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사적 중역요소를 기반으로 공공공간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노욱,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1970~80년대에는 서사가 도시과학 분야에 도입되어 도시의 문화적 의미를 표현, 해석 및 형성하는 새로운 길을 제공했다. 서사적 공간 디자인 이론은 주로 다른 예술 분야의 서사 구조와 방법을 직접 참고하여 연구한다. 그러나 고전 서사학이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으로 발전함에 따라 연구의 내용은 이야기의 구조에서 인간의 인지 및 감정에 대한 경험적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서사적 공간 내부에서 중역 과정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다시 한번 분석해야 한다. 또한, 공공공간은 특수한 서사 텍스트로서 도시사건을 서사적 주제로 삼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사건을 어떻게 교묘하게 공공공간에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서술할 것인가는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또 다른 핵심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서사적 중역 과정에서 공공공간이 가져야 할 핵심 요소를 명확히 하고 공공공간이 도시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전략을 도출하려고 한다. 서사적 디자인 전략을 통해 도시이야기를 보다 생생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시민의 일상생활에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이며, 도시 공공공간에서 이야기와 공간의 내부 논리를 수립하고 공공공간 서사 디자인의 전반적인 틀을 보완하려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사 연구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유형화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서사 표현에서 서사적 중역과정에 필요한 공통 요소를 요약하고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공공공간 서사적 중역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서사적 중역의 5요소를 공공공간의 특성과 결합하고, 중역요소를 기반으로 공공공간의 서사적 디자인 전략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설정하고 도시사건 내용을 설계배경으로 하는 4개의 공공공간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서사적 중역 요소의 구체적인 표현을 명확히 하고, 도시사건을 표현할 때 서사적 디자인 전략이 발휘하는 역할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도시 사건이 만들어내는 공공공간은 서사적 중역 요소들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서사적 전략으로 공간설계에 적용되며, 매체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동선의 선형적 질서성은 이야기 내용에 근거하여 충실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비선형적 질서성은 이야기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느낌과 인지에 더 중점을 두게 된다. 셋째, 서사적 기법성의 암시적, 명시적 표현기법은 중역 요소와 이야기 사이의 합리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넷째, 공간에서는 물질과 체험을 통해 서로 다른 서사 기능을 형성하여 공간을 서사적 다양성이 주는 감정의 리듬으로 변화시킨다. 사람은 공간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사적 요소를 따라 감정 변화를 형성할 수 있다. 다섯째, 서사적 공간에서는 물질적 요소와 체험적 행위를 통해 이야기의 내용과 사회적 측면의 이중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의 서사적 디자인은 전통적인 공간 디자인 사고방식을 깨뜨렸다. 다른 예술 분야의 서사 방법을 공공공간과 연결하여 의미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사람들에게 풍부한 신체적, 심리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서사적 디자인 전략은 서술자(설계 참여자)와 수용자(사용자)가 사상적,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

