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담 챗봇의 알고리즘 구축을 위한, 공감적 경청, 공감, 라포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요완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19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8 No.4

        This study is to identify that empathic listening affects empathy, and that empathy influences the formation of rapport.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algorithm of the counseling chatbot. 159 in their 20s to 50s were survey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each variabl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tent-recognition' and 'process-recognition' of the cognitive factors of empathic liste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nd the former had greater effect on empathy. It was also found that ‘sensitivity’ and ‘emotional communication’ of the emotional factors of empathic liste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empathy, and the former had greater effect on empath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mpathy had a positive effect on sub-factors of rapport, 'trust' and 'conflict resolution', and empathy had greater effect on the former. The necessity for designing the counseling chatbot algorithm was suggested, and limitations were described and follow-up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공감적 경청이 공감에 영향을 미치고 그로 인해 라포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를 통해 상담 챗봇의 알고리즘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대부터 50대까지의 1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각 변수의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 공감적 경청의 인지적 요소인 ‘내용인식’과 ‘과정인식’이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내용인식’이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밝혀졌다. 공감적 경청의 정서적 요소인 ‘감수성’과 ‘감정소통’이 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감수성’이 공감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공감이 라포의 하위요소 중 ‘신뢰감’과 ‘갈등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신뢰감’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상담 챗봇의 알고리즘 구축에 필요한 사항들을 제언하였고, 연구의 한계를 서술하며 후속연구를 제언하였다.

      • KCI등재

        발표 수업에서의 공감적 피드백의 의미와 전략

        장소진(Jang So J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소통이 중심적 가치로 자리매김한 시대에 상호 이해와 존중은 필수적 요건이다. 그리고 그것은 상호 공감을 기저로 할 때 보다 충실한 실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은 기초 교양 교육을 통해 소통과 공감 교육의 깊이를 다져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통 교육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발표 수업에서 교수자의 피드백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공감을 설정하고 그 방향의 의미와 그것의 구체적 실현 방안들을 모색해 보았다. 공감은 상대를 느끼거나 의식하고 또 상대와 교류하고 소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통 교육의 장인 발표 수업에서 교수자는 권위적인 관점으로부터 탈피하여 공감적 관점에서 피드백을 진행시킬 필요가 있다. 교수자는 우선 학생들의 발표를 깊이 있게 귀 기울여 듣고 공명적으로 반응하여야 한다. 그리고 발표자의 입장에서 생각해 보고 발표자와 그 이해의 정도를 소통하여야 한다. 나아가 탈권위적인 자세로 공감을 기저로 하는 보정적 대화를 시도하며 발표자의 공감을 이끌어내어야 한다. 공감의 순환을 이루어야 한다. 결국 총체적인 차원에서 공감의 피드백을 실현시켜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감의 피드백은 소통과 공감 교육의 본이 될 수 있으며,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소통의 원활성을 향상시켜 교육적 성취의 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Mutual understanding and respect is an essential condition in this age in which communication plays a prominent role. It may become strengthened on the basis of mutual empathy. Nowadays, universities are reinforcing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through liberal arts. This research directs the instructor’s feedback to empathy in a presentation class, which is considered a part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seeks varying means for it. Empathy is to feel or to recognize the other side. It also refers to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erson. Thus, it is necessary that the instructor give feedback from an empathic, non-authoritarian perspective in a presentation class as it is a place for communication education. First, the instructor should pay attention to the student’s presentation and resonate with it. The instructor is expected to not only put himself or herself into the student’s shoes but also strike up a conversation with compensatory strategies originated from empathy, in order to share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draw the sympathy of the presenter. After all, empathic feedback must be realized comprehensively. Such feedback may be exemplary to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and promote the exchange between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 which leads to a rise in educational achievement.

