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RISS 인기논문

        중학생에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정문선,이무식 한국중독재활복지학회 2018 중독과 복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n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n smartphone addiction among adolescence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nvert narcissism had a high influence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withdrawal, tolerance, obsession and life inconvenience, maladjustment of smartphone addiction. Third, convert narcissism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that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as well as indirectly affected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howed that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convert narcissism,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martphone addiction.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u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cable to all youth. Future research need to be continued and compared to ensure that the same results are obtained when the population is surveyed nationwide. In addition, research subjects should be expanded to various types of groups. Second, only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is study. Because of thi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other variables except set variables.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approache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various variables in depth and generally. Third, in future research there be an should attempt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smartphone addiction.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2016년 일개 광역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의 특성에 맞게 집락무작위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개 구별 1곳을 선정하여 각 학년별 각 40명씩 총 600명 을 선정하였으며, 최종 자료 분석에 이용된 설문은 총 489부였다. 청소년의 자기애 성향과 대인관계 지향성,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인 배경변인으로 성, 학년, 가족관계를, 독립변인으로는 자기애 성향으로 하고 매개변인으로는 대인관계 지향성을 종속변인으로는 스마트폰 중독을 설 정하였다. 연구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 적응 요인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대인관계 지향성은 스마트폰 중독의 금단, 내성, 강박·집착과 생활불편·부적응 요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는 대 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고, 대인관계 지향성을 통해 스마 트폰 중독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검증하였다. 이로써 내현적 자기 애 및 대인관계 지향성과 스마트폰 중독 간에는 인과관계가 있었다.

      • KCI등재

        관계중독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이해와 인지행동치료 전략의 응용

        노철우,전요섭 한국실천신학회 2022 신학과 실천 Vol.- No.78

        이 연구는 관계중독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이해와 인지행동치료 전략의 응용에 관 한 문헌연구이다. 현대인은 물질적, 환경적으로 풍요로움을 영위하면서도 동시에 심리 저변에 채워지지 않는 허전함, 외로움, 공허함 때문에 삶의 만족을 누리지 못하고 있 다. 이런 허전함, 외로움, 공허함은 뭔가를 충족시키려는 욕구를 발생시키고, 갈망을 야기한다. 하지만 이런 인간의 욕구와 갈망은 채워지고 나면 새로운 욕구와 갈망이 발생하여 결국 허망한 대상이라 할 수 있다. 공허한 심리적 공간을 채우려는 의도는 중독의 시작이 될 수 있는데, 다양한 중독현상 가운데 이 연구는 관계중독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 연구에서는 관계중독을 영적 질병으로 보고, 그릇된 신념과 죄를 그 원인으로 꼽았다. 영적 질병은 영적 통합체인 인간의 영, 혼, 육에 질병이 생긴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관계중독을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우상과 중독의 관계, 우상숭배의 과정을 제시했다. 그리고 관계중독이 영적 질병인 만큼 영성의 개념과 영성 형성과정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상담자가 어떻게 관계중독자에게 기독교상담적으로 접근할지에 대한 상담방향이 수립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했다. 이 연구에서 관계중독의 치료에 대한 접근으로 기독교인지행동치료학자 윌리암 배커스(William D. Backus)의 드러내 기(revealing), 요구하기(requiring), 회복하기(restoring)의 과정을 상담방법으로 제시했 다. 관계중독이 영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해석해야만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에 상담자는 성령의 통찰을 통해 관계중독자가 성령의 드러내고 보여주는 통찰의 단계에 서 자신의 중독 모습과 관계중독에 따른 죄를 바로 보고 회개를 요구해야 한다. 관계 중독자는 진정한 회개의 과정을 통해서 변화의 과정, 즉 욕구와 갈망의 방향전환이 일어나게 되고 진정한 치유와 회복이 수반된다. 관계중독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치료방안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이에 대한 시도는 그 의미와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관계중독에 대한 인지행동치료를 응용한 기독교상 담 방안이 기독교상담자와 목회자 그리고 관계중독에 고통당하고 있는 사람과 그 가 족에게 도움을 주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as a literature study was to clarify Christian counseling methods for relation addiction problems centering around Christian application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Modern people do not enjoy the real satisfaction in life, despite of a rich life, because of something like emptiness, loneliness that does not fill. Rather, they surrendered in vain objection and materials and seeking a distorted longing and desire. There were a human inner abyss that could not be filled by a secular, it had become a source of eternal thirst of man. If the attachment of relational desire made you to go forth into idolatry and addiction, the fullness of spiritual craving provides a different satisfaction. This research described the relation addiction to spiritual illness. This research suggested the process of idolatry and relation addiction in order to correctly understand the relation addiction. Because the relation addiction is spiritual illness, it is also presented that to understand a Christian counselor the concept of spirit and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spirit are important directions for how to approach the Christian counseling. The research had proposed the counseling method as a revealing, requiring, restoring process of the Backus approach for the treatment of relation addiction problems. Because the exact treatment was possible the relation addiction must be understood and interpreted in a spiritual point of view, through revealing of the Holy Spirit, relationship addicts must accept themselves as they were and must insights in relation addiction context. The Solution of the relation addiction would require repentance. The process of change through a process of true repentance, namely redirection of desire and craving happened and was accompanied by a true healing and restoration against relation addiction. The attempt of specific treatment plan for this relation addiction had its meaning and value. The Christian counseling method for a relation addiction problem were worth because it help to a Christian(pastoral) counselor and people suffering in the relation addiction and their families.

