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역사콘텐츠 개발과 의미 : 조선시대 과거제도를 중심으로

        한미라(Han Mira),이수진(Lee Sujin),이유미(Yi Yu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1

        본 논문은 가상현실(VR)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과거제를 구현하는 과정을 제시하고, VR을 활용한 역사콘텐츠의의미에 대하여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중앙대학교 인문콘텐츠연구소에서는 VR을 활용하여 조선시대 과거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VR로 제작된 조선시대 과거제에서는 과거 시험 준비 과정, 과거 시험장, 과거 합격자의의식인 방방례를 중심으로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VR 콘텐츠는 Oculus Quest2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콘텐츠 제작 과정은 스토리 보드 작성, 사료에 기반한 고증 및 아이템 모델링, 콘텐츠의 인칭 설계, 장면 이동 방식 설계, 사용자 테스트 및 UX를 통한 문제점 개선 등의 순을 이루어졌다. VR로 제작된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콘텐츠는 크게 세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VR을 통해 현재 사람들이 현재는 경험할 수 없는 조선시대의 과거제의 과정에 대해 조선시대에 있는 것처럼 현존감 있게 체험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과거제의 배경이 되었던 공간적 장소도 접할 수 있다. 둘째, 역사 교육의 효과 증대와 폭을 확대시킬 수있다. 즉, 제작된 VR 콘텐츠를 통하여 학습자가 몰입도 있게 조선시대 과거제를 체험함으로써 역사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는 등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셋째, VR로 제작된 역사콘텐츠는 일정한 환경만 구성되면 누구나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현재보다 더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계층을 대상이 역사를 접할 수 있는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virtual experience of the Gwageo System(the governmentexamination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and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VR-based historicalcontent. The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at Chung-Ang University recreated the experience ofundergoing the Gwageo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virtual reality technology. The content ofthe VR application included the process of preparation, Gwageo System(the government examinationsystem) and the ceremony held for those who passed the exam (the Bangbangrye). The applicationis compatible with Oculus Quest 2. The content production process consisted of storyboardcreation, historical evidence and item modelling based on historical records, character design,scene movement method design, user testing, and problem improvement through user experience. Development of the virtual experience of the Gwageo of the Joseon dynasty had three majorimplications: First, through VR, people can experience the Gwageo System, which does not takeplace now, as if they were in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y can come into contact withthe spatial places that were the settings of the exam. Second, the effectiveness and breadth ofhistory education are increas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learning effect by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through an immersive experience. Third, historicalcontent produced by VR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ily accessible once it is established in acertain environment; it can be accessed by different groups of people in diverse places.

      • KCI등재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

        김기봉(Kim Gi-bong) 한국고대사학회 200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2

