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十九史略≫≪通鑒節要≫的朝鮮版本考述

        崔英花 열상고전연구회 2024 열상고전연구 Vol.83 No.-

        조선시대에 가장 널리 읽힌 사서(史書)는 단연 ≪십구사략(十九史略)≫과 ≪통감절요(通鑒節要)≫이다. 동시대 중국에서는 거의 찾는 이가 없었던 것과는 달리, 이 두 책은 조선에서 “증사(曾史)”와 “강감(江鉴)”으로 병칭되며 조선조 수백년간 수십 차례 간행된다. 이 두 책은 금속활자본, 목활자본을 비롯한 관판본과 왕실본, 방각본 등 다양한 판본으로 간행되었다. 본고에서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이 두 사서의 간행 양상을 고찰하고, 이 두 사서가 조선시대 각 계층에 수용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조선전기의 ≪십구사략≫과 ≪통감절요≫의 간행 상황과 수용 양상을 살피고, 현존 판본을 조사하였다. 이 두 사서는 조선 전기에 중요한 초학 교재로 선정되어 왕실과 사대부 자제들에게 널리 읽혔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십구사략≫과 ≪통감절요≫의 관판본의 간행 양상과 내용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17세기 초 안동판 ≪통감절요≫는 “통감총론(通監總論)” 등 앞머리 서술을 산삭한 판본이며, 이는 이 후에 간행된 판본에 그대로 원용되었다. 18세기 이후 ≪십구사략≫의 간행 또한 새로운 변화가 보인다. ≪동국사략(東國史略)≫을 증보한 ≪사략≫, ≪명사략(明史略)≫을 추가한 ≪사략≫, ≪동국사략≫과 ≪명사략≫을 모두 증보한 ≪사략≫ 등 “십구사략”에 한정되지 않은 ≪십구사략≫이 간행되었다. 조선후기 ≪십구사략≫과 ≪통감절요≫는 경연에서 진강(進講)되었고, 왕실과 사대부 자제들의 교육용 사서로 널리 읽혔다. 마지막으로, 방각본 ≪십구사략≫과 ≪통감절요≫의 출판 양상과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19세기에 이르러 이 두 책의 독자층이 점차적으로 중인층과 서민층으로 확산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 결과 서울과 전주 등지의 여러 방각소에서 이 두 책을 다투어 간행하였다. 방각본 ≪사략≫은 주로 권1에서 권3까지가 간행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권1이 제일 많이 간행되었다. 다만, 무교에서는 1866년에 춘방(春坊) 간행본을 저본으로 하여 “남송사(南宋史)”와 “원사(元史)”에 해당하는 권7과 권8을 간행하였고, 1870년에는 정창순이 증보한 “명사(明史)”에 해당하는 권9과 권10을 간행하였다. ≪사략≫과 달리 방각본 ≪통감절요≫는 권1부터 권19까지 고루 간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widely read historical books during the Joseon Dynasty were undoubtedly Shijiu Shilue and Tongjian Jieyao. Unlike in contemporary China, where these books were rarely accessed, these two works were published dozens of times over several centur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y were issued in various editions, including government, royal, and commercial ones. This study examines the publication trends of these two historical books over time and investigates how they were received by different social strata. First, we investigate the extant editions and discuss the publication trends and reception of Shijiu Shilueand Tongjian Jieyao in the early Joseon period. We find that these two historical books were chosen as important introductory textbooks for beginner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were widely read by the royal family and by children of the scholarly class. Next, we examinethe changes in the publication trends and content of government edition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Finally, we consider the publication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editions.

