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이주노동자 현황과 지역교회 역할 연구

        박흥순(Heung-Soon Park)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2 No.-

        Although migrant workers are engaged in the so-called 3D jobs-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y in Korean society, they have faced challenges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esult from ignorances which do not look at diversity in difference of culture, ethnic, language, tradition and religion. The initial step in resolving the cultural diversity problem in Korean society is to look at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and understanding. Investigating the role of the local church for migrant workers is important in the light of theological and biblical perspectiv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need to have an alternative solution to mingle with migrant workers as new members of the local church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se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migrant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s well as the roles of the local church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arly Christians in the New Testament have double identities or multiple identities as ‘visitors, foreigners, aliens and strangers’(Acts 2:10; Eph 2:19; Heb 11:13; 2 Pet 1:1, 17; 2:11). If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 highly self-conscious of themselves as ‘aliens and strangers’ in the world, they must treat migrant workers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in Gwangju and Jeollanam-do should deal with migrants as members of God’s Family. The early Christians called themselves “members of God’s household”(Eph 2:19) in the different cultural, ethn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Becoming the members of God’s household, the early Christian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family regardless of culture, ethnic, history and trad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arly Christians have changed their identities from visitors, aliens and foreigners to members of God’s household.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look at migrants as their new family regardless of race, class and gender. If Korean Christians recognize all human beings as members of God’s family without discriminations and prejudices, they should accept migrants as new church members. Although migrant workers are engaged in the so-called 3D jobs- dirty, dangerous and difficulty in Korean society, they have faced challenges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result from ignorances which do not look at diversity in difference of culture, ethnic, language, tradition and religion. The initial step in resolving the cultural diversity problem in Korean society is to look at people from the perspective of difference and understanding. Investigating the role of the local church for migrant workers is important in the light of theological and biblical perspectiv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need to have an alternative solution to mingle with migrant workers as new members of the local church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nalyse into the current situation of migrant worker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s well as the roles of the local church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arly Christians in the New Testament have double identities or multiple identities as ‘visitors, foreigners, aliens and strangers’(Acts 2:10; Eph 2:19; Heb 11:13; 2 Pet 1:1, 17; 2:11). If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in Gwangju and Jeollanam-do are highly self-conscious of themselves as ‘aliens and strangers’ in the world, they must treat migrant workers without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in Gwangju and Jeollanam-do should deal with migrants as members of God’s Family. The early Christians called themselves “members of God’s household”(Eph 2:19) in the different cultural, ethn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Becoming the members of God’s household, the early Christians have suggested an alternative family regardless of culture, ethnic, history and tradition.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arly Christians have changed their identities from visitors, aliens and foreigners to members of God’s household. Local churches and Christians should look at migrants as their new family regardless of race, class and gender. If Korean Christians recognize all human beings as members of God’s family without discriminations and prejudices, they should accept migrants as new church members.