      • KCI등재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역할 관계에 관한 연구

        최성호(Choi, Sung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2016년 8월 4일 공공디자인법이 본격적인 시행에 들어갔다. 공공디자인법은 공공영역에서의 디자인 행위를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문화향유권을 증대하려는 국가적 정책이다. 그간 국내의 공공영역과 관련한 디자인은 경관의 관리 측면을 강조한 경관법의 세부사항처럼 제한되거나 생산자와 소비자의 욕구 충족을 중심으로 하는 산업디자인과 차별성을 놓고 논쟁을 치루는 등 복잡한 관계 속에서 그 역할이 명백하게 규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미 2007년부터 시행된 경관법에 의한 조례보다도 법제화되지 않은 공공디자인 관련 조례의 숫자가 많을 정도로 그 필요성은 확대되어 왔고 결국 공공디자인법이 제정되었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법 제정시 논의되었던 산업디자인과 경관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핵심적 비교사항인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차이점을 분석하여 바람직한 역할 관계 모색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의 효율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그 동안 진행되었던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정의와 목적의 분석을 통한 지향점, 법의 구조체계, 사업내용 비교 조사 등을 통해 각각의 특성을 분석,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의 바람직한 역할 관계를 세 가지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그 방향은 첫째, 공공디자인법은 정체성의 추구, 경관법은 종합적 이미지의 관리에 중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둘째, 특정 지역에 대한 사업에서 기획 및 마스터플랜은 공공디자인법, 이를 위한 지침은 경관법에 기초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셋째, 위원회는 공동위원회 운영 등 운영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좋지만 도시브랜드나 문화적 정체성 논의는 공공디자인위원회를 별도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정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공공디자인법과 경관법은 상호 발전을 위해 역할구분을 명확히 해 상호보완적 관계로 작동해야 하며, 이렇게 할 때 두 법률의 제정취지와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On August 4, 2016, the Public Design Act went into full swing. The Public Design Act is a national policy aimed at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and enhancing the enjoyment of culture through design activities in the public domain. In the meantime, the design related to the public area in Korea has been limited to details of the landscape law emphasizing the management of the landscape. In addition, it has also argued for differentiation in industrial design based on fulfillment of needs of producers and consumers. Its role was not clearly defined in such a complicated relationship. However, in local governments, the necessity has been expanded so that the number of public design related ordinances which have not been legislated more than the regulations by the landscape act already implemented from 2007, and finally the public design act was enacted. This study has a purpose of finding the desirable rol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and directing utilization of those acts to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 entity and any government offices by examining the discussions about industrial design and landscape that was discussed in the public design act enactment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which is core comparative issue. The research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efinition and purpose of the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the structure of the law, the comparative analysis of business contents, and so on. Through this study, the desirable rol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design act and landscape act is presented in three directions. The directions are as follow: First, it is desirable to focus on the identity of the public design act, the landscape act on the management of scenic images, and second, on the projects for specific areas, the planning and master plan should be based on public design, Third, it is desirable that the committee should maintain the efficiency of operation such as joint committee operation. However, discussion of city brand or cultural identity is summarized as desirability of operating a public design committee separat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blic design act and the landscape act should clarify the roles for mutual development and work in complementary relation. In doing so, the enactment effect and the effect of both laws can be maximized.

      • KCI등재

        서비스디자인을 적용한 공공재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공공자전거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손상희 ( Shon Sang Hee ),윤형숙 ( Yoon Hyung Sook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2 No.-

        최근 도시가 발전하고 변화하면서 역기능적 요인을 개선하고, 순기능을 부여하는 노력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도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하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주목받는데 있다. 서비스디자인은 공공재로서의 공공디자인, 시설물디자인 등이 있는데, 이러한 디자인들은 시스템과 결합된 설계 및 서비스의 개선 방법들이 새롭게 적용되는 것이 특징이다. 서비스디자인은 점차 제품의 서비스화 뿐만 아니라 서비스의 제품화가 강조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요구를 반영한 결합형 디자인을 필요로 한다. 다만, 급속도로 빠르게 변화하는 서비스경제 속도가 소비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 활성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에 관심을 갖고 연구함으로써 서비스디자인 순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데 그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은 공공서비스디자인 적용사례 중에서 자전거를 중심으로 사례연구 및 이론고찰 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자전거 공공서비스는 자동차가 중심인 도시공간에서 제한적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점지역과 인접지역을 중심으로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공공자전거의 도입부터 운영까지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다는 점에서 정책의지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결국, 공공서비스디자인이 적용되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책적 지원과 지속적 예산지원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주차정책, 자전거서비스디자인의 이용환경 연계 등을 통한 사회 전반에 적용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디자인 가이드라인 제공되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향후 본 공공서비스디자인 연구는 공공서비스디자인를 위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제반된 제도 및 서비스디자인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As urban areas are developed and changed recently, it becomes important to improve factors of adverse effects and to grant proper function. This is attributed to new attention of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to recover the function of urban areas. The service design includes public design and facility design as public goods, and planning and improvement methods of services that are combined with systems are applied to these designs. The service design requires combined designs with consumers' needs reflected as services of products and products of services are gradually emphasized.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at the speed of service economy that is rapidly changing can't reflect consumers' needs enough.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ervice design and to try to activate continuously. Therefore,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methods to reinforce the proper function of service design by researching public service designs. For the method of the study, this study was processed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theory consideration of bicycles among application examples of public service design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ublic service of bicycles is done restrictively in urban areas with automobiles centered, and it is frequently used mostly at lodgement areas and adjacent areas. In addition, the policy intention has a great impact in that it is supported by public institutions from adoption to operation of public bicycles. As a result, policy support and continuous budget support should preceded for activation of public service designs. It is also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service design guidelines applicable to the whole society through connection of parking policy and utilizing environment of bicycle service design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on public service designs is expected to be used for a basic resource for future public service designs, and to contribute to improving various systems and service designs.