        역사의 3요소는 시간, 공간, 인간이다. 한국사에서 이 삼요소가 무엇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고대사다. 한국 고대사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한국사의 시작은 언제며, 한국사의 영역은 어디고 한국인의 조상은 누구인가가 정해진다. 시간, 공간, 인간의 조합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한국 고대사의 구성과 체계가 달라진다. 한국 고대사의 계보학이란 삼국사기 이래의 正史로부터 근대 ‘국사’로 이어지는 한국사학사에서 고대사를 구성하는 방식의 변화에 대한 메타역사적 성찰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탈근대 역사이론은 과거에 대한 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역사로 서술됨으로써 과거가 존재했던 것으로 인식된다는 전제 아래 ‘과거로서 역사(thehistory-as-past)’가 아니라 ‘역사로서 과거’(the-past-as-history)로의 ‘인식론적 전환(epistemological turn)’을 주장한다. 실제로 한국 민족이라는 정체성이 없었던 시대의 역사까지를 포괄해서 한국고대사를 쓰는 것은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을 이미 성취한 셈이다. 사실상 ‘국사’라는 역사서술 패러다임도 이 같은 ‘인식론적 전환’에 입각해서 성립했다. 다시 말해 한국이라는 과거가 있어서 한국사라는 ‘국사’를 쓰는 것이 아니라, 한국사라는 ‘국사’가 한국이라는 과거를 만들어냈던 것이다. ‘국사’ 패러다임에 입각한 한국 고대사의 체계는 오늘날 다음 두 가지 이유로 수정돼야 한다. 첫째로 이제는 민족사가 아니라 문명 교섭사로 방향전환해야 한다. ‘국사’에 의해 망각된 고대 동아시아 역사세계를 복원하는 동아시아사를 서술하는 것이 문명 교섭사의 출발점이다. 둘째로 한국사회가 앞으로 점점 더 다문화사회로 변하고 있다면, 이제 한국인이란 누구인가의 정체성을 단일민족과 같은 혈통을 코드로 해서가 아니라 인류 보편적 가치에 입각해서 재정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예컨대 弘益人間과 같은 민족 고유의 가치를 인류 보편적 가치로 승화시킬 수 있는 한국사 서술이 나와야 한다. 이 같은 新韓國人 정체성 형성 프로젝트의 시작에 한국 고대사가 있다. 나는 한국 고대사학자들이 어떤 역사를 쓰느냐는 바로 우리의 미래가 걸린 문제라고 생각한다. The three elements of history are time, space and human beings. In Korean history, it is especially ancient history which can define these three elements. The questions about when Korean history starts, what the space of Korean history is, and who the ancestors of Koreans are, can be answered based upon how one writes ancient Korean history. The composition and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depends on how time, space and human beings are put together. The genealogy of ancient Korean history is the meta-historical reflection upon the change in reconstructing ancient history in Korean historiography from ‘the canonical history(正史)’ since the “Three Kingdom's history” to the “National History(國史).” Presuming that history is not written about the past, but instead the past is perceived to have existed only by being written as history, postmodern history theory suggests an “epistemological turn” from “the-history-as-past” to “the-past-as-history.” This art of epistemological turn is already achieved when the Korean ancient history includes even the periods in which the identity as Korean nation was not formed yet. Actually, the paradigm of “National History” has set its foundation upon this epistemological turn. In other words, writing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was possible not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past of Korea, but instead, because the national history of Korea created the past of Korea. Now, the system of ancient Korean history needs to be corrected for two reasons. Firstly, we should turn around towards civilizational interchange history(=transfer history) from National History. It can begin with restoring ancient East-Asian history which was erased by National History. Secondly, Koreans need to redefine the Korean identity not by the code of blood, but based upon universal human value, in this time that Korean society is more and more becoming multi-cultural. This redefinition demands a historiography which is able to transform such a national value as “Hongik human being” into a universal human value. Ancient Korean history is standing in the first row of this project to form a new Korean identity. Our future depends on what kind of history that the ancient Korean historians write.

