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11 개정 실과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 비교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6 實科敎育硏究 Vol.22 No.1

        이 연구는 2011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 검정 실과 교과서의 ‘생활과 정보’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분석 준거는 단원의 배치와 쪽수, 단원 구성 체제, 학습목표제시 유무 및 유형, 학습내용요소, 단원보조 내용 및 활동, 체험활동, 평가이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통하여 몇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결과를 요약해 보면, ‘생활과 정보’ 단원은 1개 교과서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6단원에 배치되었고, 쪽수는 거의 비슷하였지만 쪽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와 가장 적은 교과서의 차이는 다소 있었다. 내용 측면에서 보면 내용 체제, 내용요소, 내용 제시 방식이 교과서 별로 차이가 있었다. 평가 측면에서 보면 평가하는 수나 유형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과서 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시한다면 첫째, 검정 교과서의 장점은 보다 창의적인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있다. 그러나 지나치게 차별성을 강조하다보면, 자칫 중요한 목표와 내용요소 등이 누락되거나 축소 될 수 있는 위험이 있기 때문에, 교육부나 검정심의위원회에서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여 교과서 개발 업체 간에 심한 불균형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정보 단원은 습득한 정보 지식과 기능을 일상생활에 활용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하기 때문에,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에 의해서 개발될 실과 정보 단원은 수렴형 평가 유형이 더 많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각 단원 별로 이와 같은 분석 연구가 조속한 시일 내에 후속 연구로 개발 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분석 연구는 일선 학교에서 교과서를 채택하거나 교재 연구 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difference of the units on ‘Life & Information’ in six Practical Arts Textbooks According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structure and page numbers. unit system, learning objectives, unit supporting materials, information quantity & quality, experience activity, contents element, ‘arrangement and evaluation,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content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number of title was not the same as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composition of units, there were three stages: introduction, development and wrapping up. The introduction and wrapping up stages were similar in terms of composition. The textbooks are similar external-structurally, but they have distinguishing specific contents with difference in contents structure and expression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various kinds of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aspects were discovered from textbooks. This researcher can prepare for the improvement plan in search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by textbooks.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statement and guidelines for object of curriculum so that a verity of textbook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abundant materials can be written from ang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ill be referred to in the following textbook.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기술 관련 영역’ 단원평가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3

        이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실과 교과서의 단원평가를 분석하여 향후 교과서 개발과 추 후 단원평가의 문항개발에 있어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 실과 교과서 총 12권 중 ‘기술 관련 영역’에 관련된 6개의 단원에 대한 단원평가를 양적·질적 분석하 였다. 분석의 준거는 실과 교과서 단원평가의 내용과 유형 분석, Bloom의 목표 분류기준에 따른 평가 문항 내용 분석, 성취기준에 따른 문항 내용 분석, Romey의 탐색적 평가지수 분석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평가의 문항 수가 가장 많은 교과서는 B, D, 가장 적은 것은 A 교과서로 나타났다. 단원평가 문항은 서술형이나 서답형보다는 수행평가에 관련된 유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15실과 교육과정 ‘기술 관련 영역’에 관련된 핵심개념 6개 중 평가 항목의 수가 가장 많은 것은 ‘혁신’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과교과는 단순한 지식을 평가하는 것보다는 심동적 영역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함에도, 인지적 영역을 더 많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 응’과 ‘지속가능’ 영역은 모든 교과서가 제시된 성취기준 영역에 해당하는 평가 문항이 있었다. 다섯째, Romey 지수는 ‘기술시스템’ 영역에서는 a, ‘기술 활용’ 영역에서는 d가 가장 높았다. 여섯째, 전체적으 로 보았을 때 Q 지수는 대부분 교과서가 바람직하지 않은 값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문항의 유형이 주관형 또는 수행평가의 비중이 높아진 점, 성취수준을 만족하게 하는 평가 문항이 많 은 점은 바람직하였으나, 다른 준거로 단원평가를 보았을 때는 여전히 만족할 만한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차기 교과서 개발 시 단원평가 문항의 질이 좀 더 개선되길 기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ss to analyze the unit evaluation of practical textbooks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textbook development and future unit evaluation questions. To this end, a total of 12 classroom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rs were analyz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for six units corresponding to the technology-related areas. The compliance of the analysis wa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and types of evaluation of practical science textbooks, analysis of evaluation questions according to Bloom target classification criteria, content analysis according to achievement criteria, and analysis of Romey's exploratory evaluation index.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xtbooks with the highest number of questions in the unit evaluation were found to be B and D textbooks, and the fewest were A textbooks. Unit evaluation questions were found to have more types corresponding to performance evaluation than descriptive or ordinal ones. Second, innovation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evaluation items among the six key concepts corresponding to 2015 rooms and technology-related areas. Third, practical courses have been shown to evaluate cognitive areas more, even though they need to be evaluated centered on the psychomotor area rather than simply assessing knowledge. Fourth, the adaptable and sustainable areas had evaluation questions corresponding to the achievement-based areas where all textbooks were presented. Fifth, the Romey index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as in the 'technical systems' area and the highest number of ds in technological utilization. Sixth, overall, the Q index showed that most textbooks were undesirab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desirable that the type of questions increased the proportion of subjective or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number of assessment questions satisfying the level of achievement was still insufficient.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hoped that the quality of the evaluation will be improved.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발명교육 내용 분석

