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5월항쟁 시기 ‘광주’의 표상(表象)과 ‘광주민주시민’의 형성

        유경남 호남사학회 2009 역사학연구 Vol.35 No.-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광주항쟁은 1987년 6월 항쟁 및 한국의 민주화 과정에 영향을 주었고, 이에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 이들 연구는 광주항쟁의 지역성에 초점을 맞추어 항쟁의 원인과 배경,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었지만, 광주시민이 항쟁에 참여하게 되는 의식과 동기에 대한 부분은 미흡했다. 이에 본고는 광주항쟁시기 신문, 유인물 등을 구성하는 ‘텍스트(text)’에 주목하였다. 특히 항쟁 당시 유인물과 같은 ‘대안언론’은 지역민 사이에서 폭 넓게 공유되었으며, 자신들의 행동과 명분, 그 의미를 잘 담아내고 있기 때문에 항쟁시기 지역민의 동향을 잘 보여주었다. 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계엄군의 폭력으로 시작되었고, 대학생을 포함한 지역민 전체로 확산되었다. 여기에는 계엄군과 지역민의 대치 과정에서 발생하는 ‘우연한 사건(historical event)’이 상황을 격화시키기도 하였다. 특히 지역민은 공공언론의 사실(事實)보다, ‘입에서 입으로 전해지는 사실(事實)’인 유언비어를 더 믿었으며, 항쟁의 확산에 촉매제 역할을 했다. 지역민이 유언비어를 믿었던 이유는 유언비어가 전하는 내용이 당시 지역민의 정서를 잘 대변해 주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유언비어와 유인물은 광주를 ‘가족이 피 흘리고 죽어가는 죽음의 공간’으로 재현하였고,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간첩과 폭도가 활보하는 폭력의 공간’으로 형상화하였다. 이러한 ‘광주’지역의 표상을 통해 계엄군과 정부는 항쟁을 ‘광주만의 일’로 폄하‧한정하려 했고, 지역민들은 항쟁의 상황을 알리고자 노력했다. 항쟁이 확산‧전개되면서 ‘광주’를 표상하는 내용도 변화했다. 지역을 ‘폭력의 공간’이라고 표상했던 계엄군과 정부는 광주를 ‘난동으로 인한 피해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피해를 구원한다’는 진압의 명분을 획득하기 위한 목적 때문이었다. 지역민도 궐기대회를 통해 광주를 ‘죽음의 공간’에서 ‘불의에 대해 정의감으로 항거하는 저항의 공간’으로 형상화했는데, 이것은 광주항쟁시기 형성된 지역적 분위기의 결과물이었다. 이러한 광주항쟁의 상황 속에서 지역민은 자신들에 대한 다양한 호명방식들 중에서 궐기대회와 같은 담론 형성과정을 통해 ‘광주민주시민’라는 항쟁의 주체로 받아들였고, 이를 “광주시민”이라고 명명했다. 그러나 지역민의 연설을 분석해 보면, 광주시민에도 차이가 있었다. 다시 말해 수습대책위원회가 지칭하는 시민은 계엄군과 정부가 지칭하는 시민과 비슷한 ‘국가에 순응하는 시민’이었고, 투쟁‧선전가들의 시민은 현 정부를 부인하고 계엄군에 ‘적극적으로 저항하는 민주시민’이었다. 이와 다르게 지역민은 자신과 ‘국가’와의 관계를 인정하면서도, 지역의 역사적 경험을 근거로 불의에 항거하는 ‘정치적 주체인 광주시민’으로 호명하기도 했다. 다시 말해 광주항쟁 시기 지역민들은 담론의 형성과정 즉, ‘광주’지역에 대한 표상(表象)들의 경쟁 속에서 광주시민을 지역적 주체이자 정치적 항거의 주체인 ‘광주민주시민’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The Gwangju Uprising in May 1980 has influenced the history of South Korea ever since and plenty of research has been made about the event. The studies made great contributions to understanding the causes,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uprising by focusing on its locality, but fell short of inquiring into the thoughts and motives with which Gwangju citizens took part in the uprising. Accordingly,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text' that made up the newspapers and printed matter in the days of the Gwangju Uprising. In particular, 'alternative media' like printed matter at the time were widely read by the local people and talked about the actions, causes and meanings of their struggle. The media indicated well what the local people did during the uprising.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study made an analysis into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text of the media during the uprising. The Gwangju Uprising began to spread among all the local people including college students because of the violence perpetrated by the martial law soldiers. Sometimes, ‘historical event’ that took place in the course of demonstrations and subsequent suppressions led to historical ones. Additionally, the local people trusted in the 'rumors of verbal communication' more than the facts propagated by the public media because the rumors represented how the local people were feeling in the tumultuous situation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represented 'Gwangju' as a violent region where spies and mobsters rampaged while the rumors and printed matter shared by the local people represented it as a region of death where their families were bleeding and dying. By depicting the images of 'Gwangju'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ried to downgrade the struggle and reduce it to an incident in Gwangju; and the local people made their endeavors to communicate and spread it by making the situations known. Besides, the expansion and widening of the uprising caused the images of 'Gwagnju' to transform.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which depicted it as a region of violence, began to symbolize it 'as a region victimized by violent actions'. This was to establish the cause of 'save the city from damage' before they reoccupied it. In the meantime, the local people changed the image of the city from 'a region of death' to 'a region of resistance against injustice', which was the very end result of the Gwagnju Uprising. Out of many names given to them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settlement committee and the propaganda groups, the local people chose to call themselves "the Gwangju citizens" while they agreed that the main players of the struggle were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But an analysis of the speeches delivered by the local people showed they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Gwangju citizens." In other words, whereas the citizens called by the settlement committee had the same meaning as those called by the military authority and government, the citizens addressed by the struggling propagandists meant the democratic citizens who negated the current government and actively resisted against the military authority. The local people, taking a different perspective, called them as politically active Gwangju citizens who had been fighting against injustice taking into account their historical experiences, while they still saw some connections between themselves and the nation. In other words, the local people at the time began to perceive themselves as both the local agency and 'the Gwangju democratic citizens' of political resistant agency among the competitive representations about them.