      • KCI등재

        관계중독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송연주(YeonJoo Song) 한국가족치료학회 2019 가족과 가족치료 Vol.27 No.4

        본 연구는 관계중독에 대한 개념 및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관계중독 연구의 전반적인 흐름과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관계중독의 개념을 살펴본 후, 국내에서 출판된 관계중독 관련 76편(학위논문 52편, 학술지 24편)의 논문을 중심으로 발행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및 연구주제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관계중독은 사랑중독의 개념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다수의 국내연구는 관계중독을 관계 속에서 중독적인 양상이 드러나는 병리적 관계방식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둘째, 관계중독과 관련해서는 2005년 이후부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셋째, 주로 20∼30대 초기 성인들을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넷째, 다수가 양적연구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그 중에서도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으며, 국내판 관계중독 척도(RAQ-30)가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살펴보는 연구가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관계중독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and analyze research trends of Korea on relationship addiction in order to provid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Methods: To do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erm “relationship addiction” and analyzed trends by time,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including statistical analysis and measurement tool, and research theme on the basis of 76 studies in major Korean journals, as well as master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sults: First, relationship addiction refers to seeking personal fulfillment in a particular person or relationship. Second, studies of relationship addiction have been published continuously, and third, the majority of subjects are college and graduate students. Fourth, most studies were design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most, followed by structural equation. In terms of the use of measuring tools, Relationship Addiction Questionnaires (RAQ-30)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Finally, most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lationship addiction and other social-psychological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 KCI등재