      • 중국본 『大學衍義』의 판본학적 연구

        金昭姬 한국서지학회 2007 서지학보 Vol.0 No.31

        본 연구는 眞德秀가 편찬한 大學衍義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에서 활용․간행되었던 역사적 사실 및 諸版本을 조사한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에서 간행된 판본의 계통을 세우고, 아울러 이들 중국본이 고려와 조선에 수용되어 정착되는 과정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국에서는 南宋代에 揚子江이남을 중심으로 10行20字本과 9行17字本이 존재하고 있었고, 元代에서는 9行17字本, 11行21字本의 간본이 있었으며, 明代에서는 다양한 간행주체에 의해 官版本, 私刻本, 坊刻本으로 널리 유통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고려시대에 유입된 송본을 저본으로 계미자 및 초주갑인자를 비롯하여 乙亥字, 甲辰字, 戊申字와 이들 금속활자본을 復刻한 木版本이라는 다양한 판본으로 유통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find out the historical records and facts related to printing of "Ta-shueh yen-i(大學衍義)" edited by Zhen De-xiu(眞德秀) and printed in China and Korea. Through this study I systematized Ta-shueh yen-i printed in China and examined Ta-shueh yen-i's introducing process and meaning. As a result of this survey there were '10 lines 20 characters type' and '9 lines 17 characters type' in Southern Sung period and '9 lines 17 characters type' and '11 lines 21 characters type' in Yuan period. In Ming period various types of books appeared - official publications, private publications, commercial publications. In Goryo period Ta-shueh yen-i was introduced from China and then in Joseon period it was printed by Gyemi type, First Gabin type, Ulhae type, Gabjin type, Musin type and woodblock.

      • KCI등재

        판본(板本)의 계통과 변화 : 조선과 근대 한국에서의 『동몽선습』 간행과 활용

        정호훈 한국사상사학회 2023 韓國思想史學 Vol.- No.75

        이 논문에서는 16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반까지, 동몽선습(童蒙先習)이 간행되는 양상을 시간의 추이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동몽선습은 처음 관판본으로 제작되었다가 18세기 후반 이래 방각본으로도 유통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이는 조선 출판문화의 일반적인 양상을 따르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동몽선습은 처음 한문본으로 간행되다가 한문본・한글 번역본의 병행 시기를 거치고 이어 한문과 한글 대역이 통합된 통합본이 유통되는 양상을 보여준다. 물론 통합본이 출현한 뒤에도 한문본이 널리 이용되었지만, 통합본은 동몽선습 판본의 진화의 결과였다. 이러한 판본의 변화상은 한문 원문과 한글 대역을 동시에 갖추고 유통된 조선에서의 유교 학습서의 전형적인 모습과는 달랐다. 다양한 출판 형태를 보이는 동몽선습의 편찬과 유통은 이 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매우 강렬했다는 반증이다. 학습자들은 수준, 여건, 취향에 따라 여러 형태의 판본을 골라 잡아 한문의 기초를 익히고 사회가 필요로 하는 근본 윤리와 교양을 갖출 수 있었다. 18~19세기 유교화의 진전에 동몽선습이 적지 않은 기여를 했음을 충분히 상상할 수 있다. 동몽선습은 20세기 초, 문명의 대전환이 일어나는 시점에도 많이 간행되고 읽혔다. 이 책이 가진 사회적 기능이 쉽게 쇠퇴하지는 않았던 셈이다. 하지만 일제의 출판법 아래에서 동몽선습은 원형 그대로 출판되지는 않았다. 출판업자들은 책의 이름을 바꾸고 내용을 줄이거나 바꾼 동몽선습의 아류를 여럿 출판했다. 근대의 시간과 동몽선습의 불일치 그리고 동몽선습의 쇠퇴는 예견되어 있었지만, 일제의 권력은 그마저도 왜곡하며 앞당겼다. In this paper, we examined the publication pattern of Dongmong Sunseup from the mid-16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focusing on the trend of time. Dongmong Sunseup was first published as a Chinese version, went through a parallel period of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and then a consolidated version combining the Chinese and Korean translations was distributed. Of course, the Chinese version was widely used even after the emergence of the integrated version, but the integrated version was the result of the evolution of the Dongmong Sunseup version. The changes in this version were different from the typical Confucian study books in Joseon that were distributed with both the original Chinese text and the Korean translation. The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of Dongmong Sunseup, which shows various forms of publication, is proof that the social demand for this book was greater than any other book. Learners were able to select various types of editions according to their level, circumstances, and tastes, learn the bas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acquire the fundamental ethics and culture needed by society. It can be fully imagined that Dongmong Sunseup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dvancement of Confucianism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Dongmong Sunseup was widely published and read even during the great transition of civiliz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This means that the social function of this book did not easily decline. However, under the Japanese publishing law, Dongmong Sunseup was not published in its original form.

