 교수 · 학습활동과 의사소통, 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송충진(宋忠眞)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아시아교육연구 Vol.15 No.2

        최근 대학의 경쟁력은 국가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 과제로서 교육의 질을 높임으로 이를 확보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중 하나로 수업개선을 위하여 교수자와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노력과 상호간 원활한 의사소통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주체적 활동과 상호간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자 및 학습자의 활동과 상호간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가 분명하게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동일한 내용과 방법, 요소를 통해 이루어지는 수업임에도 불구하고 교수자와 학습자간 인식과 평가에 있어 차이가 나타나는 것은 이것이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나 교육의 질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음을 예상케 하며, 인식차이의 원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개선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둘째, 교수자와 학습자의 활동과 서로를 통해 이루어지는 의사소통이 수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이들의 영향관계도 교육주체별로 상이하게 형성되는지 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교수자의 경우에는 교수자의 활동 요인이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학습자의 경우에는 교수자의 활동 요인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활동 요인, 그리고 상호간 의사소통이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볼 때 대학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간 교수학습 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좁히고, 수업에 대한 만족 수준을 높여야겠다. 구체적으로 교수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태도와 관심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학생의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자와 학습자의 적극적이면서 주체적인 참여 활동은 물론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환경의 조성이나 교수자의 학생들에 대한 배려가 필요할 것이다. Recently, the capacity of universities has been more greatly emphasized as a core issue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nations. Thus, many universities have been making great effort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They especially emphasize positiv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urse satisfaction, and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This study reviews how students and teachers are aware of them that take place in major classes. And this study also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the cours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ourse satisfaction, and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it has shown that there are obvious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Mostly, the perception of students is lower than the teachers’. It means the students have negatively evaluated the teachers’ activities such as teaching skills, credit ratings, and so on. Second, level of students’ perception on the student-teacher communication is lower than the teachers. Finally, it has shown that teachers’ activities is the main antecedent factor of the course satisfaction. From these results, we should try to be aware of and try to resolve practically and systematically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f the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the students in order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 KCI등재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 연구 : S대학교를 중심으로

        최미순(Choi, Mee-Soon),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교수자 98명과 학습자 1,900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Scheffé 사후검증)를 통해 분석되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4.57점 부터 4.74점이지만, 교수자의 성별, 캠퍼스 유형,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은 평균 3.87점 부터 3.94점이며, 성별, 연령, 단과대(학부)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다. 반면, 학년과 캠퍼스 유형에 따른 교수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교수자와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역량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에 비해 교수자가 .61점 부터 .80점 까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교수자 스스로의 역량 수준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학습자 간 교수역량 인식 차이를 통해 부족한 역량은 강화시킴으로써 대학교육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differenc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teachers and 1,900 learners. We perform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and ANOVA(Scheffe’s post test) on collected data. The main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was 4.57 to 4.74, but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type of campus,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average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was 3.87 to 3.94, and the teaching competency difference by gender, age and type of colleg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by grade and type of campu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earners, the teachers evaluated higher than learners from 0.61 to 0.80,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opportunity to clearly understand the level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teachers and lack of teaching competency perceived by learners expect to be strengthened to improve quality of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

        대학특성에 따른 학습자 중심 교육에 대한 교수-학생 인식 차이

        김희란(Heera Kim),권다남(Danam Kwon) 사단법인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2024 대학 교수-학습 연구 Vol.17 No.1