        관계중독 개념 도출 델파이 연구

        김미림(Kim Mi Rim),정여주(Chung Yeo Ju),이도연(Lee Do Yeon),윤서연(Yoon Seo Yeon),김옥미(Kim Ok 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9 열린교육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상담 및 교육 관련 분야 전문가 15인에게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지나치게 특정 관계에 집착하거나 부정적인 관계임에도 벗어나지 못하고 심리적 고통을 경험하는 어려움을 겪는 관계적 어려움에 대하여 관계중독이라는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적합성, 그리고 관계중독의 특성, 관계중독의 하위구인 및 관계중독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특성 및 여타 행동중독과 달리 관계중독만이 가지는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전문가들에게 관계중독이라는 용어 사용에 대한 적합성을 확인한 결과, 주로 동의나 매우 동의한다고 응답하였다(M=4.07, SD=0.70, CVR=0.80). 하위구인으로는 ‘집착’, ‘일상생활문제’, ‘현저성’, ‘부적 정서’, ‘갈등’, ‘금단’, ‘조절력 상실’, ‘재발’ 등이 CVR 0.80 이상으로 합의 과정을 통해 도출되었다. 인지적 특성 6가지, 정서적 특성 10가지, 행동적 특성 11가지가 확인되었고 더불어 관계중독은 물질이나 행동의 중독이 아니라 인간에 대한 중독이기 때문에 문화적 특성 및 발달과정상 시기적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에 대해 전문가들의 합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명확하게 합의되지 못하여 이성 관계만의 특성이라고 여겨졌던 관계에서의 어려움에 대해 관계중독이라는 개념을 도출하고 하위 영역 및 특징에 대해 체계화를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relationship addiction and to find out variables of relationship addiction. For this,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volving 15 counseling psychology and education experts. We have confirmed that it is appropriate to define the relationship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eople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stress who are unable to escape in spite of their relationship being severely adhered to or negatively affecting individuals, in terms of relationship addiction. We also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addiction, subordinate of relationship addiction,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relationship addiction and how relationship addiction differs from other behavior addi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use of the term relationship addiction was evaluated by the experts. (M = 4.07, SD = 0.70, CVR = 0.80). The subcontractors consisted of consensus process with CVR of more than 0.80 for obsession , daily life problem , salient , negative emotional , conflict , withdrawal , loss of control . There are 6 cognitive characteristics, 10 emotional characteristics, 11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addiction is not addiction of substance or behavior but addiction to human. Therefor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processes need to be considered. This study confirmed the concept of relationship addiction, which had not been clearly agreed upon previously. It is meaningful that this systematized the sub-areas and characteristics of the difficulties that could arise in a more diverse relationship status.

      • KCI등재

        관계중독과 범죄, 형사정책의 방향

        하민경 한국중독범죄학회 2023 한국중독범죄학회보 Vol.13 No.2

        Relationship addiction refers to a condition in which one is obsessively dependent on a specific person or relationship, so that one is out of control even when it causes harmful consequences to oneself. Even though it has all the constituents to be an addiction, like substance addiction and behavioral addiction, and even holds more possibility to harm individual legal interest, it is not considered to be a serious crime-related characteristic. The types of criminal-related relationship addiction are stalking, grooming and gaslighting. The recently-enacted stalking acts shall be operated as an interventive law to inform the actors of their actions' criminality before it becomes a serious crime. Unlike stalking, in which actors are addicted to a relationship, grooming and gaslighting are types in which the victims are addicts. While grooming has become partly criminal, a law has not yet been enacted that criminalize gaslighting. However, there is a court decision that implied the possibility of gaslighting being a crime, which invites further attention on how the decisions would be developed. The traditional retributive justice paradigm can never offer a fundamental solution to relationship addiction-related crimes. The constructive criminal justice paradigm, including restorative and therapeutic justice system, can make law that can heal people who may be an addicted criminal or victim. This research would hopefully alert citizens, including addicted criminals and victims, of the seriousness that relationship addiction incurs and offer the basis for the law as therapeutic function including prevention and informing. 관계중독은 특정 대상이나 그 관계에 집착함으로써 객관적으로 스스로에게 해로운 결과를초래하더라도 그 대상이나 관계에 강박적으로 의존하여 통제가 불가능한 상태를 가리킨다. 물질중독이나 행위중독과 마찬가지로 중독의 요소를 충족하고, 심지어 형법적으로는 개인적법익을 침해하는 범죄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다는 점에서 경각심을 가져야 함에도 범죄 사건의 당사자들을 포함한 시민들에게 잘 인식되지 않고 있다. 관계중독이 범죄와 관련을 맺는유형으로 스토킹, 그루밍, 가스라이팅을 들 수 있다. 먼저 사건의 행위자가 관계에 중독되어범죄를 행한 유형인 스토킹의 경우 범죄가 되기 전의 행위에 스토킹처벌법과 스토킹방지법이간섭법적 기능을 하도록 운영할 수 있다. 그루밍 성범죄의 경우에는 피해자가 관계에 중독된유형에 해당하는데, 법률과 판례를 통해 일정 부분 가해자의 책임을 인정하는 변화가 이루어졌다. 반면, 가스라이팅의 경우에는 피해자가 관계에 중독되거나 가스라이팅의 피해자가 가해자와 함께 범죄 행위자가 되기도 하는데, 이는 아직 법률적으로 범죄화되지 않은 관계중독의 유형에 해당한다. 그러나 최근 법원의 판결을 살펴보면 가스라이팅의 개념 요소를 충족하는 경우 범죄화될 수 있는 해석을 하고 있어 향후 법원의 해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응보적 형사사법만으로는 중독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관계중독자가 범죄의 행위자이건 피해자이건 법은 응보적 기능을 넘어 회복적⋅치유적 기능을 해야 한다. 본 연구가관계중독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하고 치료적 형사사법의 예방 및 교육기능을 위한 기초자료로활용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중독과 폭력비행의 관계에서 여러 가설들의 검증: 패널자료의 분석

