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역시도별 상대가구소득과 출산에 관한 연구

        전예진,문창웅 한국정책학회 2024 韓國政策學會報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별 가구의 상대소득이 출산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광역시도별 상대가구소득을 지역별 가구소득의 상대적인 지표로 활용한다. 광역시도별 상대가구소득은 전국 단위의 소득분포를 활용한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지역별로 가구의 소득분포가 서로 다른 수준임을 고려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연구이다. 더불어 여성의 직업, 가계 레버리지, 지역사회의 인프라와 광역시도별 상대가구소득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출산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가임이 가능한 50세 이하 가구원이 있는 가구이며, 2008년부터 2021년까지의 노동패널데이터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광역시도별 상대가구소득은 U자형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의 직업, 가계 레버리지(부채규모, 주택가격), 지역사회의 인프라(의료기관 병상수, 보육시설수)가 모두 U자형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조절하였다. 즉 모든 조절효과는 양(+)의 효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며, 음에서 양으로 바뀌는 U자형 반환점에 더 빨리 도달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출산과 관련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광역-기초간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

        이상범 한국지방자치법학회 2019 지방자치법연구(地方自治法硏究) Vol.19 No.4

        There is a problem in operating the system of local subsidies between upper‐tier local governments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not based on elaborate principles or objective analysis of affairs and functions, but through a subsidy rate arbitrarily set by upper‐tier local governments. This poses many problems for the financial efficiency, equity and predictability of lower‐tier local governments. In recognition of these problem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strategy of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To this end, this study discussed collaborative fiscal relations through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and the theory of fiscal relations between governments, and analyzed the legal and financial contributions of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to examine their structural problems. On the basis of this, an improvement strategy of the municipal/provincial subsidy system was sought. For improvement strategies for municipal/provincial subsidies, through consultation on the allocation of financial use between local governments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this study proposed a decentralization plan based on cooperative financial governance system that is being promoted as follows. The first is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cost sharing standard for the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For each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central and regional security by considering the type and nature of the project, the size of the project cost and the degree of reaching effect, and the subject of implementation, etc., and to set additional standards between upper‐tier local governments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taking into account local characteristics. Regarding the differential subsidy rate, it is necessary to revise it to the purpose that only the increase subsidy rate is possible. In the case of non‐compliance with the national disbursement fund project, the penalties need to be introduced. The second is the establishment of a deliberation body for municipal/provincial subsidy project of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This involves setting up a tentative “local finance matching deliberation committee for upper‐tier and lower‐tier local governments” in each city and/or province to deliberate on key issues related to the subsidies matching burden. To this end, Article 23‐2 of the Local Finance Act should be newly established to consider whether to promote new subsidies projects and adjust the subsidy rate of existing subsidies projects. In this case, consultation on related financial burdens is to be made mandatory, and only through deliberation should it be possible to establish or change the subsidy grant system.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간 지방보조금 제도는 사무와 기능에 관한 정교한 원칙이나 객관적인 분석 결과에 근거하지 않고, 광역자치단체가 임의적으로 설정한 보조율을 통하여 제도를 운영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기초자치단체의 재정 효율성과 형평성 그리고 예측 가능성에 많은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여 본 연구는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시도비 보조금 제도와 정부간 재정관계 이론을 통해 협력적 재정관계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시도보조금 제도의 법적 현황과 재원분담 현황을 파악하여 구조적 문제점에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시도비 보조금 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시도비 보조금의 개선방안은 중앙정부를 포함한 지방정부간 재정의 활용 배분 등을 협의 등을 통해 추진하는 협력적 재정 거버넌스 시스템 기반의 분권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되었다. 첫째, 국고보조사업 지방비 분담 기준안의 마련이다. 이는 국고보조사업별로 사업의 유형과 성격, 사업비의 규모 및 파급효과 정도, 시행주체 등을 감안하여 중앙과 지방 간 경비부담의 기준을 마련한 후 지방의 특성을 고려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간 기준을 추가로 설정하여 마련하도록 한다. 차등보조율과 관련해서는 인상보조율만 가능하다는 취지의 개정이 필요하며, 국고보조사업 기준분담률을 준수하지 않을 경우 패널티 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광역-기초 시도보조사업 심의기구 신설이다. 이는 보조사업 매칭부담에 관한 주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해 각 시도에 가칭 ‘광역-기초 지방재정부담심의 위원회’를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지방재정법 제23조의 2를 신설하여, 신규보조사업의 추진여부, 기존 보조사업 보조율 조정 등을 심의하도록 한다. 이 경우 관련 재정부담에 관한 협의는 의무적인 사항으로 해야 하며, 심의를 통해서만 보조금제도 신설 및 변경이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진보개혁진영의 지역정책 생산

