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 이후 아동 과학소설 전집의 장르문학으로서의 가능성 연구-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 전집을 중심으로 -

        이주성(Lee Ju-Seong),모희준(Moo Hee-june)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한국 현대소설 가운데 과학소설은 문학의 서브 장르 정도로 취급되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현재도 그 연구가 미비하다고 할 수 있다. 과학소설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가장 큰 이유로는 과학소설이 한국 문학에서 일종의 하위 장르(Sub Genre)로 인식되어 왔으며, 이는 과학소설이 대중문학이라는 범주 안에서, 그 중에서도 특히 아동이나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국에서 발전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다른 장르의 소설들과는 달리, 과학소설은 작가들이 창작한 소설이나, 해외의 과학소설들을 소개할만한 지면이 여의치 않았다. 무엇보다 창작과학소설을 쓸 수 있는 작가들이 한정되어 있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 과학 잡지에는 한 편의 창작과학소설과 두 세 편의 번역 소설들을 싣는 형식으로 구성이 되었다. 따라서 이 무렵 전집류의 등장은 과학소설사에 있어 의미심장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독자적인 단행본의 형태로 출간이 어려웠던 당시의 상황에서, 잡지 이외에 창작 과학소설을 대중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나라의 번역된 과학소설과 함께 전집에 포함시키는 방법 밖에는 없었기 때문이다. 한편 한국전쟁이 끝난 이후, 정부에서는 제도적으로 과학교육을 육성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이는 냉전시기 이후 헤게모니를 장악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역할이 지대하며, 막 전쟁이 끝나 국가재건의 상태에 놓여있던 한국도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필요성을 느낀 것은 당연하였고, 과학 잡지 및 세계의 과학소설을 모아 놓은 전집의 출판은 이러한 과학강국으로 나아가기 위한 일환이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쟁 이후 출간되어 1970년대 번성했던 과학소설전집들을 대상으로 과학소설이 한국의 문학장르사에서 어떤 역할을 가지고 있었으며, 현대에 이르러 SF소설이라는 하나의 문학 장르로서 발전하기 까지 어떤 가능성을 지니고 있었는지에 대한 탐구이다. 근래 들어 과학소설에 대한 연구가 조금씩이나마 이루어지고 있으며, 비록 독자층의 한계가 있었지만 과학소설이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과학소설 전집의 보급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 SF작가협회’는 기존의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계몽성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사실상 한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진 순수 과학소설 동호회 적 성격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이면에는 해동출판사와 아이디어 회관에서 출간된 과학소설전집들의 역할도 있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mong Korean modern novels, science fiction is treated as a sub-genre of literature, and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done yet. Science fic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kind of sub genre in Korean literature because science fic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popular genre in the field of popular literature, It is because it developed in Korea. Unlike other genres of novels, science fiction was not enough to introduce novels created by writers or science fiction abroad. Above all, there were a limited number of writers who could use creative science novels, so science magazines generally consisted of one creative science novel and two or three translation novels.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whole collection at this time is a meaningful part of science fiction. In the context of the time when it was difficult to publish in the form of independent monographs, the only way to introduce creative science fiction to the public in addition to magazines was to include them in the collection along with translated science fiction from other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Korean War, the government has attempted to foster scientific education systematically. It is obvious that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trolling the hegemony after the Cold War was great, and Korea, which had been in the state of reconstruction after the end of the war, felt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 a part of this publication to go to such a scientific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ole of science fiction in Korean literary genres and to develop the literary genre of science fiction. It is a quest for what you have. In recent years, research on science fiction has been carried out little by little, and the reason that science fiction has become widely known to the public is due to the spread of the collection of science fiction books, 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readership. In fact, the SF Writers Association of Korea was one of the first pure science fiction groups in Korea, which was one step further from the enlightenment for the existing children and youth, and behind it was published in Haedong Publishing House and Idea Hall You can see that there was also the role of science fiction books.

