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생들의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탄소 순환 개념 연구

        이지은,한신,박태윤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7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0 No.3

        It is the purpose of the study to investigate how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carbon cycle according to their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this, a total of 30 male students and 33 female students, who belong to the science course of the 2nd grade at a general co-education high school located in a megalopolis of Korea and have finished the class of Earth Science I in the first semester, took part in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test, and four male students and four female students were selected as members of two groups : one group of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he other group of low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the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have got the test of the carbon cycle concept.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who had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recorded more scores in the carbon cycle concept, state change concept, and process concept at the factor of word association and the carbon cycle concept, state change and process concept at the factor of drawing than those who had low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Connecting link used in the systemic viewpoint was disclosed like this in the factor of causal map of those who had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 one student 2 and another one student 1 and the other two students 0 : and in the factor of drawing three students 1 and the other 0 ; But nothing was found in the factors of causal map and drawing of those who had low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In addition, it was also found that those students who had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when compared with those students who had low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have understood the fact that carbon moves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earth system's lower parts; Three students, who showed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had a low level of systemic thinking concept, and one student who had high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four students who had lower spatial perception ability did not have a systemic thinking concept.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지각능력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탄소 순환 개념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광역시 소재의 평준화 일반계 남녀공학 S고등학교 학생들 중 2학년 1학기에 지구과학Ⅰ을 이수한 자연계열 남학생 30명과 여학생 33명을 대상으로 공간지각능력 검사를 실시하고 공간지각능력 상․하 두 집단의 학생들 중에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남학생 4명과 여학생 4명을 대상으로 탄소 순환 개념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보다 단어연상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 개념, 과정 개념이 더 많았으며 그림 그리기에서 탄소 순환 개념, 상태 변화와 과정 개념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적 관점에서 사용된 연결고리는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에서 1명이 2개, 1명이 1개, 2명이 0개로 나타났고 그림 그리기에서 3명이 1개, 1명이 0개로 나타났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의 인과지도와 그림 그리기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들은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지구시스템의 하위영역의 상호작용으로 탄소가 이동하는 것을 이해하고 있었다.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3명의 학생들은 낮은 수준의 시스템 사고 개념이 있었으며 공간지각능력이 높은 학생 1명과 공간지각능력이 낮은 학생들 4명은 시스템 사고 개념이 없었다.

      • KCI등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및 창의성과의 관계

        박유영,김희정,조은정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160 children whose mean age was 68.93 months. It used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K-WPPSI and TTCT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It was also revealed that language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creativity are the predict variables to have influence upon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 G시에 소재한 유치원의 만5세 유아 160명을 선정하여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창의성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r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그리기표상능력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그리기 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은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의 영향력 분석 결과 언어능력, 공간지각력, 그리고 창의성 모두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기하 능력 및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몬테소리 감각교육 기반 겹원기둥 교구의 적용 효과

        오숙자 국제인문사회연구학회 2024 Studies o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HSC) Vol.6 No.2

        유아의 기하 능력 및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몬테소리 감각교육 기반 겹원기둥 교구의 적용 효과 오 숙 자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유아의 기하 능력 및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 몬테소리 감각교육 기반 겹 원기둥 교구의 적용 활동 전・후,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G지역에 소재한 사립 S유치원의 만5세 남녀유아 30명을 연구 대상으로 연구자와 유치원 정교사 2명이 사전과 사후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1.0을 사용하여 내적 일관성,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유아의 기하 능력과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 몬테소리 감각교육 기반 겹 원기둥 교구의 적용 전・후의 효과는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결론 및 제언: 유아의 기하 능력과 공간지각 능력에 대한 몬테소리 감각교육 기반 겹 원기둥 교구의 적용 후, 유아의 기하 능력과 공간지각 능력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몬테소리 감각교육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융합적 교구 개발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핵심어: 유아, 기하 능력, 공간지각 능력, 몬테소리 감각교육, 겹 원기둥 교구 Effects of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based Overlapping Cylinder Blocks on Preschoolers’ Geometricand Spatial Perception Abilities Sookja Oh*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pply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based overlapping cylinder blocks and assess their effects on preschoolers' geometric and spatial perception abilities after engaging in related activities. Thirty 5-year-old boys and girls from a private kindergarten in G city were surveyed by the researcher and two kindergarten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activ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for internal consistency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 The study examined the developmental effects on geometric and spatial perception abilities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based overlapping cylinder blocks. The application of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based overlapping cylinder blocks showed significant effectiveness after the activity.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innovative integrative teaching materials based on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Key Words: Preschooler’s, Geometric Abilities, Spatial Perception Abilities, Montessori Sensorial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for Overlapping Cylinder Blocks □ 접수일: 2024년 3월 21일, 수정일: 2024년 4월 22일, 게재확정일: 2024년 4월 28일* 인사이드몬테소리연구소 원장(Director, PhD, Inside Montessori Institute, Email: 5sookja@naver.com)