        홍일표(ILPYO HONG) 비판사회학회 2011 경제와 사회 Vol.- No.90

        이 논문은 6ㆍ2 지방선거 이후 진보개혁진영이 집권한 지역의 정책생산 주체와 구조에서 어떤 변화가 있었던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난 20년간 광역시도연구원은 지방정부의 정책적 요구에 부응하며 위상을 서서히 높여왔다. 광역의회는 지방정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지 못하였다. 6ㆍ2 지방선거 이후 새로운 단체장과 의회 다수당은 각각의 지위에 부합하는 정책역량을 발휘해야 되었다. 그동안 진보개혁진영은 광역시도연구원의 ‘독립성’, ‘독창성’, ‘현장성’ 부족을 비판해왔다. 경남발전연구원을 살펴본 결과, 진보개혁진영이 주도하는 변화는 아직 본격화되진 않고 있었다. ‘여소야대’가 된 서울시의회에서는, ‘서울시 재정분석 TF’ 사례에서처럼 시민사회 싱크탱크와의 협력이 시도되기도 했다. 그러나 ‘일회성 협력’을 넘어 ‘제도화된 협력’을 위한 전략적 실천은 충분치 않다. 진보개혁진영의 지역정책 구조 변화는 ‘아래로부터의 힘과 전략’을 더욱 필요로 하였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change of subject and structure of producing local policies led by progressive groups after the 2010 June 2nd local election. During the past two decades, provincial think tanks have emerged to satisfy the policy needs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provincial assembly has not played enough of a watchdog role in checking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New governors and the ruling party elected in the last local election were asked to display the policy capacity meeting their status. Progressive groups have criticized provincial think tanks because of the absence of ‘independence’, ‘originality’ and ‘locality’. But even Gyeongnam development Institute(GNDI) did not begig in earnest the change led by progressive groups. Seoul Metropolitan Council, in which the opposition party forms a majority, attempted cooperation between civil society based think tanks as in the case of 〈Seoul Metro Financial Analysis TF〉. However, the strategic action beyond “one-shot cooperation” for “institutionalized cooperation” is lacking. The change of local policy structure of progressive groups needed more “strength and strategy from below.”