      • 日藏琉球官話課本《白姓官話》三種抄本的比較

        洪曉?(홍효정) 한국교통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20 동아문헌연구 Vol.- No.-

        Bai-Xing-Guan-Hua(《白姓官話》)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Ryukyu Mandarin textbooks in Qing Dynasty. Through detailed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the three main codices commonly used in this book, which were the codex in Tenri University Library, the codex in Kansai University Library and the codex in Kyoto University’s Literature Department, it is found that there are obviou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eface, content, word usage and variations. Among them, the codex in Kyoto University’s Literature Department is completest in the preface and content. This codex is the only one that has a complete set of contents and is currently relatively easy to obtain in China.

      • KCI등재

        『事文類聚』의 조선 수용과 전개 - 관판본으로부터 방각본, 필사본에 이르기까지 -

        최영화 열상고전연구회 2015 열상고전연구 Vol.52 No.-

        본고는 중국문헌인 「사문유취」의 영향력의 자장 안에서 조선시대 지식인들이 「사문유취」를 활용하였는지에 대해 고찰함으로써, 중국문헌이 조선적인 맥락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추적해보았다. 본고는 우선 「사문유취」가 조선에 유입되어 관판본으로 간행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15세기에 최초로 조선에 유입되어 금속활자로 간행된 「신편고금사문유취」가 祝淵의 遺集이 포함되지 않은 원대 간본임을 밝히고, 신묘본 「사문유취」의 간행연대를 확정하였다. 다음으로, 「사문유취」를 저본으로 축약 간행된 방각본 판본의 계통관계를 정리하고 이러한 축약본이 제시하는 지식의 범주를 개략적으로 밝혔다. 다음으로, 현재 각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사문유취」의 필사본들을 조사하여 제시하고 필사 경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문유취」의 체제를 모방한 조선의 유서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조선의 지식인들이 다양한 층위에서 「사문유취」를 수용하고 자기화하였음을 논증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whether intellectuals of Chosŏn used the Chinese document, 『Shiwenleiju(事文類聚)』, within its influence and traced the process of Chinese documents being accepted in Korean context. This paper first looked into the process that 『Shiwenleiju』 was introduced to Chosŏn and published as government publication. It found out 『Xinpiangujin Shiwenleiju(新編古今事文類聚)』, which was first introduced to Chosŏn in the 15th century and was published as metal type, was the original printed book that did not include Jooyeon’s manuscripts, and clarified the year that Shinmyo version(辛卯本) of 『Shiwenleiju』 was published. Then, it organized the lineage relationship of commercial publications that were made by summarizing the original script of 『Shiwenleiju』, and roughly showed the scope of knowledge that such simplified version suggests. After that, the manuscripts of 『Shiwenleiju』 that are currently kept in libraries were examined and presented, and the trend of transcription was analyzed. Lastly, similar books of Chosŏn that imitated the system of 『Shiwenleiju』 was studied. Through this process, it was proven that intellectuals of Chosŏn accepted 『Shiwenleiju』 and adapted it as their own in several levels.

