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어머니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상호인식

        김순환(Kim Soon Hwan),김하진(Kim Ha Jin),나원정(Na Won Jeong) 한국육아지원학회 2014 육아지원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와 어머니 관계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어머니 유형별 어려움(발생빈도 인식, 스트 레스 정도)과 어려움의 차이를 교사변인과 부모변인에 따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소 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를 담당하는 교사 32명과 이들 교사의 학급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어 머니 61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용, 교사용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는 극성형 어머니유형에 대해 어머니는 방임형 교사유형에 대해 어려움을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변인별로 첫째, 교사 변인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 경력이 2년 이 상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교사 집단이 보다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 측면에서는 보육교사 양성원을 졸업한 교사가 전문대학 및 대학교 이상을 졸업한 교사보다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연령이나 결혼여부는 교사의 발생빈도인식과 스트레 스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어머니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어려움을 알아본 결 과, 자녀의 연령이 어릴수록, 교육기관 경험이 세 군데 이상일수록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 났다. 어머니의 연령과 학력은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어머니가 직업이 있는 경우 교사와의 관 계에서 어려움을 보다 자주, 강하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상호어려움에 있어서는 유아교사가 어머니보다 어려움을 보다 빈번하게 인식하였고 스트레스를 많이 느꼈다. 교사와 어머니의 관계에 나타난 어려움의 경우, 특정 교사 및 어머니 유형별 교사-어머니 관계에서 어려움을 더 빈번하게 또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인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iculties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face in a dyad relationship, the difference in their mutual perceptions and details concerning the problems. In this regard we looked into the mutual difficulties betwe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mothers engaged in a dyad relationship with diverse personal variables. The respondents were 61 mother-early childhood educator pairs from two kindergartens and one day-care center in the capital region of Korea. Thirty two early childhood educators were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and to solicit two mothers in their classes, the first two in alphabetic orders of children per class, to participate.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parate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The research was measured by using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about Parents(QTP) by Prakke, Peet, & Wolf(2007)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difficulties Dut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face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questionnaire for teachers was interpreted then modified to fit the actual circumstances of Korea’s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term ‘parents’ was modified to ‘mothers’. Then we newly developed a questionnaire for mothers based on the modified Korean QT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arly childhood educator variables, day-care center teachers felt greater difficulty facing mothers compared with kindergarten teachers.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than those who had less than two years of work experience. Those who studied at Caregiver Training Centers felt more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than those who studied at Colleges or Universities. However, the teacher's age or marital status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Second, in terms of mother variables, when the age of the child was younger, and when the child has experienced more than three institutes, the mother felt more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Mother's age or academic background did not affect the relationship, but working mothers felt difficulties i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stay at home mothers. Third, in terms of mutual difficulties, the early childhood educator felt difficulties more often and more strongly than the mother.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difficulties that mothers and teachers perceive in their relationship generally. As for teachers they did not only perceive difficulties with mothers in general, but also felt the difficulties accordingly with types of problematic mother behavior.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s we found that teachers felt much more difficulties than mothers, methods to resolve the teachers’ problems should come first to improve and support the relationship. And as we found that teachers with more than two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felt more difficulties, support towards novice teachers should not stop, and persistently be given even to teachers who have career experience.

      • KCI등재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김보영,김현주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6

        본 연구는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을 살펴보고,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주는 요소를 밝힘으로써 원만한 교사-부모 관계형성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어떠한가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상남도 C시에 근무하는 사립 유치원교사 15명으로 반구조화된 면담방식으로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에서 나타난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요인은 부모요인과 교사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는 부모의 성향과 요구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교사는 교사 자신의 입장에서 해석함으로써 어려움을느끼고 있었으며, 이 어려움은 같은 문제를 다르게 해석하는 교사-부모 간 입장 차이와 교사들이문제 상황에 대처해 나가면서 느끼는 개인적 감정변화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부모 관계의 어려움에 대한 교사들의 자세는 4가지로 나타났다.