      • KCI등재후보

        공간지각 능력에 따른 운전-관련 상황의 재인 및 예측에 관한 연구

        김비아,이재식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5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11 No.4

        본 연구는 상황인식의 첫 번째 단계인 지각, 특히 운전상황과 관련한 대부분의 정보를 획득하는 공간지각 능력과 상황인식의 다음 단계인 이해와 예측 사이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실제 도로상황을 편집한 동영상으로 구성된 실험 재료를 이용해 재인과 예측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이 두 가지 요소들을 통합하는 과제로 운전 시뮬레이터를 조작하면서 간단한 숫자 배열 규칙에 따라 결과를 계산(예측)하는 과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전-관련 상황에서 오퍼레이터의 공간지각 능력이 우수할수록 실제 도로상황 재인과제 수행의 민감도가 높았다. 둘째, 공간지각 능력이 좋을수록 실제 도로상황 예측과제에서의 예측률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할수록 이해와 예측을 통합적으로 요구되는 숫자-계산 과제에서의 수행이 우수하였다. 본 연구 결과, 운전자 상황인식 능력의 측정방법으로 공간지각능력 검사의 활용을 제안할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절차인 계산검사를 통해 상황인식의 이해와 예측을 통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erceptual ability and several aspects of driving-related situation awareness(in particular, recognition and prediction). Video clips of real driving were used in both recognition and prediction tasks, and the digit calculation task during driving the simulator was required as the integration task of recognition and predi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bjects of higher spatial-perceptual ability performed better in recognition task, especially in terms of sensitivity measured in d'(as signal detection theory), prediction task, and digits calculation performance than those of lower spatial-perceptual ability.

      • KCI등재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및 또래상호작용 질과의 관계

        지성애(Chi Sung-As)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그리고 또래상호작용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만 5세 유아 3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공간지각력과 언어능력을 측정하고 PIPPS를 사용하여 또래의 상호작용 질을 측정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Pearson r과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과 변인들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은 공간지각력, 언어능력 그리고 또래 상호작용 질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대한 공간지각력 및 언어능력의 영향력 분석 결과 공간지각력과 언어능력 모두 유아의 그리기표상능력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language competence, and quality of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310 children whose mean age was 65.8 months. It used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Inventory, K-WPPSI and PIPPS in collection of data.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It wa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among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space perceptual ability, language competence, and quality of peer interaction. It was also revealed that space perceptual ability and language competence were the predict variables of young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al ability.