      • KCI등재후보

        역사의 의미 -청말 중국의 "역사" 인식과 "역사" 읽기-

        장칭 ( Zhang Qing ) 한림과학원 2011 개념과 소통 Vol.0 No.8

        ``역사적 기억``의 연속은 청말 사상 변천을 구성하는 중요한 상징이다. 이 글에서는 청말 사람들이 ``역사의 의미``를 어떻게 탐색했는지 논하고자 한다. 주로 청말의 과거제도 개혁에서 ``역사``가 왜 시험의 주요 내용을 구성하였는지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과거시험 응시자의 답안에서 ``역사``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두 문명이 만날 때에는 본래 ``너는 어디에서 왔는가?``, ``어떻게 오늘에까지 왔는가?``라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이는 곧 공간과 시간이라는 축에 근거해서 ``타자``를 상상·이해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작업이다. 이런 배경 아래 ``역사``가 중국과 서양의 소통에서 특별한 역할을 수행했다. 청말 중국에서 ``역사적 기억``의 연속은 분명 상이한 기준으로 구분되는데, 역사 해석자의 ``입장``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과거제도를 개혁하는 과정에서 ``역사``에는 여전히 관변 이데올로기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똑같이 ``서양적 요소``에 의해 환기되고 똑같이 역사를 새롭게 해석했지만, ``자기개혁``의 입장에 서서 역사에서 배울 만한 경험을 발굴하려 하였고,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역사에서 자신의 영광을 유지하게 하는 자원을 찾으려는 것이었다. 그러나 어떤 입장에 서든 ``역사문화``를 중시했다는 점은 아주 분명하다. 이른바 ``역사의 의미``는 청말 중국에서 충분히 드러났다. 그것은 중국에 이미 역사인식에 대한 유구한 학술적 전통이 있었는데 ``역사 읽기``가 독서인의 독서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는 사실에서 구체적으로 표출되었다. 바로 이런 배경 아래 ``역사``가 중국과 서양의 소통에서 특별한 역할을 했다. 그 영향으로 ``역사``에서 부강의 길을 찾고 문명의 우월감을 유지했으며, ``역사``를 통해 ``경세치용``을 하고, 과거시험과 신식학교 교육에서 관련 내용을 배치한 것도 출제에서 마땅히 있어야 할 의미였다. 물론 ``역사``에 대한 이런 입장은 결코 한번 정해지고 나면 변하지 않는 것이 아니어서, 청말 중국에서 ``역사적 기억``의 연속이 드러낸 또 다른 장면은 ``역사의 의미``에 대한 탐색이 또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What`s the use of history?" Marc Bloch, the founder of the Annals School raised this question from a child in the beginning of his Historian`s Craft. In China`s case, we will find problems of this kind from time, and they are dissimilar as they appeared in different times. In the late Qing Dynasty, when China was faced with a "seismic situation that never happened in the previous three thousand years", such problems were even more conspicuous. The question was not only "What`s the use of history?" but also how to awaken the "memory of history" to deal with all manner of changes. It was certain that the awakening of the "memory of history" in late Qing was obviously guided by two factors: one was the recovering of the Hans` collective memory stimulated by "anti-Manchuria"; the other was the memory about China, which was activated by foreign factors. This leads us to focus on how the scholars in the late Qing Dynasty thought about "what history has told us" and how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istory". Needless to say, the encounter of the two civilizations would naturally give rise to questions like "where do you come from?" and "how do we come here?" which were based on the dimensions of space and time in order to imagine "the other". Accordingly, incorporating Chinese history and foreign histories into the framework of "Universal History" to achieve historical "harmony" and to seek mutual understanding also constituted the core of communication between Chinese history and foreign histories. Moreover, such "harmony" represents not only the significance of time but also the judgment on historical process. In this context, "history" also played a special "role" in Sino-foreign communication. Its influence was to seek a way to wealth and power in "history" and to maintain the superiority in civilization. With the assignment of relevant topics, the intention of the imperial examinations was to "study Confucianism for statecraft" through "history". This treatise attempts to outline this situation, which occurred in the late Qing Dynasty, in order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history" in this period.

      • KCI등재

        텔레비전 드라마와 역사적 상상력 : 역사-드라마의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중심으로

