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대한 자기평가 분석

        박정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함양시키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을 파악하고 교직경력별로 그 차이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직교사의 경험이 학생평가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예비교사와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아울러 교사교육에 필수요소인 대학에서의 관련강의 수강과 현직교사의 평가 관련연수와 업무참여 여부가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초등교사는 예비교사에 비해 현격히 높은 학생평가전문성을 보이고 있었으며 교직경력별로는 5년 미만의 초임교사만 예비교사와 비슷한 수준을 보였고 경력이 있는 교사들의 학생평가전문성이 높았다. 그러나 평가도구 개발전문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대학에서의 평가관련 강의는 현직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에 차이를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연수와 평가도구제작 참여여부는 차이를 주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관련 교사연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중등교사 양성과정

        김신영(Kim Shinyou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7 교육평가연구 Vol.20 No.1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교육의 개혁은 교사들에게 수준 높은 학생평가전문성을 요구하고 있다. 교사의 평가전문성이 중요한 이유는 교사는 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을 파악해 학습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해 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교사가 학생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 요구되는 평가지식과 기술을 중심으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기준을 개발하고 이에 기초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계발 및 질 관리를 제안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문직의 조건과 교직의 비전문화 현상을 살펴보고 현재 중등교원 양성과정에서 학생평가전문성 계발을 위해 어떤 교육경험이 제공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현장교사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진단도구로 진단해 보았다. 이는 중등교사양성과정에서 제공되어야 할 평가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육경험의 구성과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 신장방안의 모색에 의미있는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cent educational reform implemented nationwide requires that teachers possess a high level of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is important since it helps teachers to be prepared to monitor student learning and evaluate student achievement. However, most teachers frequently report that they are not fully prepared to undertake assessment-related activities. This may be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eachers receive little or no formal assessment training in the existing pre-service program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eacher assessment competency by reviewing the current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and quantifying the level of teacher preparation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of the current educational evaluation courses do not provide adequate coverage for the assessment competency required of teachers. Even if they had, they were not compulsory. Based on the diagnostic tools develop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e level of student assessment competency of pre-service, as well as in-service teachers, were shown to be moderate. These findings indicate a significance for exploring and providing the educational experiences necessary to enhance the overall student-assessment competency levels of teachers.

      • KCI등재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교육실습의 효과

        김신영(Shinyoung Kim),송미영(Mi-Young Song) 한국교육평가학회 2008 교육평가연구 Vol.21 No.1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에 대한 질적 제고가 강조됨에 따라, 별도의 수습기간 없이 교사 임용과 동시에 교단에 서게 되는 예비교사들에게 학생평가 분야에서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실제적인 교육기회가 제공되고 있는지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갖추어야 할 학생평가와 관련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전문가 합의 기준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에 근거하여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확인하고 교원 양성기관에서 제공하는 교육평가 관련과목과 교육실습 과정의 이수가 학생평가 전문성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 강구에 기초가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전반적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라고 보기 어려웠으며, 교육실습 이후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은 교육실습 이전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나 교육실습 경험을 통해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다소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평가전문성의 기준선을 통과하지는 못한 수준이었다. 교원양성과정에서는 예비교사들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현장 적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예비교사들이 일정 수준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possess the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Teacher"s competency in student assessment i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e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should provide pre-teachers the opportunities to possess the assessment competency.<B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field training or practice in the existing teacher certification programs on the assessment competency based on ‘the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results show that the field training improved pre-teachers" level on assessment competency and pre-teachers who have took a course related to ‘educational evaluation’ got higher than other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opportunities for field training or practice need enlarging and enhancing.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 분석