        이영찬,김희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7 實科敎育硏究 Vol.23 No.1

        이 연구는 현행 초등학교 교과서의 발명교육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분석 대상이 된 교과서는 초등학교 5학년의 실과, 과학, 사회이었다. 교과서에 기술된 발명교육의 내용을 분석 준거를 바탕으로 단원별로 도출하였다.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을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각 교과에 제시된 발명교육 내용의 백분율과 그 분포 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과 교과서에서 도출된 발명교육 내용의 수는 44개이었다. 실과교과의 내용체계 중 가정생활(10개)보다 기술의 세계(34개) 영역에 발명교육 내용이 더 많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 교과서에 26개, 사회 교과서에서도 32개가 도출되었다. 둘째, 발명 내용 준거에 따라 실과, 과학, 사회 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분석된 발명 내용은 발명의 중요성,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이었다. 3개 교과에서 분석된 발명 내용의 수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순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분석된 발명 내용 영역은 실과 교과서에서 11개, 과학 교과서에서는 5개, 사회 교과서에는 7개가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는 사실은 다음과 같다. 발명교육 내용은 실과 교과서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11개의 요소가 모두 분석되었으므로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실시할 경우 실과 교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를 통합하는 형태가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발명교육을 범교과 학습의 형태로 운영하기 위해 적합한 주제는 인간 생활과 발명, 아이디어의 발상, 발명의 중요성 영역 순으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발명교육을 범교과 교육의 형태로 진행하는 데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s a prerequisite for fusing the subjects in order to practice the invention education as a interdisciplinary learning. Practical arts, Science, and Social Study, which were deemed to be related to the invention education were chosen. The contents of the 5th grade textbooks were analyzed according to analysis criteria, and they were recorded in the textbook analysis frame. The extracted cont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contents system, and the proportion and distribution degre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invention presented in each subjec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is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vention education - related learning elements in textbook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44 learning elements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were mentioned i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more distributed in the world of technology (34 learning elements) than in home life (10 learning elements). The learning elements related to invention education appeared in science textbooks (26 learning elements) and social textbooks (32 learning elements) as well. The science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were evenly distributed in matter, energy, life, and the earth in curriculum system. The social contents related in invention education is evenly distributed in geography, general society, and history in curriculum system. Second, the contents of invention education that was analyzed in three textbooks in common were the importance of invention, human life and invention, making ideas. The number of inventions analyzed in the three subjects showed a high rate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importance of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analyzed contents of the invention were analyzed 11 in practical arts textbooks, 5 in science textbooks, and 7 in social textbook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facts can be inferred. If the education of invention is carried out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it seems desirable to integrate other subject focusing on practical arts. In addition, it seems desirable to select appropriate topics in order to operate the invention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learning in the order of human life, invention, concept of idea, and importance of invention.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progress of elementary school inventive education in the form of cross-curricula.

