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맹자의 소통원리와 방법론

        이권영 한국공자학회 2010 공자학 Vol.18 No.-

        This Study is concernded with the communication principles and methodologies in the work of Mencius. The communication principles in the work of Mencius are followings. First, theory of a benevolence(ren: 仁) and righteousness(yi: 義) against a profit is a powerful persuasive factor in communicating with people, on the base of Mencius’s claim that ren and yi is in a human nature. He defines that profit is bad in a sense that people fight for more profits without satisfacting with it, while ren and yi is good in a sense that ren and yi contributes to the successfull relations between King and people, younger and older brother, and, parants and their sons. Therefore, the Factors of ren and yi has a very persuasive power in communicate with people. Second, theory of the people’s shareness with King in both enjoying and worrying has a powerful persuasive factor in communicating with them, on the base of Mencius’s belief that the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a nation. Third, theory of people's public opinion has a very powerful factor in communicating with people to treat their national affaires, on the base of Mencius’s belief that the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a nation. The communication methodologies in the work of Mencius are followings. First, theory of a good human nature is a respecting factor for human beings in communicating with people, on the base that the human beings is born good naturally in a sense that all people has ren and yi in themselves . Second, theory of self-communication is a powerful factor in completing of a moral man with ren and yi. The theory is a mind practice proccess. Third, theory of empathic shareness communication is a powerful factor in communicating with people, their friends and nations. 이 논문은 맹자의 시대적 배경과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기본사상과 소통 소통원리와 방법론을 규명했다. 당시의 시대적배경은 첫째 춘추전국시대 호족(귀족)들의 약소 씨족에 대한 병합 전쟁상황이었다. 둘째, 귀족정치의 초기적 발흥기로서 이기적 부국강병주의 시대였다. 셋째, 폐도정치와 상호공벌주의 시대였다. 넷째, 이익추구의 절대주의시대였다. 맹자의 정치적 설득소통의 기본 사상은 대체로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맹자는 인의예지를 중심으로 여민정치와 여민동락의 위민정치를 추구하였다. 둘째, 민본주의이다. 인의를 통해 여민동락을 권고하고 백성인민을 위한 정치를 강조했다. 셋째, 천명사상의 계승자로 성선설을 주창했다. 넷째, 왕도정치의 주창자로서 인의(仁義)의 도덕으로서 인정(仁政)을 주장했다. 끝으로, 비전오살(非戰惡殺)의 평화주의자이다. 맹자의 소통원리는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인의숭상 이익 배격주의이다. 이익을 추구하면 이익 쟁탈전이 되어 모두가 망한다는 것이다. 반면, 인의를 추구하는 소통의 설득에서는 태평성대를 누린다. 둘째, 국민 공유주의이다. 민본주의를 토대로 국민공유를 존중하는 소통정신의 표현이다. 국민과 함께 즐거움, 근심도 공유할 때, 성공적인 소통전략이 된다. 셋째, 국민여론주의이다. 인재의 등용과 처벌제도는 국민전체여론의 결정에 따르고, 천하를 얻기 위한 정치적 소통의 설득원리도 국민 여론의 반영이다. 결론적으로 맹자의 3대 소통적 설득원리의 관계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인의숭상 이익배격주의는 국민공유주의와 국민여론주의와의 상호보완적 관계이다. 전자가 근본원리로서 설득과 소통의 원리라면, 후자는 이 원리를 토대로 구체적 방법원리로 활용된 사례이다. 즉 국민을 사랑하고 올바른 길로 인도하는 원리가 국민공유주의와 국민여론주의를 통한 대국민의 현실적 정치문제해결의 원리를 제공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의 소통의 설득정신은 인의를 근거로 한 민본주의로 해석할 수 있다. 나아가 이는 국민생활을 위한 왕도주의의 실현을 위한 소통의 설득원리로 작용할 것이다. 맹자의 소통 방법론은 성선설의 인간 존중 소통법, 자아 커뮤니케이션 소통법, 공감적 공유 소통법으로 분류, 제시되었다. 맹자는 인과 더불어 정의를 강조함으로써 토론에서도 공격적이며 토론자를 공격하는 논리를 구성하고 있다. 논리 전개법은 점증법과 극단적 2분법적 대조법을 토대로 역사적이며 경험적 사실에 근거한 논증법이다. 나아가 유추적 논리로 일반화를 시도하고 있다.

