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신 ( Jungshin Kim ),임오연 ( Ohyon Y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의학과 과학의 발달과 생활환경의 개선으로 인간의 생명이 연장됨에 따라 노화방지, 스트레스 관리 등 예방의학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건강한 생활은 신체와 정신이 함께 균형을 이루면서 건강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파는 이러한 배경에 의해 대중들에게 신체와 정신을 웰빙 라이프 스타일을 추구 할 수 있는 장소로 인식되어 많이 이용되고 있고, 스파산업의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스파는 인간의 신체와 정신을 수준 높은 웰빙을 목적으로 다양한 전문적인 서비스와 체계적인 관리가 제공되는 곳으로 요구되어 진다. 예방의학적 환경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문적인 예방의학 프로그램과 스파가 통합되어 이루어진 곳이 메디컬 스파이며 메디컬 케어와 웰니스(Wellness) 케어의 통합형태로 의료인에 의한 진단과 처방을 통하여 고객의 건강과 아름다움을 위한 서비스를 하는 곳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지원하는 최근 스파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특화된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에 따라서 개발된 다양한 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본 연구에서는 메디컬 스파의 개념을 이해하고 메디컬 스파의 목적에 따라서 분류하여 각각의 스파 유형에서 특화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어떤 시설과 공간적 특성을 갖고 있는 가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와 방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제 2장에서는 메디컬 스파의 개념적 정의와 유형을 정리한다. 제 3장에서는 메디컬 스파에서 제공되는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다. 제 4장에서는 최근 메디컬 스파의 사례들을 분석하여 다양한 메디컬 스파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과 메디컬 스파 공간구성 특성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메디컬 스파의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별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앞으로의 메디컬 스파 공간계획의 근거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결과)메디컬 스파 사례의 공간구성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공간구성에서 리셉션의 공간이 고객의 동선 시작에서 배치되고 있다. 리셉션 공간에서 메디컬 스파에 대한 안내와 전문가와의 상담이 이루어지고 고객의 예약 및 상담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리셉션 공간은 고객의 유입동선에 배치하게 되고 직원동선과의 연계성도 고려해야 한다. 리셉션 공간을 중심으로 다른 공간으로 동선이 연계되어 있다. 리셉션 공간에서 개인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과 퍼블릭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으로의 차이에 따라서 동선의 접근성이 다르다. 어떤 프로그램에 비중을 두고 운영되느냐에 따라서 고객의 동선이 달라지고 다른 제반 지원시설과의 동선흐름이 결정된다. 개인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에서는 다른 고객과의 동선이 겹쳐지지 않도록 계획적 배려를 하고 있다. (결론)앞으로의 메디컬 스파시설은 웰빙에 대한 다양한 요구를 반영할 수 있도록 전문화되고 다양화 될 것이다. 또한 미래의 융합적 메디컬 스파 프로그램이 적용 가능한 새로운 시설 공간들을 반영한 스파의 공간디자인 개발이 필요하다. (Background and Purpose)As the life expectation of human beings has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ine and science and the enhancement of the environment, the focus on preventive medicine, including anti-aging and stress-management, has intensified. A healthy life aims to pursue health along with maintaining a balanced body and mind. Spas, which are recognized as places where people can pursue well-being of both body and mind, are widely used. Thereby, the spa industry market has expanded. Thus, with the purpose of achieving high levels of well-being for both the body and mind, spas are now demanded in places that provide professional services and systemic management. As the interest in the environment of preventive medicine has increased, medical spas refer to places that integrate professional preventive medical programs and spas and provide service to customers to maintain both their health and beauty by integrating medical and wellness ca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cent cases that support a healthy lifestyle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spatial compositions based on specialized medical spa programs. (Method)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medical spas and analyze the specialized programs of each spa type by classifying the purposes of the medical spas. In addition, this study studi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facilities of medical spas. Chapter 1 details the purpose, constraints,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types of medical spas. Chapter 3 analyzes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ograms provided by the medical spas. Chapter 4 analyzes the programs provided at various medical spa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pas by studying recent cases of medical spas. Conclusively,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patial composition based on medical spa programs overall,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fundamental data for medical spa space plans. (Results)The overall analysis on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medical spa cases is as follows. The reception space spatial composition is located at the beginning of the circulation of the customer. At the reception space, guidance about the medical spa, a consultation with an expert, and customer reservations are conducted. Therefore, the reception space should be located at the inflow moving line of customers and it should also consider connectivity with the employees. The customer moving line is connected to other spaces based on the reception space. At the reception space, accessibility differs based on the individual medical spa programs and public medical spa programs. The moving line of customers also differs based on the emphasis of the program, and the moving line flow of other supporting facilities is determined. At individual medical spa programs, overlapping with other customers is carefully prevented. (Conclusions) Future medical spa facilities should be specialized and diversified to reflect diverse customer needs. Further, integrated and complex medical spa programs and standards must be developed and suggestions for new facility plans based on these developments are required