      • KCI등재후보

        2007년 개정 7차 실과교과서의 『생활 자원과 소비』 비교 분석

        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1

        이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2011년 초등학교에 새롭게 보급된 6학년7개 실과교과서의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을 비교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분석 준거는 단원의 배치와 쪽수, 사진과 삽화, 단원 구성 체제, 학습목표, 학습내용요소이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은 교과서별로 쪽수와 단원배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은 검정교과서 간 최대 6쪽까지 차이가 났다.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을 3단원에 배치한 교과서는 7개중 4개로 가장 많았다. 둘째, 개발 된 검정 교과서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의 사진이나 삽화의 형태는 다양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교과서에는 삽화 중 사진, 그림, 만화가 대부분 있었지만 표와 그래프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명적, 보충적 기능을 가지는 사진과 삽화는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발 된 검정 교과서 「생활자원과 소비」 단원 도입 부분의 체제는 도입 글, 학습목표, 생각열기로 되어 있었다. 또한 도입부분의 대부분은 문장 행태였지만, 만화, 마인드맵, 도해의 형태를 띠는 것도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출판사나 교과서 연구진은 향후 교과서 개발 시 학교의 교육과정 운영이나 학생들의 전입이나 전출을 고려하여. 단원의 쪽수와 순서를 정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개발된 검정 교과서 중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시된 내용요소가 빠진 교과서는 앞으로 내용요소를 보완해 할 것이다. 또한 내용요소에 대해서는 제목을 달아 학생들이 배우는 내용의 주제를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검정 교과서 이후 실과에서 단원이나 영역 차원에서 비교 분석연구가 앞으로 좀 더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실과 검정 교과서의 분석 연구는 일선 학교에서 교과서를 채택하거나 교재 연구 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음으로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그 결과가 학교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comparatively analyzes the seven authorized textbooks of 'Practical Arts' the units of Life Resource and Consume that have been developed according to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o seek future policy direction which can be improved even better, if any, for further revision. To implement this proposal, the study employs 7 different textbooks published in 2011. An analysis criteria for textbook analysi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analysis to a great deal of previously studies on textbook analysis.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cided to be unit placement and page numbers. photographs and illustrations, the system of unit, learning objectives, the component contents. when it comes to the study method, content analysis which is appropriate for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The conclusion and suggestions drawn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number of title was not the same as the component of contents described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erms of layout of units, there were three stages: introduction, body and summary, with a slight difference if the number of pages and placement. The introduction and summary stages were similar in terms of layout. The textbooks were differentiated in the body stage and provided variety. More careful consideration is required in the statement and guidelines for object of curriculum so that a verity of textbooks including the differentiated, abundant materials can be written from angl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comparative analysis of other Units on the framework suggested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2007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교과서의 일-직업 관련 내용 분석 Ⅰ

        이수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2

        2007 개정 실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가 2011년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실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일-직업 교육 목표를 분석해보고 학교 수업에서 활용되는 실과 5, 6학년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을 분석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실과 5, 6학년 7종의 교과서의 단원별 일-직업 관련 내용이 제시된 현황과 일-직업 관련 내용과 자료유형을 살펴보았으며,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명을 조사하고 이를 한국표준직업분류별로 그 유형을 분류해 봄으로써 얼마나 다양한 직업군의 직업명과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교과서 7종 분석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과서에 나타난 일-직업 관련 내용의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실과 교과서에 제시된 일-직업 관련 내용을 통한 진로교육의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교과서를 새로운 시각에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관련된 교육구성원들에게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2007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has been applied into elementary education. Presenting the results of the new textbook analysis is very meaningful in terms that it can provide a critical sight about textbooks to related education members when they started to be used in school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seven kinds of textbooks in 5th, 6th grade respectively was conducted especially on the 'work-occupation' unit in 2007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ob iles(vocation) in Practical Arts textbook. 14 textbooks were analyzed and exacted vocations in ext and illustration by grade subject and KSCO(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According to Kore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the presented occupations were grouped. Professional occupations, Service occupations, Sales occupations, Technical occupations. The implications for textbook writers career education teachers, and educational official were suggested. The various occupations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 탐구성 비교 분석