      • KCI등재

        `동정심`에 관한 통섭적 고찰 : 프란스 드 발(Frans de waal)의 공감 논의를 중심으로

        이영재 ( Yi Young Jae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17 시민사회와 NGO Vol.15 No.1

        본 연구는 인간의 사회성과 관련하여, 동서양을 넘나들며 오랫동안 논구되어 온 `동정심`을 다루고 있다. 동정심과 관련한 쟁점은 `주체`, `형성`, `작용원리`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논문에서 이 쟁점들을 다루기 위해 프란스드 발의 공감이론을 활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드 발이 동정심에 관한 동서양의 쟁점들을 통섭적 관점에서 폭넓게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드 발과 프레스톤의 PAM 원리가 동정심에 관한 현대공감이론 분야의 중요한 이론적 성과이기 때문이다. 논의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의 측면에서 동정심은 고통 받는 타자의 감정이 아니라 공감작용을 통해 형성된 나의 감정임을 확인했다. 둘째, 그동안 홉스, 루소, 흄, 스미스를 비롯해 많은 논자들이 동정심의 형성을 `상상력`으로 설명해 왔다. 그런데 동정심은 사유작용의 일종인 상상력과 구분되는 본성적·본능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점을 확인했다. 셋째, 동정심은 `근접성`, `유사성`, `친숙성`의 원리에 기초해 강도를 달리하며 작동한다. This study deals with `compassion` that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crossing the East and the West, with regard to human sociality. The issue of compass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ubject`, `formation`, and `mechanism`. In this paper, the reason for using Frans de Waal`s empathy theory to deal with these issues is as follows. This is because de Waal is dealing extensively with the issues on compassion beyond the East and the West. It is also because the PAM principle of de Waal and Preston is an important theoretical achievement of modern empathetic theory on compassion. The conclusion of the discussion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subjects, compassion is not emotions of suffering others, but emotions formed through empathy. Second, many writers including Hobbes, Rousseau, Hume, and Smith have described the formation of compassion as `imagination`. However, I have confirmed that compassion has its own intrinsic and in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imagination, which is a kind of thinking. Third, compassion works by varying strength based on the principles of `proximity`, `similarity`, and `familiarity`.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 인권교육의 적정화 방안

        황인표(Inpyo Hwang)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본 논문은 최근 관심을 끌고 있는 인권 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적정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도덕과 교육은 인권 교육이 갖고 있는 권리 중심, 개인 중심, 급진성을 완화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한 원리들로 도덕률, 도덕과 교육의 성격과 목표 원리, 도덕과 교육의 방법적 원리, 심층생태 윤리학의 원리, 문화 상대주의의 원리, 실제성의 원리를 상정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 원리를 제시하는 것은 인권 교육을 제한하자는 의도라기보다 사회적 공감대를 수반한 인권 교육을 정착시키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build the proprie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In fact, Human rights education has somewhat radical, individual, rights-orientated traits. Moral education can moderate these traits. This paper has been studied principles of limit of these traits. First, we proposed moral principle of which representative sample is Golden Rule. Second, we proposed the principles of characteristics and objects of moral education. Third, we could find limit principle from moral education method. The Fourth, we proposed the principle of deep ecology ethics. This principle emphasizes coexistence between human and nature. The Fifth, we proposed the principle of cultural relativism. This principle emphasizes peculiarity of culture. The last, we proposed the principle of practices. These principles doesn't limit the human rights education, but moderate the human rights education. Under this presupposition, the human rights education need to be emphasize.