      • KCI등재

        우주시대의 과학소설 - 1970년대 아동전집 SF를 중심으로

        최애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0 No.-

        Science Fiction of the collections for children had served as the path to bring in science fiction from the 1960's to the 1980's. Science Fiction had been wasteland in this unexplored field. Science Fiction of the collections for children changed SF of the United Kingdom represented by H.G. Wells into SF of the United States represented by Robert Anson Heinlein. Space science was emphasized in the age of space race, and Space opera was opened in the field of science fiction in the 1970's. SF in our country had reflected the desire to join the ranks of developed countries through SF in the Unites States. The first volume of the collections of Science Fiction for children in the 1970's was composed by SF authors in the United States like Heinlein, Isaac Aaimov, E.E.Smith, Robert Silverberg ahead of H.G.Wells. 과학소설이란 용어는 이미 「과학소설 비행선」처럼 식민지시기부터 있어 왔다. SF의 고전이라 일컬어지는 쥘 베른과 H.G.웰즈의 작품은 식민지시기부터 번역되었으며, 2010년에야 완역된 도롱뇽과의 전쟁의 작가 차페크도 1920년대 박영희가 「인조인간」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했었다. 그러나 식민지시기에 성인대상으로번역되었던 과학소설은 해방 이후가 되면서 국내에서는 ‘아동의 전유물’인 것처럼인식되는 것이 통상적이었다. 소년소녀 세계문학전집, 소년소녀 공상과학전집, 소년소녀 과학모험전집 등 ‘소년소녀용 전집’ 형태로 출간되고 번역되기 시작한 과학소설은 국내에서는 1990년대까지도 거의 대개가 아동용으로 출판되고 있었고,1990년대 이후에야 완역본들이 나오기 시작하고 있다. 1970, 1980년대까지 국내독자가 읽었던 SF는 대부분 아동전집을 통해서이다. 1960년대까지 과학잡지를 통해서 간간이 소개되던 SF는 1970년대 들어서면서 소년소녀 과학모험소설전집이나 과학소설전집들이 간행되어 SF라는 낯선 장르가 정착하게 되었다. 따라서1970년대 소년소녀 과학소설전집은 국내에 SF를 가져오는 ‘통로’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다. 1970년대 국내 아동전집 SF는 웰즈의 우주인이 침입해서 인류가 멸망할지도모른다는 과학에 대한 공포보다는 진보․발전에 대한 욕망을 담아내고 있다. 과학이 진보하여 ‘우주시대’가 열리고, 좁은 지구에서 땅따먹기를 하던 제국들은 이제지구 밖 ‘우주’로 관심을 확장하기에 이르렀다. 우주개발, 우주정복, 우주전쟁, 우주식민지, 화성 탐험대, 우주선, 별나라, 혹성, 은하계, 은하방위군 등의 용어가 만연됨에 따라, ‘우주’ 관련 소재가 SF전집에서 우위를 점유하게 되었다. 1970년대 아동전집SF에 담긴 미국의 과학신화는 소련과의 경쟁에서 이기고 싶은 미국의 욕망이 담긴 한편, 미국의 성공신화를 쫓아가고픈 우리의 욕망도 배어 있다. 3차 교육과정 개정의 목표에 ‘국가발전’을 위한 목표가 크게 부각되는데, 이는 미국을 쫓아가는 것이 국가발전을 이룩하고 후진국에서 탈피하여 선진국의 대열에 합류하는것이라 믿었기 때문이다. 과학소설전집의 해설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쥘 베른과 웰즈는 오히려 과학소설전집에서는 부각되지 않는다. 과학소설전집에서 쥘 베른과 웰즈의 뒤를 이어새롭게 부상하는 인물은 하인라인과 아시모프이다. 세계아동문학전집의 구성이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의 순으로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의 수순을 따른다면, 과학전집은 미국 작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각 전집의 1권이 ‘미국’이다. 그야말로 미국의 선진국화를 모델로 삼고자 하는 발전, 선진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고스란히 담지하고 있다.