        이재호,전상일 한국정보교육학회 202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4 No.6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6종의 실과 교과서 중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탐구성을 분석하여 현장에서 이루어질 교과서 채택, 교육과정 연구, 차기 교과서 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 하였다.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경우, 중·고등학교 교과서 연구에서 활발하 게 진행되는 탐구성 분석이 미비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4차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갈 우리 아이들에게 탐 구형 교과서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Romey 분석법을 활용하여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였다. 교과서를 분석한 결 과, 모든 분석요소에서 탐구적 성향을 갖춘 이상적인 교과서는 없었으며, 교과서별로 탐구적 성향이 높은 분석요 소가 다르게 나타났다. 전체 교과서에서 탐구적 성향이 가장 낮은 분석요소는 본문이였으며, 가장 높은 분석요소 는 활동이었다. 교과서간 평가지수의 편차가 가장 큰 분석요소는 자료와 평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analyzed 'Software Education' of the Practical Arts unit among the six textbooks developed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selection of textbooks, researching curriculum, and developing the next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ior study, it was found that the inquiry analysis was insufficient in the case of the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unit. the inquiry analysis was insufficient. On the contrar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 research was sufficient.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using the Romey analysis method, judging that our children who will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need an exploratory text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extbooks, there was no ideal textbook with inquiring tendencies in all analysis factors, and different analysis factors with high inquiring tendencies were found in each textbook. In the entire textbook, the analysis element with the lowest inquiring tendency was the text, and the highest analysis element was the activity. The analysis factors with the greatest deviation in the evaluation index between textbooks are data and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음악교과서의 효과적 분석을 위한 분석 준거 모델 개발

        민경훈 ( Kyung Hoon Min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4 예술교육연구 Vol.12 No.2

        교과서는 국가의 교육이념이나 목적을 구현하는 수단으로서 교육과정의 취지에 따라 편찬되어야 한다. 이점에서 음악교과서의 분석은 교과서의 문제점을 발견하여 바람직한 음악교과서로서의 모습을 갖추도록 요구하는 나침반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음악교과서의 내용 전체를 조망하면서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도록 분석준거를 제시한 논문은 발견되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이 논문은 교과서의 내용 전체를 총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분석준거’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는 먼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교과서의 종류를 파악하고, 이러한 교과서들을 분석할 수 있는 분석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즉 외형의 관점, 음악의 관점, 사회의 관점, 지도방법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그 다음 이러한 논의들을 바탕으로 음악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준거의 모델을 개발하고, 이와 동시에 분석되어진 교과서를 평가해 볼 수 있는 평가준거의 틀을 제시하였다. 음악교과서의 효과적인 분석을 위해 분석준거의 모델을 개발한 이 연구가 음악교과서의 내용 전체를 일목요연하게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을 길러주고, 교과서의 외형적 형태, 내용선정 그리고 지도방법의 효과적인 처방을 위하여 기초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intended to develop the ``analysis criteria`` for evaluating the helpful analysis criteria in analyzing overall contents of textbooks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conformity`` of evaluating the analyzed textbook. Firs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ype of music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curriculum of 2009, then discussed analyzing methods for such textbooks in various perspectives as the external perspective, perspective of contents, perspective of teaching method, and societal perspective. Then, this study developed the analysis criteria model for analyzing music textbooks thoroughly from various perspectives by combining and arranging these discussions and an evaluation conformity model that can assess analyzed textbooks. Such developed analysis criteria and evaluation conformity will be helpful in analyzing music textbooks effectively, and will eventually contribute to plan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by upgrading the quality of music textbooks. This study, which developed the analysis criteria and evaluation conformity for music textbook analysis, is expected to be used appropriately in improving ability to comprehend entire music textbook contents clearly.