      • KCI등재

        朝鮮刊 『選賦抄評注解刪補』引 『楚辭』 各篇之考實

        賈捷 열상고전연구회 2016 열상고전연구 Vol.54 No.-

        조선시기에 유통된 『선부초평주해산보(選賦抄評註解刪補)』는 필사본, 관판본, 방각본 세 종류가 있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필사본이 먼저 유통되었다가 지방 관아에서 목판본으로 간행하였고, 후에 또 방각본이 간행되면서 내용의 증보가 발생하였다.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문선』 중의 부(賦) 작품들을 위주로 선별하여 수록하였고 『문선』 외에 기타 부 작품들도 추가하였다. 이 책의 관은본은 『초사(楚辭)』속의 「이소경(離騷經)」 한 편만을 수록하였고, 방각본에는 「이소경(離騷經)」 외에 또 『초사』속의 「구가(九歌)」, 「구장(九章)」, 「천문(天問)」을 더 추가하였다. 이로부터 『선부초평주해산보』는 비록 직접 『초사』를 저본으로 간행한 것은 아니지만 모두 『초사』속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을 부 작품으로 인정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사』 작품의 주해(注解)도 주희의 『초사집주(楚辭集注)』를 바탕으로 주석하였는데 조선 시기에 복각한 주희 『초사집주』양상림(楊上林) 간본을 저본으로 하여 수정하였을 것으로 본다. 『선부초평주해산보』의 주해에는 정확하고 합리적인 산삭도 있지만, 잘못된 삭감도 있다. 관판본 속의 「이소경」 주석에는 오류가 비교적 적고, 방각본 속의 「구가」, 「구장」, 「천문」의 주석에는 상대적으로 잘못된 부분이 많다. 그 외에 방각본의 「구가」, 「구장」, 「천문」 각 편은 많은 부분을 삭감하고 교감과 주음을 하였는데, 관판본 속의 「이소경」에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조선시기에 간행한 『선부초평주해산보』간본은 조선시기의 『초사』의 「이소경」, 「구가」, 「구장」, 「천문」의 수용과 주희의 집주를 높이 평가하는 양상을 연구하는 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Xuanfu Chaoping Pizhu Shanbu(Deleting and Adding Commentary of Selected Works) which was circulated in Chosun era included three versions, namely written edition, offical edition and folk printed edition. This was a process of recarving, deleting and adding up for various versions, ranging from being written by hands, locally printed in official houses to being printed in the folk houses.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mainly on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from Wenxuan (selected proses), added other proses outside Wenxuan. The official edition only selected one prose, namly Lisao Jing from Chuci, while the folk house printed edition added Jiuge Jiuzhang, and Tianwen from Chuci. The version of Xuanfu(Selected Works)was not the same as Chuci,but both official and folk printed versions identifies Lisao Jing, Jiuge, Jiuzhang, Tianwen as a piece of fu (descriptive prose interspersed with verse). Besides, Xuanfu(Selected Works), whose explanatory notes were completely based on Zhuxi’s Chuci Jizhu, was likely to be deleted and added up according to Yang Shanglin’s Chuci Jizhu reprinted in Chosun era. The explanatory notes of various chapters of Chuci in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was reasonably deleted and changed, sometimes mistakenly removed. However, compared with Jiuge, Jiuzhang and Tianwen of folk printed e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contained much less commentary errors. In addition, Lisao Jing of official edition was not deleted, collated and phonetically notated in such a large quantity in every chapter as Chuci of folk printed edition. Therefore, Xuanfu Chaoping Pizhu Shanbu had important literature value not only in exploring the acceptance of Lisao 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in Chosun era, but also in canonizing Zhuxi’s annotation.

