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불교수행자의공감교육프로그램참여경험에대한질적 연구

        태상순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23 명상심리상담 Vol.2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Buddhist practitioners participating in empathy education programs.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did Buddhist practitioners experience in empathy education? Second, what effect did the experience of empathy education have on Buddhist practitioners? Third, what are the future implications of the empathy education experience for Buddhist practitioner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Experience in empathy education,' 'Understanding me and the world','knowing the need for an empathetic attitude','knowing what real empathy is', and 'experience of learning and practicing how to express empathy' were derived. Second, in “The Influence of Empathy Education Experienc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mpathy', 'starting with empathy for oneself', 'increased attention and observation toward oneself', and 'willing to improve the empathic attitude through constant training' were derived. Third, in ‘What the experience of empathy education implies for practitioners in the future’, 'It becomes an opportunity to meet me', 'I realize that solving my inner problems is the priority', 'I will understand more about the friends I study with', 'I want to further develop my qualities as an expert', and 'I want to help Buddhists through empathy' were deri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mpathy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Buddhist practitioners. 본연구는불교수행자의공감교육프로그램참여경험을살펴보고자하였다. 본연구의연구문제는다음과같다. 첫째, 불교수행자가공감교육에서무엇을경험하였나? 둘째, 공감교육경험이불교수행자에게미친영향은무엇인가? 셋째, 공감교육경험이불교수행자에게추후 시사하는바는무엇인가? 이다. 불교수행자를위한공감교육프로그램경험에대헤븐석한결과, 3개의영역과13개의범주가도출되었다. 첫째, ‘공감교육에서경험한것’에서는‘나와세상을이해함’, ‘공감적태도를위한노력이필요함을알게됨’, ‘진짜공감이무엇인지에대해알게됨’, ‘공감을표현하는방법을배우고연습하는경험을함’이도출되었다. 둘째, ‘공감교육경험이미친영향’에서는‘공감의중요성을깨닫게됨’, ‘스스로에대한공감에서부터시작함’, ‘스스로에대한주의와관찰증가함’, ‘꾸준히훈련으로공감적태도를증진해나가고자함’이도출되었다. 셋째, ‘공감교육경험이수행자에게추후시사하는바’에서는‘나를만날수있는기회가됨’, ‘스스로내면의문제를해결하는것이 우선임을알게됨’, ‘도반들을보다더이해하게됨’, ‘전문가로서자질을더욱발전시켜나가고자함’, ‘공감을통해불자들을돕고자함’이도출되었다. 본연구의결과는불교수행자들을대상으로한공감교육프로그램개발의기초자료를제공하였다는데에의의가있다.

      • KCI등재후보

        공감기반 인성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천세영,정일화,김수아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연구논총 Vol.36 No.3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implications of empathy and empathy education for constructing a new framework of humanity and humanit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It must be true that the concept of humanity and the methods of humanity education should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values and circumstances of a society, since individual humanity is perceived and recognized through relations with others. Recent issues and discussions have focused on key competencies as living skills in future societies. Rifkin(2009) stated that this phenomenon is the invitation for the Age of Empathy; that is, empathy should be a new and essential element of humanity in the coming age, and a new approach of humanity education should be re-established by employing empathy. A knowledge oriented humanity education based on reason, good behavior having good knowledge, is to be changed to an empathy oriented one based on feeling, good behavior feeling good. A new humanity education for the new century has been proposed in this essay to cover and integrate a feel good and do better acting oriented education. School, family and society are supposed to work together, and empathy applied humanity education would be the most effective approach to achieve this. 본 논문은 21세기의 새로운 시대 요구를 반영하여 공감과 공감교육이 기존의 전통적인 인성과 인성교육의 논의 구조에 수용 가능한지를 고찰하였다. 개인의 인성은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 속에서 발현되기 때문에 사회의 중핵 가치와 상황에 따라 강조되는 인성의 요소와 인성교육의 방법은 달라질 수 있다. 최근의 인성 개념에 관한 논의는 미래사회의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핵심 역량을 강조한다. Rifkin(2009)은 다가오는 시대는 ‘공감의 시대’로서 새롭고 핵심적인 인성 요소를 ‘공감’이라고 했다. ‘공감의 시대’는 ‘공감 결핍’의 시대임을 역설적으로 반증하기도 한다. 공감의 결핍을 극복하고 공감의 시대에 적합한 인성교육을 위해서는 공감을 기반으로 하는 인성교육의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21세기는 ‘바르게 알면 바르게 행한다.’라는 이성주의적 인성교육이 ‘바르게 느끼고 공감해야 바르게 행한다.’라는 공감 기반 인성교육으로 전환을 예고한다. 새로운 세기의 인성교육은 ‘공감과 감성’을 중요시하는 정의적 도덕교육을 바탕으로, 도덕적 인성교육에서 체험과 실천 중심의 수행적 인성교육으로 변해야 한다. 학교, 가정, 사회가 협력하여 예체능과 새로운 소통 매체를 활용하는 인성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공감기반 인성교육’은 기존 인성교육을 대체하는 논의라기보다는 보완적 제안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교육현장에서의 공감능력’ 교과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함양 효과