        강대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교육과정평가연구 Vol.19 No.2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G광역시 초등학교 초임교사 167명을 조사대상으로 삼았으며, 조사대상자의 성별, 평가 관련 연수 이수여부, 평가활동 자신감, 평가 전문성 중요도의 정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먼저, 여성 초임교사가 남성 초임교사보다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초임교사의 성별에 따른 학생평가 전문성이 달라지는 구체적인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다. 둘째, 평가 관련 연수를 이수한 초임교사가 그렇지 않은 교사 간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평가 관련 연수의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와 상반된 것이지만,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단순한 평가관련 연수 경험여부가 아니라 평가 관련 연수 프로그램의 내실이 중요하다는 전제조건이다. 셋째, 평가활동에 자신감이 높은 초임교사가 보통이거나 그렇지 않은 초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의 중요도를 낮게 생각하는 초임교사보다 보통이거나 높게 생각한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수준이 더 높았다. 다섯째,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의 전문성 기준선과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비교한 결과, 기준선에 비해 초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초임교사 시기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양질의 초임교사 맞춤형 평가연수가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easures designed to improv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by analyzing the levels of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167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surveyed, and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level of literacy in assessment of students based on gender of subjects, completion of training,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and extent of importance of literacy in assessment.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female beginning teachers had higher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male beginning teachers. However, it was necessary to identify specific reasons behind the difference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depending on gender of beginning teachers. Secon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between beginning teachers who completed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and beginning teachers who did not. This is contrary to results of preceding studi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experience with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However, the precondition needs to be considered that substance of training program related to assessment is important, not the experience with simple training related to assessment. Third, beginning teachers with higher confidence in assessment activities we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than beginning teachers with moderate or lower confidence. Fourth, the levels of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in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moderate or higher importance to literacy in student assessment, compared to beginning teachers who assigned less importance to specialization in student assessment. Fifth, we compared the literacy baseline for testing the literacy of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and the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s in student assessment. The results showed a large difference in scores of assessment tool development area, compared to other areas.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lementary school beginning teacher period to ensure operation of high quality training on assessment which is tailored to beginning teach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인식 및 전문성 분석

        홍서영(Hong, SuhYoung),한동균(Han, DongKyun)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 사회과의 학생평가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고, 사회과 학생평가의 전문성 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 교사들은 사회과 학생평가의 방법으로 서답형 지필검사가 가장 적합하다고 생각하며, 현재 이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과 학생평가 방법의 선정 기준으로 평가의 목적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으며, 평가활동 시 서답형 채점의 일관성 유지와 평가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확보에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리고 사회과 교수 . 학습에서 학생평가를 교육활동의 중요한 요소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현재의 선다형 평가방식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사회과 학생평가에 있어서 교사에게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방법에 대한 이해 및 문항 개발 능력을 지목하고 있었다. 한편, 초등학교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사회과 학생평가에 대한 전문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평가도구의 개발 등에 대한 전문성은 다른 영역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평가 관련 연수 이수 여부는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심화전공, 교사 경력, 평가 과목 수강, 학력 등에 따라서는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의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과 학생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의 성별, 경력, 평가관련 연수 이수 여부였으며, 그 외 대학에서의 심화전공이나 평가 관련 과목 수강 및 교사의 학력은 사회과 학생평가 전문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current situations and awareness of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schools among teachers and analyzed degree of professionality of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and influencing factors. This study observ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short-answer examinations as the most appropriate form for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and this form has been widely adopted.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evaluation was commonly considered for selection criterion as the evaluation method for social studies. It also found that consistent grading of short answer questions and guarantee of validity as well as reliability in evaluation questions are challenging. Student assessment is a crucial element in an educational activity for instruction and learning of social studies. They also perceived that the quality of current multiplechoice examinations should be upgraded. In addition, they selected understanding of evalu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questions as the most crucial skills required for teachers in terms of evaluation in social studies. Meanwhil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generally specialized in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while they are less proficient in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compared to other areas. This study explored if there is a difference in evaluating professionality in social studies depending on variables of teachers’ backgrounds. Gender and training completion are associated with evaluating professionality in social studies;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nsive major, teacher career, attending evaluation courses, and academic degrees. Influencing factors on student assessment in social studies include teacher gender, career, and completion of evaluation training. However, intensive major in university, attending evaluation-related courses, and academic degrees did not affect student performance in social studies.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 분석