        이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 간 능동적·협력적 교수·학습경험과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차이를 대학특성에 따라 분석하고, 대학만족도와 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조사한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학생 설문조사(NASEL)」와 「2022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교수 설문조사(NAFET)」의 92개 전국 일반대학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협력학습에서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는 비수도권 대학이 수도권 대학보다, 중소규모 대학이 대규모 대학보다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학생과 유의하게 더 높았다. 능동적 학습과 사고력 증진 학습에서는 학생과 교수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협력학습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에서 교수와 학생 모두 인식이 높은 대학이 모두 낮은 대학에 비해서 학생의 대학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의 경우, 학생과의 인식 차이와 대학만족도간 유의한 관련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와 학생간 교수·학습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를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regarding active and cooperativ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and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s according to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with university satisfaction and students'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cooperative learning in non-metropolitan universit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s. Second, universities where both instructors and learners were highly aware of cooperative learning and instructor-learners interactions and had small differenc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s of learners’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and a higher intention to continue their studies compared to universities where the differences were small. Based on thes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presented to reduc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권성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3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이 다양한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학습자 특성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온라인 강좌를 수강하고 있는 사이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토론효과인식,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실재감을 (동료)학습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과 교수자에 대한 사회적 실재감으로 구분하여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은 학습자의 학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기가 높은 학습자일수록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간의 상관분석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성과 변인과의 상관에 있어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에 비해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사회적 실재감 모두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조금 더 크게 나타났다. 넷째, 전체적인 학습효과 인식에 대해서는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설명력은 토론효과 인식보다 낮았다. 마지막으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교수자 사회적 실재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learning outcom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earners' characteristics. Therefore, social presence, perception of discussion effect, and overall perceived learning were surveyed among cyber graduate school students in Korea. Specifically, the construct of social presence was divided into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Relationships with other variables were then analyzed separately. Research results show that, first, social presence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learners' year (grade) in school. That is, higher grade students perceived social presence highly. Second, the correlations among all of the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e relationships of teacher social presence with other outcome variables were stronger than those of learner social presence. Third, learner social presence and teacher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erceived effect of discussion, but the effect of teacher social presence was only slightly stronger than that of learner social presence. Fourth, teacher social presence was a significant factor in perceived learning overall but learner social presence was not. Similarily, only teacher social presence accounted for some of the variability of satisfaction, while learner social presence did not account for the vari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ole of the online teacher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improve learning outcomes were suggest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역량에 대한 학습자와 교수자의 인식 비교

        백아롱(Beik, Ah-Rong),김유현(Kim, Yu-Hyon),조일현(Jo, Il-Hyun)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4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에게 중요한 자기조절역량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 이러한 차이로부터 비롯되는 학습 과정 내 부조화를 해소하여 학습의 효율성을 높이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 경험이 있는 성인 학습자 140명과 교수자 60명을 선정하여 자유응답식 예비조사 및 리커트 척도 기반의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자는 협동역량 및 인지력, 학습동기 및 의지력, 목표관리역량 및 성취감, 자기관리역량의 네 가지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교수자는 동기강화 및 의지력, 의사소통역량 및 자기관리역량, 디지털활용역량, 목표달성역량 및 공동체역량의 네 가지 요인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학습자는 학습의 주체로서 스스로의 자기조절역량을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으며 교수자는 학습자를 수업의 일원으로서 인식하며 집단의 학습효과와 관련된 자기조절역량에 더욱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와 교수자의 자기조절역량 인식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결과를 통해 온라인 학습 설계 시 학습자의 자기조절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수학습적 지원 및 처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differences in perceptio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bout self-regulation abilities that are important to learners in online learning, an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learning by resolving inconsistencies in the learning process resulting from these differences. The participants were 140 adult learners and 60 instructors with online learning experience. A free-response preliminary survey and a main survey based on Likert scales were conducted. As a result of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earners perceived four factors as important components of self-regulation: cooperation and cognitive ability, learning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learn, goal management and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management competency. In contrast, instructors recognized the following four factors: motivation and willingness to learn, communication and self-management skills, digital literacy, goal attainment and community competency. While learners focused on managing their self-regulation abilities as subjects of learning, instructors focused more on self-regulation related to the learning effect of the group.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ers and instructors perceptions of self-regulation, suggesting that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s are required to enhance self-regulation while designing online learning.

