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수업에서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에 대한 질적분석 연구

        문지윤(Moon, Giyoon),김병찬(Kim, Byeongchan)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들의 구체적인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실제적인 교육현장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모습의 특징과 의미를 탐구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동료 교사로부터 교사리더십이 있다고 추천받은 중학교 교사 8인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연구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에서 교사리더십을 발휘하는 교사들은 수업 도입 과정에서의 리더십으로 씨 뿌리기, 관계 만들기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전개 과정에서의 리더십은 “공간” 만들어주기, 같이하게 하기, 주인되게 하기의 모습으로 나타났으며, 마무리 과정에서의 리더십은 반복해서 채워주기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 과정의 특징은 도입 과정에서 학생과 친밀한 관계형성을 하고 있었으며, 전개 과정에서는 적극적인 학생 참여를 촉진하고, 학생과 든든한 동행을 하며 상호작용을 하였다. 마무리 과정에서는 투철한 책임의식을 보여주는 특징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업에서 교사리더십 발휘는 수업전문성의 확대를 의미하며, 이는 기존에 논의되었던 수업전문성만이 아닌 수업전문성의 영역을 넓혀 교사리더십이 동반되어야 함을 말한다. 또한 수업에서의 교사리더십 발휘는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의 교사 역할 인식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의미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중학교는 과정중심평가와 절대평가를 실시하므로 여러번의 기회를 주어 학생을 편안하게 해주는 등 중학교 교사에게 주요하게 드러나는 교사리더십 모습이 있었다. 본 연구는 교사리더십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해주며 기존의 수업전문성 개념을 확대하여 교사리더십의 필요성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and its meaning of teacher leadership displayed in actual classes by examining sequences and processes of specific teacher leadership display of teachers who actually said to display teacher leadership in their classrooms. For this purpose, eight middle school teachers recommended by their colleagues for their teacher leadership display were chosen for this study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minist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ported that teachers who display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tend to exercise their leadership during introductory phase of the class through seeding and building relationships. During its development phase, leadership were displayed in forms of making space, encouraging students to engage in group activities and assisting students to take ownership. Lastly, during the wrap-up phase, leadership was displayed by filling students’needs repeatedly.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display process of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during the introductory phase, teachers worked hard to build friendly and close relationship with students; whereas, during its development phase, teachers actively encouraged students’participation and formed close bond with active interactions. Lastly, during the wrap-up phase, teachers exhibited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towards their students. Third, displaying teacher leadership in classroom refers to an expansion of teaching competence; accompanying teacher leadership that goes above and beyond the known aspects of teaching competence. Moreover, regarding teacher leadership display in classroom, it refers to teacher’s role awareness withi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s well as interactions. Lastly, a certain meaningful characteristic was examined from the middle school teachers. The present study shed lights on understanding what teacher leadership is and holds significance as it expand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e; going further from the previous findings and suggesting its need. Lastly, there were certain characteristics that were examined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ir teacher leadership.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hed lights on understanding what teacher leadership is; and expanded the concept of teaching competence by going further from the previous findings; and lastly, it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acher leadership.

      • KCI등재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

        한재민,이윤식 한국교원교육학회 2013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0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 의 수업전문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이 연구를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이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효능감도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 교사효능감, 교사의 수업전문성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은 직접적으로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고 있지 않았으나 교사효능감을 매개로 유의미 한 총효과가 나타났으며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력별로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의 경우에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교사 집단 과 20년 이상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경력 10년 이상 20년 미만 교사 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 를 나타냈다.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동이 교사의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과 10년 이상 20년 미만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20년 이상의 교사 집단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냈다. 수석교사의 수업장학활 동이 수업전문성에 미치는 총효과는 10년 미만의 교사 집단에서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 KCI등재