      • KCI등재

        5월항쟁의 대중적 참여와 그 계기 및 의식성

        임종명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The Kwangju Uprising in May 1980 was the historical event which has greatly affected the progress of South Korean history ever since. The historical event has produced a number of researches concerned which have deepened our understandings of the Uprising. Established literatures usually focus upon what socio-historically structured the Uprising, resulting in few researches which explain the popular momentums and motives of their participations in the Uprising.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examines their momentums and motives which facilitated their protests, and also their feelings such as fear which were expressed in the incipient days of 18 through 19. As well known, the Uprising started with May-18th student demonstration at the ga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Noteworthily, the demonstration began spontaneously on the spot, not with prepared plan of consciousness. Students, brutally attacked by ROK Special Warfare Command(SWC hereafter) soldiers, hurriedly moved to downtown Kwangju, and then staged demonstrations. These downtown demonstrations enabled students in Kwangju to get together, transferring protests to downtown and strengthening their demonstrations. Also, the downtown demonstrations produced the time and the space popular masses joined student demonstrations. Downtown protests exposed the brutality of SWC soldiers to the eyes of much more people around the theater. The spatial effect of demonstrations could be confirmed when people, scattered by the soldiers, moved their protests to the outskirts of Kwangju. This led the people there to witness the brutalities of soldiers. This development, in turn, promoted popular participations in the protests downtown or in outskirts. What has been briefed so far shows us the spatial effect of protestors' movements, which affected the progresses of the Uprising. Beside this spatial effect, many momentums and motives, combined with each other, brought forth the popular protests which constituted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prising. Among those momentums and motives, the victimhood of Kwangju people developed the protests to popular uprising. The indiscriminate violence which soldiers inflicted upon people in and around the theater made Kwangju people feel that they would be subject to the violent forces of soldiers whether they joined the demonstrations or not. Furthermore, telephones, fly sheets, rumors and others turned even people out of theater into prospective victims, who, they feared, would be victims to brutal soldiers at any time. People in Kwangju, whether on the theater or not, became the victims, real or imaginary. The victimhood of Kwangju people they sensed was interfused with their identities and communalism fashioned throughout modern Korean history, which furthered their sense of a common destiny. This consciousness they harbored led them to dauntless protests against violent soldiers, which developed May-18th student demonstrations to the historical event of the May Kwangju Uprising. 1980년 5월의 광주항쟁은 이후 남한 역사 진행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점은 광주의 5월항쟁을 한국현대사에서 “역사적 사건”(historical event)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였다. 동시에 그것은 5월항쟁에 관한 많은 연구를 낳았고, 이에 따라 5월항쟁에 대한 학문적 이해도 심화되었다. 이러한 기존연구에서 상대적으로 항쟁자체에 대한, 특히 항쟁의 확산과 대중의 항쟁참가에 대한 전면적인 해명은 미흡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무엇보다도 대중의 항쟁참여기제와 계기 및 동기·의식에 대한, 요컨대 대중참여의 동학(動學, dynamics)에 대한 보다 주도한 파악이 요구된다. 이러한 필요성과 현재 연구성과에 유념하여, 본 연구는 1980년 5월 18일부터 19일까지의 항쟁초기 2일간 나타난 광주시민의 항쟁참여 동기와 계기, 태도나 감정·의식 등을 추적하고자 한다. 잘 알려져 있듯이, 5월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전남대학교 정문 앞 시위로부터 시작되었다. 여기에서 주목되는 것은 항쟁 시작의 ‘자생성’이다. 이러한 것은 5월항쟁이 사전에 기획된 것이 아니라 비조직적인, 즉 현장에서의 즉자적, 자생적 시위로 시작되었다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교문에서 시작된 전남대생의 시위는 공수부대에 밀린 전남대생들의 시내 중심부 시위로 이어진다. 학생시위의 시내 중심부로의 이동은 광주 학생들의 집결을 가능하게 하면서, 학생시위대열의 팽창과 시위의 지역적 확산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광주시내로의 학생 진출이라는 공간이동은 시민대중의 동참을 가능하게 할 시공간을 창출하였다. 이러한 시공간의 창출은 시민들의 초기 시위 ‘연루’를 가능하게 했다. 즉 시위 공간의 이동은 시내 중심부의 다중집중성(多衆集中性)으로 말미암아 경찰과 공수부대의 시위 해산과 진압에도 불구하고 시위학생의 이합집산과 재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시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나아가 그들의 시위 가담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시중심부에서의 시위는 더 많은 대중을 공수부대의 폭력성에 노출되도록, 따라서 더 많은 광주시민들로 하여금 그것을 목격하도록, 나아가 시민들을 폭력의 희생자로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시위가 역으로 광주시 외곽으로 확대되면서,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시외곽지역에서까지 노출되게 되었다. 이제,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광주 시중심부, 나아가 주변부의 사람들에게도, 심지어 집안의 가정주부에게도 분명히 감각·인식되었다. 이러한 사태의 진전은 대중의 5월항쟁 참가를 촉진시키면서, 5월항쟁을 만들어 간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공간성의 효과는 5월항쟁 발발과 깊이 연관되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위와 폭력진압의 공간성 문제 이외에도 대중항쟁으로의 발전은 다양한 계기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계기 중에서 광주시민의 현재적·잠재적 희생자의식은 광주항쟁의 발전을 추동한 광주시민의 의식을 잘 보여준다. 공수부대의 무차별한 폭력행사는 현장에 있던 사람들뿐만 아니라 현장에 있지 않던 사람들까지 폭력의 잠재적 희생자로 만들었다. 즉, 전화나 ‘유언비어’, 유인물이 폭력 인지가능범위의 지역적·공간적 제한성을 해소시키면서, 폭력 현장에 없던 사람들도 공수부대의 폭력성을 알 수 있게 하였다. 공수부대의 폭력성은 공수부대의, 나아가서는 국가 존립의 정당성을 그 기반에서부터 허물었을 뿐만 아니라 광주사람들에게 그들의 근대적, 국민적 ...