      • KCI등재

        청년문제 해결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에 대한 고찰: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심명섭,부기철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청년들이 겪고 있는 문제 유형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들은 청년들만의 문제라고 할 수 없다. 그들의 문제는 사회구조적인 면이 더욱 드러나고 있다. 많은 지방자치단체는 청년 문제해결을 위해 다양한 청년정책을 펼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을 평가하는 데 있다. 또한 청년정책이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와 평가를 받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과와 평가를 통해 지방자치단체의 청년정책에 대해 깊은 고찰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청년정책의 현황을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울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세종특별자치시, 광주광역시에 대해서 분석한다. 광주광역시 청년정책 중 대표적인 청년정책을 선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과와 평가를 측정하여 분석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682명의 응답자 중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한 600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광주광역시 청년정책 사업의 고도화가 필요하다. 광주광역시 청년정책은 광주광역시의 전체 예산의 0.6%로 316억이 투입되고, 2017년부터 현재까지 사업이 연속성을 가지고 추진되고 있다. 광주광역시 청년정책은 4개 분야 49개 사업은 연도에 따라 사업이 없어지기도 하고 신규사업으로 편성되기도 한다. 청년정책은 경제 분야, 복지 분야, 문화 분야, 자치 분야의 큰 틀에서는 변화가 없다. 다만 사업간 조정이 있을 뿐이다. 따라서 2017년부터 사업이 계속 추진되고, 사업 분야가 일부 조정되기도 했지만 4개 분야의 큰 틀은 변함없이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지금까지는 기반을 다지는 과정을 인식하고, 향후 사업부터는 사업의 고도화를 이룰 수 있는 방향으로 사업과 성과관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다. 둘째, 광주광역시 청년정책의 플랫폼화가 필요하다. 광주광역시 청년정책은 사업은 14개 사업부서에서 49개 사업을 부처별로 관리하는 형태이다. 또한 사업 대부분이 민관위탁기관을 선정하여 사업이 위탁되어 관리되고 있다. 사업의 성격은 4개 분야로 나뉘어 있지만, 사업대상이나 사업 세부적인 성격은 유사하거나, 관리체계에서 통합관리가 가능한 예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체계에 적합한 사업 성격으로 구분하고, 통합관리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서 사업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예, 광주 청년센터). 이러한 청년정책 사례는 지방자치 정부에서 청년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한다. There are many different types of problems young people face. These various problems cannot be called problems only for young people. Their problems are more revealing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Many local governments are implementing various youth policies to solve youth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youth policy of local governments being implemented to solve the youth problem. It also aims to analyze whether youth policy is receiving performance and evaluation that meets its purpose. Lastly, through achievements and evaluation, I would like to take a deeper look into the youth policy of local government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youth policy in Seoul, Busan, Daegu, Daejeon, Ulsan, Incheo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and Gwangju Metropolitan City through prior research. Representative youth policies among youth policies in Gwangju are selected, and performance and evaluation are measured and analyzed through surveys.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used 600 questionnaires, excluding the questionnaire that was poorly written out of a total of 682 respon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is necessary to advance the youth policy project in Gwangju. The Gwangju Youth Policy is 0.6% of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s total budget, which is 31.6 billion won, and the project has been carried out continuously from 2017 to the present. According to the Gwangju Youth Policy, 49 projects in four areas may disappear or become new projects depending on the year. Youth policy remains unchanged in the broader framework of economic, welfare, cultural, and autonomy. However, there is only an inter-business adjustment. Therefore, since 2017, the project has been continuously promoted and the business field has been partially adjusted, but considering that the big frame of the four fields is being pursued unchanged, we recognize the process of laying the foundation so far, and from the future projects, we will achieve the advancement of the business. There is a need for business and performance management to be carried out in a possible direction. Second, the Gwangju Youth Policy needs to be platformed. The Gwangju Youth Policy consists of 14 business departments managing 49 projects by department. In addition, most of the projects are entrusted and managed by selecting private-public entrusted organizations. Althoug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re divided into four areas, it can be seen that the project targets and detaile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are similar, or there are examples of integrated management in the management system.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business by creating a platform that can be divided into business characteristics suitable for the management system and integrated management (eg, Gwangju Youth Center). This example of youth policy is considered to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youth policy in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지역특화 뷰티 융복합산업 발전 방안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이은경(Lee, EunKyung),정숙희(Jeong, Sook Heu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5