        박노현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13 한국문학연구 Vol.0 No.44

        역사-드라마는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극적으로’ 주선한다. 이 때 역사적 상상력은 역사적 사실과 극적 허구라는 이질적 층위의 이야깃거리를 하나의 균질적 이야기로 집성해내고,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라는 결코 공존할 수 없는 시공간을 자유로이 넘나들게 한다는 점에서 역사드라마의 핵심적 역사 기술 원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사적 상상력은 주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을 통해 구현된다. 상호텍스트성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 사이에 산포하는 다종다양한 텍스트의 호출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간극을 좁히고,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를 지금/여기와 흡사한 시대감각으로 그려냄으로써 이를 더욱 강화시킨다. 현재화된 과거라는 모순적 시간계 속에 존재하는 역사드라마의 본질은 역사와 드라마의 절합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읽어내는’ 데에 있다. 그것은 역사와 드라마라는 인문과 예술에 대한 ‘태도’의 문제와 연관될 수밖에 없다. 자연히 역사적 상상력은 어디까지나 역사드라마로서의 ‘진지함’ 이라는 태도 속에서만 정당성을 부여받는다. 역사드라마의 이러한 태도는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이 어떻게 텍스트 속으로 수렴되고 있는가를 확인함으로써 가늠할 수 있다. 역사적 상상력의 수행으로서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은 그때/거기와 지금/여기로 분할되어 있는 화면 안팎의 시공을 초월하여,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통해 과거를 복기하고 현재를 환기하는 극적 재현에 있어 더없이 유용한 극작 기법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추노>, <공주의 남자>, <뿌리깊은 나무>, <해를 품은달> 등의 미니시리즈는 역사적 상상력의 극적 수행인 상호텍스트성과 아나크로니즘의 성패를 보여주는 좋은 예시이다.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사실로서의 큰 역사(History as a fact)’ 사이에 그럴듯한 ‘허구로서의 작은 역사들(histories as a fiction)’을 틈입시키거나, 그때/거기의 허구적 재현을 통해 지금/여기에 대한 사실적 발화를 시도한다는 점에서 돋보인다. 하지만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은 굳이 소환해야 할 당위가 없는 역사를 가벼이 불러내어 소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역사적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다. 드라마가 지니고 있는 정서 혹은 정조(情操)와는 무관하게 역사적 상상력의 진지함이라는 측면에 있어서 <추노>와 <뿌리깊은 나무>는 <공주의 남자>와 <해를 품은 달>을 압도하고 있는 셈이다. History-drama arranges conversa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Historical imagination is core principles of History-drama. It gathers heterogeneous stories and form into a homogeneous story. It also crosses incompatible space time border, or then/there and now/here, with no limitations. Historical imagination was operated based on intertextualit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y calling out various texts, and anachronism, representing then/there with the sense of the times of now/here. History-drama's essence lies in the reading of human world through articulation between history and drama. History-drama's earnestness gives some validity to historical imagination in the ‘presented’ past. This attitude could be found by seeing how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converge towards tex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transcend the inside and outside of television screen, or time space divided between then/there and now/here. Both of them are useful dramaturgy that not only duplicates the past but also arouse the present. In this respect, intertextuality and anachronism, as a dramatic performance of historical imagination, could be good examples in the mini-series such as <Chuno>, <The princess' man>, <Deep-rooted trees>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Small histories as a ‘plausible’ fiction not only intrude into History as a fact, but also try realistic discourses on now/here in <Chuno> and <Deep-rooted trees>. However, histories with no validity are recalled easily, then exhausted in <The princess' man>, <The Moon embracing the Sun>. This shows poverty of historical imagination. Regardless of emotion in drama, <Chuno> and <Deep-rooted trees> overwhelm <The princess' man> and <The Moon embracing the Sun> in an earnest aspect of historical imagination.

      • KCI등재

        공감과 연대의 역사교육과 ‘과거사’ 문제 - 성찰적 역사교육을 위한 시론 -

        방지원 한국역사교육학회 2017 역사교육연구 Vol.- No.28

        The lesson of history education is to help students to have the power to better the future of democrac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address the growth of civil rights, civic rights,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tic politics in the history curriculum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urriculum. Therefore, history education should include ‘burdensome history’.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actively deal with the ‘burdensome history’ in history classes. This will enable students to realize that the healing and reconciliation of ‘burdensome history’ is a process of democracy. They will also have a sense of responsibility and solidarity to promote such reconciliation. In history class, students can indirectly experience 'burdensome history' as they prepare themselves as perpetrators, victims, and volunteers. The process is to reveal the truth, acknowledge and remember it, sympathize with the victim. Furthermore, it is the process of helping the victims return to normal members of society. Students who learn ‘burdensome history’ will also try to oppose the ‘banality of evil’ in their daily lives and maintain their enlightened intellect. In this sense, the core of the “burden of learning history” is to cultivate a sense of civic responsibility. In summary, the importance of ‘learning burdened history’ in the history education for democracy is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remember the true reality of the incident, and to enable each student to stand as a witness of historical judgment. In class, we sympathize with the victims and engage them in solidarity activities for the sake of reconciliation. Take the role of a self responsible with a sense of historical responsibility for preventing the reoccurrence of the crime. All of this is the core of reflective history education. 역사교육이 민주시민교육에 기여할 바는 학생들이 ‘더 나은 민주주의의 미래를 상상하는 힘’을 가지도록 돕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권을 비롯한 시민권의 성장, 민주주의 정치의 원리와 제도의 발달 과정 등을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역사교육 내용에서는 ‘부담스러운 과거사’를 포함시켜야 한다. 특히 역사수업 시간에 ‘과거사’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과거사에 대한 치유와 화해의 과정이 곧 민주주의의 발전 과정임을 인식하고, 앞으로의 화해에 대한 책임감과 연대의식을 가지도록 해야 한다. 학생들이 역사수업 시간에 부담스러운 과거(사)의 가해자, 피해자, 방조자 등의 입장에 서 봄으로써, 실체적 진실을 밝히고, 인정하고, 기억하고 피해자에 공감하며, 그들이 다시 사회의 정상적 구성원으로 돌아오도록 돕는 아주 복잡하고 긴 과정의 일부를 간접적으로나마 경험하기를 희망하는 것이다. ‘과거사’를 배운 학생들은 일상 속의 ‘악의 평범성’을 통찰하고 각성된 지성을 유지하고자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 ‘과거사’ 교육의 핵심은 시민의 자율적 책임감 기르기라고 할 수 있다. 요약하면, 민주주의를 위한 역사교육에서 ‘과거사’ 교육은 ① 사건의 진실된 실체를 기억하고, ② 학생들 각자가 그 목격자로서, 역사적 판단의 주체로 설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가 있다. 수업 장면으로 들어가서 무엇보다도 ③ 피해자에게 공감하고 ④ 화해를 위한 연대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며, ⑤ 재발방지를 위해 미래 자신의 역할과, 자신들이 만들어가 사회상을 생각하며, 스스로 역사적 책임감을 가진 주체로 서도록 한다는 의미에서 성찰적 역사교육의 주요 부분이 될 수 있다.