      • KCI등재

        건축도시박물관의 기능영역별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한 연구

        추이뚱광 ( Dong-guang Cui ),공순구 ( Soon-ku K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이 연구는 건축과 도시의 변천과정을 체감하게 할 수 있는 전시물품, 모형, 유물 및 영상물 그리고 건축가의 창작과정에서 생성되는 자료 및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수장, 전시할 수 있는 건축도시박물관의 기능영역별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 분석에 관련된 연구를 통해 건축도시박물관 건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에 연구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세계 각국에서는 본국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 및 기술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축 및 도시 분야 자료의 수집 및 관리가 이루어지며,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이 강조된 박물관을 운영하면서 자국의 건축문화를 보존하고 확산을 위한 거점으로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 및 도시적 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높이 하고 관리하는 동시에 국민적 문화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핵심적인 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는 점은 새로운 시대적 과제이기도 하다. (연구방법) 조사방법으로는 선행논문을 통해 국내 건축도시박물관 및 유사 시설의 현황을 살펴보고,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규모와 시설이 적합한 사례로 제한하고 문헌조사, 연감조사 및 웹 조사 등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해외 건축도시박물과 및 관련시설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한 기초로 건축도시박물관의 기능영역별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분석한다. (결과) 첫째, 건축도시박물관을 보유하여 효과적인 평생 교육기관으로 운영하며 국가 문화 산업의 균형을 이루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건축저력을 기반으로 경쟁력을 축적하고, 관리하여 국민의 건축 및 도시 분야의 문화수준을 향상할 수 있는 핵심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해야 한다. 둘째, 건축도시박물관의 공간구성에 있어 단순히 건축 및 도시의 주제로 전시만 하는 것을 벗어나 다양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각자에 맞는 교육프로그램 혹은 연구프로그램으로 대응해야 하며 또한 수집된 유물에 맞은 복원프로그램 및 수장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할 역할이 필요한 건축도시박물관의 필요성이 있다. (결론) 본 연구는 해외 건축도시박물관 및 관련시설의 기능영역별 프로그램과 공간구성을 이해하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한 후 문제점을 도출하여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있어서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한다. 한국의 건축도시박물관을 신설계획 할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의 추가와 공간구성의 재구성을 통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공간운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research is worth studying on providing direction to build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rough study about analyzing the programs and space composition of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where effectively collects, exhibits, and stores displays, model, and images show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architecture and city and data and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reative process of architects. All countries of the world have been collecting and managing the data with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ultural grounds of their own architecture and city filed and operating and utilizing the museum highlighted with the exhibits and education programs as a base for the conservation and spread of their own architectural culture. So,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a cor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national culture level, and accumulate and manage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Korea’s potential energy in architecture are new periodic subjects. (Method) This study is scheduled to proceed analyzing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yearbook and literature, web research, and etc. with looking at the situation of domestic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its similar facilities through the preceding paper and limiting the data to be appropriate cases for the size and facilities of the related facilities. Also, it also intended to set standards for the practical planning and design in architecture, and present the basic data through the average data, by drawing statistics for space requirements, area, etc. per each facility and calculating the percentage by understanding the program in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analyzing the space composition on the basis of information obtained after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foreign countries and its relevant facilities. (Results) First, it possesses the architectural city museum, which operates as an effective life-long education institution that balances the national cultural industry, accumulates and manages competitiveness based on the architectural strength of Korea, and thereby improves the culture level of the people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The core organization should be established and operated. Second, i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architectural city museum,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ducation or research program suitable for various types of users, not only displaying exhibitions by themes in architecture and city, but also by the restoration program. There is a need for an architectural city museum that needs a role to perform. (Concl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current situation in Korea, to outline current problems, and to make a rational proposal on the program and spatial composition by looking at the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of the Museum of Architecture and Urbanism and its related facilities. We will make use of this study to present a program for effective and rational spatial manipulation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se spatial configurations when planning a new installation.