      • 특집「자살」 : 자살 사례에 대한 상담적 접근

        김미선 ( Mi Sun Kim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2 성경과 상담 Vol.11 No.-

        이 글은 자살을 생각하는 사람이나 자살을 시도한 경험을 가진 사람을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자살자를 위한 상담은 먼저 공감적 경청을 통해 피상담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동감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피상담자의 마음에 존재하는 인간의 죄성인 자기사랑, 원망과 불평, 죄책감의 문제를 직면하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삶의 방향을 이웃과 하나님에게로 향하게 하고, 청지기적 삶의 태도를 지향하며,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살도록 권면해야 한다. 피상담자는 자살을 통해 삶의 문제로부터 자유하려는 생각을 끊고 감사와 기도생활, 그리고 봉사하는 성격적인 삶의 태도로 변화될 수 있다. The paper deals with the way the counseling of thinking suicide or an attempted suicide. In counseling for the client thinking suicide, first of all, it`s considered to be important to understand and agree to the client`s situation with sympathetic listening. Counselor should also help the client face the critical problems in his mind, such as narcissism came from sinful nature, resentment and grievance. Through this kind of biblical advice, counselor should direct the client to live for neighbors and God, live with Christian steward spirit, and live for the glory of God. By this, the client can be changed to quit thinking of suicide that may make him free from problems of life, and to make a Biblical living with thanksgiving, prayer and serving others willingly.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트라우마와 긍휼의 실천

        김규보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20 복음과 실천신학 Vol.57 No.-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이탈주민이 경험하는 트라우마의 양상을 이해 하고, 기독교 가치를 통한 회복의 가능성을 제안하는 것이다. 북한이탈 주민은 북한사회에서도 남한사회에서도 타자화 된 집단이다. 타자화는 경쟁적이고 불안정한 사회 속에서 선과 악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와 부 정적 투사를 통해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적 사회를 형성하는 심리구조 이다. 북한이탈주민은 고난의 행군으로 대표되는 북한 사회의 경제적 위기 속에서 지배층으로부터 타자화 되어 기아와 박해, 학대 가운데 생 존 트라우마를 경험했다. 생존을 위한 투쟁으로서 탈북한 그들은 남한 사회에서도 사회적 소수자를 향한 낙인 아래 여전히 트라우마를 경험 한다. 이에 그리스도께서 십자가에서 보이신 긍휼의 실천은 회복과 변 화의 가능성을 소망하게 한다. 긍휼의 실천은 상호 공감적 경청과 타인 을 향한 자발적 돌봄으로 구체화 된다. 공감적 경청의 실천을 통해 남 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은 서로의 생존에 대한 불안을 이해하고 위로하 게 됨으로써 배타적인 태도는 줄여가는 반면, 신뢰와 배려는 확장해 갈 수 있다. 또한 타인을 위한 자발적인 돌봄은 트라우마로 상실했던 연대 감을 회복하는 동시에 하나님 나라의 직분에 참여함으로써 잃었던 인 간으로서의 존엄성과 가치, 삶의 초월적 의미와 목적을 회복할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이 함께하는 긍휼의 실천은 서로의 집단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축적시키고, 그 관계는 표면적인 환 대와 조건적 수용을 넘어 진정한 공감과 화해, 협력의 국면으로 접어들 게 한다. 궁극적으로 이 논문은 긍휼의 실천이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방편이 되며 남북의 상호 신뢰와 협력 관계 형성 에 기여함을 논한다. This paper argues that cultivating compassion in Christianity contributes to heal social trauma of North Korean defectors, and thereby builds mutual trust and cooperative attitudes in relationship with South Korean citizens. North Korean defectors have experienced diverse traumatic events by “othering” both in the North and the South. Othering is a psychological structure that forms a discriminative culture against a certain group by dichotomous thinking and negative projection in a competitive and unstable society. In the North, many are dehumanized by hunger, persecution, and abuse in asymmetric power and authority, so that they had to escape from their society for survival. In the South, they still suffer from social trauma, identified by conceal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against social minorities. In this reality, Christ’s compassionated work for the humankind encourages both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citizens to practice compassion. The practice of compassion is embodied in mutual empathy and voluntary caring for others. Through the practice of mutual empathy, both parties can understand each other’s anxiety for survival, while reducing their exclusive attitudes and expanding mutual trust and respect. Through the practice of voluntary caring for others, they rebuilds the sense of solidarity, while restoring the dignity, value, meaning and purpose of life. As a resul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practicing compassion can accumulate positive experiences for each other, and then, their relationships enter into a phase of genuine empathy and reconciliation.