      • KCI등재

        새로운 주체와 민주주의의 토대로서의 흄의 연합의 원리와 칸트의 물자체

        이재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9 통일인문학 Vol.79 No.-

        This article, focusing on Hume's 'transcendental attitude' of the 'principles of association', will reveal that the principle of this association is not a simple denial of the subject's ideology as a priori and egoistic individual, the selfish individual of modern bourgeois. Rather, and that it implies transcendental and critical meanings that transcend and criticize this ideology. Namely, it will reveal that Hume's 'principle of association' has the same meaning as Kant's 'thing itself',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new place of subject formation, so that it implies, not the meaning of metaphysical and egoistic subject as an 'individualized individual', the meaning of the practical subject as a 'social individual'. Thus, it will reveal that the 'principle of association' as the principle of forming a social individual is to become the ideal basis of democracy that can solve the problems of political economy of modern capitalist society. 이 글은 흄의 ‘연합의 원리’(principles of association)의 ‘초월론적인 태도’에 주목하여 이 연합의 원리가 선험적이고 독아론적인 개인, 즉 근대 부르주아의 이기적인 개별적 개인으로서의 주체 이데올로기에 대한 단순한 부정이 아니라, 이러한 이데올로기를 넘어서고 비판하는 초월론적·비판적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즉 흄의 ‘연합의 원리’가 주체 형성의 새로운 장소로서 고찰될 수 있는 칸트의 ‘물 자체’와 동일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밝힘으로써 ‘개별적 개인’이라는 형이상학적이고 이기적인 주체가 아니라, ‘사회적 개인’이라는 실천적 주체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음을 밝히는 데 있다. 그리하여 ‘사회적 개인’ 형성 원리로서의 ‘연합의 원리’가 현대 자본주의사회의 정치 경제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민주주의의 이념적 기반이 됨을 밝히는 데 있다.

      • KCI등재

        복온공주 활옷 문양의 조형미에 관한 연구 (2) -디자인의 원리를 중심으로-

        이동아 한국동양예술학회 2024 동양예술 Vol.63 No.-

        복온공주 활옷은 뛰어난 조형미를 대표하는 의복으로 이에 지금까지 회자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조형미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문양의 종류, 배치 등등에 치우쳐 있어, 조형미에 대한 실질적 접근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원리를 통해 복온공주 활옷의 조형미를 고찰하였으며, 통일, 조화, 균형과 비율을 중심으로 조형미가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는 각 원리가 생성되는 다양한 요인 중 크게 2가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보았으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성은 분할과 연속의 조화로 분할에 해당되는 금사선은 구역을 나누는 구획선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전체를 상하, 좌우 대칭을 이루어 균형감을 주고 있다. 연속은 각 문양들은 문양들 간의 유사조화로 인하여 통일감을 주는 동시에 수평과 수직으로 반복 배열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안정, 권위, 상승 등 활옷 전체의 이미지를 만들어 주고 있다. 둘째, 조화는 요소들 간의 상호 결합하여 공존 된 결과물로 결합은 문양의 색, 크기 등이 유사조화를 이루기도 대비조화를 이루기도 하여 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역동적인 율동감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균형과 비율은 복온공주 활옷의 뛰어난 조형미를 이룰 수 있는 근원적 원리로 생각되며, 이는 대립과 분배로 표현할 수 있다. 활옷의 모든 비율은 1:3~1:4의 비율을 가지고 있으며, 구획선의 영역과 문양의 배열은 대칭과 대각선을 대칭의 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균형 속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와 같이 복온공주 활옷은 뛰어난 조형미는 조형의 원리 즉 디자인의 원리인 통일, 조화, 균형, 비율, 율동, 강조의 모든 요소는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안정적이면서도 율동감이 있고, 엄숙하면서도 화려한 끊임없는 균형과 대립의 ‘정·반·합’을 이룬 구조적 결과물이라 할 수 있겠다. Princess Bokon's Hwallot clothes are clothes with excellent formative beauty and have been talked about until now. However, if you look at previous studies on formative beauty, it is biased toward the type and arrangement of patterns, so the practical approach to formative beauty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ormative beauty of Princess Bokon's bow clothes was examined through design principles, and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ve beauty was formed around unification, harmony, balance and ratio. In addition, the researcher considered that each principle was largely formed by two factors among the various factors that are generated, and the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gold thread, which is divided into division and continuous harmony, serves as a division line that divides the area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sense of balance by symmetricall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tinuously, each pattern is repeatedly arrang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t the same time, giving a sense of unity due to the similar harmony between the patterns, and through this, it creates an image of the entire bow clothes such as stability, authority, and elevation. Second, harmony is the result of mutual combination of elements and coexistence, and the combination is the result of comparative harmony even when the color and size of the pattern are similar to each other, giving a softer and more dynamic sense of rhythm. Finally, balance and ratio are considered to be the fundamental principles that can achieve the outstanding formative beauty of Princess Bokon's Hwallot clothes, which can be expressed as confrontation and distribution. Every ratio of the bow clothes has a ratio of 1:3 to 1:4, and the area of the partition line and the arrangement of patterns have a symmetrical composition and diagonal line. Through this, the change in a stable balance is brought about. In this way, the excellent formative beauty of Princess Bokon's Hwallot clothes is the principles of formation, that is, all elements of unification, harmony, balance, ratio, rhythm, and emphasis, which are the principles of design, are closely connected each other, so they are stable and have a sense of movement, and they can be said to be beautiful clothes that form a solemn and colorful constant balance, that is, 'Jeong, Ban, and Hap'.