        고경희,정은숙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ultivating empathy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n “Empathy ability in Educational Settings” course. To this end, an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implemented in an “Empathy Ability in Educational Settings” course for first-year students in M College located in Seoul.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was conducted over 13 sessions for 78 first-year students. Pretests and posttests on empathy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conducted as well as a t-test analysis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mpathy abi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rough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Second,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empathy ability including emotional, cognitive, and communicative fa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can be effective in the training and cultivating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suggest the need to operate a continuous empathy training program in the curriculum.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교육현장에서의 공감능력’ 교과수업에서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이들의 공감능력 함양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M 전문대학 1학년 ‘교육현장에서의 공감능력’ 교과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1학년 78명을 대상으로13회기 동안 공감에 대한 이해, 예비교사 자신과 타인의 이해, 공감의 방법 및 기술적용의 교육내용으로 진행하였다. 교수학습과정은 이해, 토의 및 적용이 순환되며 비대면 온라인수업으로 진행되었으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t검정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유아교사의 전체 공감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공감능력 하위요소인 정서적, 인지적, 의사소통적 요소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교과수업에서 지속적인 공감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국민 공통 과정 국어 교과서 공감적 듣기 단원 분석 연구

        이숙현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의 목적은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공감 적 듣기의 본질과 교육 원리에 비추어 국민 공통 과정인 중학교 ‘국어’와 고등학교 ‘국어Ⅰ’교과서의 공감적 듣기 단원을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논의 해보는 데 있다. ‘우리’보다 ‘나’를 중시하는 자기중심적인 성향이 팽배해지는 오늘날 상 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면서 상대방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이해하려는 ‘공감’ 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공감력’을 바탕으로 상대의 관점에서 경청하며 상대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공감적 듣기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화법교육에서 강조하고자 하였다.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에 비해 중등교과서에 실린 공감적 듣기 단원 은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는 공감적 듣 기의 본질에 비추어 교육 원리를 태도, 지식, 수행으로 설정하여 중등교과 서를 분석해보았다. 중등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첫째, 공감적 듣기의 본질에 따른 지식이 학습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거나 추상적인 형태로 간략 하게 제시되어 있다. 둘째, 공감적 듣기 단원 구성의 체계성과 연계성이 낮다. 학습 내용과 학 습 활동이 내용과 수행의 측면에서 학습자가 지식을 습득하고 그에 관한 수행을 할 수 있게끔 그 구성이 짜임새 있게 연계되어 있어야 함에도 불구 하고 적절한 단원 구성을 이루지 못하였다. 셋째, 화법교육은 삶에서 구체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교육으로 학습자를 이끌어야 하는데 단원의 학습 활동이 학습자의 삶의 맥락을 충분히 반영하 지 못하고 기술적이고 경직된 차원의 활동으로 그쳤다. 넷째, 공감적 듣기는 지식의 습득과 수행에 앞서 태도가 함양되어야 함 에도 불구하고 교과서에는 태도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이 제시되 어 있지 않았다. 다섯째, 공감적 화법을 다루는 단원에서 듣기보다 말하기 학습 활동이 주를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는 이렇게 분석된 문제점을 바탕으 로 공감적 듣기의 교육 원리에 비추어 개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본 연구는 화법교육에서 공감적 듣기 교육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고찰하 고 공감적 듣기의 본질을 반영한 교육 원리를 설정하여 중등교과서를 분석 하고 그 문제점에 따른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in the speech education, to analyz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es in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for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the textbook of ‘Korean Language I’ for high school curriculum, which were the Korean common subject in perspective of sympathetic listening’s nature and its educational principles and to discuss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se days when the self-centered tendency valuing ‘me’ more than ‘us’ is overflowing, there is being magnified the importance of ‘sympathy’ caring, respecting and understanding the other with thinking from the other’s viewpoint. The speech education tried to emphasize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enabling one to listen to the other’s opinion from his/her perspective and to understand him/her. Unlike the importance of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the unit of sympathetic listening in middle school textbook does not fully refect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Therefore, this study set the sympathetic listening’s educational principles as the attitude, the knowledge and the performance with follow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d the middle school textbooks of ‘Korean Language’.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all five problems were commonly revealed in middle school textbooks. First, the knowledge of sympathetic listening following its nature was not fully contained in the learning content or was briefly suggested in some abstract shapes. Second, the systemicity and the connectedness in composing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were low. Though the composition of learn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should have systematically been connected in order that learners could acquire the knowledge and could perform relevant tasks from the aspects of contents and performance, but middle school textbooks could not suitably compose the sympathetic listening unit. Third, though the speech education should lead learners as the education to be specifically used in life, but the learning activities in its unit did not fully reflect a learner’s life context and remained in the technical, stiff activity level. Fourth, for the sympathetic listening, its attitude should be developed prior to the acquisition and performance of its knowledge, but the textbooks did not contain any learning content and activity related to the attitude for sympathetic listening. Fifth, from the analysis of textbooks, it was identified that the units dealing sympathetic speech mainly dealt the speech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listening activities. Based on the problems analyzed so, this study proposed a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 reflecting from its educational principles.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contemplated the sympathetic listening education’s importance and necessity in the speech education, and set its educational principles reflecting the nature of sympathetic listening and analyze th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suggest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sympathetic listening concerning the problems found from the analysis.