        중학교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교사신뢰, 수업몰입의 구조적 관계

        박지흠(Ji-Heum Park),박종률(Jong-Lyoul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칭리더십의 개념을 학교체육에 도입하여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이 교사신뢰와 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코칭리더십과 수업몰입 간의 관계에서 교사신뢰가 매개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S시 8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생 400명을 대상으로 372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등 21부를 제외한 35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SPSS 2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9.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을 적용하였다. 결과 첫째,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은 교사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신뢰는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리더십은 수업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신뢰는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수업몰입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체육교사의 코칭리더십과 학생들의 교사신뢰, 수업몰입이 서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관계가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코칭리더십이 학교체육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며, 학생들의 교사신뢰와 수업몰입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생들을 지도하는 체육교사에게 올바른 리더십과 지도방법에 대해 참고자료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concept of coaching leadership into school sports to ex-amine ho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aching leadership affects teacher trust and class attitude, and to verify whether teacher trust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lass flow. Methods To this end, 372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from 400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8 middle schools in S City, and 351 copies, excluding 21 copies, including questionnaires that responded faithfully, were used for analysis. Techn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applied using the AMOS 29.0 program.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oaching leadershi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 trust. Second, teacher trus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ss flow. Third, coaching leadership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lass flow. Fourth, teacher trust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aching leadership and class flo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aching leadership, students' trust in teachers, and class flow have a positive effect on each other, which means that coaching leadership can also be applied in school sports and can help students improve teacher trust and class flow. In addition, it can be presented as a reference for the right leadership and guidance methods t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who guide students.

      • KCI등재

        유아교사가 인식한 기관풍토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 중심으로

        김가윤,박희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여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위한 방향을 모색한다. 방법 이를 위해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를 살피고, 둘째, 유아교사가 인식한기관풍토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기관풍토, 교사수업리더십, 교사-유아 상호작용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기관풍토,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수업리더십 매개효과는 완전매개 역할을 하였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수업리더십을 매개로 한 기관풍토가 중요함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

        김 현(Kim, Hyun),강경석(Kang, Kyung-Se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 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수업활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과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공분산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SA)을 실시하였는데,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 교사학습공동체, 교사수업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최종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수용 가능한 수준이었다. 공분산구조방정식 모형에 따른 최종 모형의 구조적 관계 분석 결과에 의하면,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학습공동체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수업활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분산적 리더십은 교사수업활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교사학습공동체를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분산적 리더십이 교사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학습공동체가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분산적 리더십을 실행함에 있어서 교사학습공동체에 대한 관심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distributed leadership,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nd teaching activity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verified the hypothetical structural model, and analyz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and teachers’ learning community on teaching activity. In order to verify hypothesized model fit and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the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using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positivel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affects teaching activity positively. But, distributed leadership does not affect teaching activity direct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distributed leadership affects teaching activity indirectly by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n conclusion, teachers’ learning community serves as a positive mediator to the effects of distributed leadership on teaching activity. Th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learning community is very important factor in implementing distributed leadership at elementary school.

