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ㆍ中 敎育交流에 관한 硏究

        李康子 동양고전학회 2007 東洋古典硏究 Vol.28 No.-

        한중 교육교류는 오랜 역사와 전통을 유지해왔다. 20세기 들어 한때 정치적 이념의 차이로 양국의 관계가 소원해지기도 했다. 그러나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세계정세의 변화, 그리고 한국의 정치경제적 변화를 통하여 한중 관계는 다시 과거처럼 밀접한 관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그러나 과거 한중 전통교육의 역사에 비해 한중 교육교류에 대한 연구는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첫째, 중국과의 교육적 교류가 형성된 시기부터 현재까지 한중 교육교류과정을 이해하고 향후 한중 교육교류의 방향 및 이러한 교육교류가 지니는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중국의 교육이 한국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한국에서 어떻게 토착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교육의 자주성에 비추어 시대마다 어떻게 교육교류가 이루어졌는지 살펴보았다. 넷째, 향후 한중 교육교류에 대한 교육사적 고찰을 통해 한중 교육교류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모색해보았다.과거 한중 교육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음을 나타내는 교육요소가 곳곳에 남아 있다. 이는 한국과 중국이 서로 많은 교육적 공감대를 가지고 있었음을 말한다. 시대적정치적 영향에 따라 교육내용이나 교류의 방법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서로 오랫동안 교육교류가 있었음은 명확하다. The China-Korea educational exchange has enjoyed long history and tradition. In the 20th century, however,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became strained due to differences in political ideologies. Thanks to the introduction of reform and market opening policy in China and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political climate and Korean economy and politics, however, China and Korea have reestablished friendly ties. Still, studies on the China-Korea educational exchange failed to do justice to the glorious history and tradition of such relationship. This study sought to trace the history of the China-Korea educational exchange and to present the future direction of such relationship as well as its significance. Specifically, the author looked into the effects of education from China on Korea and how it became institutionalized in Korea. Efforts and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onal exchange were also analyzed vis-��-vis the educational demands and needs of each period to address the issue of educational independence. Finally, suggestions 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hina-Korea educational exchange were mad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assessment of its history. There is undeniable evidence of the active educational exchange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past. This suggests that the two countries have shared many common areas in education. Though the contents and method may vary due to the periodic and political effects, the two countries have undoubtedly engaged in educational exchange for a long time.