      • KCI등재

        공감과 연민을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과 교육내용 -판소리문학 교육을 중심으로-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고전문학회 2018 古典文學硏究 Vol.53 No.-

        이 연구는 공감과 연민이 민주사회의 시민적 자질이 된다는 점에 착목하여 예술교육의 역할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예술교육이, 미적가치의 전수와 미적 안목의 신장만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시민교육의 필수적인 교육과정이라는 점을 밝히며, 이를 위한 교육제재로 판소리문학을 들어 연민과 공감을 위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공감의 확장이 공감 교육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고 하였으며, 상상력을 통한 공감의 확장을 위해 연민의 감정이 긴요함을 밝혔다. 또한 연민은, 공감처럼 상상력을 필요로 하지만 타인이 느끼는 고통의 심각성, 책임성, 행복주의적 판단 등의 가치 평가의 결과로서 감정의 내용을 구성한다는 점에서, 가치 평가 없는 감정적 반응이자 작용인 공감과 구별된다고 하였다. 이런 차이를 고려할 때, 시민교육으로서 예술교육은 공감을 넘어 연민까지 포괄해야 하며, 자아의 경계를 넘어 사회적 약자나 타자 등으로 공감 가능한 대상 범주의 원환을 확장하는 것이 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이자 문학예술의 효용을 실현하는 길이 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연민의 감정을 심화하기 위해 연민에 내함된 인지적 요소를 분석적으로 탐구하는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문학을 통한 공감과 연민의 훈련은 단지 문학 감상의 차원에 머물지 않고 세상에 존재하는 인간과 인간사를 이해하고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사회적 능력의 신장으로 이어진다. 특히 판소리문학은 시공간이 다른 서사세계의 인물에 대한 공감 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자아의 확장에 기여하는 동시에 연민에 함축된 가치 판단의 요소에 대해 섬세하게 분별하게 하는 시민교육을 위한 제재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에서 판소리문학은 공감과 연민의 감정(능력)을 함양하게 하는 자료로서 새로운 고전적 가치를 지니게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sense that empathy and compassion.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is revealed that arts education is not only aiming at the transfer of aesthetic values and heightening of aesthetics, but is an essential course of civic education. I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xpansion of empathy should be the goal of empathy education, and the compassion is essential for the expansion of empathy through imagination. Art education as a civic education should include compassion beyond empathy, and it is a social role of art education to expand the circle of target categories that can be shared with the socially weak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n educational content that analytically explores the cognitive factors implicated in compassion in order to deepen emotions of compassion. Especially, Pansori Literature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self,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a sanction for citizen education that delicately discriminates elements of value judgment implied in compassion.