      • KCI등재

        공공 디자인의 시민문화적 토대에 관한 이론적 연구

        신항식,신은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21

        본 연구는 공공성(public)의 개념이 과연 국가의 개념과 호환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지속가능성이 있는 요소라면 가장 중요한 것이 디자인 표현과 기술이 아니라 디자인의 콘셉트 즉, 정신에 있기 때문에 공공성이 자리하는 지역문화의 역사와 구조에 기댈 수밖에 없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공공성을 실현하는 마인드가 산업주의자 개인과 연관을 지녔지만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지향점은 본질적인 사회시민의 위치에서 벗어난 적이 없다. 이를 재삼 강조하면서 현재 벌어지는 공공디자인의 방향을 시민사회에 두는 것이다. 문제는 시민 사회속에서 수행되는 디자인의 본질은 경제라든가, 개인의 스타일이 아니라 전통문화이며 국제화의 흐름에 동화하는 전통문화의 자기개발 정신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인간의 의식과 지각을 분업화시키지 않고 종합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존재는 바로 공동체의 문화이다. The public design projects are in vogue in Korea. But, leading by the State and city administrations, the projects go on without any sincere on the concept of "public" itself. I propose a frame for understanding this concept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The design has its history which is in company with the industrial process of capitalist society. The capitalist society, without public administration for design project, little by little eliminated the public substance of design activities, takes whole power of decision to the public presentation of design in the final by its capital use. But this phenomenon brings about a deep problem: confusion between the public design and the static one. The main reason why this confusion become a general feature of working the public design is that the capital power carries over some mutual agreements on what the public and public design are. I examine this problem of public through a comparative approach between the state and the civil society for defining the public and public design. From 18th century to our days, the concept of the public has a similar with that of civil society. Because, the civil society is well represented public, much more than a state, by its ideology and their mode of communication. This is my first conclusion. The second is that the public design is not of material one and a result of survey on citizens' opinion neither, but that of the civil society's history of communicative structure.

      • KCI등재후보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공공시각매체 관련 규정에 관한 고찰

        은덕수(Duk-Soo Eun)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Public visual media is a Public Design area that plays a major role in promoting public design. In terms of public visual media, based on the Act on Public Design Promotion, most local governments are presenting directions for integrated improvement through enactment of public design promotion ordinances, establishment of public design guidelines, and operation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mittee. but road signs, traffic safety signs, and private information signs are all separated and treated as separate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visual media, focusing on traffic safety signs and public design guidelines, defined its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ce, individuality, ambiguity, inefficiency and non-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items were derive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information hierarchy of public visual media considering landscape characteristics, integration of facilities and standardization of location, and the role of integrated administrative coordination of public design.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 공공디자인 영역이다. 공공시각매체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을 토대로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공공디자인진흥 조례 제정,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 수립, 공공디자인진흥위원회운영 등을 통해 통합적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공성을 지닌 대표적 시각매체인 도로표지, 도로명판, 교통안전표지, 사설안내표지 등은 설치와 관리 등의 행정이 모두 분리되고 개별적 시설로 다루어져, 경관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안내기능을 서로 약화시키는 등의 근본적 문제 해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공공시각매체 현황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다양한 규정들을 검토하고, 그 중 공공디자인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교통안전표지 관련 규정과 공공디자인가이드라인의 세부 항목들을 점검하여, 공공시각매체의 핵심 문제와 특성을 독립성, 개별성, 모호성, 비효율성과 비체계성으로 정의하였으며, 공공시각매체의 당면과제 해결과 관련 규정의 개선을 위하여 경관특성에 따른 공공시각매체의 통합적 정보위계 구현, 시설물 통합과 설치 위치 표준화, 통합적 행정 조정자로 공공디자인 역할 확대 등 세 가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에 관한 연구