      • KCI등재

        포토보이스를 활용한 밀레니얼 세대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인식

        서시연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1 Global Creative Leader Vol.11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and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using the photovoice method. Participants in the study are five teachers from the millennium generation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onging to S City Office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Daily teacher leadership and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were perceived differently. ‘Being determined', ‘wide attention and rich communication', ‘promoting growth for individual students’, and ‘waiting' are recognized for daily teacher leadership, and ‘creating', ‘narrow-minded attention and limited communication', ‘detailed planning’, and ‘careful, continuous, and lots of guidance' are recognized for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Factors promoting online class teacher leadership were presented such as controllable variables and rationalization, cooperation among teachers, participation and cheering of students, and factors impeding were pointed out such as uncontrollable variables and regrets, ceaseless and never-ending meetings, a drop in parents' confidence in teachers, and a drop in teachers' confidence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bject and the area of teacher leadership have changed in the context of online classes, that teachers’ attention and communication are concentrated on underprivileged students, that teacher leadership is characterized as a millennial generation, and that there are both already improved problems, and remaining problems relating TO online classes. 본 연구에서는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교사리더십 및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참여자는 밀레니얼 세대에 해당하는 A시 교육청 소속 초등교사 5명이다. 연구결과, 일상의 교사리더십과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은 다르게 인식되었는데, 일상의 교사리더십은 ‘정해진 일을 하는 것’, ‘폭넓은 관심과 풍부한 소통’, ‘개별 학생의 성장 도모’, ‘기다림’으로, 온라인 수업의 교사리더십은 ‘만들어 가는 것’, ‘지엽적인 관심과 제한된 소통’, ‘꼼꼼한 계획 수립’, ‘세심하고 지속적인, 많은 안내’로 인식되었다. 또한, 온라인 수업 교사리더십을 촉진하는 요인으로는 ‘통제 가능한 변수와 합리화’, ‘교사 간 협력’, ‘학생들의 참여와 응원’ 등이 제시되었고,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통제 불가능한 변수와 아쉬움’, ‘끊임없는, 끝나지 않는 회의’, ‘학부모의 교사에 대한 신뢰 하락’, ‘교사의 교육부에 대한 신뢰 하락’ 등이 지적되었다. 이상을 바탕으로 온라인 수업 상황에서 밀레니얼 교사의 교사리더십 발휘 대상과 발휘 영역이 변화하였다는 점, 이들의 교사리더십에 밀레니얼 세대로서의 특성이 잘 발휘된다는 점, 교사의 관심과 소통이 소외된 학생에게 집중된다는 점, 온라인 수업과 관련하여 이미 개선된 문제도 있지만, 여전히 남아 있는 문제가 있다는 점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아동의 임파워먼트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의수 ( Eui Soo Lee ),장성화 ( Sung Hwa Jang ),이주연 ( Ju Yeon Lee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아동의 임파워먼트와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4~6학년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척도의 신뢰도 분석,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인 훈련과 지시,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긍정적 피드백과 아동의 개인내적 임파워먼트, 대인관계 임파워먼트, 체육환경 만족도를 교수행동 만족도, 운동능력 만족도, 체육성적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체육전담교사의 권위적 행동 리더십과 개인내적, 대인관계 임파워먼트, 수업만족도와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아동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긍정적 피드백 리더십이 아동의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와 대인관계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리더십 유형이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초등 체육전담교사의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긍정적 피드백 리더십 수준이 체육환경 만족도, 교수행동 만족도, 운동능력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리더십, 긍정적 피드백 리더십 수준이 아동의 체육성적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type on children`s empowerment and class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study, for 210 children in grades 4~6 in elementary school,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and using SPSS 17.0 Softwa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As a result, first,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type and children`s empowerment(personal empower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owerment) and class satisfaction(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behavior, exercise ability, physical education grade). Second,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leadership type turned out to affect children`s persona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mpowerment. Lastly, the leadership type turned out to affect children`s class satisfaction(physical education environment, teaching behavior, exercise ability, physical education grade).

      • KCI등재

        변혁적 리더십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

        박새롬(Pak Sae-ro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7 사회과교육 Vol.56 No.2