      • KCI등재

        ‘유용한 과거(usable past)’ : 역사 지식에 대한 ‘현재주의(presentism)’ 접근과 역사학습 구성 방향

        박주현 부산경남사학회 2023 역사와 경계 Vol.125 No.-

        이 글에서는 역사학습의 내용 구성에서 현재 사회의 관심사와 가치를 과거상의 구축에 ‘적용’하는 문제를 고찰하였다. 우선 역사 지식에 대한 ‘현재주의’ 접근이 쟁점으로 부각된 ‘잉글랜드 혁명(English Revolution)’ 교재 관련 논쟁의 전개 과정에서 나타난 ‘역사주의’ 대(對) ‘현재주의’ 대립구도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이해와 관점을 과거 해석에 적용하는 문제가 학교 역사교육에서 역사 지식 재구성에 어떤 도전을 제기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최근 역사교육 논의에서 현재주의 접근의 유용성을 강조하는 주장이 역사학습 구성 방향에 갖는 의미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역사 연구의 맥락에서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현재주의 유형을 검토하였으며, 현재주의의이점을 살린 역사학습 구성 제안의 특징과 한계를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논의에 기초하여, 현재주의를 ‘선택적’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역사 수업에서 타당한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 요구되는 역사 지식 기반의 중요성에 대해 학생들이 인식하는 것의 필요성에 주목하였다. 특히 과거에 대한 지식을 사용하는 정당한 방식과 정당하지 않은 방식에 대해 학생들이 구분해 볼 수 있는 기회를제공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상주와 나주의 감영 ‘복원’ 프로젝트와 그 방향

        이훈상(Lee, Hoon-sang) 역사문화학회 2015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8 No.2

        이 연구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상주와 나주에서 추진 중인 감영 ‘복원’ 프로젝트를 사례로 아카데믹한 역사 연구와 퍼블릭public 역사 사이의 바람직한 조우를 모색하기 위한 시론이다. 최근 국가나 지자체의 주도 아래 조선시대 관아나 읍성 등 역사적 건축물의 ‘복원’ 프로젝트가 확산되고 있는 것과 관련하여 아카데믹 제도 속에서 활동하는 역사 연구자들에게는 새로운 접근 방식과 역할을 촉구하는 한편 지자체 등은 기획 초기부터 역사 연구자 등과 적극 대화하여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경복궁이나 숭례문, 통제영 등이 최근 복원되었으며 지금도 국가나 많은 지자체 등이 각종 역사적 건축물을 ‘복원’하거나 ‘복원’을 기획 중에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복원’ 프로젝트에서 역사 연구자들에게는 응당 고증 이상의 것을 기대하지 않으며 역사 연구자들 대부분도 ‘복원’을 당연한 것으로 간주한다. 각종 역사적 건축물의 ‘복원’이 역사적 재현과 직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원’과 같은 공공 영역의 정책은 아직도 역사학계의 공론의 장에 포섭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 시론은 이 같은 현실을 문제로 삼으면서 역사적 재현과 관련된 다양한 공공 영역의 정책도 아카데미 역사 연구의 장으로 끌어들여야 한다는 구도 위에서 상주와 나주의 감영 ‘복원’ 프로젝트를 비판적 논의 대상으로 다루어 보았다. 그리하여 퍼블릭 역사의 장이 확장하여 가는 현실에 대응하여 ‘지방’의 시점을 반영한 아카데믹한 역사 연구의 새로운 수행성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ssue of representation of history in the restoration projects of provincial office buildings of the Joseon Dynasty in Sangju and Naju City. Majority of historians tend to take historic restoration in the public sphere as granted without further questions. However, this study contends that restoration projects need a more serious discussion among historians in terms of representation of history. It also proposes that historians respond to the changing situation in which the number of restoration project of historic buildings gradually increases in public sphere. With this, the paper discusses in detail how to approach the restoration project of provincial office buildings from the viewpoints of the locale in order to make it not just for historic restoration but for historical representation.