      • KCI등재

        正祖時代 官版本 版畵 硏究

        李惠敬(Lee Hea-gyeong) 미술사연구회 2006 미술사연구 Vol.- No.20

        During Joseon dynasty, publishing has played important role to formulate governance ideology and enlighten a subject. For this reason, national institute such as Gyoseogwan(校書館) has published large amount of literature. In the period of King Jeongjo(正祖: 1777~1800), there also were many literatures published by national institute and it is noticeable that among those officially published literatures, many literatures included a number of printings. Before that period, printings in books were regarded as only auxiliary elements. But after 1790’s, latter period of reign of Jeongjo, the printings became important parts in books in terms of amount, substance and showing advanced feature. There are two backgrounds to consider before investigating prosperity of the printings of Jeongjo’s period. One is the reorganization of Gyujanggak(奎章閣) as a central authority of politics, culture and academy. In this process, Gyoseogwan which had been public printing office was incorporated into Gyujanggak. The other background is the active correspondence with Qing(淸), It led inflow of numerous printings of Qing, which might affect on printings of Joseon. These kinds of books, officially published in this period, include ritual manual, the sutras, confucianism literature, biography, books on martial art and so on. This study focuses on the seven books published in the reign of Jeongjo. Muyedobotongji(『武藝圖譜通志』), Bumoeunjunggyeong(『佛說大報父母恩重經』)(1796), Wonhaengeulmyojeongliuigwe(『園行乙卯整理儀軌』)(1797), Oryunhaengsildo(『五倫行實圖』)(1797), Chunglyeollok(『忠烈錄』)(1798), Yangdaesamasilgi(『梁大司馬實記』)(1799), Hwaseongseong’yeok’uigwe(『華城城役儀軌』)(1801). Except for Muyedobotongji, which was published in 1790, all the other books were published during the last five years of Jeongjo’s reign.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these books mostly include large amounts of printings, the publishing projects had been taken only for a few years. That is associated with that these printings show various policies for fortification of royal power and for renaissance of culture of Jeongjo. By doing so, he intended to propagate his political ability and reinforce his own power. In these books, printings share a large proportion of entire contents and established high quality respectively to that of former time. Rationality of composition and diverse style of articulated and variegated engravings show novel aspect of Joseon printings. What makes it possible is that Jabidaeryeong Hwawon(差備待令畵員) belonging to Gyujanggak participated in sketch work, and nationwide selected private, public engravers were employed. We can see the records about printing producers in this era at NaegakIllyeok(『內閣日曆』). In the printings of this period, we can find the composition introducing visual realism such as far and near view, perspective, detail description. In these printings, various buildings are shown standing stable and their details are well-described. Especially, printings in Hwaseongseong’yeok’uigwe which complex buildings are deseribed elaborately are noticeable. On one hand, broadening sense of space is another characteristics of the printings. Gradually reduced scale of object and scene as moving into center is not found before this age. This broadening sense of space by perspective was also seen in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18th century, which means that style of printing shares that of painting. Novel and various engraving line styles are outstanding feature of the printings of this age. Extremely thin line as that of engraving on copper plate, unconventional thick line, line with varing width, smoothing line, sharp line, description with dots and so on compose an engraving technique of this age. Especially, in Oryunhaengsildo, the mixtures of thick and thin engraving lines created scene with more flavor variation. Despite these various features, including printings of this age, Korean old printings have not been main subject of the art history study. Main reason for it may be that the reprinting availability of printings contradicts to scarcity of old paintings which is one of the main field of art history study. Considering, however, its broad impact by reprinting by hundreds or thousands volumes and the art history is the field of studying visual culture, printing should be another main research subject of the art history.

      • KCI등재

        『임경업전』 목판본 49장본에 대하여

        이윤석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8 No.-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된 목판본 49장본『임경업전』은 여러 장의 낙장(落張)과 보각판(補刻板)이 섞여 있어서 최초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렵다. 이 연세대본『임경업전』에는 ‘歲庚子孟冬京畿開板’이라는 간기가 있다. ‘歲庚子’에 대해 연구자들은 1780년, 1840년, 1900년 등의 여러 가지 설을 제시했는데, 2002년에 마쯔바라 타카토시(松原孝俊) 교수가 쓰시마(對馬島)에서『임경업전』 필사본을 발견하여 ‘歲庚子’는 1780년으로 확정되었다. 쓰시마에서 발견된『임경업전』 필사본은, 조선어 통역관으로『상서기문(象胥紀聞)』을 쓴 오다 이쿠고로(小田幾五郞)가 연세대본의 초간본을 보고 1799년에 필사해놓은 것이다. 오다가 필사한『임경업전』을 찾아낸 마쯔바라 교수는, 연세대본의 간행 시기가 1780년이므로, 조선에서 한글 방각본소설의 출판은 1780년 이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고 했다. 그리고 이러한 견해를 고소설 연구자들은 대체로 수용하고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연세대본이 방각본이 아닌 관판본(官版本)일 가능성을 얘기했다. 연세대본의 간기에 나오는 ‘京畿開板’의 ‘京畿’가 방각본의 발행소가 아닌 경기감영(京畿監營)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학계에 보고된 방각본 간행소 가운데 ‘京畿’라는 방각본 간행소는 없다. 그리고 경판본 방각본의 간행소는 모두 간행소가 위치한 지역의 동리 이름을 상호로 쓰고 있으므로 ‘京畿’라는 간행소 이름은 일반적인 경판 방각본 간행소의 이름과는 다르다. 앞으로 이 문제에 대한 학계의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효경직해』와 그 조선에서의 행방에 대한 연구