      • KCI등재

        광주항쟁의 시적 재현: ‘해방된 모성’의 구현과 ‘어머니 하느님

        장은영(eun-young Jang) 동남어문학회 2023 동남어문논집 Vol.1 No.55

        고정희의 시세계는 기독교적 인식과 여성주의, 1980년대 현실을 토대로 삼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광주항쟁이 있다. 광주항쟁에 대한 시적 재현을 보여준 8시집 『광주의 눈물비』는 여성신학의 영향을 받은 ‘어머니 하느님’을 형상화하며 ‘해방된 모성’을 구현하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해방과 민중해방의 동시적 가능성을 시사했다. 1980년대 말 광주항쟁의 진실이 밝혀지지 못하자 고정희는 깊은 절망과 회의를 드러내는 한편 항쟁 당시 민중들의 저항을 재구성함으로써 민중운동이 근본적인 혁명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했다. 남성화된 민중 주체를 넘어서서 이중의 억압에 처한 민중이라 할 수 있는 여성들에게서 대안적 주체의 역량을 발견하고자 한 고정희는 먼저 ‘미친년’이란 시적 표상을 통해 남성중심적 체제에서 보편적 언어로 환원되지 않는 여성의 고통과 분노를 환기하며 새로운 언어의 필요성을 시사했다. 그리고 여기서 나아가 생각과 관습의 혁명적 전환을 시도하면서 항쟁에서의 죽음을 새로운 생명의 부활을 위한 예비적 사건으로 형상화했다. 『광주의 눈물비』에 재현된 항쟁은 민중의 고통과 죽음이 난무하는 가운데 여성 민중인 ‘어머니’가 해방의 주체로 등장하고, 생명의 근원인 ‘어머니 하느님’이 현현하는 부활의 장이다. 생명의 근원으로서 ‘어머니 하느님’이 살림의 세계, 사랑의 세계를 여는 창조자라면 고정희는 그러한 ‘어머니 하느님’의 영적 구현을 항쟁에 참여한 광주 여성들에게서 발견한 것이다. 고정희가 재현한 광주 여성들은 항쟁의 피해자나 순결한 희생자가 아니라 살아있는 자들을 먹이고 다친 이들을 보살필 뿐만 아니라 죽은 자들을 수습하며 생명의 공동체를 부활시킨 항쟁의 주체였다. 고정희는 현실적 비극과 절망을 극복하기 위해 광주항쟁을 살림의 땅, 부활의 땅으로 이행시키는 혁명의 계기로 삼고자 했다. 고정희의 오월시는 오늘날 대안적 체제로 회자되는 돌봄 공동체의 한 비전을 보여준다. ‘해방된 모성’의 의미는 비록 고정희 스스로에 의해 충분히 논의되지 못했지만 광주항쟁에 대한 시적 재현을 통해 짐작해 볼 때, 서로의 생명을 지탱하는 연대와 사랑에 기초한 관계성을 원리로 삼는 창조적 힘이다. 고정희가 열망했던 새 세상은 광주 여성들의 참여로 가능했던 ‘십일간의 해방구’처럼 ‘해방된 모성’이 구현되는 자율적이고 상호호혜적인 세계였고, 그것은 오늘날 논의되는 돌봄의 공동체에 대한 이상과 맞닿아 있다. This paper analyzed the poetic representation of the Gwangju Uprising focusing on Goh Jeong-Hee’s Poetry of May. Goh Jeong-Hee was influenced by Korean women's theology in the 1980s. Korean female theologians criticized the oppression of women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and raised the Mother God as the source of life. In the late 1980s, the reality faced by women was defined as the reality of killing and insisted on a great transition to life. She stressed that women should be the subject of the unification movement in order to overcome the national contradictions that suppress women. Of course, prior to Christian epistemology, there was a reality of the 1980s in Goh Jeong-Hee’s poetry and Gwangju was at the center of it. However, when the truth of the Gwangju Uprising was not revealed in the late 80s, Goh Jeong-Hee expressed deep despair and skepticism. And using Christian death and resurrection as motifs, the experience of despair was used as an opportunity to move toward a fundamental revolution. Goh Jeong-Hee hinted at the need for a new language by evoking the women’s pain and anger what are not reduced from a male-centered system to a universal language through a ‘Michineon’. And while attempting a revolutionary transformation of thoughts and customs, she embodied death in the uprising as an event that c the birth of life. The Gwangju Uprising was an opportunity for mother to be called the subject of liberation and Mother God to be called the source of life, and was a turning point in transforming Gwangju into a land of livelihood and resurrection. This is because Goh Jeong-Hee found Mother God in women in Gwangju as the source of life. Women in Gwangju, who were considered victims of the uprising and innocent victims, were another main subject of the uprising that supported the community of life by saving the dead, caring for the injured, and feeding the living. Goh Jeong-Hee proved that the practice of living shown by women in Gwangju turned the time stained with violence and death into a 10-day liberation zone. And Goh Jeong-Hee‘s May poem shows a vision of a community of care that we talk about as an alternative society today. Although it has not been fully discussed by Goh Jeong-Hee herself, it is inferred that liberated motherhood uses solidarity and relationship that support each other's lives as its principle. The new world created by female subjects makes us imagine a community of autonomous and mutually beneficial care based on liberated motherhood.