        최근 글로벌 한류열풍과 함께 한국뷰티산업(K-Beauty)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도 증가하고, 각 지자체는 뷰티산업 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광범위한 뷰티산업 중 광주광역시가 경쟁력을 지니면서 타 지역과 차별화를 위해 광주광역시 뷰티산업의 업종별 운영 실태 그리고 발전 수립 계획 선호도를 조사하여 뷰티산업 육성 방향과 전략 도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소재 업소, 기업, 교육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뷰티산업 업종별 운영환경의 어려움으로 뷰티서비스업은 “안정적인 취업시스템”, 뷰티기업은 “전문인력 부족”, 뷰티교육기관은 “융합한 교육 등 다양한 교육프로그램 개발”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산업 발전 수립 계획 선호 조사에서는 “뷰티산업 지원 전담기관 설립 운영”, “지역문화소재를 ICT산업과 융합한 뷰티문화관광 컨텐츠 육성” “현장 체험형 뷰티업소 투어 육성”, “일자리창출 및 사회적기업 육성”, “현장 맞춤형 교육프로그램으로 안정적인 취업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광주광역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뷰티통합 전문 교육센터 구축 운영”이 전체 업종의 공통적인 의견으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 뷰티산업의 발전 방향성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Along with the recent global Hallyu fever, global interest in the Korean beauty industry (K-Beauty) has also increased, and each local government is promoting policies to foster the beauty industry. In order to differentiate Gwangju Metropolitan City from other regions while being competitive among a wide range of beauty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of Gwangju beauty industry by business type and preference for development planning, and use it as basic data for deriving the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promotion of the beauty industry. A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of businesses, companie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Gwangju,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operating environment of each beauty industry, the beauty service industry was found to have a “stable employment system”, the beauty company had a “shortage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the beauty education institution “developed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fusion education” second. In the preference survey for the beauty industry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n agency in charge of supporting the beauty industry”, “Cultivation of beauty cultural tourism content that combines local cultural materials with the ICT industry” “Development of field-experienced beauty shop tours”, “Job creation and social enterprise Fostering” and “establishing a stable employment system with on-site customized education programs” were surveyed. In addition,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building and operating a beauty integrated professional training center” has emerged as a common opinion among all industries. Based on these findings, I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industry in Gwangju.

      • KCI등재

        광주광역시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관한 연구

        노찬백 인문사회 21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Gwangju Metro City councilor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by gender, age, educational background, occupation, career, and presence of political parties. Next, I analyzed how this socio-economic background affects the re-elec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councilors. Through these analyzes, the following contents were confirmed. First, male ratio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councilors very high at 74.4%. Second, the ages of the 40s and 50s are 44.2% and 43.0%, respectively, and the whole age is not evenly distributed. Third, most of the councilors have higher education than college attending, especially the ratio of graduated students is 56.2%. Fourth, politicians such as politicians, district councilors, and city councilors account for 66.8% and 45.2%, respectively. Fifth, in the case of district councilor members, the party members account for 94.7%, and except for the fourth and fifth generations, the first party accounts for the majority of the seats. Finally,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background on re-election were age and occupation.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likelihood of re-election and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re-election of politicians. 이 연구는 제1대에서 8대까지의 광주광역시의원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대한 분석이다. 먼저 이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의원들의 사회경제적 배경을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경력, 정당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러한 사회경제적 배경이 광주광역시의원들의 재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지를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로 광주광역시의원들의 남성 비율 74.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로 연령은 40대와 50대가 각각 44.2%와 43.0%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 연령이 고르게 분포되지 못하고 있다. 셋째로 대학 재학 이상의 고학력자가 대부분이며, 특히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자가 52.6%를 차지하고 있다. 넷째로 직업과 경력은 정당인, 구의원, 시의원 등의 정치인이 각각 66.8%와 45.2%를 차지하고 있다. 다섯째로 지역구 의원의 경우 정당 소속이 94.7%를 차지하고 있으며 4대와 5대를 제외하고는 제1당이 의석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경제적 배경이 재선에 미친 영향은 연령과 직업으로 나타났다. 연령이 낮을수록 재선의 가능성이 높았으며, 정치인의 재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 광주광역시 비점오염저감사업 추진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평가 및 관리방안