      • KCI등재

        1960-1970년대 <과학소설 전집류> 출판에 나타난 과학입국 담론 연구

        모희준 ( Mo Hee-june ) 우리어문학회 2019 우리어문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1960년대부터 1970년대 사이에 성행한 전집류 중에서도 ‘과학소설 전집’의 출판에 나타난 한국의 과학입국 담론에 대한 것이다. 1960-1970년대는 국제적으로는 냉전시기였으며, 국내에 한정해서는 6 · 25전쟁 이후 국가재건을 추진하던 시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시기에 맞물려 아동· 청소년을 대상으로 ‘창작 과학소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이러한 창작 과학소설은 번역물과 섞여 ‘전집’의 형태로 출간되었다. ‘소설전집’은 당시 한국사회의 교육열과 궤를 함께하여 유행처럼 번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유행에 편승하여 과학소설 또한 몇몇 출판사의 기획으로 출간을 하게 된다. 그러나 당시의 과학소설은 아동·청소년의 전유물이라는 사회적 인식이 강했으며, 따라서 ‘과학소설’이란 곧 ‘아이들의 공상’에 불과했고, 이러한 일종의 부정적 인식은 한동안 꾸준히 이어져 오고 있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다양한 문학 장르가 연구되고 있는 가운데, 과학소설도 기존의 문학 장르 카테고리 안에 존재하는 하위 문학으로 인정되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들이 일제 강점기 무렵 번역·번안 작품이나 새로운 작품의 발굴에 집중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과학소설이 가장 부흥했던 시기라고 판단되는 냉전시기에 한국에 출간된 과학소설의 면모를 살펴보고, 이를 전집화하여 출간했던 의도의 이면에 있는 ‘과학입국’과 관련된 담론을 연구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the discourse of science entry in Korea which appeared in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Works of Science Novels’ among the books collected during the 1960s and 1970s. In the 1960s and 1970s, the Cold War period was international, and it was the time of national reconstruction after the Korean War. In this period, ‘creative science novel’ begins to appear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se creative science novels were published in the form of a ‘complete collection’ mixed with translations. ‘The Complete Works of Novels’ was spreading like a fashion together with the enthusiasm of the education of the Korean society at the time. And with this trend, science fiction is also published by some publishing companies. However, science fiction at that time was strong in social recognition that it was the exclusive propert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refore, ‘science fiction’ was only a ‘fantasy of children’, and this kind of negative perception has been steadily continuing for a while. While various literary genres are being studied in the 21st century, science fiction has also been recognized as a sub-literary genre in existing literary genre categorie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concentrate on the translation, the creation of works, and the search for new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 of the science fiction published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period when it is considered the most revived period of science fiction and studies the discourse related to ‘science entry’.