      • 5 · 18광주항쟁과 5 · 18의 두 법정

        김이수(Yisu Kim) 서울대학교 법학평론 편집위원회 2021 법학평론 Vol.11 No.-

        5 · 18광주항쟁은 1980년 5월 18일 오전에 시작하여 5월 27일 새벽까지 열흘간 광주와 전남에서 벌어진 시민들의 항쟁이었다. 광주시민들은 국가폭력에 의해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짓밟힐 때 인간의 존엄성을 위해, 공동체의 보전을 위해 죽음의 위기에 직면해서도 연대정신을 발휘하여 국가폭력에 저항하였다. 시민들의 항쟁은 나중에 사법절차에서도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행위로 그 정당성을 인정받았다. 항쟁은 비록 실패로 끝난 것처럼 보였지만 이후 한국사회가 질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 현대사의 물줄기를 바꾸어 놓을 변혁적 에너지를 생산하였다. 이 글에서는 5 · 18광주항쟁에 관련된 사람들을 처벌했던 서로 다른 두 법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광주항쟁이 진압된 직후, 무자비한 진압을 하는 계엄군에 대항하여 5 · 18광주항쟁에 가담한 시민들 중 409명은 내란죄, 소요죄, 계엄법위반죄 등으로 군사법원의 재판을 받았다. 반면에 광주항쟁에 대해 무자비한 진압을 계획하고 시행한 핵심 책임자인 전두환과 노태우 등에 대한 처벌은 항쟁이 종료된 지 15년이 훨씬 지난 뒤에야 비로소 이루어졌다. 이렇듯 15년여의 시간이 지나는 동안, 진상이 밝혀져 항쟁 진압의 핵심 책임자들이 처벌되고, 시민들의 행위가 헌정질서를 수호하기 위한 정당행위로 평가받아 재심 무죄선고가 이루어지는 등 큰 변화가 이루어지게 된 가장 큰 동력은 국민이 연대한 힘이었다. 그리고 국회의 5 · 18특별법 제정과 헌법재판소의 결정, 법원의 판결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최근 들어 2020년 11월 30일 전두환의 사자명예훼손 사건에서 광주지방법원이 헬기 사격 사실을 인정하거나, 2021년 1월 5일 5 · 18민주화운동에 대한 허위사실을 유포한 자를 처벌하는 내용의 ‘5 · 18민주화운동 등에 관한 특별법’ 제8조가 신설되는 등 진실을 밝혀내고 허위주장을 배척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어져왔다. 그럼에도 여전히 도청 앞 집단발포 경위나 광주 파견부대 지휘체계 이원화 여부, 광주 외곽 피해의 진상, 사망자 수와 관련한 사체 암매장 등의 의문점은 해소되지 않은 실정이다.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활동을 개시한 5 · 18민주화운동 진상규명조사위원회가 새롭게 제기된 문제나 아직 해소되지 아니한 의문점들을 분명하게 규명하길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살림, 나눔, 연대 그리고 희생의 광주항쟁 정신이 현실에서 제대로 실현되고 이어지기를 바라면서 이 글을 마치고자 한다.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which began in the morning of May 18, 1980 and lasted for ten days until the dawn of May 27, 1980, was a protest of citizens in Gwangju and Jeonllanam-do. When human dignity and value were trampled by state violence, the citizens of Gwangju resisted by demonstrating solidarity even at risk of death, for the sake of human dignity and the preservation of community. The uprising was later recognized for its legitimacy in judicial proceedings as an act to protect constitutional order. Although the uprising seemed to have ended in failure, it later served as a major momentum for qualitative change in Korean society and generated revolutionary energy that would change the course of modern Korean history. This article examines two different courts that punished people involved in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Shortly after the protests were suppressed, 409 of the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uprising were tried by the military court on charges of rebellion, sedition and violation of martial law. On the other hand, punishment for Chun Doo-hwan and Roh Tae-woo, the key managers who planned and implemented a ruthless crackdown on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was only carried out 16 years after the end of the uprising. In the meantime, people’s solidarity has been the biggest driving force for the punishment of key figures responsible for the suppression, and the acquittal of the retrial which evaluated citizens’ protests as self-defense to protect constitutional order.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s and the court’s decisions also played important roles.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reveal the truth and to reject false claims. On November 30, 2020, in Chun Doo-hwan’s defamation of dead person case, the Gwangju District Court approved helicopter gunship attacks. The Article 8 of the Special Act On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was newly established to punish those who distribute false information regarding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Still, questions regarding the details of mass firing in front of the Jeonnam Provincial Office building, the command system’s dualization of the troops dispatched to Gwangju, the actual damage to the outskirts of Gwangju, and the secret burial of dead bodies remain unanswered. Hopefully,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Truth Commission, which began its full-scale activities in 2020, will clarify the newly raised issues and questions that have not yet been resolved. Finally, I hope that the May 18th Democratic Uprising spirit of living, sharing, solidarity and sacrifice will be realized and passed on in our reality.

      • KCI등재

        광주항쟁과 천주교회의 진실 알리기

        서중석(Seo, Joong Seok)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2 神學展望 Vol.- No.178