      • KCI등재후보

        독립운동가의 고대사 인식

        임찬경(Chan-kyoung Im)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2

        본고에서는 우선 독립운동가들이 연구 및 저술한 역사학의 성격을 분석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이 역사를 연구 및 저술한 목적은 전적으로 독립운동을 위한것이다. 그러므로 필자는 독립운동가들의 역사학을 특별히 ‘독립운동사학’으로명명하였다. 본고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독립운동가의 역사 적폐 청산 노력에 대해 검토하였다. 독립운동가들은 사대사관과 식민사관이라는 두 가지의 역사 적폐를 동시에 청산하고, 우리의 역사를 정립(正立)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독립운동가들의 역사 적폐 청산 시도는 철저하게 좌절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좌절의 원인도 살펴보았다. 본고의 세 번째 부분은 독립운동가 고대사 인식의 계승에 관한 논의이다. 분명히 말할 수 있는 것은, 독립운동가의 역사 인식 중에 우리가 반드시 계승해야할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그 계승할 부분 중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역사 적폐 청산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2017년에 들어선 문재인 정부에서 한국사학계의 적폐 청산은 어떻게 시도되어야 할지, 그 적폐 청산의 과제와 방법을간략하게 검토해보았다. In this paper, first, I analyzed the character of History that independent activists have studied and written. The purpose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research and writing of History is entirel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refore, I named the History of independence activists as ‘Independent movement History(History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particular. In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I reviewed the effort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Independent activists tried to liquidate both the historical view subordinated to Chineseism and the historical view subordinated to colonialism as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at the same time tried to establish our right history. But the independence activists’ attempt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was thoroughly frustrated. In this paper, I also looked at the cause of the frustration. The third part of this paper is the discussion about the success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ancient history of the independence activists. What we can say for sure is that there is a part of the history awareness of the independence activist that we must inherit. In this paper, it is the most important part of the succession to be mentioned, and it refers to the liquidation of the cumulative evils in History. Finally, in Moon Jae-in Government Established in 2017, briefly explained how to try to liquidate the cumulative evils of Korean historical academia, reviewed the tasks and methods of liquidating the cumulative evils briefly.

      • KCI등재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과 브랜드평가

        최낙환(Nak Hwan Choi) 한국산업경제학회 2014 산업경제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서 소비자가 경험하지 못한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의 지각이 유발하는 소비자의 인지반응변수로 과거의 기업가에 대한 긍정성개념을 도입하였고, 또 감정반응변수로 그 기업가에 대한 감정이입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노스탤지어에서 부정감정을 흡인하여 긍정감정으로 회복되는 현상에 초점을 두고, 예방감정개념을 도입하여,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가 브랜드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하여 다음 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서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의 지각은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이 긍정적 예방 감정을 느끼게 하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셋째, 광고에서 느끼는 긍정적 예방감정이 브랜드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 지각이 브랜드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효과도 탐색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소비자가 역사적 노스탤지어 광고에 노출되어 지각되는 과거 기업가에 대한 긍정적 역사성이 기업가 긍정성과 감정이입 그리고 예방감정을 통해서 브랜드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적 과정과 브랜드 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식별하여 이론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This paper reviewed theoretically the effects of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on brand evaluation as well as the process in which consumers" negative affect triggering nostalgia could be redeemed back to positive prevention affect by way of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to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A scenario that would cause historical nostalgia and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hypotheses. 218 collegians participated in empirical study, which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it was found from the analysis that the perception of positive historicity for past entrepreneurs in the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had positive influence upon positiveness of entrepreneurs and empathy. Second, the analysis revealed that positiveness of entrepreneurs and empathy led to positive prevention affect. Third, the positive prevention affect perceived from the advertisement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 upon brand evaluation. Fourth, it was also made clear from the research that the cognition of positive historicity for past entrepreneurs exercised direct impact upon brand evaluation. In this manner, the present paper is believed to have made contributions theoretically by explaining the direct and indirect impacts of entrepreneurs" historicity as perceived by the historical nostalgic advertisements on brand evaluation.