        사회과 수업은 교사와 학생 간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실행되고 이 과정에서 본래 목표로 설정하지 않았던 다양한 시민교육적 결과들이 나타난다. 이에 따라 교사는 시민 교육의 전문가로서 이러한 상황들을 인식하고 대비해 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민교육적 맥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내용 요소를 구체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Bass(1985)의 변혁적 리더십 개념을 활용하여 사회과 수업 전문성의 의미와 구성 요소에 대해 구체화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수업 전문성은 수업 내적 설계 및 실행 외에도 환경적 요소를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통제하는 전문적 행위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포괄해야 하며, 학습 공동체의 리더로서 요구되는 전문적 자질을 검토하고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과 교사는 변혁적 리더십과 같은 시민성 교육에 효과적인 리더로서의 역량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리더십이 체계적으로 발휘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효과적인 수업을 설계 및 실행하는 데 필요한 이론적 지식을 검토 및 구성하며, 실천적 행위 및 반성적 성찰을 통하여 자신만의 실천적 지식을 생성하고 리더십 역량을 강화시켜 나가야 한다. 이러한 논의는 사회과 수업 전문성 논의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지식, 기능, 가치태도 등을 교육시키는 데 필요한 전문적 지식 중심으로 구성되는 데서 나아가 제시된 목표 그 이상의 시민교육적 목적을 추구해나가기 위한 전문적인 자질 등으로 발전되어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어 토대가 된다. Social studies lessons are based on constant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in which process various outcomes not included in the original list of goals emerge in terms of civic education. Teachers are thus required to recognize and prepare for such situations as experts on civic education. Under the goal of materializing the content elements of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to cope with the contexts of civic education effectively, this study set out to specifically examine the meanings and components of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by adopting Bass(1985)"s concep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should include concrete discussions about professional acts to organize and control environmental elements in and outside lessons effectively in addition to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inside lessons. It is thus needed to review and develop the qualifications required from the leaders of civic education community in addition to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introspection required in lesson design and implementation. Secondly, social studies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ir capabilities as effective leaders for citizenship education such a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For effective leadership, they review and reorganize the theoretical knowledge needed to design and implement lessons proper for leadership, and work on the creation of their own practical knowledge and reinforcement of their own leadership capabilities through practical actions and reflective introspection. Those discussions will form a foundation for professionalism in social studies lessons to become the center a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needed to teach the knowledge, functions, and value attitudes proposed in the curriculum and further to develop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 to pursue the goals of civic education beyond the objectives proposed in the curriculum.

      • KCI등재

        중학생이 인식하는 여성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지도행동유형이 체육교사신뢰와 체육수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최민희(Choe, Min-Hee),김용은(Kim, Yong-Eun),김준(Kim, Jun)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021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Vol.34 No.2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식하는 여성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과 지도행동유형이 체육교사신뢰와 체육수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대상자는 S특별시 소재 중학교에 근무하는 여성체육교사의 체육수업을 경험한 중학생 29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비확률 표집방법(non-probability sampling)중 하나인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278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인구통계학적 특성, 감성적 리더십, 지도행동유형, 교사신뢰, 체육수업선호도로 총 7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통해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인식하는 여성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은 체육교사신뢰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여성체육교사의 감성적 리더십은 체육수업 선호도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여성체육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은 체육교사신뢰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여성체육교사의 지도행동유형은 체육수업 선호도에 부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e if there is a substantial cause and effects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emotional leadership, instruction styles and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trust in teachers and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conduct this research, we have selected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sidence in S Metropolitan City as subjects, and we have used convenience sampling, which is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o analyze valid sample date of 278 people. The measurement tool was a questionnaire, and it consisted of a total of 75 questions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motional leadership, instruction styles, teacher trust, and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emotional leadership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emotional leadership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the instruction styles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had a partially positive effect on the trus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urth, the instruction styles of femal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eferenc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es.

      • KCI등재후보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조직문화, 학교장의 수업리더십, 학교만족도, 수업개선활동 간 구조적 관계

        박효인,장민경,김효선 고려대학교 HRD정책연구소 2023 휴먼웨어 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조직문화와 학교장의 수업리더십이 학교만족도를 매개하여 수업활동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6차 패널자료에서 중학교 교사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AMOS 24.0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학습조직문화가 활발하고, 학교장의 수업리더십이 강하다고 인식할수록 학교만족도는 향상되며, 학교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개선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만족도는 학습조직문화와 수업개선활동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학교장의 수업리더십과 수업개선활동 간 관계에서 학교만족도는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수업개선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방안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ganization culture, principals’instructional leadership, school satisfaction teachers percieved culture, and the participation of instructional school effectiveness. To pursue it, we used the panel dat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e of principals’ leadership, teachers’ culture, and school effectiveness through the latent growth model analysis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teachers’ learn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influenced school satisfaction, and also the school satisfaction improve positively the teachers’ participation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in Seoul. Second, the school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mediator between school teachers perceived and their participation in instructional improvement activities. Third, the school satisfaction was also a mediator between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 and the activities of instruc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s and future limitation were outl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