        최재목 ( Choi Jae Mok ),김지훈 ( Kim Ji Hoon ) (사)율곡연구원 2021 율곡학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효경직해(孝經直解)』와 그 조선에서의 행방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효경직해』는 1308년경 원(元)의 관운석(貫雲石, 1285-1324)이 유교의 텍스트 『효경(孝經)』을 원대(元代) 한어(漢語)로 직해(直解)한 책으로, 상도하문(上圖下文) 방식을 취하고 있다. 『효경』은 원나라 때 중요한 책으로 인식되었는데, 그 가운데 1307년 카이샨의 즉위 때 간행된 도상(圖象) 『효경(孝經)』은 그림이 들어간 『효경』이란 점과 시기가 매우 가깝다는 점에서 『효경직해』 일 가능성도 보인다. 조선에서 『효경직해』는 ‘직해효경’(直解孝經)·‘성재효경’(成齋孝經)이라고도 불렸으며, 초기 승문원(承文院)의 역학서(譯學書)로도 활용되었다. 『조선왕조실록』을 살펴보면 1423년 사역원(司譯院)의 요청으로 예조(禮曹)가 건의하기를, 『직해효경』의 판본이 없어서 읽는 사람들이 베껴서 전하므로 주자소에 인출하도록 청하였다. 그러나 이후의 기사들을 보면 『효경직해』가 정식 간행되었다는 기사는 보이지 않으며, 역관(譯官) 시험에서 『효경직해』를 넣지 말도록 예조가 건의한 기사가 나온다. 현재 『효경직해』는 하야시 히데이치(林秀一)가 소장했던 원나라 『효경직해』가 유일하다. 한국은 물론 중국에서도 온전한 『효경직해』가 발견되지 않고 있다. 한국에 『효경직해』가 언제, 어떻게 들어와 전파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사실을 살필 수 없는 형편이다. 그렇다면 한국에서 효경직해 판본이 나오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겠다. 첫째 공식적으로 출간되지 않아 제대로 보존되지 못하여 유실되었을 경우이다. 둘째는 출간되거나 전사된 책이 역사적 원인 때문에 유실·소실되거나 이동했을 가능성이다. 셋째는 북한에서 현존하거나 아니면 국내 등에서 개인이 소장하고 있을 가능성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Xiaojingzhijie(孝經直解) and it’s whereabouts in Joseon Dynasty. Xiaojingzhijie is a book in which Guan-Yunshi(貫雲石) translated Xiaojing(孝經) directly in Chinese during the Yuan Dynasty around 1308. This book has pictures at the top and Chinese text below it. Xiaojing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book during the Yuan Dynasty. Xiaojing published in 1307, Tuxiang Xiaojing(圖象孝經), when Kaishan of the Yuan ascended to the throne, contains pictures. This Tuxiang Xiaojing has a possibility of being Xiaojingzhijie, because of the publication date is close with it. In the Joseon Dynasty, Xiaojingzhijie was called Jikhea-Hyogyeong(直解孝經) and Seongjae-Hyogyeong(成齋孝經). And it was used as a textbook for translation studies of Seungmoonwon(承文院) in the early days. Looking at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1423, Yejo(禮曹) requested to print the Jikhea-Hyogyeong because there was no version of it, so people copied it and passed it on. Looking at Joseonwangjosillok, there is a content that Yejo requested an official publication in Jujaso(鑄字所) because there was no version of the book of Xiaojingzhijie in 1423, so people copied it and passed it on. However, looking at the articles after that, it does not appear that Hyogyeong-jikhae was officially published. And there is a record that Yejo suggested not to include the Hyogyeong-jikhae in translator exam. Currently, the only complete version of Xiaojingzhijie was owned by Hideichi Hayashi(林秀一) of Japan. A complete Xiaojingzhijie has not been found in Korea as well as in China.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grasp the specific facts of when and how Xiaojingzhijie came and spread in Korea. There are three possible reasons why a version of Xiaojingzhijie does not appear in Korea. First, it may have been lost because it was not officially published, not properly preserved. Second, it is possible that books that were published or transmitted were lost or moved due to historical reasons such as war or colonization. Thir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t exists in North Korea or that it is in the possession of an individual in Korea but has not been made public.