        천주교회가 광주항쟁에서 어떠한 활동을 했는가는 광주항쟁을 이해하는데도 천주교회의 사회 참여와 민주화 운동을 이해하는 데도 매우 중요하다. 광주항쟁 초기에 천주교광주대교구 사제들은 계엄군측과 항쟁측의 완충역을 맡고자 했고, 윤공희 대주교는 김수환 추기경과 함께 사태가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했다. 전주교구는 광주사태의 진상을 알리는 노력을 벌였다. 광주에서 군이 일시적으로 철수하고 시민자치를 할 때 수습위원회에서 광주대교구 사제들은 적극적인 활동을 벌였다. 수습위원들이 중심이 되어 무기 회수를 할 때 사제들은 시민군을 통제하고 질서와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무기 회수를 강력히 주장했다. 사제들이 무기 회수를 역설한 것은 밑바탕에 사목 정신, 평화와 화해의 정신 등 종교관이 깔려 있었다. 사제들은 수습위원회가 광주항쟁 정신을 훼손하지 않고 사태를 수습하는 데 노력했다. 당당히 정부 및 계엄군이 사죄할 것을 요구했고, 광주항쟁을 시민봉기 또는 의거로 규정했다. 공신력이 있는 천주교회는 광주항쟁에 대한 정부 및 계엄군의 왜곡 선전에 맞서 진실 알리기에 심혈을 기울였다. 윤공희 대주교는 5월 24일 특별서한을 통해, 김수환 추기경은 한국전쟁 30주년 메시지를 통해 광주의 진실을 알렸으며, 김성용 신부는 자신이 겪은 체험을 중심으로 광주의 진실을 알렸다. 광주대교구 사제들은 “광주사태에 대한 진상”을 발표했고, 이 발표에 대해 전국 사제들이 진실임을 믿는다고 발표했다. 진실 알리기에는 혹독한 시련도 따랐다. 광주대교구 사제들과 서울대교구 사제들이 연행되거나 구속되었으며, 정마리안느 수녀는 심한 고문을 당했고, 전주교구의 박창신 신부는 심한 테러를 당했다. 광주대교구는 1982년 12월 광주사태 관련자들이 모두 석방될 때까지 남동성당 등 여러 성당에서 강론과 시국기도회를 끊임없이 가졌다. The Catholic Chur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Gwangju Resistance. At the beginning of the struggle the priests intended to become a buffer zone between the authorities of the martial law and the resistance sides. A priest, who participated in the adjustment committee, actively urged to give back the arms at the time of the citizens’ self-administration. The priests, who belonged to the adjustment committee, claimed for the apology of the government and the martial law authorities. They also asserted that the Gwangju Resistance was a citizen Uprising. The Catholic Church, on the ground of public confidence, did its best to inform people of the truth done by the government and the martial law authorities. A priest, on the basis of his own experience, should do his best to make public the truth about the Gwnagju affair. The priests of the Gwangju Archdiocese released the ‘Truth of the Gwangju Situation.’ At the Namdong church and other churches the priests constantly held devotional services to inform the people about the truth about the Gwangju affair.

      • KCI등재

        변혁의 리미널리티와 해방의 커뮤니타스: 광주항쟁에 대한 새로운 접근

        강인철(Kang, In-Cheol)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9 神學展望 Vol.- No.205

        본 고는 방주네프가 통과 의례의 한 단계로 제시하고 빅터 터너가 더욱 발전시킨 리미널리티 개념 그리고 터너 부부가 제안하고 다듬은 커뮤니타스 개념을 활용하여 1980년 광주항쟁을 분석해 보려는 최초의 시도이다.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 개념은 광주항쟁의 일상 초월적, 변혁적인, 의례적 측면들을 보다 섬세하게 포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광주항쟁 당시 리미널리티와 커뮤니타스라고 부를 만한 현상들이 뚜렷하게 출현했다. 분리-전이-통합으로 구성되는 통과 의례 도식에서 분리 단계, 곧 구체제로부터의 분리 및 일상생활 초월은 리미널리티(전이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다. 1980년 5월 광주에서는 자발적인 ‘의례적 분리’가 아닌 외부의 강압에 의한 ‘군사적-정치적 분리’가 이루어졌다. 광주에서 등장한 리미널리티는 순응적 주체들을 주조함으로써 기존 질서를 강화하는 ‘질서의 리미널리티’가 아니라 기존 체제에 대한 저항을 촉진하고 새로운 유토피아적 비전을 만들어 내는 ‘변혁의 리미널리티’였다.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은 항쟁이 지향했던 목적과 가치, 곧 최소 목표와 최대 목표를 통해 잘 드러났다. 항쟁의 비타협적이고 비극적인 종결 방식도 광주 리미널리티의 변혁성을 보강해 주었다. 광주 커뮤니타스는 무엇보다 ‘해방의 커뮤니타스’였다. 더 구체적으로 광주 커뮤니타스는 1980년 5월 18일부터 21일까지는 ‘항쟁의 커뮤니타스’와 ‘재난의 커뮤니타스’ 측면이 지배적이었고, 5월 22일부터 27일까지는(항쟁-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지속되는 가운데) ‘자치의 커뮤니타스’와 ‘의례-연극의 커뮤니타스’가 새롭게 등장했다. 항쟁의 최후 단계에서는 ‘재난의 커뮤니타스’가 재차 출현했다. 광주 커뮤니타스의 가장 중요한 특징은 ‘자기통치(자치)의 커뮤니타스’인데 여기에서 광주 커뮤니타스의 해방적 성격이 가장 선명하게 드러나기 때문이다. 한편 ‘광주 커뮤니타스 이후’, 곧 광주의 ‘실존적 커뮤니타스’를 ‘이데올로기적 커뮤니타스’와 ‘규범적 커뮤니타스’로 계승하는 문제는 여전히 실천적 과제로 남아 있다. This is the first attempt to analyze the 1980 Gwangju uprising by using the notion of liminality, first introduced by Arnold van Gennep as an intermediate stage of the rite of passage, and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the concept of communitas developed by Victor Turner and Edith Turner. The concepts of liminality and communitas helps to capture the transcendental, transformational, and ritual aspects of the Gwangju uprising more delicately. Actually, at the time of the Gwangju uprising, phenomena that could be called liminality and communitas appeared distinctly. The rite of passage consists of a three-step scheme of separationtransition-incorporation. Among these, the separation phase, separation from the structure and transcending daily life,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entering liminality. However, the separation in Gwangju in May 1980 was not a voluntary ‘ritual separation’ but a ‘military-political separation’ by external coercion. The liminality that emerged in Gwangju was not the ‘liminality of order’ that strengthened the existing order by producing compliant subjects, but the ‘liminality of transformation’ which promoted resistance to the existing system and created a new utopian vision. The transformative nature of the Gwangju Liminality was revealed through the purpose and value of resistance, that is, the minimum goals and maximum goals of the uprising. The uncompromising and tragic ending of the uprising has also reinforced the transformative character of the Gwangju Liminality. Gwangju Communitas was, above all, ‘communitas of liberation’. More specifically, in the Gwangju Communitas, from May 18 to 21, aspects of ‘communitas of resistance’ and ‘communitas of disaster’ were dominant and from May 22 to 27, aspects of ‘communitas of self-rule’ and ‘communitas of rituals and play’ were strong. At the end of the uprising, ‘communitas of disaster’ appeared again.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found in ‘communitas of self-rule’. It is here that the liberating character of the Gwangju Communitas is most evident.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of the ‘post-Gwangju Communitas’, that is, the problem of succeeding ‘existential communitas’ of Gwangju into an ‘ideological communitas’ and an ‘normative communitas’ remains a practical task.