      • KCI등재

        교류분석 상담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상호보완 가능성

        권요셉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omplementary potential of literary therapeutics and transactio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similarities are : First, relationships, especially family relationships, form the foundation of life script in transactional analysis and self-narrative Jeong Un-Chae describes narrative as ‘epic’ but here just narrative. in literary therapeutics. Second, symptoms of both life script and of self-narrative are generally caused by either too much or not enough repetition behavior and unconscious formation of emotion due to family relationships. Third, the essences of both parent ego and parent-narrative incorporate nurture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directive nurture and protective nurture. Fourth, the essence of both child ego and child-narrative are adaptiv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 free and adaptive. Fifth, therapeutic processes of transactional analysis and literary therapeutics are very similar. That is ‘➀ self-distancing from life script and self-narrative ➁ finding elements to be modified, and ➂ creating new possibilities for fresh self-narrative’. Despite of their similarities, there a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m : First, in transactional analysis, a counselor intervenes in the life script of his or her counselee and in literary therapeutics, works of literature and self-narrative are applied by the counselor to the self-narrative of the counselee. Second, adult ego in transactional analysis mediates between parent ego and children ego rationally but in literary therapeutics, there is no concept of an adult ego. ; rather, all narratives in literary therapeutics can be integrated into one ego. Third, according to the mode of human relations, literary therapeutics are classified into four narrative groups, dividing narrative, pushing narrative, recover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the concepts of pushing narrative or recovering narrative but focuses instead on dividing narrative and protecting narrative. Fourth, literary therapeutics includes the concepts of choice in man’s and women’s narratives, and the concepts of endurance in the narrative of wives and husbands. Transactional analysis does not include any similar concep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study of the existential aspect of transactional analysis can influence literary therapeutics and the study of the narratives of literary therapeutics can influence transactional analysis. 이 논문은 교류분석과 문학치료학을 비교 연구함으로 문학치료학의 실증성 및 보편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두 학문의 상호보완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류분석의 인생각본을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와, 교류분석의 세 가지 자아 개념을 문학치료학의 네 가지 서사 개념과, 교류분석의 재결정이론을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와 비교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슷한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의 인생각본도 문학치료학의 저기서사도 인간관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특히 가족과의 관계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인생각본도 자기서사도 한정된 인간관계를 통해 습득된 과하거나 부족한 자기만의 행동과 감정이 삶에서 반복되어 증상을 유발하며 이렇게 반복되어 나타나는 인생의 시나리오 패턴을 스스로는 발견하기 어렵다. 셋째, 교류분석의 부모자아와 문학치료학의 부모서사는 모두 양육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이 양육은 지시적 양육과 보호적 양육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넷째, 교류분석의 아이자아와 문학치료학의 자녀서사는 모두 순응이라는 공통적인 주안점을 갖고 있으며 순응하지 않으려는 시나리오와 순응하려는 시나리오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진다. 다섯째, 교류분석의 재결정 개념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의 길내기 개념은 모두 새로운 시나리오를 각각 인생각본과 자기서사에 만들어 가는 것을 치료의 개념으로 삼는다. 재결정과 서사의 길내기 모두 ‘자기 시나리오를 거리두고 보기–문제를 발견하고 수정요소 찾아내기–새로운 시나리오 만들어가기’의 순서를 갖는다. 다른 점으로는, 첫째, 교류분석은 상담자가 직접 내담자의 인생각본에 개입해야 하는 반면에 문학치료학은 작품서사와 상담자의 자기서사가 내담자의 자기서사에 개입한다. 둘째, 교류분석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언급되는 어른자아는 부모자아와 아이자아를 균형 있게 조율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자아이다. 문학치료학에서는 어른자아의 역할을 하는 개념이 없고 부모, 자녀, 부부, 남녀 서사가 한 자아로 형성되었다고 간주한다. 셋째, 문학치료학에는 인간관계 방식에 따라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 되찾기서사와 감싸기서사가 있다. 교류분석에는 가르기서사와 밀치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은 있으나, 갈등하는 서사의 개념으로 나타난 밀치기서사와 되찾기서사에 해당하는 개념이 없다. 넷째, 문학치료학에서는 자기서사 개념을 규정하는 의미로서 양육과 순응 외에도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도 필요하다고 보고 각각 남녀서사와 부부서사 개념을 사용하지만 교류분석에서는 선택과 지속이라는 개념에 해당하는 자아가 따로 없다. 비교한 결과, 두 학문의 유사성을 통해 문학치료의 보편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두 학문의 다른 점을 통해서는 서로 영향을 주며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보였다. 교류분석이 갖고 있는 존재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문학치료학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고 문학치료학의 지속과 상담자의 서사에 대한 연구는 교류분석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세대교류 증진을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배치 및 프로그램 연구