      • KCI등재

        방각본 『십구사략』 간행의 양상과 의미 -1권을 중심으로-

        이윤석 ( Yoon Suk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8 No.-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고소설 연구자들의 한글소설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한글 방각본 연구의 성과는 상당한 양이 축적되어서 개별 작품의 이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목록이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문 방각본은 아직 전체 목록도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개별 작품의 이본을 정리하는 일은 아직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조선의 방각본은 한글본보다 한문본이 먼저 나왔으므로, 한글 방각본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도 한문 방각본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의 서지학자들은 관판본 연구에 주력했기 때문에 민간의 상업출판물인 방각본에 대한 연구에는 소홀했다. 여기에는 ‘최초의 금속활자’라든가 ‘아름다운 활자본’ 또는 ‘고려의 불경’에 비해 1800년 무렵에 비로소 활발해지는 방각본의 출현이 너무 늦다는 생각이 깔려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방각본이 주위의 다른 나라에 비해 늦게 나왔다거나, 책의 외형이나 내용이 조잡하다고 해서 연구할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략(史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원(元)나라 사람 증선지(曾先之)가 지은 『십팔사략(十八史略)을 생각하지만, 조선시대에 읽힌 『사략』은 『십팔사략』에 원사(元史)를 더한 『십구사략(十九史略)』이다. 『십구사략』은 활자본이나 목판본으로 나온 관판본이 많이 있지만, 19세기부터 방각본도 간행되기 시작한다. 필자는 방각본 『십구사략』의 간행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논문을 썼다. 이 글에서 필자는 먼저 관판 『십구사략』 간행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현재 남아 있는 방각본 『십구사략』의 목록을 정리했다. 이 과정에서 방각본 『십구사략』은 8권 7책이나 10권 8책의 완질을 간행한 것이 아니라 주로 1권만 간행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가 수집한 방각본 『십구사략』 1권의 이본 30여 종을 소개하고, 방각본이 주로 1권만을 간행한 이유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방각본 『십구사략』이 1권만 간행된 이유는, 20세기 중반까지 남아 있던 서당에서 이 『십구사략』 1권을 교재로 썼기 때문이다. 서당에서는 3권까지도 가르쳤지만, 주로 1권에서 끝을 냈다. 1권은 태고(太古)에서 춘추전국(春秋戰國)까지이고, 2, 3권은 진(秦), 한(漢), 삼국시대인데, 서당의 교육에서는 이 정도의 지식을 가르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Eigh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Ancient China (十八史略) was written by Zeng Xian Zhi (曾先之) of the Yuan (元) dynasty. Later,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as added to it and so the book eventually got to contain nine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China. Both were imported in Chosun. But mentions about the Zeng’s original version are found only in the Early Chosun period records. The so-called Saryak (史略) came to mean the extended version, Nine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Ancient China (十九史略), in late Chosun period. Although the origin of both the Eighteen and the Nineteen was China, they were not popular in their home country. Instead, they gained fame in Korea and Japan. The Eighteen were constantly and widely read in Japan and the Nineteen after in Korea. In Chosun, a large quantity of the Nineteen was published as government publication. However, its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version began to appear from the 19th century. Although the government publication version usually published as seven or eight volumes as a whole, it seems that the commercial book makers made a different decision. Except a few cases, most of the remaining commercial versions only contain the first volume of the entire volume. The reason why they did not published the entire volume was related to Seodang education. The Nineteen was widely read as a Seodang text book but since the education did not go beyond the Three Kingdoms, which was about Volume Three, there was not so much demand for further volum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list of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version of the Ninetee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volume. I have collected more than thirty different versions of the first volume of the Nineteen and classified them. Since there is not even a list of Classical Chinese woodblock printings, this paper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research in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