      • KCI등재

        『한양』 게재 광주 항쟁 시의 언술 주체와 담론 특성

        손남훈(Son, Nam-H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8 No.-

        『한양』은 1980년 광주 항쟁이 일어나자 이와 관련되는 담론과 문학적 형상화에 힘을 기울였다. 당시『한양』은 한국 내 반입이 금지된 한국어 매체였기에, 한국어 식자가 가능한 재일을 비롯한 해외 교민을 독자로 삼고 있었다. 광주 항쟁 이후『한양』은 국내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고 한국의 전두환 정권에 비판적인 해외 교민 세력의 결집을 도모하고자 했다. 『한양』은 동경에서 발간된 매체였음에도 재일 사회나 해외 교민들의 여러 문제를 다루기보다는 한국 문제를 초점화하는 데 주력하고 있었다. 문제는, 한국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이들이 정당한 언술 행위 주체로서의 자격을 획득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이에, 광주 항쟁을 전후로 한국 민주화운동 세력들이 제기한 ‘민중’ 개념을 『한양』은 저항적 민족 개념으로 전유하여 언술 주체의 자리를 확보했다. 광주 항쟁 이후 『한양』은 관련 시편들을 상당수 생산했는데, 그 양상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광주 항쟁 정신의 대의를 강조하고 그 정신을 이어 받자는 것이며 또 하나는 광주 항쟁 이후 촉발된 반미주의를 확산시키고 한국의 민주화 운동을 지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의 내용적 특질은 재일 시인 김시종의 『광주시편』에서 나타나는 자기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나 당대 한국 시인들이 쓴 ‘기억과 증언으로 서의 시쓰기’와 궤를 달리 한다. 『한양』시인들은 한국 문제에 개입하기 위한 정당한 언술 주체 확립에 목적을 두고 시를 창작해왔기 때문이다. 『한양』의 광주 항쟁 시는 지금까지 해외 교민 문학을 디아스포라 문학으로 파악하는 연구사적 맥락과 다른 지점을 노출하는 것이기도 하다. 『한양』은 디아스포라 문학에서 흔히 제기되는 언어나 정체성 문제, 이방인으로서 겪는 삶의 고민과 갈등보다는 한국 문제에 어떻게 개입하고 민주화와 통일을 달성할 것인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양』의 이와 같은 특징은 해외 교민 문학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것이면서 동시에 앞으로 『한양』매체 연구가 가져야 할 지향점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심장하다. In 1980, when the Gwangju Uprising occurred, Hanyang focused on discourse and literary figurative about this Uprising. At that time, the Korean readers could not read Hanyang. However, only Japanese koreans or overseas Koreans can read Hanyang. Since the Gwangju Uprising, Hanyang urged domestic democratization movement and tried to solidarity overseas koreans critical of Korea’s entire the Korean regime. Hanyang was published in Tokyo. Nevertheless, this magazine mainly referred to the problem of Korea. Hanyang needed a procedure for justification to intervene in the Korean problem. In Korea, the concept of “people” was discussed before and after the Gwangju Uprising. Hanyang accepted the ‘people’ as a ‘resistant nation’. ‘Resistant nation’ lost the distinction between Korean and foreign compatriots. So Hanyang has become qualified to talk about Korean problems. After the Gwangju Uprising, Hanyang published the many poems of the this Uprising. There are two contents in their poem. One is to emphasize the spirit of the Gwangju Uprising mentality and take over the spirit. Another is to spread the anti - Americanism triggered after the Gwangju uprising and support the Korean democratization movement. The contents of these poems are different from the poem ‘Gwangju Sipyeon’ of the poet Kim Si-Jong, a poet of Japan. Because the poem of Kim Si-jong reflects the anxieties about the self-identity of Koreans living in Japan.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poetry of Korean poets at the time. Because they wrote ‘poetry as memory and testimony’ different from Hanyang poetry. Hanyang poets have written poetry with the aim of establishing a legitimate Speech-Subject to intervene in the Korean problem. Gwangju poetry in Hanyang tells a different point from the studies that have so far regarded overseas Korean literature as diaspora literature. The diaspora studies generally focus on the problem of the language and identity of the writer, and the anxieties and conflicts of life as strangers. However, Hanyang discussed how to intervene in Korea issue and how to achieve democratization and unification in Korea. This distinction of Hanyang is significant in that it shows the diversity of overseas Korean literature and at the same time it shows the direction of Hanyang studies.