        김진선 ( Jinsun Kim ),류지철 ( Jichul Ryu ),장희선 ( Heeseon Jang ),박재홍 ( Jaehong Park ),신동석 ( Dongseok Shin ),이재관 ( Jaekwan Lee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광주광역시는 지정 당시 유달부하량 중 비점 기여율 50% 이상으로 환경기준 초과 및 인구 100만 이상으로 비점관리 지역으로 지정(`07년)되었으며(Choi et al. 2014, Kim et al., 2010) 물순환선도도시로 지정(‘16년)되어 물순환 마스터플랜이 수립 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비점오염관리지역의 목표달성기간이 도래함에 따라 시행계획에 따른 추진 실적 등 비점오염저감사업 이행에 따른 관리목표 (광주광역시 말단 광산 지점 BOD 5.0 mg/L) 달성여부 및 수질개선 효과평가에 따른 관리대책 마련을 제시한다. 시행계획 대비 비점오염저감사업의 추진결과가 저조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광주광역시 말단 관리목표지점(국가수질측정망 ‘광산’지점)의 BOD농도는 3년 평균 연속 2회 이상 5 mg/L 이하를 유지하며 관리목표를 달성하였다. 비점오염에 따른 수질개선 평가를 위해 관리대책전·후(‘04∼’16년)자료로 광산지점의 LDC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갈수량 상태를 제외한 대부분의 유량 조건에서 목표수질 초과율이 개선되었으며, 이는 비점오염 및 점오염부하가 모두 저감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관리대책 수립 이후(’08∼ ‘16년) 유량변화의 영향을 배제하여도 다양한 수질개선노력에 따라 다변수 로그선형모델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원관리대책 시행계획을 포함한 다양한 유역관리계획 추진으로 점 및 비점오염부하가 저감되어 수질개선 및 관리목표가 달성됨을 확인하였다. 광주광역시 말단에서 관리목표가 달성되었으나, ‘광주천’, ‘풍영정천, ‘대촌천’ 유량 증가 시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기지정된 관리지역 범위를 조정하여, 불투수면적률이 높고, 인구 100만명 이상의 과밀 거주지역인 ‘영산강 상류’ 및 ‘지석천’ 중권역 일부만 관리지역으로 축소되어 재지정(`18.02)되었다. 재지정에 따라 관리물질은 영산강·섬진강 제2차 대권역계획 중 수질개선 계획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관리지점은 관리지역 중권역 말단지점을 고려하여 선정할 계획이다. 특히, 관리지역 유역 특성을 고려하여 발생원관리, 유출경로관리, 비구조적관리 등 구분하여 수질오염물질 발생 예방 및 저감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교통약자를 위한 광주광역시 지하철 실태조사: 엘리베이터를 기준으로

        김다윤,이지훈,정현애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2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easy route from the elevator on the ground to platform when the people who have mobility handicapped use subway stations in line No.1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Method : W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elevators and entrances with subway guide boards, route maps of subway stations and cameras. We started to analyze total 92 entrances from Pyeong-Dong station to Nok-Dong station, and made the sketch maps that indicate the route through from entrances to platforms when the people having mobility handicapped use elevators to get platforms. Result : There are 5 stations to get easily from elevator to platform including Do-San station. The easiest stations are Pyeong-Dong, Nok-Dong station because they have platforms on the ground. But, Yang-Dong Maket station doesn’t have any elevators, only has just one wheelchair lifter, so it was the hardiest station to use. Conclusion :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asy route from the elevator on the ground to platform and which subway entrance has the elevator on 20 subway stations in line No.1. And also expect to make easy and safety ways that to help use subway the people who have mobility handicapped, when that is going to give these information in early stage of design phase of line No.2.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목적엘리베이터를 기준으로 한 광주광역시에 개통되어 있는 지하철 1호선 20개 역사의 외부 지상 엘리베이터 현황 및 플랫폼까지의 이동경로를 조사하여 교통약자들의 지하철 이용이 가장 용이한 경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2017년 8월 28일부터 2017년 11월 5일까지 광주광역시 지하철 역사 내 안내 표지판, 지하철내부 지도, 카메라를 사용하여 지하철 현장 조사를 실시하였다. 평동역 3개의 출입구를 시작으로 종점역인 녹동역 1개의 출입구까지 총 92개의 출입구를 방문하여, 외부 지상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경우 각 역사별 출입구에서 플랫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여 지도를 제작하였다. 연구결과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의 총 20개 역사 중 외부 지상 엘리베이터까지의 접근이 용이한 역사는 도산역외 5개의 역사로 나타났으며, 평동역과 녹동역은 역사와 플랫폼이 모두 지상에 위치해 있어 출입구에서플랫폼까지의 이동이 가장 용이하였다. 반면, 양동시장역은 엘리베이터 설치없이 1대의 휠체어 리프트만이 설치되어 있어, 교통약자들의 역사 내로 플랫폼까지의 이동이 가장 어려운 경로로 나타났다. 결론본 연구는 현재 운영 중인 광주광역시 지하철 1호선을 이용하는 교통약자들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접근 용이한 경로를 제시함과 동시에, 앞으로 개통 예정인 광주광역시 지하철 2호선의 상하이동편의시설설계단계에 있어 교통약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이동권을 보장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초등학교 교가에 나타난 광주광역시의 경관요소