      • KCI등재

        보육교사가 갖는 개인적 전문적 어려움과 관심사

        김영주,박선홍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학논집 Vol.18 No.6

        This study through the personal stories of the teachers about the difficulties and concerns with private child care teachers, professionally examine divided.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was conducted in-depth discussion targeting private teachers eight. The educational purposes of research and private child care teacher concern with personal difficulties, analyzed, separated by a professional difficulties and concerns. The first study, by personal difficulties of teachers' work and harmony of the home, ''rush', reveals the difficulties caused by' marital differences in parenting style. Second, the 'teacher relationship "with professional challenges teachers' relationship with director', 'parent management difficultie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theory and the field', 'working environment," reveals the difficulties caused by. Third, the personal interests of the child care teachers' life course 'and had an interest in' their temperament. A professional interest in the last teachers 'supervison and training', 'teacher communication skills needed for teacher relationship' and had an interest in 'teamwork'. 본 연구는 민간 보육 교사들이 갖는 어려움과 관심사에 대해 교사들의 이야기를 통하여 개인적, 전문적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민간 보육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교육목적을 민간 보육교사가 갖는 개인적 어려움과 관심사, 전문적 어려움과 관심사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어려움으로 ‘ 일과 가정과의 조화’, ‘출퇴근’, ‘부부간의 양육방식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을 밝히고 있다. 둘째, 보육교사의 전문적 어려움으로 ‘교사관계’, ‘원장과의 관계’, ‘부모관리 어려움’, ‘이론과 현장과의 괴리’, ‘근무환경,’으로 인한 어려움을 밝히고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개인적인 관심사로 ‘인생진로’, ‘자신의 기질’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마지막 보육교사의 전문적인 관심사로 ‘장학과 교육’, ‘ 교사관계를 위한 소통기술필요’, ‘팀워크’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 KCI등재

        초임 기술 교사의 교직 효능감과 학교현장 적응

        박재우(Jaewoo Park),권혁수(Hyuksoo Kwon) 한국기술교육학회 2022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임 기술 교사들의 교직 효능감을 조사하고 학교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교직 적응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대처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혼합 연구 방법 중 동시적 연구 설계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양적 자료와 질적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전국의 초임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초임 기술 교사는 교직 경력 4년 미만의 초임 기술 교사들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학교 현장에 발령받아 근무 중인 교사들로 구성되었다. 설문 문항은 양적 자료의 수집을 위해 교직 효능감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질적 자료의 수집을 위해 초임 기술 교사들의 교과 지도 측면, 생활 지도 측면, 행정업무 측면에서의 어려운 점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초임 기술 교사들의 교직 효능감은 교과 지도 효능감, 생활 지도 효능감, 대인관계 효능감의 영역 모두 전반적으로 높은 평균값을 나타냈지만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교과 지도에 있어서 ‘수업계획’, ‘실습 환경’, ‘동료 교사’, ‘학생’, ‘전문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전문성 향상’, ‘수업계획’, ‘실습 운영’, ‘학생 흥미’ 등의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었다. 생활 지도 측면에서는 ‘학생과 관계’, ‘다양한 학생’, ‘생활 지도 방법’, ‘교우관계 지도’, ‘학급 운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생과의 관계 개선’, ‘동료 교사 및 학교 관리자와 관계’, ‘학급 운영 노력’, ‘전문성 개발’ 등의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행정업무 측면에서는 ‘업무 수행 부담’, ‘업무 미숙’, ‘동료 교사의 협력’ 측면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으며, ‘동료 교사 및 학교 관리자의 협조’, ‘교사 개인의 노력’ 등의 노력으로 어려움을 극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을 종합해보면 초임 기술 교사의 성공적인 교직 적응을 위해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연수를 제공함으로써 연수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고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초임 기술 교사들의 역량을 펼칠 수 있는 협조적인 교직 문화와 교과지도 및 생활지도를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의 확충이 필요하다. The goal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novice technology teachers and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and the solution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imultaneous research design method among mixed research methods was used, and an on-line survey was distributed to new technology teachers nationwide. The novice technology teachers selected for the study were technology teachers with less than 4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were composed of teachers firstly assigned to the school site from 2018 to 2021. For quantitative data collection, this study employed instruments composed of items asking about the teaching efficacy. In addition,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by the open-ended questions regarding the difficulties and solutions associated with subject teaching, guidance, and administrative work of novice technology teachers. As a result, novice technology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lass planning , practicum environment , colleagues , and students in subject teaching, and they made efforts like improving professionalism , class planning , and practice opera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In terms of the guidance,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students , various students , guidance methods , friendship guidance , and they made efforts like class management , relationships with fellow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 class management efforts ,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o overcome the difficulties. Lastly, for administrative work,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terms of work burden , work immaturity , and colleague .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apply the contents learning in the training to the actual classes and receive feedback by providing continuous training for successful adaptation to the teaching profession for new technology teacher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that can support the cooperative teaching culture.