      • KCI등재

        지자체 육아종합지원센터의 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홍다은 ( Daeun Hong ),최연숙 ( Yeonsuk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핵가족화ㆍ산업화로 인한 양육자원의 감소,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는 육아와 일에 대한 양립의 어려움, 양육비 부담의 가중으로 극심한 저 출산 문제를 초래하게 되었고, 국가차원의 양육지원정책 방안 모색과 양육환경개선 노력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지역사회 내 육아지원센터의 역할 및 기능을 중심으로 육아지원센터의 공간적 변화, 공간의 구성 및 효율적 활용방안을 상호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와 부모의 요구가 적극 반영된 실질적인 양육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육아지원센터의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 효율적 공간구성 및 실천 가능한 개선방향을 제안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국내외 육아지원정책과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육아지원센터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공간적 특성 및 영역을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 조사방법은 학위논문, 학술지논문, 정책 및 연구보고서, 육아종합지원센터 사업결과보고서, 교육 현황자료를 중심으로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육아지원 시설에 대한 자료는 직접방문, 이메일, 웹사이트를 통해 운영프로그램에 따른 공간구성과 면적 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외의 경우, 육아지원 서비스는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대상자 요구에 따른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대상자의 요구 및 지역사회 연계에 따른 접근성, 효율적 공간 활용 측면이 부족한 실정이고, 공간의 구성면에서 영유아와 부모의 실의 구성이나 면적비율이 국외사례와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그 결과 육아지원센터의 운영 프로그램의 목적과 필요에 적합한 공간구성의 시도가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외 육아지원의 정책방향과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영역별 프로그램 특성에 따른 분류를 통해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실내 공간구성의 기초적 데이터를 제안하였으며 추후 지자체 육아종합지원센터 설계 시 기초자료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duction in child care resources and increase in women’s social advancement, attributed to the nuclearization of family and industrialization, have put pressure on parents who face difficulties balancing child-rearing and work. These, along with difficulties in affording child care expenses, have resulted in the severely low birth rate, and thereby need immediate improvement efforts. Although the current trend in child-rearing policy has focused on the establishment of family support, child care, and employment policy, concerns have been raised on the inability of integrated support services, which are linked with the community, to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support recipients. Based on the role and function of child care support center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spatial changes, space composition, and effective utilization of child care support center. This study aimed to propose practical directions for parenting policy that actively reflects the needs of infants and parents, and to suggest efficient program operation, efficient space composition, and realizable improvement of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 (Method) This study classified and presented spatial characteristics and domains through the case study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 care support centers that provide child care support policy and related services. This study reviewed dissertations, journal articles, policy and research reports, project results of comprehensive support centers for child care, and education status data. Data on domestic and foreign child care support facilities were gathered through direct visits, correspondence with X, and web site search. (Results) In the case of foreign countries, child care support services a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target community, and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 Korea, there is a lack of accessibility and efficient use of space in response to the needs of recipient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space, infant-and-parents rooms’ composition and area ratios are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cases outside the country. The analysis showed that a space configuration suitable for the purposes and necessity of the child care support center’s operation program is required. (Conclusion)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 care support policy identified relevant issues and classified program characteristics, which can be referenced to develop approaches for efficient space structure. The findings are useful in designing comprehensive municipal child support centers. The present study also analyzed the policy direction and operation program of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 KCI등재