        양소영 ( Soyeong Yang ),조성우 ( Sungwoo Cho ),문정민 ( Jeongmin Mo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급격한 시대적 변화 양상으로 고령화, 가족해체, 개인주의 심화, 저출산 등의 사회문화적 변화가 일어났으며 아동과 노인을 위한 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세대교류의 첨예화가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공동주택 내 대부분의 커뮤니티시설은 각 세대에 따른 개별적 시설 구축만을 이루고 있으며 세대교류의 문제를 별개로 보고 있으나 이제는 이를 통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의 강구가 절실하다. 이에 본 연구는 세대교류의 관점으로 광주광역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배치현황과 프로그램의 구성현황을 살펴보고 향후 세대교류 증진을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 활용계획에 있어 개선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세대교류의 개념 및 유형을 파악 후 특성을 도출하며, 세대교류가 이루어지는 커뮤니티시설의 이해와 프로그램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대입하여 세대교류를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배치 및 프로그램 특성을 도출한다. 사례의 범위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내에 위치하여‘아파트 공동체 활성화’의 키워드로 검색 시 자료로 제공되는 공동주택단지 중 500세대 이상의 규모를 가진 단지 6곳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세대교류 증진을 위한 공동주택 커뮤니티시설의 특성을 기획교류(이벤트성, 활동성, 지원성)와 자주적 교류(접근성, 연계성)로 나눌 수 있었으며, 첫째, 기획 교류에서 이벤트성으로 일시적인 축제나 나눔 장터, 바자회 등 주민들에게 비일상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아동과 노인, 주민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참여 가능한 문화접촉의 기회를 증진시키는 공동의 행사가 구성되어야 한다. 또한 활동성으로 단지 내 소규모 공간을 활용하여 아동과 노인이 함께 탐구하고 흥미를 일으키는 텃밭, 요리, 신체놀이 등의 유희적인 체험 프로그램과 아동에게 전통문화 전수자로써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지원성으로 외부 기관과 연계하여 재능기부 및 봉사 프로그램으로 구성되거나 단지 내 자원봉사자로서 참여를 증진시켜 세대교류 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으로 이어져야 한다. 둘째, 자주적 교류에서 접근성으로 경로당과 어린이집은 단독건물 또는 한 곳으로 집중 배치하여 접근을 높여야 하며 물리적 수단인 벤치나 쉼터를 조성하여 자연스러운 만남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연계성으로 근거리에 위치하며 지속적인 활동을 지원하는 어린이놀이방이나 놀이터, 텃밭 등을 활용해야 하며, 경로당과 어린이집은 공간에 대한 이점을 살려 프로그램에 따라 유동적인 공간 활용으로 공간적 효율을 높여야 한다. (결론) 시대적 변화상으로 바라보았을 때 현 시니어(노인) 개념의 변화와 활동에 의해 아동과 함께 할 수 있는 커뮤니티시설이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점차적인 도입으로 제공돼야 할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Social and cultural changes such as aging and low birth rates occurred due to rapid changes in the period, and the demand for facilities and programs for children and the elderly increased. However, so far, most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complexes only constitute individual facilities for each generation, and now it is imperative to strengthen measures to enhance synergy by integrating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research for improvement in planning the use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s to enhance futur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by examining the status of community facilities and programs in apartments in Gwangju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s. (Method) In this study, the concept and type of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are identifi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derived based o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types of understanding and programs of community facilities wher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takes place are classified and substituted to derive the layout and program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 houses for generation exchange. The scope of the case was six apartments located in Gwangsan-gu, Gwangju, with a size of 500 or more of the apartment complexes provided as data when searched under the keyword of 'Activating Apartment Community'. (Result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facilities in apartments to enhance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could be divided into planning exchange and independent exchange. First, in planning exchanges, joint events should be organized to provide non-usual experiences to residents, such as temporary festivals, sharing places and bazaars, while promoting opportunities for free-participating cultural contact not only with children, the elderly and residents but also from outside. In addition, there should be a variety of entertainment programs that utilize small spaces in the complex as 'activity' to explore and interest children and to provide children with new experiences of traditional culture. As a 'support', it should consist of talent donation and volunteer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external agencies, and promote participation as a community volunteer, leading to continued support for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activities. Second, with the 'accessibility' of independent alternating current, the path party and daycare center should be concentrated in a single building or one place to increase access and provide a meeting by installing a bench or shelter. Also, children's playgrounds, playgrounds and gardens located on the basis of 'connectivity' and supporting continuous activities should be utilized, and nursing homes and nursing homes should utilize the advantages of space to enhance efficiency by utilizing flexible space according to the program.(Conclusion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changes in senior concepts and activities are likely to further increase community facilities that can be done with children, which need to be provided with the gradual introduction of space and programs.