        노시훈 ( Shi Hun Noh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4 호남학 Vol.0 No.56

        본고에서는 광주광역시의 150개 초등학교 교가 가사를 분석하여 광주광역시가 가진 경관요소와 그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가에는 자연경관과 문화경관 모두가 나타나지만 자연경관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다. 둘째, 자연경관은 지형(224회), 날씨(60회), 물(51회), 하늘(42회), 식물(39회), 동물(6회), 토양(3회)의 순으로 많이 나타난다. 하위 경관에서는 “산” (지형, 162회), “빛”(날씨, 50회), “하천”(물, 45회), “들”(지형, 29회)이 출현 빈도가 높아 이것들이 광주의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빛”은 차별성을 갖는 경관요소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지명 등 의 고유명사를 통해 구체적인 경관요소를 언급하는 경우는 지형과 물에 국한되었는데, 그 가운데 “산”, “하천”, “들”이 출현 빈도가 높았다. 넷째, 가장 수가 많은 “산”의 경우 “무등산”(115회)이 매우 빈번하게 출현하여 이 산이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중요한 경관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무등산이 “해”나 “빛”이라는 경관요소와 함께 나타나는 경우(17회, 25회)가 많으므로 “무등산에 솟는 해”나 “무등산을 비추는 빛”이 광주를 대표하는 경관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하천”의 경우에는 광주 안을 흐르다가 영산강에 합류하는 하천들 (“극락강”, “황룡강”, “풍영정천”)의 출현 횟수가 많았으나 도심을 관통하는 “광주천”은 잘 나타나지 않았다. 여섯째, 들의 경우 한 번씩만 출현하는 들 이름이 대부분이어서 학교 바로 앞의 들이 경관요소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By studying the landscape elements and their characteristics represented in the school songs of 150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this article has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Both natural landscapes and cultural landscapes appear in these songs, but the number of the former is overwhelmingly great. 2)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various natural landscapes is as follows : geographical features (224), weather (60), water (51), sky (42), plants (39), animals (6), soil (3). As their subordinate elements such as mountain (geographical features, 162), light (weather, 50), river (water, 45) and field (geographical features, 29) frequently appear, we can consider them as important landscape elements of Gwangju. It is noted that the light is its distinctive landscape element among them. 3) Proper nouns (place names) are only related to the geographical features (mountain, field) and the water (river). 4) Among mountains, Mudeungsan (115), the most important landscape of Gwangju, shows the highest appearance frequency. This element also frequently appears with the sun (17) and the light (25), and makes representative landscape images of Gwangju as “the sun risen on Mudeungsan” or “the light flashing on Mudeungsan.” 5) Among rivers, Gwangjucheon (2) is not shown enough though it flows through the city. Other tributaries nearer Yeongsangang (Geukrakgang, Hwangryonggang, Pungyeongjeongcheon) are far more frequently mentioned. 6) Most of fields appear only once and refer to the space in front of the school.