        뉴스 방송무대공간에서 앵커 테이블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 연구

        윤진희(Yoon, Jin Hee),김현중(Kim, Hyun Jo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2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7 No.2

        2011년 12월 1일 종합편성채널이 개국되면서, 미디어 환경의 구조적 변화가 심화되고 채널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차별화된 비주얼 표현이 더욱 강조되었다. 따라서, 각 채널을 대표하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의 채널 아이덴티티를 전달함에 있어 무엇보다 방송무대공간 다자인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뉴스 프로그램의 방송무대공간을 디자인할 때 공간구성요소의 중요성을 판단하기 위해 송출화면 분석을 통한 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요소별 비중도를 반영하여 방송 시간 대비 노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앵커 테이블은 노출도가 가장 높은 공간구성요소로 나타났다. 앵커 테이블은 앵커와 가장 근접한 물리적 거리에 있고 해당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조형적으로 반영한 요소이므로 공간 구성에 있어서 채널을 대표하는 공간적 요소임이 틀림없다. 이처럼 방송무대공간은 채널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시각적 차별화를 유도할 수 있는 공간적 구성요소이다. 앵커테이블은 방송 무대의 공간 구성적 측면에서 가장 우위에서 그 기능적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형태적으로도 주목도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중요한 공간구성요소인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조명, 카메라에 따른 송출화면 변수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무대공간 표현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채널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방송무대공간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s the comprehensive programming channel opened on December 1, 2011,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intensified and competition between channels became more intense, and differentiated visual expressions were emphasized. Therefore, the importance of broadcasting stage space design has emerged above all in conveying the channel identity of the main news program representing each channel. This study derived spatial components through transmission screen analysis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spatial components when designing the broadcasting stage space of news programs, and analyzed the exposure level compared to broadcasting time by reflect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element. As a result, the anchor table was the spatial component with the highest exposure. The anchor table is the closest physical distance to the anchor and is a spatial element representing the channel in spatial composition because it is a formative factor reflect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As such, broadcasting stage space is a spatial component that can induce visual differentiation by applying the identity of the channel. The anchor table is an important spatial component that not only plays a functional role in the most dominant aspect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of broadcasting stage, but also draws attention in terms of form. Based on this study, I would like to continuously analyze the representation of stage space by analyzing the transmission screen variables according to lighting and camera. Through this, the design direction of broadcasting stage space is suggested to enhance the value of channel brand.

      • KCI등재

        공공도서관의 기능변화에 따른 건축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강재중 한국주거환경학회 2019 주거환경(한국주거환경학회논문집) Vol.17 No.4