      • KCI등재

        평창 동계올림픽 계기 남북 음악공연교류 분석

        하승희(Ha, Seung Hee) 한국대중음악학회 2021 대중음악 Vol.- No.27

        이 글은 2018년 진행되었던 남북 음악공연교류를 분석하여 남북 음악교류의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평창올림픽과 남북정상회담 계기로 진행된남북 음악공연 교류에서는 먼저 레퍼토리 측면에서 과거와 같이 통일노래 및계몽기가요의 주요 레퍼토리를 반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한반도문제의 다양한 변수들로 인해 음악교류 또한 불안정하게 진행되었다. 음악공연교류는 정상회담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급박하게 마련되었으며, 정치적 행사에 앞선 일회성 공연으로 지속성을 가지기 힘든 문제가 과거에이어 반복되었다. 북한체제 특성과 국가보안법의 존속에 따라 새로운 레퍼토리의대안이 어려운 점도 존재했다. 그럼에도 다양한 대중가요를 통해 남북관계를 재해석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었다. 향후 남북 음악공연교류에서는 공연교류의 궁극적인목적과 방향성을 설정하고 변화한 통일의 인식과 의미에 따라 교류의 새로운포맷과 메시지, 그에 따른 레퍼토리의 발굴이 필요하다. 음악공연교류가 정례적인 행사로 진행될 수 있는 방안마련과 함께 공연교류방식 외에 음악을 통한 다양한 교류방법을 모색하고, 일회적 성격의 공연에서도 대응이 가능하도록 구체적인가이드라인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남북문화예술 교류센터와 같은 종합 공간은 과거 교류들과의 지속성과 함께 발전 가능성을 모색할 수 있는 거점이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nd seek for new possibilities through the evaluation of the significant flow of the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as it has been progressed to the present time with the focus on the performance of the recent music exchange of South-North in 2018. Notwithstanding such fact, it is important to have the effort to re-iterate the South-North relationship by facilitating diverse popular music and selecting songs that may be construed under a broad spectrum for the implication of exchange. There is a need for new format and message as in the changed perception on unification and its implication, as well as the discovery of ensuring repertoires. And preparation of an exchange center as the comprehensive space for the exchange of culture and art by South-North to implement various studies and education, such as South-North Culture and Art Exchange Center for preparing such a process w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seek for possible development along with the continuity with the endeavors in the past exchange.

      • KCI등재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의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강현정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1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0 No.5

        이 연구는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에서 발생된 ‘쌍방향의 문화교환’과 ‘다자간의 문화횡단’을 주목하여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나타나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에서 보여지는 교류방식은 과거 국가 간에서 이루어졌던일방향의 국제문화교류와 차이가 있으며 그에 따라 변화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동등한 위치를 가진 주체로 가능해지는데 이 주체들은 문화행위를 주고받으면서 문화교환이 나타나고 문화행위뿐만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행위에 담긴 내적 의미의 교환까지도 주고받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더 나아가 한국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지속적인 쌍방향의 문화교환은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의 발전을 보여준다. 둘째,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다층적으로 이루어진 다양한집단이 문화교류를 통해서 서로 얽혀지면서 발생하게 된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지는 다자간의 문화횡단은 상호 간 소통하면서 새로운 공존의문화를 만들어 낸다. 이렇게 서로에 의한 공존의 문화가 만들어지면서 집단 간 영향을주고 실질적인 문화행위의 변화까지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에서 보여주듯이 민간영역의 국제문화교류는 문화교환에 대한 경험이 축적되고 반복되어 문화횡단의 양상으로 변화됨으로써 문화교환을 경험하는 사이에 문화횡단으로 이행된다. 이렇게 민간영역 한일문화교류에서 쌍방향의 문화교환에서 다자간의 문화횡단으로 연결되는 과정은 상호소통적인 관계가 단순히 문화교류뿐만 아니라 삶의 문화적 소통으로 확장됨으로써 이루어진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aspects of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by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at appears in cultural exchanges between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The current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iffers from the one-way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in various aspects in the past. First, in the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subjects in an equal position not only interchange cultural actions, but also actively interchange the inner meaning of the actions. Furthermore, in the case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a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t shows that the continuous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develops into a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Second, various multilayered groups are intertwined through cultural exchanges, resulting in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The Korean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created a new culture of coexistence as mutual communication occurred due to transculturation. This culture of coexistence by each other can be created and influenced between groups, resulting in substantial group changes. As shown by the Korean private cultural organization and the Utagoe movement in Japan,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in the private sector does not appear as a separation of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 and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Interactive cultural interchanges can occur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as they change into multilateral transculturation, and interchanges and crossings are mixed and intermediate.