      • KCI등재

        한국 과학소설의 환상성 연구 : 오영민의 『화성호는 어디에』와 『마의 별 카리스토』를 중심으로

        김지영(Kim Ji yeong) 한국문학회 2015 韓國文學論叢 Vol.69 No.-

        본고는 한국과학소설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한 시고로서 1975년 해동출판사에서 출판된 『한국과학소설전집』의 수록 작품 중에서 오영민의 『화성호는 어디에』와 『마의 별 카리스토』를 대상 텍스트로 삼고 있다. 오영민의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본고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비현실적이지만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갖게 하는' 과학소설의 특징을 파악하기에 적합한 텍스트라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분석의 대상이 되는 오영민의 두 소설은 과학소설 중에서도 우주 활극이라는 하위 장르에 속한다. 우주활극은 과학 지식의 토대 하에 작가의 기발한 상상력이 결합되어 창조된 우주의 한 공간에서 인간과 외계종족이 조우하여 벌어지는 흥미진진한 모험 이야기로서 비현실과 초자연, 논리와 설득력의 요소를 두루 갖춘 장르라고 할 수 있다. 2장에서는 과학소설이 창조해 낸 가상의 세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용어를 찾기 위해 '상상', '공상' 그리고 '환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상' 은 문학작품을 창작하는 원동력으로서 작가의 창조 행위를 일컫는 보편적인 용어이다. '공상'은 과학소설의 작가나 독자가 창작과 독서의 과정에서 진행하는 정신행위와 관련되는 용어로서 '허무맹랑하고 허황한'의 의미를 전제한다. 이 때문에 오랫동안 과학소설의 수식어였음에도 과학소설을 가치 폄하하는 수식어로 비판받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허무맹랑하고 허황한' 것에 대한 가치 평가를 한다는 그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공상'을 다시 과학소설을 수식하는 용어로 부활시킬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본고에서 규명하고자 하는 과학소설의 '비현실적이지만 실현가능성 있는' 성격을 의미하는 용어로서는 '공상'보다는 '환상'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그 이유는 '공상'은 창작 및 독서 과정에 수반되는 정신 '행위'에 대한 의미가 더 크기 때문에 비현실적이지만 실현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의미하는 것과는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환상'은 과학소설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학 장르의 특징이기 때문에 과학소설의 '환상'만이 갖는 변별점을 추출해내고자 시도했고 그 결과 과학소설이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가능하게 하는 문학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합리적 환상성'으로 명명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 과학소설의 '합리적 환상성'이 실제 작품 속에서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오영민의 『화성호는 어디에』와 『마의 별 카리스토』를 분석하였다. 우선 당대 사회의 현실과 사회적 소망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환상을 설정한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두 작품의 주요 사건은 공통적으로 은하계 탐사를 비롯한 우주 개발인데 당시 우주개발에 대한 관심이 전사회적으로 뜨거웠다는 사실을 고려해볼 때 독자들이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오영민은 당시의 과학기술로는 실현이 불가능한 사건을 제시할 때도 과학의 법칙과 이론들을 작품의 전면에 내세움으로써 실현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때 실증과학이론 뿐만 아니라 유사과학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이들 과학이론들은 사실성의 여부를 떠나 작품의 그럴듯함, 즉 합리성을 부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오영민은 작품에서 서사기법으로 '묘사'를 사용함으로써 가상의 공간이나 상황, 인물에 대해 사실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였다. 미지의 행성과 실존하지 않는 외계생명체에 대한 생생하고 치밀한 묘사는 설득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과학소설은 허황하고 유치한 이야기를 그럴 듯하게 꾸며내어 독자들을 현혹시키며 현실의 모순과 한계를 담아내기보다는 저급한 재미만을 추구하는 장르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하지만 과학소설이 꾸며내는 허황한 이야기와 그를 통해 전해지는 재미 역시 문학의 중대한 본질이다. 본고에서 제안한 과학소설의 '비현실적면서도 실현가능성 있는' 성격, 즉 '합리적 환상성'에 대해 분석이 과학소설에 대한 편견없는 이해와 평가의 시작이 되기를 바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unrealistic features of science fiction. Unlike the realist novel, science fiction creates an unrealistic world, not reflecting the reality. But the unrealistic world of science fiction lets the readers have expectation about the feasibility. In the second chapter, it is decided that the feasibility of the unreality of science fiction is called a “rational fantasy “. In Chapter 3, to explore the features of “rational fantasy “, Oh Young-min's science novels, Where is the Mars and Callisto, Star of the devil were analyzed. Where is the Mars and Callisto, Star of the devil belong to space opera among science fiction, in particular. Being adventure stories on exploring Mars and Jupiter, the two novels are a fantasy, not reality concerning their backgrounds or events. But the two works have shown that the feasibility could be made. The first reason is that, in the 1970s, even common readers found the background and the event in the novels familiar on account of their own high interest in space exploration. The second reason is that the novels make themselves sound more convincing by introducing the scientific theory. The third reason is that the novels increase the reality with the description, when presenting a background or character. Because of the three reasons listed earlier, the science fiction of Oh Young-min can be determined to have a “rational fantasy.” It is interesting to read science fiction because of the illusion. But people have criticized that interest-seeking novels have a lower level than other ones. But illusion has long been the essence of litera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n the fantasy of science fiction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eliminating the bias against science fiction.

      • KCI등재

        1960~70년대 청소년 과학소설 장르 연구 : 『한국과학소설(SF)전집』(1975)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영 동남어문학회 2013 동남어문논집 Vol.1 No.35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creative science fiction genre in the 1960s and 1970s. The work the subject of this study, all in a space adventure, space opera genre. In Chapter 2, to clean up the background shows the ‘space opera’ genre.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1920s science fiction magazines were very popular. And the adventure stories of the frontier, which was called ‘horse opera’ was fashionable. In Chapter 3, the reason why a lot of creative ‘space opera’ genre were organized into three. The reason is because of the government's science policy, the translation of American science fiction, adventure novel structure. In Chapter 4, a novel analysis was divided into ‘Space Adventure story’ and ‘War of the Worlds story’. ‘Space adventure story’ is a modern adventure novel that takes place in the universe. ‘War of the Worlds story’ is a metaphor for the international situation and social phenomena.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extended the scope of the study, the Korea Science Fic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