        Public libraries are becoming resident-friendly spaces and important regional cultural facilities that provide diverse cultural services. According to the functional changes that require diversity, the complexity of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s not simply an extension of existing functions with new functions, but a demand for a new space where various functions are mixe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complex programs through the change i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spatial components of public libraries. The architectural elements(openness, accessibility, connectivity) representing the publicness in public libraries and the type of spatial combination(remote, touched, connected, meshed, unified), are set as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s to find out how the spaces for various functions are combined for the pursuit of publicness, and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approaches in detail. In this study, Seattle Central Library is selected as the case study which proposed a new method of organizing spaces according to the complex and diverse functions of the library, and is compared to regional central libraries in Korea. As a result, although domestic public libraries are recently designed, new programming of complex spac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public libraries still needs to be accommod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main design guidelines for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that can combine user-oriented various functions from the schematic design stage of public library construction. 공공도서관은 지역주민 밀착공간으로서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요한 지역 공공 복합 문화시설로 변화하고 있다. 현대사회의 기술·문화의 급격한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은 정보 제공·전달 뿐만 아니라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합적인 이용행위가 일어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사회적 변화와 다양한 요구에 의해 발생한 공공도서관의 복합화되는 프로그램 경향은 단순히 기존의 기능에 새로이 요구되는 기능들을 첨부하여 확장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들이 혼합되어 나타나는 새로운 공간에 대한 요구라고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공공도서관 공간구성 요소들의 상호관계 변화를 통해 복합화된 프로그램들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공공성 증진을 위한 건축계획 요소와 복합화된 공간의 주요 특징인 공간결합에 대한 유형을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즉, 공공성이라는 목적을 위해 다양한 기능의 공간들이 어떠한 방법으로 결합하여 나타나고 있는지 구분하고, 그 건축적 공간구성 방법들을 이용자 중심 공간 위주로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도서관의 복잡하고 다양한 기능들에 따른 새로운 공간구성 방법을 제안한 렘 쿨하스(Rem Koolhaas)의 시애틀 중앙도서관을 우수사례로 선정하고 규모적으로 유사한 국내의 지역대표도서관을 비교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최근에 계획된 국내 공공도서관들이지만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을 위해 기능별 소요공간들을 복합화하기 위한 새로운 프로그램밍이 제대로 시도되지 못하고 단순히 각각의 기능별 독립공간을 조합하는 형태로 계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공공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단계에서부터 관리자 측면의 공간구성요소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설계지침을 만들 것이 아니라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기능들을 복합화시킬 수 있는 공간연출 하는 것을 주요설계 지침으로 설정함이 필요한 것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의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이재빈 ( Lee Jaebin ),공순구 ( Kong Soonku ),이승용 ( Lee Seungyo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의료기술의 발달과 평균연령의 증가에 따라 말기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말기 어린이 환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의료법의 우선순위에 놓이지 못하고 있다. 어린이 말기환자는 성인에 비해 원인 질병이 다양하며 예후가 불량해 서비스를 정형화하기 어려워 다양한 특징을 고려해야 하며, 어린이로서의 삶의 질 향상과 동시에 각 발달 단계에 알맞은 치료법으로 접근해야 한다. 최근 국내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시범사업을 시행해 소아호스피스 제공체계 마련을 위한 근거를 수립하고 있지만 자문형 소아청소년 완화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그쳐 한계를 지닌다. 본 연구는 국내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서비스의 한계를 인식하고 호스피스·완화의료와 어린이 말기환자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표준화된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을 갖는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 시설을 제안한다. (연구방법) 국내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의 부재와 필요성을 제시하고, 프로그램 및 공간적 해결을 위해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정의 및 특성, 성인 말기환자와 구분되는 어린이 말기환자의 특징, 국내·외 소아 호스피스의 현황 및 호스피스의 시설 구분을 조사하였다. 이후 문헌조사 및 웹서치를 통해 국외 병동형 소아 호스피스 선진사례를 조사하고 프로그램 및 공간구성을 분석한다. (결과) 사례에 따른 적정 공간구성비는 환자영역 24.82 ~37.05%, 직원영역 17.07~29.21%, 공용영역 36.55 ~49.49, 기타관리영역 1.16~9.03%로 드러났다. 3가지 이상의 특수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 호스피스와 구분되는 큰 특징이며 어린이 시설에 맞게 놀이방이 제공된다. 또한 1인실+목욕실 구성이 일반적이며 병실의 면적은 14.90~22.18㎡, 목욕실의 면적은 4~11㎡가 바람직하다. (결론)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순서의 사각지대에 머무르던 국내 어린이 말기 환자와 그 삶을 조명하고 이들을 위한 처우와 서비스를 개선하는 데에서 의미를 갖는다. 해당 연구의 주제는 현 시범사업의 성쇠와 소아청소년 완화의료 환경의 발전에 따라 더욱 미시적인 관점에서 고찰되어야 하며 본 연구를 기틀로 여타 어린이 의료복지를 위한 방향 수립에 지침이 되고 어린이 말기 환자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데에 보탬이 되기를 기망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Despite the rapid increase in academic and practical interest in terminal quality of life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nd the increase in average age, the number of end-of-life children is increasing and is not being prioritized by medical law. End-of-life children have a variety of causative diseases compared to adults, and it is difficult to standardize services due to poor prognosis; moreover, various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and at the same time, they should be approached with treatments suitable for each stage of development. Recently, Korea has established a basis for providing a children’s hospice by identifying these problems and implementing a pilot project for pediatric palliative care; however, it has limitations only in providing advisory pediatric palliative care services. This study recognizes the limitations of domestic children’s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rvices, an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we recommend ward-type children’s hospice facilities with standardized programs and space organization. (Method) The absence and necessity of domestic ward-type children hospice were presented, and for the program and spatial resoluti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hospice, and facility classification were investigated. The necessity of domestic ward-type children hospice was presented,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characteristics of end-of-life children,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children hospice, and the classification of hospice facilities were investigated. Subsequentl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web search, advanced cases of overseas ward-type children’s hospices are investigated, and the program and space composition are analyzed. (Results) The appropriate spatial composition ratio, according to the case, was found to be 24.82-37.05% in the patient area, 17.07-29.21% in the employee area, 36.55-49.49 in the public area, and 1.16-93% in other management areas. Providing more than three special treatment programs is a big feature that distinguishes it from general hospices, and playrooms are provided according to children’s facilities. Additionally, the composition of a single room and a bathroom is the standard composition, and the area of the hospital room is 14.90-22.18 square meters, and the area of the bathroom is preferably 4-11 square meters. (Conclus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focusing on end-of-life patients in Korea who are in the blind spot of medical services and improving treatment and services for them. The topic of this study should be further studied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he current pilot project and the development of the children's medical environment. This study’s results will guide children's medical welfare and ensure the quality of life of children with terminal illnesses.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it will guide children's medical welfare and ensure the quality of life of end-of-life children.