      • KCI등재후보

        친일파 인명사전 편찬 문제에 대한 대처 방안 연구 : 한국성결교회의 두 지도자를 중심하여

        주승민 서울신학대학교 2006 神學과 宣敎 Vol.32 No.-

        왜 우리가 한국과거 역사 청산에 몰두해야 하는가? 그것은 우리가 그 작업을 잘 이루어 놓았을 때 의미있는 삶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같이 어려운 작업을 통해 우리들 모두의 미래적 국면에 터전을 잘 놓기 위함이다. 과거 역사의 짐을 지고서는 미래적 역사를 더욱 안전하게 이끌고 갈 수는 없다. 이런 점에서 과거사 청산은 한 시대의 유행적 신드롬이 되어서는 안되고 인간 역사의 지속적인 반성이 되어야 한다. 특히 우리의 판단에 사실 늦은 감이 없잖아 있지만 한국의 일본 식민지 시대의 상황이 잘 청산되어 정리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일은 어떤 반대적인 견해 없이 결과에 모두가 동의하며 수용할 수 있는 공통분모를 필요로 하는 작업이기에 쉽게 완성될 성질의 것은 아니다. 이점에서 어떤 연구 기관이던 현재 진행되는 한국 역사에 있어서 두 명의 성결교회 지도자 이명직과 박현명의 활동 결과에 대해 연구하려할 때 무엇보다고 전제에 대해 집중해야만 할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만일 이러한 어려운 일을 과거 역사에 속하는 핵심인사들이 속한 이해 당사자들이 자율적 표준을 지니고 해나간다면 무관한 이들이 과거의 많은 실수들을 지적하며 취급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고 가치있는 일이 될 것이다. 역사는 정당성이 어떤 상황에 필요할 때 변화함이 틀림없다. 우리는 또 역사적 사실들을 완전히 숨길 수 없다. 최근 두명의 성결교 지도자들이 한국 역사 문제 연구소인 민문연에 의해 적극적 친일 단체의 인사들로 공격을 당하고 있다. 그러나 이 논문을 통해 필자는 그들을 향한 강하고 무례한 판단을 누그러 뜨리려고 시도한다. 다른 말로 그들이 한국 식민지 시대에 적극적 친일파의 일원이라고 보는 것은 정당치 않다고 생각한다. 단지 그들은 그들이 속한 교단을 유지하려고 했으며 또한 일본이 통치하던 시대에 그런 활동들을 통해 어떤 이익도 본적이 없다. 사실 우리가 1942년에서 1943년 사이 일본 통치 동안 한국 역사 문제 연구소에 의한 발표된 그들의 활동 사항에 대한 판단을 우리가 면밀히 연구할 때 일본의 전제주의 체제 하에서 종교 지도자들의 리더쉽 차지에 대한 몰이해의 결과임을 발견할 수 있다. 두 명의 교회 지도자들은 국민정신 총동원 연맹과 국민 총력 연맹의 리더로 활약했다. 그러나 한국 민족의 이익에 반하여 야욕에 찬 일본 전략에 의해 운영되던 기구였으며 결코 그들의 일신상의 유익을 위한 활동은 전혀 아니었다. 그런 점을 기초해 필자는 다음 세가지로 이 주제에 관한 나름대로의 이해를 정리하고져 한다. 첫째로 그들은 그들 자신의 부정적 활동에 대한 책임의식을 느끼고 해방된 후 1946년 4월 25일 경에 자신들의 행위들에 대해 참회하는 글을 남겼다. 둘째론 약간의 이탈된 그들의 행위의 결과물들이 결코 자신들의 자아 동기 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라 일본 정부의 타율적 강요에 의한 것이라는 점이며 셋째론 교회력으로 봐서 큰 절기인 성탄절 절기 1943년 12월 29일에 강제적 방법으로 한국 성결교회를 해산한 일본정부의 잔인함이 얼마나 극에 달했는지를 살필 때 그 상황의 심각성을 충분히 납득할 만하다. 이를테면 당시 300명의 교회 지도자들이 일경에 의해 체포 구금 당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한국 과거사에서 두 명의 교단 지도자들의 활동을 통해 발견되는 세 종류의 특징들 그들의 회개, 일본 정부의 강압 그리고 강제적인 교단 해산을 살필 때 필자가 믿는 바는 그들에 대한 역사적 비판이 결코 온당치 못하며 소위 친일 인명 사전 명단이라는 목록에 그들의 이름이 등재되어 불명예스럽게 되어서는 안된다고 하는 점이다. Why do we indulge in the liquidation of the past history of Korea? Fixing it well, we are trying to live meaningfully. Also we want to make our future more good through this difficult tasks. We cannot proceed toward more comfortable situation of future history with the burden of the past history. In that point the liquidation of the past history isn't the popular syndrome of a period but must be the continuing reflection of humanity. Speciall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has to be liquidated and ordered well athough it seems like so late to our judgement. But this work doesn't be fulfilled easily because of it the task needs the comon ground, which everyone can agree with and accept the result without any opposite view. On this point when any study institute is working for this provoking problem task in the history of Korea on the result of activities of two Evangelical Holiness Church leaders, who are Myung-Jic Lee(Dec. 2th. 1890-Mar. 30th.1973) and Huyn-Myung