      • KCI등재

        대도시의 도서관과 독서공중의 형성 : <뉴욕라이브러리에서>를 중심으로

        유승호(Ryu, Seoung-Ho) 인문콘텐츠학회 2020 인문콘텐츠 Vol.0 No.56

        본 연구에서는 와이즈만의 다큐멘터리를 사례로 삼아 대도시에서 도서관이 ‘독서공중’에 미치는 영향력과 ‘제도로서의 도서관’이 개인들에게 부여하는 경험과 성장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뉴욕라이브러리에서>는 다큐멘터리 영화로서 시민에게 도서관의 의미를 재고하도록 하는 기회를 준다. 감독의 직접적인 개입 없이 관찰하는 일련의 숏들은 시민으로서의 관객 내면에 침전하면서 의식 안에 깊숙이 개입한다. 사적 개인들 내부에 침전된 지식들은 영화보기와 책읽기를 매개로 공통의 지식이 되고 이를 통해 공중으로서의 유대감이 시작된다. 이러한 과정은 근대 공중의 탄생과정과 유사하다. ‘타인의 편지 읽기’로부터 시작된 ‘공감적 경청’은 공중이 탄생하는 계기가 되었고 사적 개인들 간의 담화는 공적인 영향력을 발휘하게 되었다. 서간체로 이루어진 책들을 통해, 즉 타인의 감정과 상황에 빠져드는 흡입적 소설읽기를 통해 소수의 권위 있는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었던 지적 생산물에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열린 것이다. 누구나 자신의 해석으로 타인과 토론할 수 있는 장을 공중들이 요구했고, 그 이후 ‘독서 토론회’, ‘독서회’ 등 책읽기 공동체가 만들어졌다. 곧이어 도서관과 서점, 커피하우스들이 생기면서 ‘독서공중’은 급격히 확대되었다. 그러나 자본주의의 시장경쟁이 격화되면서 근대의 공중은 수동적 소비자로 밀려난다. 도서관도 시장경쟁을 위한 시험공부의 장으로 전환되었다. 또다시 도서관은 시험공부의 장으로 단순 지식을 습득하는 곳에 머물기보다는 주민들과 소통하며 공감을 나누는 공중의 공간으로 복구되어야 한다는 시대적 요청을 받고 있다. <뉴욕라이브러리에서>는 도서관이 그 기원의 목적을 충실히 수행하면서 모든 사람이 도서관에서 정보를 얻을 권리를 지켜주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장면들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이를 통해 독서공중 확산에 기여하는 도서관이 대도시 랜드마크로서 독서공중을 위한 거점으로 거듭나야 하는 이유를, 그리고 새로운 독서공중의 거점이 되고 있는 독립서점이 도서관과 공존하며 독서공중을 위해 적극적인 개입을 해야 하는 이유를 환기시킨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library on ‘reading public’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experience and growth of individual for which ‘library as institution’ perform. 〈Ex Libris〉 is a documentary film that gives the audience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library through New York Public Library(NYPL). A series of shorts that observe without the direct intervention of the director make sedimentation deeply in the consciousness within the audience. The knowledge settled within private individuals soon becomes a common knowledge, and the bond of publicness begins. The ‘empathic listening’, which started from reading letters, became the moment when the public was born and the discourse among private individuals became publicly influential. There was an opportunity to access the intellectual output through reading novels with epistolary style that are absorbed by the feelings and situations of others. Everyone asked the public for a public space where they could discuss with others through their own interpretation. Since then, a book reading community such as ‘Reading Discussion’ and ‘Reading Book’ has been created. Soon after, libraries, bookshops, and coffee houses emerged, and the ‘reading public’ expanded rapidly. The library space was a public space that communicated with others and shared empathy, not staying in the place where they read from their birth. In 〈Ex Libris〉, NYPL constantly shows scenes where the library is faithfully performing its goals and endeavors to ensure everyone has the right to obtain knowledge from the library. Especially, it is reminded how libraries that contributes to the public reading diffusion should be reborn as a big city landmark as a base for reading public, and recalls the reason why the library and bookstore should actively intervene in the reading public.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윤리적 책임 교육을 위한 도덕적 민감성에 관한 연구