      • KCI등재

        초등과학영재의 공간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전경필 ( Jeon Kyung Pil ),강호감 ( Kang Ho Kam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의 공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G대학교 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등심화과정(5-6학년) 학생 32명으로 하였다. 공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총 15차시의 활동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1차시와 15차시에는 공간능력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학생들의 공간능력의 양적변화를 측정하였다. 총 32명의 학생의 공간능력 사전·사후 검사 점수를 분석하여 그 중 공간능력의 4가지 하위 영역에서 점수가 가장 큰 폭으로 오른 A학생과 꾸준히 상위권의 점수를 받은 B학생을 질적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학생들의 수업 초기와 후기의 모습과 활동지를 분석하여 사고의 질적 변화를 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능력 향상 프로그램은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 공간능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공간능력의 점수 분포가 상위 그룹이었던 영재학생들은 수업초기의 하위 그룹 학생들보다 더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였고 주어진 과제에 대해 공간적 사고를 활용하여 해결하였다. 하지만 수업이 진행되면서 하위 그룹의 학생들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주어진 과제에 다양한 공간적 사고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성별에 따른 공간능력을 분석한 결과, 사전·사후 검사 결과 모두 성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to improve the spatial abilities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Subjects to the study include 32 students on their 5th grade and 6th grade enrolled i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G University located in Gyeonggi-do. Developed the action program of 15 periods in order to improve the space power, and pre-spatial ability tests were performed in first class and post-spatial ability tests were performed in last class to measure the quantitative changes in the student`s space ability. Pre- and post - test scores of 32 students` spatial ability test were analyzed. Among them, A students who had the greatest scores in the four sub - areas of spatial competence and B students who consistently received the highest scores were selected for qualitative analysis. Analyze the look and analyzed the paper of activities of students in class early and late to have seen a qualitative change in thinking.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pace capability enhancement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pace Ability of Elementary Gifted Students. Second, gifted students who were the top group in the spatial ability score distribution,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class than the lower group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the class and solved the problem by using spatial thinking. However, as the class progressed, the students of the lower group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showed various solving problems by using various spatial thoughts on given task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ace capacity of the sex, pre-post ablility test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 KCI등재

        대상통제운동 기반 신체활동과 시지각적 탐색 기반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갈등해결능력,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민가혜(Min, Ga Hye),정진화(Jung, Jin Hwa)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physical activity based on object control motor and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based on visual-perceptual exploration on young children s motor, conflict resolution and space perceptual abilities. Thirty-four young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ir average age was 72.44(SD=3.49) 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based on object control motor,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expression activity based on visual-perceptual exploration for 6 weeks. ‘MPTYC , a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and a ‘space perceptual ability test’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sta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post-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ison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children s motor, conflict resolution and space perceptual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activity based on object control motor effectively promotes young children s motor, conflict resolution and space perceptual ability. It also provided implications about teaching-strategies for physic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대상통제운동에 기반한 신체활동과 시지각적 탐색에 기반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갈등해결능력 그리고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총 34명(실험집단 17명, 비교집단 17명)이었으며, 평균 월령은 72.44개월(SD=3.49)이었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무선 배정한 뒤 실험집단에는 대상통제에 기반한 신체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시지각적 탐색에 기반한 신체표현활동을 처치하였다. 실험처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유아운동능력척도’, ‘유아 갈등인식 및 해결 척도’, ‘유아 공간능력 검사 척도’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통제에 기반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갈등해결능력, 공간지각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 fMRI를 이용하여 지적능력에 따른 뇌 신경망 규명: 언어능력 vs 공간지각능력

        이경화 ( Kyung Hwa Lee ),박세훈 ( Se Hoon Park ),김연희 ( Yun Hee Kim ),손진훈 ( Jin Hun Sohn ) 한국감성과학회 2001 춘계학술대회 Vol.200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사람들이 언어과제와 공간지각과제을 수행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이다. 42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집단 심리실험을 수행하여, fMRI 연구를 위한 실험참여자로 17명의 오른손잡이 여대생을 선정하였다. 17명 중 8명은 언어능력은 뛰어나지만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지고, 나머지 9명은 언어능력은 빈약하지만,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한 사람들이었다. fMRI 실험에 사용된 패러다임에는 언어과제와 공간지각과제가 각각 8block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block은 동일한 과제 3문항을 포함하였다. fMRI 이미징은 1.5T Siemens Vision Scanner로 수집되었으며, Single-shot EPI 기법으로 (TR/TE : 3840/40ms, flip angle : 90, FOV : 220, 64x64 matrix) 이미지를 스캔하였다. 자료분석은 SPM-99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감산(subtraction)분석결과, 언어능력이 뛰어난 집단에서는 양측 대상회(bilateral cingulate gyri)와 좌측 상두정엽 (left superior parietal lobe)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고, 언어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는 양측 전두엽 (both frontal lobes)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공간지각능력이 떨어지는 집단에서는 우측 시상 (right thalamus)과 좌측 측-후두엽 (left temporooccipital)이 더 많이 활성화되었다. 언어능력이나 공간지각능력이 우수한 집단에서는 공통적으로 대상회 (cingulate gyri)가 활성화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비디오 댄스게임(DDR) 수행능력과 신체 운동능력과의 관계