      • KCI등재

        흄의 인간학은 반역사적인가?: 철학과 역사의 상보성

        이태하 범한철학회 2009 汎韓哲學 Vol.53 No.2

        Hume has often been derided as a philosopher-historian whose commitment to the uniformities of human nature left no room for a true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hange. In addition, it has been asserted by Hume scholars, that Hume deserted philosophical studies in favor of historical at about the age of forty, and that these areas were, in Hume's mind, completely independen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at Hume's science of human nature is not antihistorical, and that Hume considered his historical writings as an extension of his philosophical work. To address these issues, I will first examine that Hume's principles of human nature in Treatise is not the antihistorical to be a barrier in explaining the change and development of history, but the methodological as a precondition which makes history possible. Secondly, by exploring that history which provides not only historical materials with the science of human nature but also excites our imagnation and sense is nothing but ‘philosophy teaching by examples', I will argue that history and philosophy are the warp and woof of the science of human nature. 흄은 인간학에서 인간본성의 항구성을 주장함으로써 역사적 변화의 참된 성격을 이해할 수 없게 하는 반역사주의적인 인간학을 전개하였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게다가 흄이 40세 초반을 기점으로 본격적으로 착수한 역사적 저술은 그가 역사적 탐구를 위해 철학적 탐구를 접었다는 해석을 낳았는데 이는 흄에게 있어 역사와 철학은 별개의 영역임을 전제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흄의 인간학이 반역사적이지 않으며 또한 그에게 있어 역사란 철학의 연장이라는 사실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째, 흄이 『인성론』에서 주장하는 인간본성의 원리가 역사의 변화와 발전을 설명하는데 있어 장애가 되는 반역사적인 주장이 아니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역사학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론적 원리라는 주장을 살펴보고, 둘째 흄에게 있어 역사는 인간학의 탐구 자료를 제공 할 뿐 아니라 차갑고 무감동한 철학과는 달리 상상과 감각을 자극하기에 역사란 실례를 통해 가르치는 철학임을 보여줌으로써 결국 흄에게 있어 역사란 철학과 더불어 인간학을 짜가는 씨줄과 날줄임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무속 치병(治病)의례의 유형과 치병 원리