      • KCI등재

        바이오필릭디자인을 적용한 트라우마센터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박윤지,최연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Due to frequent accidents and disasters, the experi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is becoming increasingly prevalent among not only victims but also victims’ families and rescue workers. Therefore, society’s interest in caring for people’s mental health and providing psychological support in the event of a disaster is increasing, and it is resulting in a movement for providing active psychological support. Thus far,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social support, counter measures, and interventions to address th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f disasters. However, government measures and interventions that address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mpact are limited, and such measures and interventions also need to become more advanced. Moreover, to enable victims to safely return to their daily lives, there must be systematic management systems and holistic psychological support facilities. Accordingly, trauma centers have been established overseas to reduce a disasters impact upon victims and to carry out a variety of research and support. (Method)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libraries for the visually handicapped in Korea and abroad in developed countries, which are relatively advanced in terms of providing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in implementing policies for their care. These libraries served as examples of the actual circumstances abroad and in Korea. Then,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and presented remedial measures. (Results)Our suggestions based upon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Based upon our analysis, we conclude that while various programs related to protection, counseling, treatment, preventive education, and research are conducted in overseas facilities, such practical programs and systems are inadequate in Korea. Furthermore, domestic facilities have limited space and thus cannot accommodate separate spaces for various kinds of support - emotional, educational, cultural, research, and management support. Since most of the rooms were used for multiple purposes, certain space configurations were necessarily made, but nonetheless there was insufficient space to carry out diverse professional healing programs. (Conclusion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operational procedures and space configurations made for various support programs in domestic and overseas trauma centers,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and pinpoint problems in order to provide reasonable suggestions. An additional intention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concerning effective space configurations that consider the healing effect of biophilic design. (연구배경 및 목적) 잦은 사고와 재해로 인해 외상 후 스트레스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현시점에서 관련사고 희생자와 피해자의 가족, 현장 구조원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그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재난 후 정신건강과 재난심리지원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활발한 심리지원의 움직임을 일으키고 있다. 국가에서는 지금까지 재난으로 인한 사회적, 경제적 피해에 대해서는 다양한 각도의 사회적 지원과 대책 , 개입 등이 나오고 있는 반면 심리적, 정서적 피해에 대한 국가차원의 대책, 개입 등은 미흡한 상태로 보다 선진화된 추진 전략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더불어 피해자들이 안전하게 일상적인 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과 통합적인 심리지원시설이 요구된다. 이에 발맞춰 해외에서는 재난피해자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트라우마센터’를 설립하여 다양한 연구와 지원을 해오고 있다. (연구방법)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시행 중인 일부 정신건강 트라우마센터와 정신건강복지나 서비스 정책 측면에서 보다 실효적으로 운영되는 국외 선진국들의 트라우마센터를 사례대상으로 지정하고 국외의 실정과 국내의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조사방법으로는 국내, 외 트라우마센터에 대한 방문, 문헌조사를 진행하였으며 담당자에 대한 이메일 및 인터뷰 등 서면을 통한 조사방법으로 심층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연감 및 문헌조사, 웹 조사 등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본 분석을 통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해외 시설의 프로그램 분석결과 보호, 상담, 치료, 예방교육, 연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반면 우리나라는 구체적인 프로그램과 시스템이 미흡한 상황이다. 공간 구성에 대해서는 영역별 정서, 교육, 문화, 연구, 관리 지원으로 나누어 각 소요 실과 구성을 비교해 본 결과 국내의 경우 규모가 너무 협소하여 대부분의 실들이 다목적 성격을 갖고 있어 기존 공간에서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치유 프로그램들을 수행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어 보다 전문적인 공간 구성이 요구된다. (결론) 본 연구는 국내외 트라우마센터의 운영 형식 및 소요 공간 구성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국내의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운영형식 및 소요 공간 구성 프로그램에 있어 합리적인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이오필릭 디자인의 치유 환경적 특성요소를 접목시켜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공간 구성에 기초적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 KCI등재