        강대중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4

        This study analyzed the assessment literacy statu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ith the purpose of proposing future plans for development of teacher competence in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For this study, 218 seniors currently attending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t G city took the assessment literacy test develop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This study analyzed the literacy perception according to pre-servic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were as follows. First,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is result differed from previous study which showed that male teachers scored higher in assessment literacy. Secon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ve taken courses on educational assessment had higher scores than those who have not taken such courses. Thir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had higher confidence level in educational assessment showed higher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Fourth, a comparison between the assessment literacy standards set by the KICE test and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howed that the assessment literacy perception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ere generally lower, and that their level were lowest in the domain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ditional implementation of an curriculum within the universities of education is necessary to enhance the assessment literacy of futu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이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초등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실태를분석하여 향후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G교육대학교 4학년 218명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개발한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주요 배경변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여학생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남학생 예비교사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기존의 현장교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는 상반된 결과이다. 둘째, 교육대학교 교육평가 관련 교과목을 수강한예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 자신감이높은 예비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인식이 그렇지 않은 예비교사에 비해 더 높았다. 넷째, 학생평가 전문성 검사상의전문성 기준선과 비교한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평가 전문성은 모든 영역에서 낮았으며, 특히 평가 도구의 개발영역의 수준이 가장 낮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의 양성 과정에서 학생평가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과정 계획및 운영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염시창,박미경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학교목표구조는 학교 숙달목표와 학교 수행목표 구조로 구분된다. 이 연구를 위해 G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31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는 학교 숙달목표구조와 학교 수행목표구조를 예측변수, 학생평가전문성을 결과변수, 교사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에서 산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목표구조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학생평가전문성 수준 또한 높았고,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평가전문성도 높았으며, 숙달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행목표구조의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효능감과 학생평가전문성 수준은 낮은 반면,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평가전문성은 높았고, 수행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 간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목표구조가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과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교사의 학생평가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학교목표구조를 사회적 비교와 경쟁에 가치를 두는 수행목표구조보다는 개인적 성장과 역량 강화에 가치를 두는 숙달목표구조로 강조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개발

        김경희(Kyunghee Kim),김신영(Shinyoung Kim),김성숙(Sungsook KIM),지은림(Eunlim Chi),반재천(Jae-Chun Ban),김수동(SooDong Kim) 한국교육평가학회 2006 교육평가연구 Vol.19 No.2

          학교교육의 내실화와 교실에서의 효율적인 문제해결을 위하여 평가에 대한 욕구가 점차 증가함에 따라, 평가와 관련된 교사의 업무는 훨씬 복잡해지고 있으며 더불어 신뢰롭고 타당한 학생평가를 위한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요청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을 계발하고 신장시키기 위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 을 개발하였다. 학생평가 전문성 기준은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의 5가지 능력요소 즉, “평가방법의 선정”, “평가도구의 개발”, “평가실시ㆍ채점ㆍ성적 부여”, “평가결과의 분석ㆍ해석ㆍ활용ㆍ의사소통”, “평가의 윤리성”에 따라 11개의 기준과 각 기준을 설명하는 구체화된 세부적인 55개의 평가지식과 기술을 개발하였다.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in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plan for practical use of these standards took a concrete form.<BR>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efinition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ere explained in this study.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the competence or capability of collecting, interpreting as well as applying the students" assessment information about students" learning and achievement". This competence is the assessment literacy that should be required before actually assessing the students.<BR>  Second,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was developed by examining and revising year 2004 TPCSE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are 1) analysis of the concepts in teacher"s competence in student assessment" 2) extraction of the competence components 3) description of each standard of teacher"s competence per each competence component 4) Continuous consultation with the experts 5) Completion of standards of teachers" competence that are required to do the student assessment.