      • KCI등재

        공감적 도덕성의 요청과 홀리스틱교육의 방향

        심성보(Sim, Sungbo)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6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0 No.1

        이 연구는 학교교육의 적절한 목적을 위해 공감적 도덕성 함양을 저해하는 학교교육의 제약요인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공감은 타인의 정서, 감정, 그리고 상황을 올바로 지각하고 소중하게 여기며, 그리고 이런 특별한 체험은 타인과 그의 필요를 이해하도록 한다. 그러나 그것은 도덕적 판단을 하거나 준거로서는 불충분하다. 왜냐하면 공감은 규범적 원리라기보다는 심리적 경험으로 한정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공감의 정서적 내용은 도덕적으로 가장 중요할 요소일도 있고, 아니면 이와 무관한 요소가 될 수도 있다. 도덕적 이슈에 대한 비판적 사고가 없는 공감을 함양하는 교육일 경우 잘못 오도될 수도 있다. 그러기에 공감과 도덕성을 연계시키는 ‘공감적 도덕성’을 필요로 한다. 학교는 학생들의 공감적 도덕성을 발달시킬 책임이 있다. 이를 위해 교육자들은 공감적 도덕성의 함양을 위한 교육적 원리가 요구된다. 그렇지만, 오늘의 학교는 아이들의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공감적 능력의 함양에 한계가 있다. 그 한계는 학교교육의 제약(구조, 교수학습 방법, 교육과정)에서 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공감적 도덕성을 제약하는 학교교육의 요인과 그것을 극복하고자 하는 홀리스틱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eek for the holistic alternatives to cultivate the empathic morality in schooling. Empathy involves feeling another’s pain or stepping ito another person’s shoes. Empathy enables us to more accurately perceive and appreciate others’ emotions, feelings, and situation and such unique experiences facilitate our understanding of others and their needs. Nevertheless, it is not a cure for the human condition. Empathy alone is insufficient and undesirable as a sole moral criterion and guide. For it is a psychological experience, not a normative principle. The emotional content of empathy is what makes either moraly salient or morally irrelevant. Cultivating empathy without cultivating critical thinking on moral issues would be misguided and counterproductive. Thus, it seems that empathy may not serve as criterion of morally good action. Therefore, we would require empathetic morality fusing empathy and ethics. Schools are primarily responsible for students’ empathic development. Empathy is very important in moral judgement. However, schools have limitations on their emphatic abilities to affect children’s lives. These limitations stem from constrains of schooling(school structures, pedagogy, curriculum). We need to provide the direction of holistic education to overcome the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가치 평가적 사유로서의 공감을 위한 현대시교육 방향 연구