        이용범 비교민속학회 2018 비교민속학 Vol.0 No.67

        This paper tries to clarify the types of healing rituals and principles of healing in Korean shamanism through mainly examining healing rituals of shamanism in Seoul. Especially this paper tries to perceive the central principle of healing by examining Chibyeong Guts(healing rituals of large scale in Korean shamanism). Usually it is thought that healing rituals of Korean shamanism are composed of ritual actions for direct healing of illness. Of course there are such ones, but they are limited to healing rituals of small scale. In Chibyeong Guts the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ancestors who are considered to be the cause of illness have important meaning. Ancestors’ lives and a patient and his families’ come to be understood and sympathized through mutual dialogues and communications between man and ancestors. It is an essential ritual mechanism in Chibyeong Gut to establish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ancestors by such mutual understanding and sympathy. This mechanism is peculiar to Chibyeong Guts. And in this respect it comes to be understood that Chibyeong Gut continues to function as a living healing ritual up to the present in spite of modern medical systems. This fact contrasts with the fact that healing rituals of small scale composed of direct healing ritual actions and Chibyeong Guts for healing individual special illness are disappeared and disappearing. 이 글은 서울 무속을 주된 논의 대상으로 무속 치병의례의 유형과 치병원리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굿의 규모로 행해지는 치병굿을 대상으로 무속 치병의례에서 나타난 중심 치병 원리를 파악하고자 한다. 흔히 무속의 치병의례는 직접적 치병을 위한 의례 행위로 이뤄진 것으로 생각된다. 물론 직접적 의례 행위가 두드러진 치병의례가 있으나, 그것은 굿보다 작은 규모의 치병의례에 한정된다. 굿의 규모로 행해지는 치병굿에서는 조상처럼 병의 원인이 된 존재와의 대화와 소통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상호 간의 대화와 소통을 통해, 병의 원인이 된 조상의 삶은 물론이고 병자와 병자 가족의 삶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이뤄진다. 이러한 이해와 공감을 통해 조상과의 조화로운 관계를 회복하는 것이 치병의 핵심 메카니즘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는 무속 치병굿 특유의 치유 메카니즘이라 할 수 있다. 바로 이런 점에서 무속의 치병굿이 현대 의학이 일반화된 현재에도 나름의 생명력을 유지하며 지속될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는 직접적 치병을 위한 의례행위로 구성된 작은 규모의 치병의례나 특수한 개별 질병의 치유를 위한 치병굿이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 KCI등재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초상화법 소개와 특징 고찰

        전영국 ( Jun Youngcook ),이현주 ( Lee Hyun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4

        본 논문은 질적 연구 방법론으로 주목받고 있는 초상화법을 소개하고 자료 분석 방법과 초상글쓰기 방식에 따른 사례를 고찰함으로써 초상화법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초상화법은 연구자가 연구주제에 관하여 심층면담을 포함한 각종 자료를 연구자의 눈(통찰)을 통하여 해석한 결과를 마치 초상화를 그리듯이 묘사하여 제시하는 질적 연구 방법이다. Lawrence-Lightfoot의 초상화법은 문화기술지에서 출발하여 학교문화 또는 개인의 실재성(reality)에 대한 자료를 다양하게 수집하여 통합적인 해석을 통하여 연구 대상에 대한 초상을 그려 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에 Witz와 동료들이 제시한 본질적 초상화법은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공감적 내성 원리에 따라 이해함으로써 연구 참여자의 고유한 측면(unity)을 묘사하는 인물 사례의 방식을 띠고 있다. 두 방법론을 비교 고찰한 결과 Witz와 동료들이 개발한 초상화법은 면담 자료에 대한 미시적 분석 방법의 사용, 시간흐름표 기반의 주요 흐름 포착, 그리고 생생한 인용구에 대하여 의미심장한 부분을 불러일으키도록 하는 주석 달기를 함으로써 연구자가 보고 느낀 바를 글쓰기 하는 특징과 이를 뒷받침하는 주요 원리를 보여주었다. This study provides gentle introduction of portraitures that caught much attention of qualitative researchers and reviews several cases according to qualitative data analysis and portrait writing method in order to help readers to understand portraiture methodology. The methodology projects major aspects of a participant regarding research theme in terms of painting a unified image of the participant. Lawrence-Lightfoot`s portraiture paints and presents the result of interpreting diverse data set of school culture or persons. On the other hand, Witz and his colleagues prefer trying to see the whole aspects of a person emerged in terms of a un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sympathetic introspection, which enables the researcher to write up the essence of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in a portrait. By the comparison and contrast of the two approaches, the major principles of essentialist portraiture reveals the features of micro-analytic analysis with which the author points out the major strands of timeline data by evoking what a significant passage communicates, and provides ways of painting a picture to the reader of what the investigator “sees” and “feels” in the pas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