      • KCI등재후보

        2007개정 실과 교과서 정보 단원의 비교 분석

        이철현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1 實科敎育硏究 Vol.17 No.2

        2007개정 실과 교과서가 2011년도부터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새로운 교과서가 교육 현장에 적용되는 시점에 이를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것은 관련된 교육구성원들에게 교과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는 면에서 매우 의미있는 일이다. 이 연구에서는 2007개정 실과 교과서 중 ‘정보’단원을 중심으로 5, 6학년 각 7종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분석에 대한 다양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분석 준거를 설정하였고, 이를 1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CVR조사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단원체제, 학습 목표, 내용 요소 배치 방식, 단원 보조 자료, 체험 활동, 평가를 분석 준거로 결정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하기 위하여 양적 측면과 질적 측면을 분석하기에 적절한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준거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바람직한 측면과 그렇지 못한 측면이 다양하게 발견되었다. 추후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교과서를 보완하면, 각 교과서의 질이 좀 더 높아지고 실과교과서 내 ‘정보’단원에 대한 교육 구성원들의 인식도 좀 더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홀리스틱 교육 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 개발 및 분석

        김민경,이시원 한국실과교육학회 2011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4 No.2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the analysis criteria that can analyze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and provide the helpful preliminary data for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by analyzing the revised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an authorized book at school scen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s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extracted from previous studies. After the extracted items were verified with face validity by five specialist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and guide books of two publishers in 5th and 6th grade were analyzed by 3 professional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analysis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ly, Holistic Education contents were extracted into 8 items respectively ‘Humanity development', 'Respecting one's individuality', 'Learning by experience', 'The liberty of choice', 'Democracy', 'Planethood', 'Earth's biosphere', and 'Spirituality' as the analysis criteria of practical arts textbook according to the holistic point of view on education.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s were analysed into 5 items, respectively 'Physical approach', 'Imagery approach', 'Thoughtful approach', 'Cooperation', and 'Comprehensive approach'. Second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actical arts textbooks of the 2 publishing companies were not significant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on the basis of developed analysis criteria. But big differences of the two publishers could be found both in Holistic Education content item and Holistic Education teaching method item. In conclusion, as Practical Arts textbook was being changed into an authorized textbook, each textbook of publishers showed the limitation in that it didn't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imits to analyzing Practical Arts textbook from one viewpoi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regarded that Holistic Education perspective will be helpful as a way in choosing Practical Arts textbook which mee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본 연구에서는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라 실과교과서를 분석할 수 있는 분석 준거를 개발하고 검인정 도서로 전환된 실과교과서를 분석함으로써 학교현장에서 실과교과서를 선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을 추출하여 전문가 5인에 의해 추출된 항목에 대한 안면 타당도로 검증한 후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를 개발하였고,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실과교육 전문가 3인에 의해 2개 출판사의 5학년과 6학년 실과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홀리스틱 교육관점에 따른 실과교과서 분석 준거로서 홀리스틱 교육 내용으로는 ‘인간성 개발’, ‘개성 존중’, ‘경험 학습’, ‘선택 자유’, ‘민주주의’, ‘지구시민’, ‘지구생명권’, ‘정신성’의 8항목을 추출하였고,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으로는 ‘신체적 접근’, ‘이미지적 접근’, ‘사고적 접근’, ‘공동작업’, ‘종합적 접근’의 5항목을 추출하였다. 둘째, 개발된 분석준거에 근거하여 2개 출판사의 실과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 출판사 간에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홀리스틱 교육 내용 항목과 홀리스틱 교육 방법 항목에서는 두 출판사 모두 대단원별로 차이점이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과교과서가 처음 검인정 교과서로 전환되면서 각 출판사의 실과교과서가 각각의 뚜렷한 특성을 가지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었으며 아직까지 실과 교과서를 하나의 관점에서 분석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과교과서를 개발하고 각 학교의 특성에 맞는 실과교과서를 선정할 때 홀리스틱 교육 관점이 하나의 방법으로서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 초등학교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 분석