      • KCI등재

        미술과에서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박순덕(Soon Duk Park),김영순(Youngsoon Kim) 한국미술교육학회 2014 美術敎育論叢 Vol.2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향상을 위해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바람직한 다문화 미술교육의 확산에 기여하고자 한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경기도 시흥시 소재 초동학교 6학년 31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1차에서 3차까지 실행하면서 학생 수업 소감문과 인터뷰, 협력교사 3명의 참여관찰, 본 연구자의 수업성찰 일지 동을 통해 학생들의 다문화인식 변화과정을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개발하여 현장에서는 처음 시도된 '작품에 대한 토론과 메타 감상 방법'은 학생들의 폭 넓은 사고와 다문화인식을 강화시키기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프로그램 검증을 위하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단일집단 사전ㆍ사후 실험 설계로 다문화인식을 측정하였다. 검사결과 다문화인식에 대한 전체적인 평균값이 프로그램 실행 전 49.00에서 실행 후 53.77로 향상되었고, 독립표본 t-test 결과는 전체적으로는 p-value .007로 유의미하게 지지되었다. 그리고 수업실행 후 학생들을 인터뷰한 분석 결과도 개개인의 다양성 수용, 편견과 차별 감소, 타문화 존중 등 전반적인 다문화인식의 향상을 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다문화인식향상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다문화인식을 향상시키는 유용한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으며, 다문화 미술교육 자료가 부족 했던 학교 현장에서 미술과 다문화 교수학습 방법의 일반화 자료로 활용되어 바람직한 다문화 미술교육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To impro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this study has developed a field applicable to the Art and Multi-Culture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spread of, a desirable, Multi-Culture Art education.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31 students in Siheung Elementary school, Gyeonggi-do. The research process and result are as in the following. When executing an Ar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rom the first to third times, we recorded the students' changing process of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by having the class reviewing notes, interviews.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ree Assistant teachers, and theresearcher's self-reflection. Findings showed that Art and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do improve students' general perception of Multi-Culture. During class, students' bias and stereotypes have changed, and their receptive capacity of diverse cultures has empowered based upon cultural relativity. Especially, the method so called 'discuss about an art work and meta appreciation', developed and applied to field at first, was proved that it is a really efficient way to enable students to extend their range of thinking and to improve multi-cultural empowerment.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남미경,손유진 대한사고개발학회 2015 사고개발 Vol.11 No.2

        This study examines the epistemological beliefs Learning and teaching about the nature and process of knowing the knowledge of the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it investigated the impact that the self-regulated learning. 228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o this were a random sampling. First, the epistemological beliefs of pre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howed a grade up getting high scores and Grade increasingly sophisticated epistemological beliefs showed up, had a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are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higher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eaching and learning recognition scores were mor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ir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as had with the Constructivism explanatory power of teaching and learning was also recognized as having an explanatory factor in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learning ability of epistemological beliefs. Based on these results a constructivist philosophy can be raised of the need to deal with teacher training conten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지식의 본질과 앎의 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을 살펴보고 이것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주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228명의 예비유아교사를 임의표집하여 인식론적신념, 교수학습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식론적 신념, 교수학습관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인식론적 신념, 교수학습관은 정적상관을 보여, 인식론적 신념과 교수학습관 점수가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 점수가 높았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이 가장 많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또한 인식론적 신념 중 학습과정과 학습능력의 요인이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주의 교수학습관을 가지고 학습에 있어 결과보다는 학습과정을 중시하고 후천적 학습능력을 믿는 학습자가 자기조절학습능력 또한 높다고 할 수 있다. 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예비교사교육에서 구성주의 신념과 태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었다.

      • KCI등재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에 대한중요도 및 실행도 중심의 교사 인식 문헌분석

        강은영,박윤정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효과적인 교수적 지원 접근법으로 주목하는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 두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거시적으로 정리하여 빅 데이터로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두 개념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연구 총 23편(보편적 교수·학습 설계 6편, 교수적 수정 17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목적 및 주제, 연구대상자), 전반적 인식(중요도 및 필요도) 및 실행 수준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와 교수적 수정 교사인식 연구의 목적 및 주제는 전반적인 인식을 중요도 측면에서 살펴본 연구와 실제 적용 실태·실행 수준에 대해 살펴본 연구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전체 연구의 비중과 참여 교사 수에 있어서 교수적 수정이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 연구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개념에 대한 중요도, 필요도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는 교수적 수정에 대한 인식 수준이 보편적 교수·학습 설계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개념 모두 중요도 인식 수준에 비해 실행도는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바탕으로 한 논의점과 향후 연구에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As a big data,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both research on teacher perceptions about universal design for teaching and learning(UDL) and instructional adaptation(IA). Method: A total of 23 studies (6 for UDL, 17 for IA) were compared with the following analytic focuses: the general features of study (research purpose and topic, participant), overall perceptions on both concepts, and implementation status. Results and Conclu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concepts were two folds; the degree of teacher perceptions on importance and the comparison of the degrees of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by teachers. The numbers of studies and participants were higher on the IA than the UDL. Second, the degrees of teacher perceptions on importance about the IA were higher than the UDL. Last, on both concepts, the degrees of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the degrees of implement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