      • KCI등재후보

        ‘라이즈’ 도입과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 문제, 대안

        염민호(Minho Yeom ),염경준(Kyung Joon Yum)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4 교육연구 Vol.46 No.1

        2025년 도입 예정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이하 ‘라이즈’)에 따라 지방정부에게 고등교육관할권이 부분 위임/이양되면, 한국의 고등교육체계는 구조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구조변화의 핵심 내용은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지도/감독 권한의이원화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고등교육을 공동으로 관할하는 것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라이즈’에대응하는 지방정부(광주광역시)와 대학 간의 상생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 논문의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에 근거하여 세 가지 주제를 집중 논의했다. 첫째, 지방정부와 대학 간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둘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상생협력이 지닌 의미를 비판적으로 논의했다. 둘째, 광주광역시 고등교육의 현황에 대한 이해를 위해 국가수준/지역수준에서 광주 고등교육의 현황을 주요지표 중심으로 분석했다. 셋째, 광주 고등교육의 문제와 대안에서는 고등교육체계를 구성하는 네 가지 요인(목적구성, 지배구조, 재정구조, 성과관리)에 근거하여 핵심 문제를 지적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했다. 결론에서는 국가/지역수준 고등교육체계의 혁신 방향으로 공적가치를 중시할 것과 지방정부의 대학에대한 이해에 특별한 인식전환을 강조했다. If higher education jurisdiction is partially delegated/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according to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Education (RISE), which is scheduled to be introduced in 2025,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will experience structural changes. The core content of structural change is the dualization of guidance/supervision authority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jointly govern high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win-win cooperation measures between Gwangju City and universities in response to the ‘RIS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paper, three topics were intensively discuss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Firs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s and universit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as identified and the meaning of win-win cooperation was critically discuss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city, the reality of higher education in Gwangju was analyzed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focusing on key indicators. Third, in the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Gwangju higher education, key problems were pointed out and alternativ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four factors that make up the higher education system (purpose structure, governance structure, financial structure, and performance management). In the conclusion, it was emphasized that public value should be emphasized i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higher education system at the national/regional level and a special change in perception in local governments' understanding of universities was emphasized.

      • KCI등재

        지역 주민의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중심으로

        양유정,김다희,이현숙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The Study on the Customized Stress Management Plan ofLocal Residents: Centered Around Gwangju Metropolitan CityYujeong Yang, Dahee Kim, & Hyunsuk Lee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me up with a community-based stress management plan, analyzed 13,748 people aged older than 19 whose residence is Gwangju as the final subjects among 685,820 cases of Community Health Survey from 2018 to 2020. The result says the factors affecting stress recognition of local residents are gender, age, residence, economic activity status, job, monthly income, smoking, alcohol drinking, obesity, health statuses such as regular walking, recognition of health, and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diabetes. Among these, the probability of stress recognition is high in females, residents aged between 19-44, residents living in Gwangsan-gu, a group doing an economic activity, a group in-office administrative positions, a group high in monthly income, a group not good in health, and hyperten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that it attempted research on stress factors by fields to establish mental health management plans for local residents, and it is considered to be practical data for establishing measures according to stress recognition factors. Key Words: Stress, Local Community, Residents, Gwangju Metropolitan City, Mental Health, Influence Factors on Stress 지역 주민의 맞춤형 스트레스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중심으로양 유 정**ㆍ김 다 희***ㆍ이 현 숙**** 요약: 본 연구는 지역사회 중심의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질병관리청의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총 68만 5,820건 중 거주지가 광주광역시인 19세 이상의 성인의 조사자료 1만 3,748건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주민의 스트레스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연령, 거주지, 경제활동의 여부, 직업, 월 가구소득별, 흡연, 음주, 비만, 걷기실천 등 건강행태, 건강수준의 인지여부, 고혈압, 당뇨병의 유병 여부가 있었으며, 이 중 여성, 19-44세의 주민, 광산구에 거주하는 주민, 경제활동을 하는 군, 사무행정직, 가구소득이 높은 군, 건강행태가 좋지 않은 군, 고혈압 유병 군에서 스트레스 인지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정신건강 관리방안을 수립하기 위해 분야별로 스트레스 인지요인에 대한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의 정신건강관리를 위한 정책수립시 스트레스 인지요인에 따른 맞춤형 방안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스트레스, 지역주민, 광주광역시, 정신건강, 스트레스 영향인자 □ 접수일: 2022년 1월 17일, 수정일: 2022년 2월 7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이 논문은 2022년도 광주대학교 대학 연구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음. ** 주저자, 광주대학교 보건행정학부 부교수(First Author, Professor, Gwangju Univ., Email: yjyang@gwangju.ac.kr)*** 공동저자, 초당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조교수(Co-author, Professor, Chodang Univ., Email: dream4656@cdu.ac.kr)**** 교신저자, 전주비전대학교 보건행정과 조교수(Corresponding Author, Professor, Jeonju Vision Univ., Email: yrth9702@naver.com)