      • 사회통합 지표 개발 및 16개 광역시도별 사회통합 수준 평가

        김준영,김혜영(Kim, Joon-young,Kim, Hye-You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12 복지행정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16개 광역시·도의 사회통합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사회통합 지표를 구성하고, 지역 간의 사화통합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연구로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학계, 공무원 등 전문가들의 협의를 거쳐 사회통합 지표를 구성하였다. 사회통합 영역과 관련된 개별 사회통합 지표들은 지표의 이용가능성, 계량화 가능성, 객관성을 고려하여 통계청의 국가정보통계포털을 자료를 활용하였고, 16개 광역시도별 분석이 가능한 사회통합 지표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대도시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사회통합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나라 시도별 사회통합 양상의 특징은 대부분의 광역시도들의 사회통합 수준은 각 영역별로 일치된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각 사회통합 영역별로 상반된 점수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모든 영역에서 뚜렷하게 높거나 낮은 사회통합 수준을 보여주는 광역시도는 없고, 어느 한 영역에서 높은 통합수준을 보이면 다른 영역에서는 낮은 통합 순위의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별 사회통합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통합 수준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지역별 상이한 현안과제를 도출하고, 지역 현안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정책의 개발 및 추진 방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기초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work out a social cohesion index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of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hen examine the regional difference of social cohesion. The social cohesion index was worked out through consulting with experts in academic circles and public servants, in consideration of domestic circumstances. As for the individual social cohesion indices, which were related to the areas of social cohesi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s portal for national information statistics was used as data by taking the usability, quantifiability and objectivity of indices into account, and such social cohesion indices that were possible to be examined by 16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analyz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Megacity’s social cohesion level was lower than that of other areas in general.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social cohesion modality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as that the social cohesion level of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seemed to proceed not to corresponding directions by areas but show conflicting scores by social cohesion areas. In other words, there was no metropolitan city or province of which level of social cohesion was distinctively high or distinctively low in all the areas. When one area’s social cohesion level was high, that of other areas seemed to be low. This study is seemingly meaningful in that via examining the current status of regional social cohesion and the difference of social cohesion level, study findings could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working out the strateg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ocial policies, in order to find out and settle regionally different urgent problem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광역시도별 야간 인공조명 강도의 시공간 변화

        김민호 국토지리학회 2021 국토지리학회지 Vol.55 No.2

        The COVID-19 has recently entered into global pandemic era, which impacted on the shrinkage of world economy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 movement limit and local-level lockdown. The province-level distinction of nighttime light (NTL) change, associated with COVID-19 pandemic, was reported by previous research for China and Ind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patio-temporal patterns of NTL change for provinces of South Korea. To do so, it utilized Day/Night Band (DNB) March images of 2019, 2020 and 2021, which were collected by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sensor onboard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NPP) satellite. The considerable dimming of NTL was observed in Seoul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whose cumulative COVID-19 confirmed cases were higher than the others. Province-level NTL changes between pre-pandemic and pandemic periods of this communicable disease were also confirmed by Wilcoxon signed rank test. It would be required to perform time-series statistical analysis, incorporating other the other variables potentially related to NTL change, in future study.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는 전 세계적 대유행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국가 간 이동제한 및 지역봉쇄에 따라 세계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과 인도를 대상으로 수행된 선행연구는 야간 인공위성 영상자료를 통해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인공조명 세기 변화의 지역별 차이가 발생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2019년, 2020년, 2021년 3월 SNPP VIIRS DNB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코로나-19의 전국적 확산과 맞물린 야간 인공조명의 광역시도별 시공간 변화 패턴을 고찰하였다.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많이 발생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와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지역에서 다른 지역보다 큰 폭의 야간 조도 감소가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에 따르면 두 시기 간 광역시도별 빛합계지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야간 조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변인을 포함한 시계열 모형 기반 분석의 수행 필요성이 제기된다.

      • 광역구역 통합의 쟁점: 대구·경북 행정통합 과정을 중심으로

        김석태,김선영 한국지방자치학회 2021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2

        20여 년 만에 다시 추진되는 대구·경북통합이 전국적 이슈로 번지고 있다. 시도통합론자들은 광역시와 도의 분리를 지역 침체의 원인이라 진단하고, 이를 수도권으로 사람과 부가 몰리는 블랙홀 현상의 원인이라 보고 있다. 그들은 이에 대한 대응으로 광역시와 도의 통합을 통해 몸집을 불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광역지방자치단체로서 대등한 지위에 있는 광역시와 도의 통합은 전례가 없는 일이라 그들의 주장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제도를 만든다고 하더라도 통합결과에 대한 효과 역시 상당히 불분명하다. 이 논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구·경북통합과 관련된 광역시 제도의 발전과 광역구역개편 관련 문헌들을 정리한 다음 통합의 일곱 가지 쟁점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통합의 대안을 제시한 후 시도지사가 제안한 통합추진의 정치적 성격을 고찰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