        이성식,임수경,류수민 한국범죄심리학회 2023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9 No.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online and offline violent delinquency, adds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and intends to test four hypotheses for relationships among three variables. There are four hypotheses; first, strain-inducing hypothesis that smartphone addiction has negative influences on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which in turn affect both online and offline violent delinquency, second, strain reducing or spurious relationship hypothesis that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explain both smartphone addiction and violent delinquen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violent delinquency is spurious, third, opportunity hypothesis that the effects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on violent delinquency are mediated by smartphone addiction, and fourth, condition hypothesis that expect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peers on violent delinquency. This study tests relative efficacy among four hypotheses by using data from a panel study. Results show that smartphone addiction has effects on both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but it has not indirect but direct effect on both online and offline violent delinquency, which does not support strain-inducing hypothesis. Instea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have indirect effects on online violent delinquency through smartphone addiction, which supports opportunity hypothesis, but it is also shown that they have also indirect effects on offline violent delinquency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peers have direct effects on online violent delinquency. Results also do not support spurious hypothesis, and it is also shown that condition hypothesis is not supported. Overall, the effect of smartphone addiction is significant on both online and offline violent delinquency. 이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중독과 청소년폭력비행의 관계를 다룸에 있어 또한 부모와의 관계, 학교선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를 또 다른 요인들로 다루기로 하며 여러 가설들을 검증하여 어느 입장이 우세한지를 다루기로 한다. 첫째, 긴장유발가설에 따라 스마트폰중독이 부모와의 관계, 선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주고 그것을 매개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비행에 영향을 주는지, 둘째, 긴장해소 및 무관론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 선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가 스마트폰중독에 영향을 미치지만 스마트폰중독과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비행과는 아무 관계가 없는 것인지, 셋째, 기회론에 따라 부모와의 관계, 선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의 폭력비행에 대한 영향은 스마트폰중독에 의해 매개될 것이고 이때 스마트폰중독은 온라인폭력비행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오프라인폭력비행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지, 마지막으로 조건가설에 의해 스마트폰중독과 부모와의 관계, 선생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비행 설명에 있어 상호작용효과를 갖는지를 살펴본다. 2018년부터의 1차, 2차, 3차 아동청소년패널데이타에서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스마트폰중독은 부모 및 선생과의 관계에 영향을 주지만 그것을 매개로 온라인 및 오프라인 폭력비행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직접적인 영향을 가져 긴장유발가설을 지지하지 못했고, 부모 및 선생관계는 스마트폰중독을 통해 간접적으로 온라인폭력비행에 영향을 주어 기회론을 지지하기도 했지만 오프라인폭력비행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기회론과는 달랐고, 또한 선생과 친구관계는 직접적으로 온라인폭력비행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스마트폰중독과 폭력비행과는 관계가 있는 것을 제시해 무관론도 그리고 마지막 조건가설도 지지하지 못했다. 전체적으로 볼 때 어느 가설을 크게 지지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폰중독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폭력비행에의 영향은 중요한 것을 제시했다.