      • KCI등재

        광주광역시 하천의 표층퇴적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특성과 오염

        김주용,고영구,윤석태,신상은,박배영,문병찬,김해경,오강호,Kim, Joo-Yong,Koh, Young-Koo,Youn, Seok-Tai,Shin, Sang-Eun,Park, Bae-Young,Moon, Byoung-Chan,Kim, Hai-Gyoung,Oh, Kang-Ho 한국지구과학회 2003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4 No.4

        광주광역시 하천에 분포하는 표층퇴적물의 지구화학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영산강 본류, 황룡강, 광주천에서 채취한 시료를 대상으로 입도, 금속원소, 유기탄소의 함량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퇴적물의 입도는 잔자갈에서 니질 크기로 다양하게 나타났다. 퇴적물 내 금속원소의 함량변화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에서는 퇴적물 입도와 주변 지질에 의한 의존성을 보였다. 광주천에서는 생활하수 등의 유기물에 의한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에 함유된 금속원소들의 오염을 알아보기 위한 부화계수와 농집지수는 영산강 본류와 황룡강이 특별하게 오염되지 않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광주천에서는 부화계수가 P=8.30, Cu=5.54, Zn=14.28, Pb=7.41 등으로, 농집지수는 P=3.78, Cu=2.79,Zn=3.66, Pb=1.59 등을 보였다. 특히, 광주천의 지류인 서방천과 동계천 등이 유입되는 지점에서 중금속 오염이 상당히 진행된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광주광역시를 관류하는 하천들의 금속오염은 상당 부분 도시지역의 생활 하수에서 비롯된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urface sediments in streams of Gwangju City, sediment samples from the main stream of Yeongsan river, Hwangryong river, and Gwangjucheon in the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rain size and metal and organic carbon contents. The sediment types of the streams widely vary from pebble to mud. The metal contents in the sediments from Yeongsan river and Hwangryong river are mainly dependent on the grain size of the sediments and the geology around the streams, while the sediments in Gwangiucheon are controlled by organic matter contents from the domestic sewage. The enrichment factor (Ef) and index of geoaccumulation (Igeo) representing the degree of metal contamination in the sediments are relatively low in the mainstream of Yeongsan river and Hwangryong river. However, those of Gwangjucheon show EF values of P=8.30, Cu=5.54, Zn=14.28 and Pb=7.41 and Igeo values of P=3.78, Cu=2.79, Zn=3.66 and Pb=1.59.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is especially significant near the area where the Seobangcheon and Donggyecheon branches of Gwanjucheon, joi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etallic contaminations of these small streams a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domestic sewage of the 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