        김연권(Kim Yeonkwon),박영준(Park YoungJun) 한국다문화교육연구학회 2010 다문화교육 Vol.1 No.2

        이 논문은 초등학교 개정 교과서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부는 2006년 12월 다문화 관련 교과 교육과정 시안 연구 개발을 발표한데 이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순혈주의와 단일민족주의 관련 내용을 대폭 삭제하고 다문화 관련 내용을 삽입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2009년에는 1ㆍ2학년 교과서가, 2010년에는 3ㆍ4학년 교과서가 출간되었다. 따라서 개정 교육과정에서 언급된 관점이 개정 교과서에서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펴보는 일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라 판단된다. 이 논문은 <초ㆍ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분석을 통한 개정 방안 연구>를 비롯한 몇 가지 중요 선행 연구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면서, 선행 연구가 제시한 다문화 요소의 분석틀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을 그대로 활용했다. 다만 선행연구가 주로 교육과정과 기존의 교과서 분석에 주안점을 맞추었다면, 이 연구는 올해 출간되어 아직 한 번도 분석되지 않은 개정판 교과서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 대상 교과서는 개정판 초동학교 3ㆍ4학년 1ㆍ2학기 교과서, 특히 다문화적 내용이 많이 등장하는 사회, 도덕, 국어 교과서 및 4학년 1ㆍ2학기 사회과 탐구 둥 총 8종이다. 주요 분석 결과로는 첫째, 사회교과서의 경우 다문화적 내용의 빈도수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여전히 주로 지식ㆍ이해의 범주에 머물러 있어서 가치ㆍ태도의 교육 내용이 보완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도덕교과서의 경우 정체성의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특히 3학년 2학기 교과서에 다문화적 내용이 단원 수준으로 제시된 점이 특징적이다. 셋째, 국어교과서의 경우 사회정의 부분이 많이 보완된 점이 돋보인다. 넷째, 사회과 탐구(경기도의 생활)의 경우 소수자들의 겪는 어려움들을 지식ㆍ이해의 차원뿐만 아니라 가치ㆍ태도의 측면에서 적절하게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 관련 용어 사용에 있어서의 모호함이나 이주노동자에 대한 편협한 관점들이 남아있어 다소 미홉한 점도 있다. 이 논문은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 요소 분석의 출발점에 불과하다. 왜냐하면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교 3ㆍ4학년 교과서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반화되기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2011 년에 5ㆍ6학년 교과서가 출간되면 이 연구는 초등학교 전 학년 개정 교과서의 다문화적 요소 분석이라는 전체적인 차원에서 보완될 필요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multicultural contents in revise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Since announcing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curriculum in December 2006,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decided to make a major overhaul by both eliminating most of the unilateral ethnicity contents and inserting a great deal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textbooks for grades 1-2 and grades 3-4 went through publication in 2009 and 2010, respectively. As a result, it is pertinent to scrutinize how much of the proposed curriculum and perspectives have been applied to the revised textbooks.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several preceding studies on elementary curriculum and existing textbooks, and utilizes the framework for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identity, diversity, social justice). However, this study pioneers the analysis on newly published textbooks. The eight textbooks examined in this study include revised textbooks for the first and second semesters of grades 3-4, especially subjects in Social Science, Ethics, and Korean Language where the reference to multiculturalism is the most preval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ase of Social Science, despite the high frequency of multicultural references, the contents are limited to a superficial level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us it needs to be enhanced by emphasizing more involvement in attitude and value. Secondly, it is noteworthy that the Ethics textbooks treat multicultural education extensively in a chapter/unit, especially in the second semester of third grade. Third,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contents regarding social justice have been significantly enhanced. Finally, the Social Science Research textbook (Life in Kyonggi Province) are quite successful in treating the issues in regards to the small number of multiculturally affected individuals in depth. However, the equivocal use of several terms and prejudices on immigrant workers need to be amended. Since the subject of the analysis is limited to the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s, it may not be appropriate to draw a general conclusion on the issue solely based on this study. While the study provides a ground for initial analysis, it needs to be expanded to comprehensively include the analysis of multicultural contents in revised elementary textbooks in its entir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