        김도윤,홍희정 여가문화학회 2017 여가학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kind of athletic ability is related to game proficiency when participating in DDR video game(dance dance revolution) as a leisure activ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goal, 369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with excellent exercise performance and the other group was not.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DDR game scores, systemic response rate to light, spatial perception ability and sub-factors of basic physical fitnes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DDR scores of the excellent exercise group in the upper grades of male and femal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 - excellent exercise group.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rate of systemic reaction and spatial perception ability between excellent group and non-excellent group of male and female. Third, the DDR scor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ystemic response rate of the upper grades of male and female groups, which meant the better the agility of participating students, the higher the DDR score was. Fourth, the DDR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of male and female senior students, which indicated the development of spatial perception ability through the DDR game. Fifth, all physical fitness factors had no correlation with DDR scores. These results indicated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the qualitative factors of subjects such as audiences' responses and cognitive spatial perception through DDR game scores. In addition, the continued involvement of DDR games as a type of leisure activity would have more positive impact on students' agility and spatial percep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으로써 신체활동 참여가 가능한 비디오게임(DDR) 참여시 DDR 게임의 숙련도는 어떠한 운동능력과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봄에 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생 369명을 대상으로 운동수행능력이 우수한 학생집단과 우수하지 않은 학생집단으로 구분한 후 집단별로 DDR 게임 점수와 기초운동능력으로써 전신반응속도(빛), 공간지각능력 및 기초체력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고학년 우수운동집단의 DDR 점수가 비우수 운동집단보다 높았다. 둘째, 전신반응속도와 공간지각능력은 남녀 학년별 우수운동집단과 비우수운동집단간 차이가 없었다. 셋째, DDR 점수는 남녀 고학년의 전신반응속도와 부적상관성이 있었으며, 참여 학생들의 민첩성이 좋을수록 DDR 점수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DDR 점수는 남녀 고학년의 공간지각능력과 정적상관성이 있었으며, DDR 게임을 통해 대상자들의 공가지각능력의 발달을 기대할 수 있다. 다섯째, 모든 기초체력 하위요인은 DDR 점수와 상관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DDR 게임 점수를 통해 대상자들의 근신경적 반응 및 인지적 공간지각력과 같은 대상자의 질적요인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요인으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아울러 여가활동의 형태로 신체형 DDR 게임의 지속적인 참여는 학생들의 민첩성, 공간지각능력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목공활동과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김정훈 ( Kim Jung-hoon ),지성애 ( Chi Sung-ae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17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목공활동과 그리기활동이 만 5세 유아의 공간지각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소재 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40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1.44개월(SD=3.80)이었다. 실험집단1과 실험집단2를 무선으로 선정하고 실험집단1에는 목공활동을 처치하였고, 실험집단2에는 그리기활동을 제공하였다. `유아 수학능력 검사도구`와 `구문의미이해력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증을 통해 목공활동과 그리기활동이 유아의 공간지각력,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목공활동이 그리기활동에 비해 유아의 공간지각력, 언어능력을 유의미하게 효과적으로 증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그리기활동은 목공활동보다 공간지각력 하위요소에 포함된 좌표 인식능력을 유의미하게 증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는 목공활동이 그리기활동보다 유아의 공간지각력과 언어능력 함양에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나, 그리기활동도 공간지각력의 하위요인에 포함되는 좌표인식능력을 목공활동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woodworking and a drawing activity on young children`s space perceptual and language ability. Forty young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s the subjects, and their average age was 71.44(SD=3.80) months. Experimental group1 and experimental group2 were selected randomly. Experimental group1 performed the woodworking activity 16 times, and Experimental group2 did the drawing activity 16 times. `The space perceptual ability test part` extracted from the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est tool` and `Construction Meaning Comprehension Test` was used to collect data and the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oodworking significantly improves young children`s space perceptual and language ability compared to the drawing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woodworking more effectively enhances young children`s space perceptual and language ability than that of draw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drawing activity significantly improves the recognition ability of the coordinates included in sub-factors of space perceptual ability compared to the woodwor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oodworking is more effective for developing young children`s space perceptual and language ability than drawing activities, but that drawing activity can improve specific space perceptual abilities compared to woodwor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