Park(July.8th.1903-April.10th.1950 to be kidnapped to North Korea) first of all, she also has to concentrate about before presuppositions.. For me if such difficult historical task was achieved according to the autonomous standard that he who has relation with whom are core figures belonging to the past history, it might be more valuable and effective than the outer challenges to opperate and point a lot of errors of the past history. The history has to change when the legacy comes near to any situation. And we cannot also hide the facts of history completely. Nowaday, it appears that two Evangelical Holliness Church leaders are attacked as the positive pro-Japanese party through Min-moon yeon which is a study institute about the national problems in Korean history. But I want to lessen the strong and outrage judgement toward them through this thesis. In other word it is not right to consider that they are a member of the positive pro-Japanes party for the Korean colonial ages. Just they were trying to keep the denomination which are leading and also they didn't take any benefits through their own activities from the government of Japan. In fact, if we are reading the judgements of their activities by the study institute for national problem of Krean history on Japan ruling period for 1942-1943, we can find it is the result through the misunderstanding about when they took the leader's postitions of the religious group for Japanese totalitarianism. Two both of Church leaders took the place of leader on national spiritual mobilization union (국민정신 총동원 연맹)and the national total strength union (국민 총력 연맹)controling by Japan and were working without any self-intention of them according to the envious Japanese strategies against the interest of Korean people. And I supported my position explanig three detailed evidences. First, as a Christian they were feeling the responsibility of their own negative activities and repented them after the liberlation of Korea from the rule of Japan on April. 25th. 1945. Second, even about their a little bit distorted result of them didn't come from their own self-motivation but was depended on the heteronomous force of Japan government. Thirdly, we can be certain that the intention of Japan how it was so cruel appeared when she had dissolved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 by a compulsory measure on December. 29th. 1943 when it was Christmas season that is the great of Church calender. For example, at that time 300 Church leaders were arrested by Japan police and imprisoned in jail. In conclusion when we are finding out on the past history of Korea three kinds of characters from the result of two leaders' activities which are their repentance, the compulsion of Japanese government, and the dissolusion of the denomination by compulsion, of Japan I believe that the historical judgement to them doesn't have to be negative and their names will not be dishonoured inserting them on the list which is called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the Pro-Japanese par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