        근린공원 구성요소가 이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서정희,박상욱,장민숙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9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13 No.2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nswer to a research question: How do the components of neighborhood parks affect user satisfaction? The components of the neighborhood park include resources, park equipment, activity programs, and activity space. The effect of each component on user satisfaction was analyzed.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three large neighborhood parks located in Seoul,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270 respondent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quota sampling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single variables showed higher values in the order of user satisfaction, resource, activity space, program, and facilit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user satisfaction has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activity space and activity program. According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l variabl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size of activity space, activity program, resource, and facility were found to be larger in user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oftware component such as activity program of neighborhood parks has a greater impact on the user satisfaction than hardware component such as park equipment. And a park system needs to be modified so that various activity programs can be incorporated into a park construction plan and thus parks can be operated under a more flexible design. This research presents findings of regression analysis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nd user satisfaction. Going forward, a more comprehensive causality model of user satisfaction needs to be established,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components of neighborhood parks. 이 연구는 ‘근린공원의 구성요소가 이용자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라는 연구문제에 해답을 제공하기 위하여 근린공원의 구성요소를 자원, 시설, 활동프로그램, 활동공간으로 이해하고, 제 요소가 이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3개의 근린공원을 선정한 후, 할당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270매의 설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단일변수의 통계적 특성에서는 이용자 만족, 자원, 활동공간, 활동프로그램, 시설 순으로 평가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피어슨 상관분석 결과, 이용자 만족은 활동공간, 활동프로그램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가진 것으로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모든 변수는 이용자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공간, 활동프로그램, 자원, 시설 순으로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인과효과의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근린공원의 이용자 만족은 활동공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시설과 같은 하드웨어 요소 보다는 활동프로그램 등의 소프트웨어 요소가 이용자 만족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근린공원의 이용자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이용자의 활동과 이를 지원하는 시설이 결합된 활동공간을 정비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시설위주의 공원 조성사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공원조성계획으로 관리함으로써 유연한 설계에 부합한 공원 운영이 가능하도록 제도적 정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자원, 시설, 활동프로그램, 활동공간과 이용자 만족의 관계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연구결과로, 향후 근린공원을 구성하는 요소들 간의 관계를 고려한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의 정립이 요구된다.