      • 연구논문 : 『시경(詩經)』 "한혁편(韓奕篇)"을 통해 본 정략결혼(政略結婚)과 문물교류(文物交流) 연구

        엄광용 ( Gwang Yong Eom ) 한국문명교류연구소 2009 문명교류연구 Vol.1 No.-

        문명의 교류는 크게 인적 교류와 물적 교류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인적 교류 없이 물적 교류는 이루어질 수 없다. 사람의 왕래가 있어야만 그로 인한 물적 교류 또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한중 문명교류에 있어서 가장 오래된 사건은 『시경』 ``한혁편``의 ``한``과 ``서주``간에 외교전술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정략결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한``은 ``고조선``을 말한다. 즉 고조선과 서주는 기원전 9-8세기에 ``정략결혼``을 통한 문물교류의 물꼬를 텄으며, 처음에는 사신이 오고가는 ``관무역`` 형태를 유지하다가, 서주 멸망 이후 춘추시대로 접어들면서 ``사무역`` 형태로 바뀌어 활발한 무역 활동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시경』 ``한혁편``에 나오는 고조선(한)의 군주 ``한후``와 서주 선왕의 고종사촌 여동생 ``한길``의 ``정략결혼``은 한중 문물교류의 시발점이 되는 매우 중요한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당시에 이와 같은 ``정략결혼``이 이루어질 수 있었던 배경에는 서주와 변방의 사이(四夷) 간의 역학관계가 크게 작용하였다고 판단된다. 당시 서주의 사정은 급박하였다. 동·서·남·북 사방을 사이에게 둘러싸인 상황에서 내부적으로는 군주의 폭정으로 인하여 민심이 흉흉하던 때였다. 폭정의 원흉이었던 군주 여왕이 망명하고 나서 14년간 공화정이 실시되었고, 그가 죽고 나서 그의 아들 선왕이 즉위하였다. 그는 사이 중에서 가장 멀리 있는 ``동이``로 대표되는 고조선과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를 수립하여, 가까이 있는 서·남·북의 ``삼이``를 공략하는 이른바 ``근공원교`` 전략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하여 고조선과 서주는 ``정략결혼``을 통한 외교관계 수립하였으며, 이 사건은 관무역을 실시하면서 한중간의 문물을 교류하는 계기로도 작용하였다. 고조선은 주로 서주에 호랑이나 곰의 가죽인 문피를 수출하였으며, 서주에서는 견직물 종류가 고조선으로 유입되었다. 서주가 멸망하고 춘추시대가 되면서 제후들이 ``칭왕``을 하며 천하의 패권을 다툴 때 고조선은 연나와 제나라 등과 사무역 형태로 활발한 무역 활동을 펼쳤다. 크게 육로와 해로를 통한 무역로가 형성되었는데, 고조선은 문피를 주로 수출하였으므로 필자는 임의로 이 교통로를 ``문피로드``라고 명명(命名)하기로 하였다. 이 ``문피로드``는 실크로드의 연장선상에 있으며, 고조선을 위시한 한반도 지역과 중원대륙을 잇는 무역의 길로 정착되었다. The oldest accident in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is ``marriage of convenience`` occurred due to diplomatic tactics between ``Han`` and ``Western Chou(Seoju)`` of ``Hanhyeok Part`` of 『the Book of Odes』. Here, ``Han`` means ``Old Jeosun``. Namely, the Old Jeosun and Western Chou started cultural exchange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in the 9~8th century before Christ, and first, it maintained an ``official trade`` form that envoys came and went, but while it entered the Spring and Autumn Period after collapse of Western Chou, it changed to a ``private trade`` form and thus active trade activities had been carried out. It is judged that the dynamics between Western Chou and four frontier barbarian countries largely influence as the background that the ``marriage of convenience`` like this could be achieved at the time. The situations of Western Chou was urgent at the time. It was that the mind of people was internally agitated due to tyranny of a ruler in situations surrounded by four barbarian countries in four directions of the east, west, south and north. After the queen, who was a tyrant, exiled herself, a republican form of government was carried out for 14 years. And after the queen died, King Seon, her son, ascended the throne. He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with Old Jeosun represented as ``East barbarian country`` located most remote among four barbarian countries and attacked three barbarian countries of the East, South and North located near. With the background of this epochal situations, Old Jeosun and Western Chou established an diplomatic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of convenience``, and this case acted as a momentum that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China was carried out through execution of official trade. Old Jeosun usually exported leather(Munpi) of tigers or bears to Western Chou, and the silk fabrics of Western Chou were flowed into Old Jeosun. This ``Munpi Road`` is related to the Silk Road, and it was settled as a trade road connecting the Korean Peninsula Area including Old Jeosun to the continental midfield.