      • KCI등재

        시민미술학교 판화집에 투영된 1980년대 전반 광주시민의 정서

        배종민 호남사학회 2008 역사학연구 Vol.32 No.-

        This paper ruminates on the Gwangju citizens’ sentiment in the early 1980s, after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through the works of engravings by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Under any political oppression, people usually speak out the prohibited words taking the shape of cultural reproduction. In the case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t is found the typical cases of speaking out the prohibited words taking the shape of cultural reproduction by works of the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It can be proved in two aspect. For the first aspect, from 1983 to 1986 in Gwangju, the engravings were made by Gwangju citizens. Secondly, the motif of engravings were the stark life and the sentiment of Gwangju citizens after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Therefore, each and every piece of works of engravings by Gwangju Community Art School represent the memory-struggle of the bloody history,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t was prohibited for Gwangju citizens to talk about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n the early 1980s. Therefore, Gwangju citizens embodied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indirectly through resignation and anger of peasants, tremendous labor of laborers, and alienation and scar of petit bourgeois. Citizens, undergone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sympathized with the poor living of peasant, the poverty for generations, the sister's sacrifice for family. Furthermore, a day laborer's severe all-night works and workers’ suffering for living held up a true mirror to people shouldering hardship of the time. Citizens associated the scar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ith the neglected and deficient lives of hillside slums, beggars, burden carriers and madmen. Even though it was impossible to talk about ‘Gwangju’ directly, it was enabled for people to memorize and to accept 'the Day' by the engravings, created in a way of cultural reproduction. Thus, the role of Civic Engravings and the power of art enable people to look into the poverty and the alienation of out society. Since 1985, citizens began to express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ithout cautiousness. The very scenes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such as the scene of those helmeted army and policemen' cruel slaughtering and the scene of citizens’ resistance, were shown in the engravings. The harmer’s brutality was prosecuted and the victim’s pain was disclosed. It proved that how harshly Gwangju was sacrificed and how the truth was destroyed by violence of government. The conflict between Government official memory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and Civil counter-memory of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was getting intensified, and the situation stared to reverse. Finally, Gwangju has been become the touchstone of estimating our social conscience and become the mother's womb gestating a pro-democracy movement. Gwangju has been turn into the champion of democracy from a residence of the existing defeat and frustration, isolation and silence, and wounds and scars. With the consequences of it, Gwangju have gotten the burden of leading history instead of being needed comfort. That is, the May 18th Gwangju Uprising became a democracy marching song, not a lament any more. 본 논문은 광주시민미술학교의 판화작품을 통해서 5·18항쟁이후 80년대 전반 광주시민의 정서를 반추한 것이다. 정치적 억압상황에서는 문화적 재현의 형태를 빌어 금지된 언어가 발설되기 때문이다. 5·18항쟁의 경우 광주시민미술학교가 전형적인 사례를 제공한다. 1983년부터 1986년까지 광주에서, 광주시민에 의해 판화가 제작된 점과, 작품의 주제가 5·18항쟁 이후 광주시민의 삶과 정서를 가감 없이 형상화했다는 측면에서 모두 그러하다. 따라서 시민판화집에 수록된 작품 한 점 한 점은 모두 5·18항쟁의 폐허 속에서 상처입고 피 흘렸던 역사에 대한 기억투쟁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1980년대 초반에 시민들은 작품에 5·18항쟁을 직접 말할 수 없었다. 그 대신 농민의 체념과 분노, 노동자의 전쟁 같은 노동, 도시 소시민의 소외와 傷痕을 통해 5·18항쟁을 에둘러 형상화하였다. 죽도록 일을 해도 병든 몸에 쓸 약값도 아껴야하는 농민, 자식까지 대물림되는 빈곤, 가족의 생계를 위해 도시로 떠나는 누이의 이야기는 5·18항쟁을 겪은 시민들에게 동병상련의 아픔으로 다가왔다. 하루 벌어 하루 먹는 날품팔이와 전쟁 같은 철야작업, 생존을 위해 이를 악무는 노동자의 모습에서 시대의 고난을 짊어진 민중의 모습을 발견했다. 달동네와 걸인, 지게꾼, 광인의 소외되고 결핍된 도시민의 일상에서 5·18항쟁의 상흔을 연상하기도 하였다. ‘광주’를 직접 말할 수 없었지만 판화라는 문화적 재현의 방식을 통해 이웃의 상처를 형상화함으로써 ‘그 날’은 기억되고 수용될 수 있었다. 이렇듯 우리 사회의 소외와 빈곤, 결핍과 상처를 외면하지 않고 응시하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시민판화의 시대적 역할이자 예술의 힘이었다. 1985년부터 시민들은 5·18항쟁을 직접 표현하기 시작했다. 작품에 항쟁의 현장이 전면에 등장했다. 진압군의 잔혹한 살육장면과 시민군의 항전 장면 등이 판화로 새겨졌다. 가해자가 고발되고 희생자의 고통이 폭로되었다. 그동안 얼마나 잔인하게 광주가 희생되었으며, 진실이 군홧발에 짓밟혔는지 확연해지기 시작했다. 정부의 공식기억과 시민의 대항기억의 충돌이 격화되고, 전세는 역전되어갔다. 바야흐로 광주는 우리 사회의 양심을 가늠하는 시금석이자 민주화 운동의 모태로 인상되었다. 기존의 패배와 좌절, 고립과 침묵, 상처와 고통의 처소였던 광주는 어느덧 戰士로 바뀌어갔다. 예전의 위로받아야 할 존재에서 역사를 이끌어갈 짐을 지게 되었다. 5·18항쟁은 哀歌에서 민주화의 進軍歌가 되었다.