      • KCI등재

        관계중심 명상기도가 중년 남성 성중독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김옥진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2

        본 연구는 하나님과의 관계지향적 명상기도를 활용한 상담이 중년 그리스도인 남 성의 성중독 관련 사고와 성행동 빈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그 결 과를 바탕으로 현재 중년 그리스도인 남성 성중독 상담에 발전적 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현재 성중독 관련 상담을 받고 있는 12명의 기독교인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인 기독교 명상기도훈 련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기독교 전통 영성훈련방법을 기반으로 한 관계중심 명상 기 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확인을 위해 연구대상자들에게 명상기 도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성중독 사고와 성행동 빈도와 관련된 자기보고식 평가도 구 13문항을 기록하도록 하였으며 자료의 처리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21을 통해 비모수검정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관계지향 명상훈련이 중년남성의 성중독 관련 사고를 완화시키고, 성행동 빈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 은 결과는 관계중심 명상기도의 실천을 통해서 중년 남성의 성중독의 근원적인 이유 로 여겨지는 하나님과의 관계적 문제가 긍정적으로 해결되었음을 나타낸다. 이와같이 하나님과의 친밀함을 바탕으로 한 관계의 회복은 성중독자로 하여금 다른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심리적 성향의 변화를 유발하여 외로움, 소외감에서 오는 중독행독의 욕구를 줄이는데 도움이 된다. 관계중심 명상기도를 통한 하나님이 나 타인과의 친밀한 관계회복 동기는 성중독자 내면의 부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었던 자아인식이나 자아정체감을 회복시켜 주게 되며, 비성경적 죄책감을 해결해 준다. 이 러한 변화에 대한 영적해석의 핵심은 초월적이며 동시에 인간의 삶에 자신의 존재를 내재적으로 표현하고 계시는 하나님과의 인격적인 관계의 형성이다. 명상기도를 통해 인간의 능력을 초월해 계신 하나님과 깊이 있는 사귐을 갖게 되면, 인간 역시 하나님 을 닮아 참된 자기존재로서 자기 초월적인 영성을 경험하게 된다. 성중독자는 이러한 영적인 초월성을 바탕으로 참 자기와의 새로운 만남을 통한 개성화 성장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효과를 경험하게 된다. 고난을 대하는 신앙인의 올바를 자세는 그것의 의미 를 묻는 사색에 있는 것이 아니라 신의 선한 뜻을 신뢰하면서 그것을 묵묵히 이겨내 는 실천적인 노력에 있다.2) 결국 그리스도인 중년남성의 성중독 사고와 성 행동 빈도 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관계지향적 명상기도훈련을 적용한 영성상담을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여겨진다. This study analyzes how counseling using relationship-oriented meditation techniques with God affects sexual addiction-related incidents and sexual behavior of middle-aged men, and 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ale sex addiction counseling, currently middle-aged Christians. The study targets 12 middle-aged Christian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are currently consulting on sex addiction. The Christian Meditation Training Program, a research tool, developed and used a relationship-centered meditation prayer program based on Christian traditional spiritual training methods.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earchers were required to record 13 questions of self-reportation assessment tools related to sexual poisoning incidents and sexual behaviour, and data processing was performed through Stat program SPSS21.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onship-oriented meditation exercise has the effect of mitigating incidents related to sexual addiction and reducing the frequency of sexual behavior among middle-aged men.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practice of a relationship-centered meditator has resolved the problem of relationships with God, which is considered the root cause of sexual addiction in middle-aged men. This restoration of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God helps sex addicts reduce their desire for addiction from loneliness and alienation by inducing psychological changes that can form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motivation for restoring close relationships with God and others through relationship-centered meditation is to restore self-awareness and self-consciousness that has been negatively shaped inside sex addicts. The key to this spiritual interpretation of change is the formation of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God, who is transcendent and at the same time expresses his or her existence in human life. If we have deep companionship with God who transcends human power through meditation, we will also be like God and experience self-transcendant spirituality as true self-existence. Based on this spiritual transcendence, sex addicts also experience a positive effect on the growth of character through a new meeting with themselves. In the end, to reduce the frequency of sexual poisoning incidents and sexual behavior of middle-aged men, which are Christians, it is believed to be effective to use spiritual counseling in a professional and systematic way with the training of related meditators.