      • KCI등재

        한·중 간의 사회문화교류를 통한 양국의 발전방안모색

        하영애 한국동북아학회 2008 한국동북아논총 Vol.13 No.4

        Despite their historical and geographical conditions, Korea and China have experienced half century long severance in diplomatic relations due to formulated Cold War atmosphere after World War Ⅱ. This frozen environment caused blocking of mutual understanding and diverse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two countries, and this eventually has taken away chances of flourish of eastern culture. These two countries have well promoted exchange in the field of politics and economics for 16 years; however, societal and cultural exchanges are relatively sluggish. In this reason, constructive efforts from every field of life is preciously demanded in order to extend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The definition of exchanges refers to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integrating heterogeneous factors in the way of prospective perception and complementing lacking parts in the way of cooperation. What have two countries obtained through society and culture exchange activity and how this has been changed? The answers of these questions are never easy to get; however, we try to consider what kind of effect the exchange activity gives to the people of two countries in terms of life quality and psychological value.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iscovered positive aspects including reciprocal development, increas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fostering cosmopolitan and NGO spirit which was yield by different cultural creation. In other words, people of two countries have experienced reciprocal development through visiting each other's remains, goodwill visiting, language-culture study and so on. By promoting cultural exchanges, both countries could not only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nd sprite of cosmopolitan and NGOs which mean serving other people but also extend the network of youth, women, various civic organizations. These positive aspects of exchange development bring a rise of life quality with psychological value of people; however, we could not ignore the side effects of the exchanges : events cancelation, delay of plan execution, fraud related to the mutual understanding, escapade of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abroad. As a conclusion, I propose the ways of promoting cultural and societal changes such as increasing productivity of political support, developing and continuing programs to improve bi-language skill, promoting exchange of academic organizations related to women and furtherance of exchange foundation in order to grow vitality of society and culture exchanges. 한·중 양국은 역사적 지리적 요건에도 불구하고 세계 2차 대전 후의 냉전체제로 인하여 교류가 반세기 동안 단절되어 왔다. 이는 양국 국민간의 이해와 각종 교류촉진을 차단하였고 동양 문화창달을 저해하게 되었다. 교류활동의 당위성은 국가나 개인 혹은 집단이 상호교류활동을 통하여 이질적 요소를 발전적 측면에서 통합하여 상호 부족한 부분을 도와주고 있다. 본 논문은 한·중 양국이 수교 이후 사회문화교류를 통하여 무엇을 얻었으며, 각 국가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발전의 개념을 적용하여 양국 국민이 사회문화교류를 통해 생활향상, 참여증대, 세계시민의식 향상에 어떤 변화발전을 가져왔는지에 중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먼저 사회분야의 교류현황을 고찰하였는데 이는 인적교류, 학술·교육 관련교류, 우호도시교류, 여성관련 학술 및 단체교류와 문화·예술교류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다음으로는 양국의 상호교류에 대한 평가에서 긍정적인 부분으로 대학생, 여성, 중·고생 등의 양국의 언어경시대회와 각종 문화·예술 단체의 상호방문, 연주회, 전시회, 유적답사를 통해 각국의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한·중 양국관계는 학술, 세미나 등의 교류를 통해 의식증대와 특히 양국여성들은 세계4차 여성대회, 동아시아 여성포럼, ‘99서울NGO세계대회의 체험을 통해 여성관련 법규를 제정함으로써 ‘제도화’를 통한 여성의 지위향상,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하였다. 사회문화교류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책지원 및 교류의 생산성 증대, 양국의 언어실력향상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및 지속화, ‘동북아 여성네트워크’ 형성과 여성발전, 학술단체의 교류증진을 위한 기금 조성, 교류확대의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교류활동을 통한 인식변화와 삶의 질 향상, 둘째, 여성의 의식향상과 제도의 정착. 셋째, 학술·문화예술교류 증대로 동양 정신문화 승화, 넷째, 교류증대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문제점 분석으로 정리할 수 있다.