      • KCI등재

        공동체주택 사례분석을 통한 프로그램 공간구성 연구

        김용,황한선,오세규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8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0 No.3

        현대 도시의 주거 비용의 증가는 젊은세대들의 주거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하였고, 이는 주거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나타나게 하였다. 과거세대는 ‘집’을 소유의 대상이자, 경제력 과시의 수단으로 여겼으나, 현재 세대는 집을 반드시 소유하지 않아도 되며, 필요한 일정부분을 공유하며 사용 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혈연가구가 아닌 비혈연 가구가 함께 거주하는 새로운 대안주거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사회적·물리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세대 -1인가구, 2세대가구, 노인가구 등- 가 이웃과 함께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개인공간과 구별되는 공동생활공간을 통해 삶을 영위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기존의 주거와는 다른 공동체 주택은 개인영역과 공유 공간의 범위와 크기에 대한 연구가 미진하고 있어, 현재 보급된 사례의 프로그램 및 면적, 운영방안 등을 연구하고자 한다. The increase in housing costs in modern cities has caused problems with the housing stability of the younger generation. These problems led to a new perception of housing. The past generation regarded the 'house' as a means of ownership and a means of showing economic power, The current generation has begun to realize that they do not necessarily have to own a home, and that they can share and use the required part of the schedule. New alternative dwellings have begun to emerge where non-blood-related households are living together rather than blood-related households. In order to solve the social and physical problems, various generations-1 households, second generation households, elderly households, etc. began to face a life crisis through a common living space distinguished from personal space with a sense of community together with their neighbors. However, there is not much research on the extent and size of the private space and the shared space in the community housing other than the existing housing, and the program, the area and the management plan of the presently popular case are studied.

      • KCI우수등재

        충돌의 몽타주: 고층업무시설의 공간 및 프로그램 복합화 제안

        한다빈,최원준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7

        Cities are defined by variety and complexity; their representative building type, the tall office building, is usually quite simplistic in space and program composition, which creates monotonous working and living conditions for its us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alternative to such typical settings by injecting new programs into the singularly purposed floors and creating various visual and programmatic interconnections among them; through the strategy of montage of collision, building new relationships among diverse entities to generate new situations and meanings through their differences was intended. Responding to contemporary demands for sustainability, this project was set up as a renovation of pre-existing, spatially neutral structure in a central business district setting. Leisure programs necessary for urban office workers such as gyms and cultural facilities, choices based on research of actual demands were inserted into the existing office structure; various surreal situations were created inside the building by actively promoting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programs in terms of visual connection, spatial links and movement. While this will help to increase the value of tall office buildings through idiosyncratic architectural features and to respond to the increasing problem of office vacancy rates in the emerging era of low growth, the ultimate aim of such a proposal is to provide a dynamic spatial and programmatic experience to its users while reminding them of the sense of excitement that brought them to the city in the first place. 도시는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특징 지어지지만 그 대표적 건축유형인 고층건물은 대부분 공간과 프로그램 구성이 단순하여 이용자에게 단조로운 업무환경과 생활환경을 조성한다는 역설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층건물의 전형적인 구성에 대한 대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충돌의 몽타주’ 전략을 통해 단조로운 평면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삽입하고 이들 사이에 다양한 시각적, 프로그램적 상호관입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의도적으로 개별 상황들을 상호 충돌시켜 변증법적으로 새로운 의미와 관계를 창출한다. 본 연구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여 기존에 공간적으로 중립적인 구조를 가진 중심업무지구 내 고층오피스를 리노베이션 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다. 도시 직장인에게 필요한 여가 프로그램인 체육시설과 복합문화시설은 설문조사를 통해 설정했으며, 이 프로그램들이 기존의 업무공간에 삽입됨으로써 시각적, 공간적 교류의 측면에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들 간의 관계를 적극적으로 증진시켜 건물 내부에 다양한 ‘초현실적’ 상황을 만들어 낼 것이다. 이는 독특한 건축적 특징을 통해 고층업무시설의 가치를 높이고 저성장 시대에 높은 공실률에 대응하는 데 일조할 것이기도 하지만, 그 궁극적인 목적은 공간과 프로그램의 극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다양성과 활력이라는 도시의 장점을 업무시설 내에서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