        정철영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2

        타자와 마주하며 살아가는 존재자로서 우리들은 지극히 인간적인 입장에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려는 특이점이 있다. 인간의 관계중심적인 이러한 특이점은 심리학적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특히, E. Levinas는 감성, 도덕적 민감성의 단서가 되는 어찌할 수 없음에 근거한다. 인간의성향은 관계적이고, 인간관계 형성에 있어서 긍정적인 특성으로 대상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행위에 경청하는 능력이 있다. 이것은 상대를 공감하는 태도에 있어서 마주함의 인간적 요소, 도덕적기질의 이론을 제공하며, 무엇보다 지극히 인간적인 인간미 있는 인간의 감정활동의 긍정성으로 이해할 수 있다. 우리는 내면의 목소리와 순수이성의 도덕적 명령의 지시가 공존하는 가운데 올바르게 선택해야한다. 레비나스의 민감성은 타자로부터 기인하는 얼굴에서 얼굴로 전이되는 공감적 감성론적 경청이다. 본 연구에서는 올바른 선택과 윤리적 책임에 있어서 레비나스의 이론에 근거하여 경청하는태도의 마주함, 책임성, 도덕적 민감성의 인간관계형성능력의 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러한 개념들의 도덕적 관련성을 상관관계로 증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배려의 소통적 자질 탐구

        박창균 한국국어교육학회 2016 새국어교육 Vol.0 No.108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and features of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Meaning of consideration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was conceptualized as follows:Consideration is the premise of mutual respect of the participants in the conversation, empathic listening to other’s opinions, and revealing authenticity of own’s mind. And all this is done in a reflective thinking process based on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situation of communication. Consideration features that are realized in conversation, mutual respect(cognition dimension) and authentic speaking (expression dimension), empathic listening(accept dimension), relational thinking(situation dimension). The four features consideration is communicating a ‘real consideration’ should establish an organic relationship to each other. Consideration is the ultimate goal and orientation of communication rather than a means of communication. Real consideration of communication will bring a qualitative change in our live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others, as well as communication culture. 이 연구는 의사소통론적 관점에서 배려의 의미를 고찰하고, 대화에서 실현되는 배려의 자질을 탐구한 것이다. 의사소통에서 배려의 의미는 ‘대화 참여자 간의 상호 존중을 전제로 상대방의 말을 공감적으로 수용하며 자신의 마음을 진실 되게 드러내는 것으로, 이는 소통의 제반 상황에 대한 총체적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성찰하는 과정’으로 개념화하였다. 그리고 대화에서 실현되는 배려의 자질로는 인식 차원에서 ‘상호 존중하기’, 표현 차원에서 ‘진실된 말하기’, 수용 차원에서 ‘공감적 경청하기’, 상황 차원에서 ‘관계적 사고하기’를 논의하였다. 대화에서 네 가지 배려의 자질은 상호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을 때 진정한 배려가 소통될 수 있다. 이러한 배려는 의사소통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궁극적인 목표이자 지향점이다. 따라서 진정한 배려의 소통은 타인과의 관계 발전은 물론 의사소통 문화를 개선하고 나아가 우리의 삶을 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목회상담에 있어서 인공지능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장보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8 장신논단 Vol.50 No.2