      •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간 인사교류 활성화 연구

        배정환,김종국 忠北大學校 社會大 社會科學硏究所 2011 사회과학연구 Vol.28 No.2

        중앙과 지방간의 활발한 인사교류는 중앙과 지방정부의 인재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비효율을 방지해나갈 수 있다. 중앙정부의 정책기능과 지방정부의 집행기능의 효율적인 조정과 통합을 위해 중앙-지방간 인사교류의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중앙-지방간 인사교류의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현재 중앙-지방간 인사교류 현황을 바탕으로 현재 나타나고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인사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또한 방안도출의 실효성을 증진하고자 인사교류 담당공무원 및 현재 인사교류자에 대한 AHP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사교류자의 인사교류시 불이익 해소, 지방고위공무원 Pool 운영, 교류자 주거편의 증진, 의견수렴제도의 인사교류 활용, 인사교류 장점의 홍보와 갈등해소와 관련된 방안을 제시하였다.

      •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 방안 연구

        김동성,신원득,최성환,정성희,문현미,김수란 경기연구원 2017 정책연구 Vol.- No.-

        본 연구는 향후 남북 교류와 통합의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 및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 도출을 주요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한국 중앙정부의 역대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와 함께 남북교류협력 추진의 의의와 필요성,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역할과 기능, 추진 실적, 성과와 한계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상기의 논의와 검토를 바탕으로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을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추진 기반 강화와 법제적 토대 구축이라는 양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즉,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추진 기반 강화 측면에서는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목표와 원칙 정립,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 거버넌스 구축,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의 주체적 위상 확립과 남북협력기금 지원 등을 논의 및 제안하였다. 법제적 토대 구축의 측면에서는 남북교류협력 관련 현행 법령과 제도를 검토하고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논의 및 제시하는 한편,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을 법제적으로 보장하는 가칭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의 제정 입법안을 제안하였다.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has been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is no longer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the central government alone.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sectors, along with the central government, should be counted as major actors i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their roles should be properly appreciated and promo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local governments of South Korea and provides some policy suggestions for expanding their roles and contributions i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This study first evaluates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successive South Korean central governments toward North Korea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peaceful and reunified Korean Peninsula. Then, this study examines the roles of local governments i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the last two decades and their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the expansion and promotion of local governments’ activity i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1) establishment of the goals and principles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shared by local governments, 2) creation of the governance system for mutual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3) official recognition of local governments as lawful and independent actors in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4) legislation of an act of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and Local Government’ which can legally guarantees and supports local government’s activities for inter-Korean exchange and coop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