      • KCI등재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

        송연주,하문선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2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hypothetical model about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of Korean adults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internalized shame. A purposive sample of 465 Korean adults was recruited from three provincial areas. The collected data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analysis using phantom variable and bootstrapping were implemen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esearch model. We found no significant direct effect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but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on Relationship Addiction were successively multi-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and rejection sensitivity (B=.265, p<.01), and single-mediated by internalized shame (B=.496, p<.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in order to prevent relationship addiction of adults, it is necessary to first explore whether he has experienced childhood trauma and thereby has not only internalized shame but also rejection sensitivity. 본 연구에서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개입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아동기 외상과 내면화된 수치심 및 거절민감성을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간주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46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척도,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거절민감성 척도, 관계중독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을 통한 매개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내면화된 수치심에 영향을 미치고 내면화된 수치심은 거절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면화된 수치심은 관계중독에, 거절민감성은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은 매개효과를 나타냈으나, 아동기 외상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내면화된 수치심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에서 거절민감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아동기 외상이 관계중독에 미치는 효과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거절민감성에 의해 연속적으로 다중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집단 동등성 검증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아동기에 경험하는 외상이 관계중독에 주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아동기 외상은 수치심을 내면화시키고 이는 거절민감성을 야기함으로써 관계중독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

        이정화,김호영,강정석 한국임상심리학회 2017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3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외로움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또한 이들 변수간의 관계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 살펴보았다. 인터넷 설문조사에 응답한 대학생들 295명(평균연령 23.05세, 표준편차=2.69; 남 143명, 여 152명)을 대상으로 SNS 중독 경향성 질문지, 외로움 척도 및대인관계 지향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두 변수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외로움과 대인관계 지향성은 남녀 대학생 모두에서 SNS 중독 경향성에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은 여자 대학생들보다 남자 대학생들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외로움과 SNS 중독 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지향성의 조절 효과는 여자 대학생 집단에서만 유의하였다. 여자 대학생의 경우, 대인관계지향성이 높을수록 외로움이 SNS 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인관계 지향성이 높은 외로운 사람들은 SNS 중독에 더 취약함을 시사한다. 더욱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성차는 남성과 여성의 SNS 중독 기전이 다를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SNS 중독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외로움과 대인관계 지향성의 관계가 성차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애착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김보경,백용매,허창구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불안정애착(불안, 회피)과 스마트폰 및 SNS 중독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존, 독립)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세부적으로, 불안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의존 및 독립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하며, 회피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할 것으로 보았다. 또한, 대인관계 문제는 스마트폰 중독을 매개로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경북지역 소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애착, 대인관계문제, 스마트폰 중독, SNS 중독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에서 불안애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의존적 및 독립적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안애착이 SNS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의존적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피애착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는 독립적 대인관계 문제가 매개하고 있었다. 한편, 의존적 및 독립적 대인관계 문제는 스마트폰 중독을 매개로 SNS 중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ent, independent) in the relationship among attachment (anxiety, avoidant),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and SNS addiction proneness. For this purpose we measured the 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Revised (ECR-R), the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 (KIIP-SC), the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s and the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to university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was mediated by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ent, independent). (2)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nxiety) on SNS addiction proneness was mediated by interpersonal problem (dependent). (3) the influence of attachment (avoidant) on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was mediated by interpersonal problems (independent). (4)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problems (dependent, independent) on SNS addiction proneness was mediated by smart phone addiction pronenes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finding, limit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