        리밍샤(Ming-Xia Li),조정형(Joung-Hyung Cho) 한국공공디자인학회 2022 공공디자인연구 Vol.7 No.-

        공공시설물 디자인은 공공디자인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부이다. 도시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사람들은 더욱 규범적이고 인간적인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필요하다. 어떻게 하면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의 사용자 경험을 높이고 사용자의 요구를 더욱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는 현재 공공시설물 디자인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이다. 이에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사용자경험의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사용자 경험”은 점차 사회경제와 문화 발전의 유행어가 되고 있으며, 디자인과 관련된 많은 업계 분야가 '사용자 경험'의 발전에 깊은 관심을 기울이다. “사용자 경험”은 디자인 업데이트를 위한 종합적인 가치를 생각하고 검토한다.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의 특징, 기능, 종류 및 문제점을 조사·분석하고 사용자 체험을 결합해 평가한다. 먼저 문헌조사법을 통해 공공시설물의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의 관계를 명확히 한다. 둘째, 현장조사를 통해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을 분류하여 비교·평가하였다. 셋째, 우수한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사례 분석을 통해 사용자 경험에 기반의 미술관 공공시설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립미술관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현황을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으로 향후 미술관 공공시설디자인의 디자인 활용방향으로서 의미가 있다. Public facility design is an indispensable part of public design.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cities, people need more normative and human design of public facilities. How to increase the user experience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and further meet the user's needs is the problem facing public facility design. Therefore, I would like to study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User experience” is gradually becoming a buzzword for social economy and cultural development, and many industries related to design pay close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user experience.” The “user experience” considers and reviews the overall value for design updates. The characteristics, functions, types, and problems of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are investigated and analyzed, and user experiences are combined and evalua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of public facilities and the user experience is clarified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method. Second, through field surveys, public facilities of the Busan Museum of Art were classified, compared, and evaluated.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excellent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cases, the direction of art museum public facility design based on user experience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current status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the Busan Museum of Ar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user experience, and it is meaningful as a direction of design utilization of public facility design at art galleries in the future.

      • KCI등재

        산업유산 장소브랜딩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의 참여적 요소에 관한 연구

        서모아,이현성,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의 도시는 지리적 특성, 역사적 배경, 문화적 차이 등 각 지역성을 바탕으로 발전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 가운데 산업구조의 변화로 역할과 기능을 상실한 채 방치된 산업유산을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자원으로 인식하고 문화적 가치를 부여하여 도시 활성화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장소브랜딩은 지역의 문화를 활용하고 이미지화하여 지역의 경쟁력 제고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장소브랜딩은 브랜딩 과정에서 참여를 유도하여 사용자들이 장소의 진정한 의미를 경험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참여형 브랜딩 전략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장소의 형성에 있어 공공디자인은 각 도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지역성을 토대로 유·무형의 자산을 적극 활용하여 타 도시와 차별점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체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도시의 정체성을 확보하는 장소브랜딩의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로 떠오르고 있는 장소브랜딩의 수단으로서의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성을 연구하기 위해 문화적 가치를 지닌 산업유산을 대상으로 공공디자인의 요소를 분석하고,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먼저 이론 고찰을 통해 산업유산과 장소브랜딩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장소브랜딩 관점에서 공공디자인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참여 요소를 문헌고찰로 정리한다. 셋째, 이론 고찰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장소브랜딩 관점에서 공공디자인 참여 요소를 도출하고 효용성 평가를 위해 산업유산 사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장소브랜딩에 적용된 공공디자인의 참여 요소를 FGI 면접법으로 검증한다. (결과) 공통적으로 문화성, 적극성, 지역성의 유형 요소가 사례의 적용 정도와 FGI의 평가에서 적정도가 높았다. 이는 장소브랜딩에서 공공디자인이 참여성을 기반으로 이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공감의 문화적 가치가 있는 지역성을 발전시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 본 논문은 장소브랜딩의 관점에서 공공디자인의 역할과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사람이 머무르고 이용하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인 만큼 공공디자인의 참여적인 요소가 우선적으로 적용된다면 참여형 장소브랜딩의 역할로 가능할 것이다. 가치 있는 장소를 구현해 내기 위해 공공디자인의 역할을 다방면으로 연구하며, 장소브랜딩의 차별화를 위해 지역의 특수성을 고려한 후속 연구를 시사한다.