      • KCI등재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김담영(Kim, Dam-Young),고영미(Go, Young-Mi)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20 한국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이 어떤 관계가 있으며, 교사와 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과, 원장의 감성리더십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와 부적상관을 보인 반면,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표면적 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전체 및 하위요인인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은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행동이 가장 영향을 미친 반면, 부모와 관련된 어려움과 어린이집과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부모와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자기관리능력이, 어린이집과 관련된 어려움은 원장의 관계관리능력이 가장 영향을 미쳤다. 이 같은 결과는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을 줄이고 원장의 감성리더십을 높이는 것이 교사가 부모와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감소해가도록 지원하는 효율적 방안이 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labor,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and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influence of such emotional labor and emotional leadership on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childcare teachers,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hroug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natural behaviors and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eachers’ surface behavior. Secon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overall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the sub-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s themselves was their own natural behaviors, which was one of the subfactors of their emotional labor. Additionally, the principals’ self-management competency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both parents’ difficulties and the center difficulties. Specifically, the principal’s self-management competency had an influence on parents’ difficulties and their relationship management competency had on center difficul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ducing the teachers’ emotional labor and increasing the principals’ emotional leadership is an effective way to reduce the difficulties in teachers-parent communication.

      • KCI등재

        교사특성에 기초한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 및 어려움

        정효진 ( Hyo Jin Jeong ),정정희 ( Chung Hee Chung ),홍희주 ( Hee Ju Hong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3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특성에 기초하여 현재 레지오 접근법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관심사와 레지오 교사로서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현재 레지오 접근법을 실천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레지오 교사교육을 받고 있는 서울·경기, 대구·경북, 부산·경남지역 유치원 교사 185명이다. 첫째, 레지오 교사들이 가장 관심이 있다고 지각한 범주는 ‘강화관심사’였으며, 다음으로 ‘생존관심사’, ‘성숙관심사’, 가장 낮은 관심을 보인 범주는 ‘갱신관심사’로 나타났다. 둘째, 레지오 교사의 관심사는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강화관심사’를 제외한 관심사 범주에서 학력 집단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지오 교사들이 가장 많은 어려움을 느끼는 범주는 ‘시간운영’이었으며 다음으로 ‘대인관계’, ‘프로그램’, ‘능력개발’, ‘제도 및 시설’, 가장 낮은 어려움을 보인 범주는 ‘생활지도’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레지오 교사의 어려움은 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학력에 따라 어려움 하위범주, 즉 ‘프로그램’, ‘제도 및 시설’ 범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레지오 교사들의 관심사와 어려움에 대한 논의는 레지오 교사들을 이해하고 어려움 해소를 위해 함께 고민하며 그들이 좀 더 교육에 몰입할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의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eacher concerns and difficulti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who are using the Reggio Emilia Approach and to enable us to understand teachers and find out some meaningful differences. Some of the research questions are shown below in this study. 1. What is the tendency of the perceived concerns of the Reggio teacher? 2. Are teachers` concern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3. What is the tendency of the perceived difficulties of the Reggio teacher ? 4. Are teachers` difficulties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of all, Reggio teachers are most interested in , that the perceived category was ``reinforced concerns``, followed by ``survival concerns``, ``maturity concerns``. ``Renewed concerns`` category showed the lowest number of concerns. Secondly, teachers` concerns about the difference depending on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showed differences based on educational background, but not based on career. Third, Reggio teachers feel the most difficult category was ``hour`` and ``living map`` category showed the lowest difficulty. Fourth, when it came to the difference of sub-categorical difficulties depending on career and educational background, the analysis showed beginning teachers recognized much more difficulty in guidance counseling.