        문선영 ( Mun Sunyeong ) 국어교육학회 2020 國語敎育學硏究 Vol.55 No.1

        본 연구는 공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대사회의 추세와 공감의 교육 필요성에 대한 요구에 기반하여 현대시교육에서의 공감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공감은 오랫동안 논의되어 왔으며 복합적인 특성을 지닌 개념이지만 대체로 공감에 대한 연구는 특정한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다. 이에 공감을 지식과 유사하게 상황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로 보는 한계가 발생하였다. 또한 공감의 개념과 특성을 검토할 때 이질성에 대한 수용의 의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독자 중심의 동일성에 따른 감정이입의 방식으로 활용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누스바움(M. C. Nussbaum)의 논의에 근거하여 공감을 가치 평가적 사유로 규정하였다. 누스바움은 감정을 비합리적인 인식으로 보는 선입견을 반박하며, 감정이 지닌 합리성의 특징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이에 감정은 주체의 지향성을 알 수 있도록 하며, 인간의 정체성과 가치의 문제를 다룰 수 있는 고유한 사유 방식임을 명시하였다. 또한 누스바움은 문학 작품에 드러난 타자의 구체적인 삶의 형태를 이해하는 서사적 상상력을 통해 다양한 감정을 다루는 공감에 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공감을 가치 평가적 사유로 규정하고, 현대시교육에서 공감 교육을 위해서는 서사적 상상력의 계발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선행연구를 분석한 결과 현대시의 서사적 상상력은 특정한 감정을 매개로 함축된 시적 화자의 삶의 형태를 독자가 적극적으로 읽어내는 과정으로 정리되었다. 현대시교육에서의 구체적인 공감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분석 대상으로는 서사적 상상력을 계발하기에 적합한 이용악의 작품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공감 교육의 방향을 ‘연민을 통한 관찰자로서의 위상 확보’, ‘이질성의 수용을 통한 공감적인 관계 형성’으로 제언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공감을 낮은 수준의 감정이입이나 정서적 동일시로 보았던 혼란을 축소하고, 문학교육 영역에서 추구할 수 있는 공감의 개념과 특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보았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sympathy education in the teaching of modern poetry. Sympathy is a long-discussed concept, but it is still a subject of exploration in that it has different definitions in different areas. Sympathy is also a complex concept with cognitive, emotional, and communication elements, but, generally,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Sympathy from a specific point of view. In this study, Sympathy was defined as a value evaluation based on the discussion of M. C. Nusbaum. Nusbaum contradicted the preconceived notion of emotion as an irrational recognition and presented the importance of emotion as rational judgment. The study also noted that in Nusbaum’s view, Sympathy deals with various emotions through any narrative imagination that understands the specific life of others, as revealed in literary works.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d Sympathy as a value-evaluation and, in teaching modern poetry, the development of narrative imagination is necessary for Sympathy education.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modern poetry was regarded as a process in which the reader actively reads the life form of the poetic speaker. In order to present the specific direction of Sympathy education in teaching modern poetry, Lee Yong-ak’s works, which are suitable for developing narrative imaginat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light of the above, the direction of Sympathy education was proposed in two ways: “acquisition of one’s status as an observer through compassion” and “building an Sympathetic relationship by accepting heterogene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explored the concepts of Sympathy that can be pursued in literary education.

      • KCI등재

        아시아 트릭스터담을 활용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 - ‘다름’이 아닌 ‘같음’을 바탕으로 -

        오정미(Oh, Jung-Mi)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69

        이 연구는 다름을 바탕으로 한 기존의 상호문화교육의 방향과 달리 문화 간의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을 모색하고자 ‘공감교육’을 제안하고 있다. 공감교육이란 다르다고 생각한 타문화 혹은 이문화 속에서 같음을 발견하고, 같음을 통해서 나와 너가 수평적으로 같다는 의미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공감교육을 실현하고자 한국, 중국, 베트남, 카자흐스탄에서 전승되고 있는 ‘트릭스터담’을 소개한 후 트릭스터담을 통해 실현할 공감교육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설화 속 트릭스터는 자기중심적 삶의 욕망을 실현하는 인물이면서 동시에 정주민과 이주민이 함께 똑같은 인간으로서 공감대를 형성케 하는 인물이다. 이러한 트릭스터가 주인공인 트릭스터담은 마치 벌거벗은 임금처럼 사람들이 서로의 민낯을 공유하며 그 속에서 서로의 욕망, 상처, 치유 등의 복합적인 감정을 함께 교감하게 한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경험하는 인간의 상처와 욕망 그리고 치유라는 다층적인 감정은 공시 및 통시적으로 모두가 공통의 삶을 살아가는 똑같은 인간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할 것이다. 즉 설화를 통해 사람들은 문화 간의 차이보다 삶의 같음을 발견하고 이 속에서 공감을 경험하는 것인데, 이것이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에서의 공감교육인 것이다. 트릭스터담을 통해 공감교육의 의미와 방향을 모색한 것은 최종적으로 같음을 바탕으로 한 상호문화교육의 단초를 열기 위함이었다. 문화 간의 다름뿐 아니라 같음에 주목한 상호문화교육은 결혼이주여성이 중심인 한국의 다문화사회에 반드시 필요한 교육 방향으로, 긍정적인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s intercultural education, with a focusing on ‘sameness,’ unlike conventional ‘difference-based’ intercultural education, suggesting ‘empathy education.’ ‘Empathy education’ refers to the formation of empathy in which all people are equal under the concept of ‘sameness’ by discovering sameness among different cultures. To realize this such empathy education, this study covered trickster tales that arehave been told in the Republic of Korea, China, Vietnam, and Kazakhstan and proposed contents of empathy education to be implemented through such tales. In these tales, a trickster is a character that realizes his egocentric life desire, and at the same time, isforms empatheticy, by treating both immigrants and natives equally. In trickster tales, people share everything. Specifically, they share emotions, such as desire and pain. Such multilayered emotions are experienced through trickster tales, ultimately making people realize that they are all the same with common life goals. In other words, they discover ‘sameness,’ not intercultural differences, through such tales and experience sameness-based empathy. TheA search for the meaning and direction of empathy education through trickster tales was to introduce intercultural education based on ‘sameness.’ It is anticipated that such intercultural education focusing on ‘sameness’, not ‘difference’, would positively impact an immigrant women-led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장애공감’의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