      • KCI등재

        서사적 공공공간을 위한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에 관한 연구

        노욱,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5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도시 공공공간에 대한 사람들의 요구가 다양화됨에 따라 공공공간 디자인은 기존의 단순한 기능적 고려에서 문화, 역사 및 사회적 의미에 더 중점을 둔 서사적 디자인으로 전환된다. 1970년대 대중 참여의 물결은 도시계획 분야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공공공간 디자인의 권리와 형식은 사회와 대중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또한 고전적 서사에서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으로의 서사 연구의 전환은 공간의 디자인 방법을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 도출 과정에서부터 적극적인 참여자로서 새로운 구성과 아이디어를 제공한다. 참여 주체의 유형과 그것이 서사적인 공공공간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와 서사 주체의 발전 추세와 연관성을 분석하고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다원화된 참여 유형과 그것이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여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과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구성 요소와 발전 추세를 명확히 하고 디자인 주체의 참여 방식과 특성을 도출한다. 둘째, 서술 주체의 개념을 명확히 하고 고전서사학과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 연구에서 서사 주체가 보여준 서로 다른 특성과 둘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분석한다. 셋째, 현대 다원적 주체 협력의 관련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서사적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과 다른 유형이 공간과 서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결과) 첫째, 공공공간의 유형적 다양성과 사회의 다양한 주체 간의 관계의 복잡성을 기반으로 공간 디자인에서 인간의 참여 역할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정부, 전문가, 이해관계자, 주민의 네 가지 측면으로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는 요소로서 주체 자신의 각도에 따라 공간에서 강점을 발휘한다. 둘째, 서사 주체의 특성은 공공공간 디자인 주체의 특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며, 모두 다양한 협력과 대중 참여의 요구를 반영한다. 서로 다른 방식으로 서사적 공공공간의 설계에 참여하는 것은 공공공간의 서사성과 공공성의 잠재력과 최적의 가치를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셋째,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다전공 협력형, 공모형, 공동 건설형(실제 참여형, 물질 참여형), 공모-공동 건설형, 자발형의 6가지 유형으로 나눈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은 복잡하고 다양한 존재이며 다양한 사회 주체도 다른 가치, 다른 참조 시스템 및 다른 조직 행동 방식을 가지고 있다. 서사적 공간의 스토리텔링 내용과 디자인 방법에 따라 적절한 참여 방식을 선택하여 디자인 주체를 구성하면 의미 있고 스토리 있는 도시 분위기를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 공간의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디자인 주체의 참여 유형을 객관적으로 선택하길 바란다. 공공공간의 품질과 서사적 표현의 효과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공공참여의 발전을 촉진하여 건전한 도시 건설 및 거버넌스의 토대를 마련한다.