      • KCI등재

        초등교사의 "국어수업 어려움" 유형에 따른 교사교육 개선 방안

        김주영 ( Joo Young Kim ) 국어교육학회 2012 國語敎育學硏究 Vol.44 No.-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가 국어수업을 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겪는지를 살핌으로써 교사교육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수업을 하는 실천 장면인 교실 수업을 대상으로 ``국어수업 어려움``이라는 탐색의 틀을 통해 초등교사가 국어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의 유형을 살펴보고, 각 유형에 따른 어려움의 발생 맥락과 원인, 교사의 대응을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초등교사가 국어수업에서 겪는 어려움은 ``드러난 어려움(Open Difficulty)``, ``잠재된 어려움(Blind Difficulty)``, ``감춰진 어려움(Hidden Difficulty)``, ``미지의 어려움(Unknown Difficulty)``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국어수업 어려움의 유형을 분석한 뒤에는 이를 근간으로 교사교육의 시기, 형태, 내용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그 동안 국어수업 개선이나 교사의 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이 이론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을 감안할 때, 이 연구는 수업 현장과 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초점을 두어 교사가 경험하는 국어수업의 실제적인 어려움을 바탕으로 교사교육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examining the improving methods of teacher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what teaching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class are exist. In this paper, we have examined the types of difficulties in the teacher`s Korean language class through the searching flame which is called ``Teaching difficulties in Korean Language Class.`` The occurrence context and caution of the difficulties according to each type and the teacher`s responses were explored through qualitative case studies. We have found that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Korean language class include ``Open Difficulty``, ``Blind Difficulty``, ``Hidden Difficulty``, and ``Unknown Difficulty``. From the analysis of difficulty types of Korean language class, we proposed improve method for time, form and content of teacher education. In the meantime, development plans for improving Korean language clas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have been studied in theoretical perspectives. This research, however, provide meaningful proposal of improving plan for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real difficulties in the class and teacher`s knowledge.