      • KCI등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 탐색 연구

        임은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1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hat affect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and to find out the strategies to improve the competency.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on 454 teachers from elementary schools, 191 from middle schools, and 227 from high schools to evaluat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The scale of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planning assessments and developing tools”, “assessment adminstration”, “feedback”, “ethics and compliance with legal proced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teacher's competency of student assesment,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was employed using teachers’ sub-competencies of student assessment as dependent variables; teachers’ school levels, gender, years of teaching, whether or not to take a subject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nd the types of training/workshops participated in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general linear mode have shown that school level, gender, years of teaching, some training/workshop related to students assessment particip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taking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at the university and training/workshops for student assessment did not affect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Nonetheless,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competency of the teachers who took course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was higher than that of those who did not take such courses. The comparison of the teachers’ competence according to their participation in training/workshops has indicated that taking the courses related to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and subject competency partly affected the teachers’ sub-competency of student assessment while no such difference was observed in taking the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ency, we need to understand the teacher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by school levels that teachers attend. Also the standards of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should be developed with consideration for school levels. Since the student assessment courses at the university offer the basic skill and knowledge for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high quality programs for student assessment. Training/workshop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should be reconstruct to enhance the teacher's competency for student assessment Las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and detailed training/workshops focused on sub competencies rather than overall competencies for student assess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고, 역량을 증진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초등학교 454명, 중학교, 191명, 고등학교 227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인 “평가계획 및 도구 개발” 역량, “평가시행” 역량, “결과환류” 역량, “윤리성 및 법적 절차 준수” 역량을 온라인으로 조사하였다.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교사의 학생평가 하위 역량을 종속변인으로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 교육 관련 연수/워크숍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일반선형모형 분석을 하였다. 독립변인 중에서는 교사의 소속 학교급, 성별, 교직경력, 일부 연수/워크숍 유형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에서의 학생평가 관련 과목 수강 여부와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을 참여 여부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학생평가 관련 과목을 수강한 교사의 역량이 수강하지 않은 교사의 역량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참여한 연수/워크숍에 따른 교사의 역량 정도를 비교한 결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과역량에 연수/워크숍 참여가 일부 학생평가 하위 역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생평가 연수/워크숍 참여는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증진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학교급 상황을 고려하여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이해할 필요가 있고, 학교급에 적합한 학생평가 역량 기준을 설정해야 한다. 대학의 학생평가 관련 수업은 교직경력이 없는 예비교사에게 학생평가 역량의 기초가 될 수 있어서 양질의 학생평가 과목을 개발하고 제공해야 한다. 학생평가 관련 연수/워크숍은 교사의 학생평가 역량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평가 역량을 총합적으로 증진시키는 것보다, 하위 역량에 중점을 둔 구체적이고 세분화된 연수/워크숍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쟁점과 과제

        주영효(Young Hyeo Joo)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敎育問題硏究 Vol.30 No.1

        교원능력개발평가는 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교원능력개발평가는 온정적ㆍ형식적 평가와 이로 인한 신뢰도 논란, 결과 활용의 제한, 평가제에 대한 이해당사자들의 인식 부족 등 평가 운영상의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교원능력개발평가 관련 선행 연구들은 운영 결과 및 효과 분석 결과에 터하여 제도 및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 도입 목적 달성의 핵심적 도구가 될 수 있는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 문제점 및 한계 분석을 토대로 개선 방안을 제시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제도 도입의 핵심적 내용으로 제시될 수 있는 교사 전문성 개념을 중심으로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쟁점 분석 및 과제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 내용 및 방법, 과정, 평가 결과 활용과 관련된 양적ㆍ질적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신뢰도 문제, 조사 내용의 타당도 문제, 조사결과의 활용 문제 등의 쟁점을 분석하고 과제를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발전 방안으로 ① 교원능력개발평가 학생ㆍ학부모 만족도 조사의 개념적 틀과 목적의 재확립, ② 평가 운영 과정의 절차적 정당성 확보, ③ 평가 방법의 다양화, ④ 현장 중심 피드백 방안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Student and parent perceptions play a pivotal role in the evaluation of school teachers. The teacher evaluation system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ESPD) in Korea has been evaluated as the educational institution which contributes to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 development. However, recent researches have mainly focused on the effects or the results of the TESP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urrent status on the student and parent satisfaction surveys for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SPSS). The research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in order to analyze main issues and challenges of the SPSS. In addition, Desimone 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framework was used to define development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issues of the SPSS can be categorized as the survey reliability and validity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TESPD. The study suggested policy directions to make the SPSS valid and reliable data sources for teacher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