        정희섭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9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conditions and the educational practice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For this, the attitudes on disability, perspectives of supporting it, the elements and the process of empathy were reviewed. And then, the principles of educational practice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were studies in the aspects of composition of the contents, sharing emotions, and practicing empathy. As a result, first, for the conditions of the empathy for disabilit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upport disability and its phenomena in the relations between injuries and disabilities, and disabilities and society, and requires the formation of empathy integrating its cognitive, emotional, and practical elements. Second, for educating empathy for disability, the educational activitie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tents with the cases from multiple-dimensional perspectives, the principle of sharing emotions inducing empathy of accuracy and that of deepening, and the principle of emotional practice through disability-empathetic speaking method and altruistic motives. In addition, th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ture studies including basic and utilized researches about the empathy for dis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the actual sources for educating the empathy for disability in the field of schools.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공감을 위한 조건과 교육실천 원리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장애에 대한 시각과 그 지원의 관점, 공감의 요소와 과정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교육실천 원리를 내용구성, 감정공유, 공감실천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장애공감 조건은 손상과 장애, 장애와 사회의 관계 속에서 장애와 그 현상을 이해하고 지원해야 하며, 공감의 인지적, 정서적, 실천적 요소가 통합된 공감형성이 필요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장애공감 교육은 다차원적 접근에 기반 한 사례중심 내용구성의 원리, 내적 심리적 과정을 통하여 정확공감과 심화공감을 유도해 내는 감정공유의 원리, 그리고 장애 친화적인 공감화법, 이타적 동기를 통한 감정실천의 원리에 기반 한 교육활동을 제안하였다. 이와 더불어 장애공감에 대한 기초 및 응용 연구와 학교현장의 장애공감 교육을 위한 실제적 자료개발과 같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사회과 교육과정 속 공감 관련 내용 분석

        박가나(Park, Ga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3

        Recently, empathy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ability that citizens should have as well as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understand others. Empathy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differences and diversity, eliminating inequality, and realizing social justice. From this point of view, empathy needs to be presented as an important goal and content in social studies education. First, it is necessary to confirm how much empathy occupies social studies educ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mpathy-related content that appears in the curriculum documents through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lack of mention of empathy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Most empathy references were stated at a comprehensive and superficial level. In the future,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content related to empathy needs to be presented with greater importance. And it needs to be presented specifically. 최근 들어 공감은 개인으로서 자신과 다른 타인을 이해하는 능력을 넘어서 한 사회의 시민으로서 가져야하는 능력으로서 주목받고 있다. 차이와 다양성을 이해하고, 갈등과 반목을 넘어 불평등을 해소하여 사회 정의를 실현하는데 공감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볼 때 공감은 사회과 교육에서도 중요한 목표이자 내용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는데, 실제로는 공감이 사회과 교육에서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고 있는지 먼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장 최근 개정된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8-162호)을 대상으로 교육과정 문서에 등장하는 공감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 문서 전체가 분석 대상이 되었으며, 총 3회에 걸쳐 문서 전체를 대상으로 ‘공감’ 단어를 검색하여 공감이 발견된 교육과정 내용에 대해 구체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초·중·고 교육과정 모두에서 공감에 대한 언급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과 내용영역 간 차이도 큰 편이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구체적인 내용과 연계하여 제시되기보다 포괄적이고 피상적인 수준에서 언급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앞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공감 관련 내용이 보다 비중 있게 그리고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