      • KCI등재후보

        부마항쟁발발의 환경적 요인과 시민의식 :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중심으로

        김주삼(Kim, Joo-Sam) 한국국회학회 2021 한국과 세계 Vol.3 No.2

        이 논문은 1979년 10월에 발발한 부마항쟁의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부마항쟁과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한국의 시민의식을 분석해 내는 데 있다. 부마항쟁은 1979년 10월 16일-20일 간 단기적으로 발생한 시민항쟁이다. 부마항쟁은 당시 박정희 유신체제가 오일쇼크로 국내 물가상승 경제불안이 지속되는 가운데 YH사건관련 당시 신민당 김영삼 총재를 의원직에서 제명한 사건과 연관된다. 유신체제 독재정권의 횡포가 계속되자 부산대 학생들은 반정부 학내시위를 시작하였고 이후 경남 마산지역의 대학가로 확산되었다. 정부당국은 부산지역에 비상계엄령 선포와 경남지역에 위수령을 내려 시위를 강경진압하였다. 부마항쟁이 소강상태로 전환되는 도중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시해사건이 발생하여 부마항쟁은 조기에 막을 내리고 박정희 유신체제 종말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역사적 시민항쟁으로 남게 되었다. 1980년 5.18광주민주화운동은 부마항쟁의 연장선상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는 무도한 신군부 세력에 맞서 싸운 한국의 대표적인 민주화운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시민들이 부마항쟁으로 시작된 독재권력에 항거한 민주화운동이라는 점에서 시기적으로 유사성을 내포하고 있다. 하지만 내용면에서 5.18광주민주화운동은 신군부 세력에 대한 시민들의 항쟁과 시민군 결성, 민주화운동 기간, 희생자 수, 진압이후 진상규명 과정에 대해서는 또다른 관점이 존재한다. 한국의 민주주의는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과 민족주의, 6.25전쟁, 반공교육과 민주화운동, 민주시민교육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안고 있다. 부마항쟁과 5.18광주민주화운동은 1987년 6월 항쟁으로 계승돼 한국민주주의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역사적으로 매우 큰 의의를 갖고 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se the Buma Democratic Uprising’s environmental factors that occurred in October, 1979, the relations between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nd the Gwangju Uprising and Korean citizenship.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was a short-term citizen movement that occurred between 16th and 20th of October, 1979. It was related to the incident that Kim Young-Sam, the president of New Democratic Party, was dismissed from membership of the Assembly relating to the YH incident under the economic instability of inflation due to oil shock during the Yushin Regime. As the dictatorship’s tyranny of the Yushin Regime continued, Busan University students began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which was expanded to universities in Gyeongnam and Masan. The government enforced martial law and invoked the Garrison Act to firmly control the demonstrations in Gyeongnam including Busan. As President Park Jeong-Hee was assassinated on October 26, 1979 while the Buma Uprising was coming to a lull, the uprising ended early and became a historic citizen movement that had a decisive influence on the termination of the Yushin Regime. It was understood that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on May.18 occurred in relation to the Buma Uprising and is categorized into a representative democratic movement against the cruel military power.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is similar to the Buma Uprising in that both of them resisted dictatorship. However, the Gwangju Uprising is different in that it was a citizen’s movement against military power and citizen soldiers were organized, and is also different in the period of the movement, the number of victims, and the process of truth ascertainment. Korea’s democracy contains a variety of components including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ism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Korean War, anti-communist education, democratic movement and citizen education. The Buma Democratic Uprising and the Gwangju Democratic Uprising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they developed Korea’s democracy further as they were inherited to the June Democracy Movement of 1987.

      • KCI등재

        광주문화운동 초기 형성과정 연구: 〈님을 위한 행진곡〉을 중심으로

        한재섭 전남대학교 5.18연구소 2024 민주주의와 인권 Vol.24 No.1

        이 논문은 1982년 제작된 <님을 위한 행진곡>을 중심으로 1980년 광주민중항쟁 전후 전개된 초기 광주문화운동에 관한 연구이다. <님을 위한 행진곡>은 노래굿《넋풀이-빛의 결혼식》앨범에 수록된 마지막 곡으로 황석영과 홍희윤의 집에서 광주문화운동가들에 의해 비밀리에 녹음되고 비합법 카세트테이프로 제작 복제되어 은밀하게 유통 확산된 노래이다. 논문의 목적은 먼저 기존 연구에서 <님을 위한 행진곡>과 관련해 사실관계를 정확하게 정리해냄으로써 당시 광주문화운동가들이 노래 제작에 참여하게 된 배경과 목적 등을 바탕으로 광주문화운동의 성격을 일부 규명할 수 있으리란 판단에서이다. 이는 <님을 위한 행진곡>이 1980년대 한국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기념비적 노래이자, 1997년 광주민중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제정되고 공식적 의례곡으로 채택되면서, 노래제작을 둘러싼 역사적 사실관계가 한 두 사람의 주요 인물에만 집중되고 있지 않나 하는 문제의식에서이다. 둘째는 <님을 위한 행진곡>이 광주문화운동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성격을 조명하는 작업이다. 이를 위해선 1970년대 후반부터 발아되기 시작한 광주문화운동이 어떻게 전개되어갔는지에 대한 사실관계들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님을 위한 행진곡>에 참여한 문화운동가들의 1970년대와 광주민중항쟁, 항쟁 이후 활동한 이력들에 대한 구술조사와 기존 텍스트 분석으로 광주문화운동의 초기 형성과정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간략하게 언급된 1977년《해남농민잔치》와 광주민중항쟁 이후 문화운동단체 ‘갈릴리’의 활동에 대한 새로운 자료와 진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면 <님을 위한 행진곡>은 1978년부터 본격화된 광주문화운동 1세대의 역량이 집약된 작품이자 이후 1980년대 광주문화운동의 방향을 제시한 작품으로 상정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early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before and after the 1980 Gwang-ju People Uprising, focusing on the 1982 〈March for the Beloved〉. 〈March for the Beloved〉 is the last song included in the Songgut 《Nuckfulri》 album, which was secretly recorded by Gwang-ju cultural activists at the homes of Hwang Seok-young and Hong Hee-yoon, produced and copied with illegal cassette tapes, and distributed secretly.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accurately summarize the facts related to 〈March for the Beloved〉 in existing research, so that it is possible to clarify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based o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Gwang-ju cultural activists participating in the song production at that time. This is because 〈March for the Beloved〉 is a monumental song symbolizing the Korean democracy movement in the 1980s, and as the 1997 Gwang-ju People Uprising was established as a national anniversary and adopted as an official ritual song,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the song production are focused on one or two major figures. The second is to shed light on the position and character of 〈March for the Beloved〉 in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cts about how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began to germinate in the late 1970s, has developed. In this paper, oral surveys and analysis of the history of cultural activists who participated in 〈March for the Beloved〉 in the 1970s, the Gwang-ju People Uprising, and after the protests were conducted to reveal the initial formation process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Through this, new data and statements on the activities of the culture movement group “Galilee” after the 1977 “Haenam Farmers' Festival” and the Gwang-ju People Uprising, which have been briefly mentioned so far, were secured. In summary, 〈March for the Beloved〉 can be assumed to be a work that concentrates the capabiliti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which began in earnest in 1978, and later presents the directionof the Gwangju Culture Movement in the 198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