      • KCI등재

        유아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초임교사와 경력교사의 주관적 이해 분석

        이승은 ( Seung Eun Lee ),서현 ( Hyun Seo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이 교사 경력에 따라 다를 것에 관심을 갖고, 유아교사들이 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며 겪는 어려움에 대한 주관적인 의견을 바탕으로 어려움의 인식유형을 분석하고, 그 특성에 따라 초임교사 및 경력교사에 적합한 지원 및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해 Q-연구방법론을 사용하여 초임교사 15명과 경력교사 17명 등 총 32명의 유아교사들에게 48개 문항으로 구성된 Q-set을 분류하게 하고 교사로서의 어려움에 대한 인식을 유형별로 나누어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제 1유형의 교사들은 불규칙한 퇴근시간, 과다한 잡무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열악한 상황에 지배받는 초임·경력교사 혼재형``으로 명명하였다. 제 2유형의 교사들은 교수 실제의 기술적인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인식하고 있어 ``유아 특성 이해 부족과 교수 경험 부재의 초임교사형``으로 명명하였다. 제 3유형의 교사들은 교수경험은 풍부하나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프로그램 및 교수자료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원활한 프로그램 지원 요구의 경력교사형``으로 명명하였다. 제 4유형은 교사직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낮고, 개인 내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개인갈등과 협력 부족의 경력교사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어떤 어려움을 느끼는지 알아본 것은 유아교사를 위한 적절한 지원 뿐 아니라 전문적 성장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prototyp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ubjective understanding about difficulties in the job performance. The Q-methodology was us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among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32 participating beginning teachers and experienced teachers sorting 48-items of the Q-sample. After analysing the individual teachers` subjective understanding, th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Type 1: Average teacher type who were pushed by bad environment, so named because these teachers were in trouble with doing miscellaneous work, irregular closing hour, and so on. Type 2: Beginning teacher type who were insufficiency of teaching experiences and knowledg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so named because these teachers were in difficulties with technical aspects of teaching practices. Type 3: Experienced teacher type who were in need of supporting educational programs and materials, so named because these teachers had abundant experiences in the field but, they realized the in sufficient of the programs and materials. Type 4: Experienced teacher type who were experienced inner conflict and were in need of close collaboration with fellow teachers, so named because these teachers felt dissatisfaction with teaching performances and were troubles with inner conflicts. In Conclusion, if teaching development program for beginning and experienced teachers, based on this study`s results, were developed, it would be not only appropriate support, but also professional growth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한진원(Han, Jin-W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5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을 알아봄으로써 교사-부모 의사소통의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및 인천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25명이었으며 2019년 7월 30일부터 8월 6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연령, 경력, 기관 유형, 결혼 및 자녀 유무에 따른 의사소통 유형에는 차이가 없었고, 유치원 교사의 경력, 학력, 기관 유형, 자녀 유무에 따라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중 ‘사려형’의 교사들이 ‘지원형’ 교사들에 비하여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 중 교사 관련 어려움이 더 크게 느끼고 있었다. 셋째, 의사소통 성향 중 ‘사교성’ 점수가 높을수록 교사-부모 간 의사소통에서 교사와 관련된 어려움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교사 관련 어려움이 높아질수록 부모 관련 어려움과 기관 관련 어려움 역시 높아졌다. 이에, 유치원 교사의 의사소통 유형 인식의 중요성과 이를 보완하는 교사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reparing efficient training plan for teacher-parent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difficulty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ommunication type of kindergarten teacher. A total of 225 teachers from kindergartens located in Inchon and Gyeonggi areas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July 30 to August 6, 2019.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no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type depending on background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ifficulties of teacher-parent communication depending on the teacher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institutional type, and having their own children of kindergarten teachers. Second, among the communication types, the teachers of ‘reflective style’ felt more difficulties 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than the teachers of ‘supportive style’. Third, the higher sociability among the communication tendencies, the low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and as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er appeared within teacher-parent communication get higher, the difficulties related to parent and institute also got higher. Finally, the importance of kindergarten teacher‘s awareness of communication type and the necessity of teacher educa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는 어려움

        홍재영 국립특수교육원 2017 특수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가 교육을 하면서 겪는 경험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면서 겪는 교사의 어려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각중복장애학생에 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교사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귀납적 분석 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 전문성과 관련한 어려움은 ‘수업 계획’, ‘수업 실행’, ‘행동 지원’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개인 내적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 내적 갈등과 관련한 어려움은 ‘학생에 대한 낮은 기대’, ‘자신의 자질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는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 환경과 관련한 어려움은 ‘지원 체계의 부족’, ‘협력 체계의 부족’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각중복장애학생을 가르치는 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개선하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educat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Three teachers who taught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s, which were then transcribed and used as data in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The study found that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with teacher professionalism, including class planning, instructional practice, and behavioral support; personal inner conflicts, including low expectations of the students and feelings of inadequate teacher qualification; and their educational environments, including the lack of a support system, cooperation system. This study may help identify the difficulties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experience, and the results may suggest solutions for these difficulties. The study may als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ther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