      • KCI등재

        완주군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실행계획 연구

        박석훈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7 No.-

        Since the public design promotion general plan in the national unit was established, total 245 metropolitan & basic local governments obligatorily have formed the local promotion general plan. Thus, this study aimed to suggest the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each theme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in Wanju-gun, and also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guideline for each type for the concrete detailed design regulations.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whole area of Wanju-gun. The scope of this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Waju-gun,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the promotion of public design, and the guideline for each type that is classified into public visual media, public facilities, public building, and public space. This study suggests the expansive development direction based on a general research on the current statu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the current design status of Wanju-gun through field study, a survey, and the analysis on the upper plan. The conten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anju-gun needed a design pl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opulation.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urrent design status of Wanju-gun, the regulations for each different design were needed. Third,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the residents of Wanju-gun needed a design plan and local landmark that could emphasize the image of natural green clean area. Fourth, based on the surveyed contented, the public design strategies for each theme and the direction of guideline for each type were draw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become a basic study for the future promotion plan as a leader in the promotion plan of local government public design.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the takeoff of public design of Wanju-gun in the future. 국가단위의 계획인 공공디자인 진흥 종합계획이 수립된 이후 245개 광역 및 기초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의무적으로 지역진 흥 종합계획을 수립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완주군의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하여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세부 디자인 규정을 위한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완주군 전역으 로 연구의 범위는 완주군 현황분석과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공공시각매체, 공공시설물, 공공건 축물, 공공공간으로 분류한 유형별 가이드라인으로 제안한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조사를 통한 일반현황 조사, 현장조사를 통한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 설문조사, 상위계획 분석을 바탕으로 발전적 개발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내용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완주군은 고령인구 특성을 고려한 디자인 계획이 필요하였다. 두 번째, 완주군의 디자인 현황을 분석 한 결과 각기 다른 디자인에 대한 규정사항이 필요하였다. 세 번째, 설문조사 결과 완주군민들은 자연녹지 청정지역 이미지 를 강조할 수 있는 디자인 계획과 지역 랜드마크를 필요로 하였다. 네 번째,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주제별 공공디자인 전략 및 유형별 가이드라인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지자체 공공디자인 진흥계획의 선두주자로서 향후 수립되는 진흥계 획에 기반이 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완주군의 공공디자인이 도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따른 공공디자인 공모사업 시상 방향에 대한 연구 -유관 공모사업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희(Lee, Jong Hee),최성호(Choi, Sung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0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6 No.3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진흥에 관한 법률의 제정과 시행 이후 우리나라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기반한 공공디자인의 사업과 정책방향을 구체화할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국가 공모사업인 각종 공모전들의 시상내역을 살펴봄으로써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서 명시하고 있는 바대로 공공성에 기반을 둔 공공디자인의 취지에 맞는 작품에 시상되고 있는지 그 실상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공모전이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진흥기반을 바람직하게 구축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를 다각적으로 모색하여 유의미한 시사점을 얻고 이를 바탕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공디자인 관련 유관 공모전은 각 공모전 고유의 특성에 따라 시상의 방향은 각각 달랐지만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이 표방하는 바를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었다. 2) 미래의 공공디자인은 실사용자 참여 프로세스를 통한 국민의 의견반영과 공공의 유익을 우선으로 해결하는 디자인 행정전담 공무원, 그리고 전문가 등 협업이 그 성패를 좌우함을 제시하였다. 3) 국가 및 각 지역 고유의 문화 정체성을 역사, 음식, 자연경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적극적으로 찾아야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공공디자인의 지속적인 진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공디자인 진흥종합계획에 기반한 공공디자인의 개념과 목적에 부합한 작품을 적극적으로 발굴하여 시상하는 방향으로의 접근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ed to materialize public design business and policy direction based o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continuous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in Korea after the enactment and enforcement of the Public Design Promotion Law. To this end, by reviewing the awards of various competi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national competition projects, identify the reality of whether the awards are being made for works that meet the purpose of public design based on publicity, as specified i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Plan. In order to construct the foundation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public design, it is intended to seek meaningful suggestions by diversifying ways in which direction to proceed, an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In relation to public design-related competitions, the direction of award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etition, but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reflected relatively faithfully. 2) For future public design, it was suggested that collaboration with public officials and experts in charge of design administration to resolve public interests and public interests through the real user participation process first and foremost. 3) It was suggested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seek cultural identities unique to the country and each region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food, and natural scenery. 4) Lastly, in order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continuous promotion of public design, it was emphasized that it is important to approach works in the direction of actively discovering and awarding works that meet the concept and purpose of public design based on the Public Design Promotion Comprehensive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