        This article explores the usefuln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context of pastoral counseling. Recently, artificial intelligence has received special attention from many people. Artificial intelligence in regard to counselling has both postive and negative perspectives. To acquire the goal, this study analyzes the role of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 comparing it to the human counselor with regard to several important counseling concept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counselor has some strengths including the aspects of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transference and countertransference, and counselor educational program. Meanwhile, it also has limits in the areas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empathetic listening, self-appraisal, and theological and spiritual reflection. This study concludes that pastoral counseling observes and analyzes living human being’s inner pain and suffering theologically, spiritually, and biblically; so artificial intelligence has essential limitations in doing pastoral counseling. That is, the authentic healing to living human document can be realized through mutual encounter between living human beings. We cannot deny the strong effe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our life, culture, and even religion. Consequently,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should prepare for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study will encourage fellow pastoral theologians and counselors to explore more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is crucial issue. 최근 들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이 과학기술, 의료, 산업 분야는 물론 일반인들에게 관심의 초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삶에 미칠 여러 가지 영향을 한편으로는 긍정적으로 보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부정적인 우려의 시선도 있는 게 사실이다. 본 논문은 목회상담에 있어서 인공지능이 가지는 유용성과 한계점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을 가지고 인공지능 상담사의 역할을 인간상담사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인공 지능은 내담자에 대한 무조건적인 긍정적 수용, 전이와 역전이 예방 그리고 상담사 훈련 프로그램 등의 측면에서 활용 가치가 높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반면에, 자연어 처리, 공감적 경청, 상담사 자기분석, 신학적 및 영적인 성찰 등에 있어서는 인간이 만든 기계로서의 인공지능이 가지는 한계임을 본 논문은 밝히고 있다. 살아있는 인간의 내면의 상처와 고통을 신학적, 영적, 성서적인 관점에서 관찰하고 분석하는 목회상담의 경우 인공지능의 역할은 매우 제한적임을 본 논문은 결론으로 제시한다. 즉, 살아있는 인간문서는 살아있는 인간문서가 만나 대화하고 감정의 밑바닥을 훑고, 경험을 나눌 때, 진정한 치유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인공지능이 만든 종교와 신이 인간에게 진정한 치유와 번영과 행복을 가져다줄 것인가? 사람들이 인간이 아닌 인공지능이 찾아주는 각 자에 맞는 최적의 신을 찾아 예배하고 축복을 받으려 한다면, 목회상담사의 가치, 아니 더 나아가 기독교의 하나님은 어디에 존재할 수 있을까? 살아있는 인간문서가 자신이 창조한 만들어진 인공지능문서에게 상담을 받는다면 인간은 결국 인간이기를, 인간의 역할을 스스로 포기하는 것이 아닐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하여 목회상담학계는 진지한 성찰을 할 필요가 있다. 전반적으로 인공지능에 대한 목회상담학계의 준비는 아직 많이 미흡한 것 같다.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인공지능과의 대화의 문을 여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라고, 많은 동료들의 더욱 깊은 연구와 논의가 개진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화병(Hwa-byung)에 관한 목회상담적 소고 -정신의학적 조망중심으로-

        김성환 ( Sung Hwan Kim ) 한국복음주의상담학회 2015 복음과 상담 Vol.23 No.1

        This article aims to seek some pastoral strategic healing directions for Hwa-byu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ed term as a culture bound syndrome related to anger, by exploring its psychiatr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a view of pastoral counseling. We can clarify the clinical identity of Hwa-byung clearer through comparison of similar psychiatric illnesses, IED(Intermittent Explosive Disorder) and PTED(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Korean family structure, social, economic, personal and cultural factors related to the causes of Hwa-byung. Han, which is described as a unique and universal indigenous form of lamentation, is an another important cause of Hwa-byung. Han and Hwa-byung seem to be on the same extend line as the active volcano and the dormant volcano are. The psychiatric healing approaches for Christian Hwa-byung patients tend to result in a poorer clinical prognosis. The pastoral counselor should be devoted in the empathetic listening process towards Christian Hwabyung patients’ life narratives relaying on the work of Holy Spirit. The pastoral counselor should encourage them to experience God’s companionate-forgiving love of the cross. Enlarging their the capacity of biblical self-love and compassionate love towards perpetrators may be adopted as healing strategies of pastoral counseling for them. The wholistic reconciliation between Christian Hwa-byung patients and God could be considered as an another core healing fac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