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인 복지 관점의 창작공간 지원 정책 연구

        양현미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23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예술인복지 관점의 창작공간 지원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창작공간은 작업실로서 창작 공간과 레지던스로서 창작공간으로 구분된다. 창작공간 지원정책은 예술창작 지원 관점, 지역문화 재생 관점, 콘텐츠 산업 지원 관점 등을 통해 확대되고 다원화되어 왔다. 그러나 예술인이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면서 저렴한 창작공간에 대한 수요, 작업실로서 창작공간은 오랫동안 정책의 사각지대에 있었다. 그러다 예술인복지 정책이 확대되면서 작업 실로서의 창작공간 정책에 대한 정책적 타당성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었다. 서울시에서 시작하여 예술인복지 정책 기본계획에서도 창작공간 지원정책이 예술 활동 여건 개선과제로 설정되었다. 하지만 주거복지정책 일환으로 공급하 는 예술인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창작공간의 비중이 낮다보니, 작업실로서 창작공간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미국 뉴욕, 영국 런던, 프랑스 파리 등 예술인 인구가 많은 국제적인 창조도시의 작업실로서 창작공간 정책과 공급모델을 공공주도모델, 민간주도모델, 민관협력모델로 나누어 살펴보고, 뉴욕의 예술인을 위한 저렴한 부동산(AREA), 런던의 창조적 토지신탁(CLT) 같은 새로운 민관협력모델을 조사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제 예술인복지 관점에서 창작공간 지원정책은 시작 단계이다. 창작공간은 예술인 의 직업적 지위와 활동의 근간이 되는 시설이라는 점에서 더 효과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licy for supporting cre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Creative spaces can be categorized as either workspaces or residences. Although policies supporting creative spaces have diversified in recent years, the policy for residences is limited due to the restricted occupancy period. The demand for affordable creative workspaces for artists has long been overlooked in policy-making. As the artist welfare policy expanded, the policy for creative spaces as workspaces gained attention. However, the supply of public rental studios for artist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artists' demand. To identify potential improvements, I examined the policies and supply models for creative spaces in cities with a high concentration of artists per capita, such as New York, London, and Paris. I investigated specific initiatives such as New York's Affordable Real Estate for Artists (AREA) and London's Creative Land Trust (CLT), and suggest implications based on findings. The policy for supporting creative spac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is still in its early stages. As creative spaces are essential facilities for the professional status and activities of artists, it is crucial to prepare more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 of artist welfare.

      • KCI등재

        사회복지관의 시설유형에 관한 조사 연구

        정아영(A Young J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의 기초조사 단계의 연구로서, 현재 사회복지관에서 시행중인 복지프로그램 내용과 보유시설, 복지공간 환경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관을 유형화하고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서, 복지프로그램과 복지공간 환경의 연계적 고찰을 통하여 사회복지관의 활성화 방안 제안을 위한 기초적 데이터를 마련하고자하였다. 연구 조사는 서울, 경기도, 6대 광역시 소재종합사회복지관 278개관 가운데 1,000㎡이상 규모의 시설로 현장조사를 허락해준 14개관을 대상으로 시설방문을 하였으며, 시설개요, 운영개요, 보유시설, 공간구성, 공간면적 등 복지 공간 환경현황 및 행사, 학습,공작, 레크레이션, 문화, 봉사 등의 실시중인 복지프로그램 내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복지 공간 환경내용과 복지프로그램 내용은 수량화3류 분석, 군집분석 등 다차원데이터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조사 분석결과, 1) 복지프로그램은 연간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이벤트 행사의 비중이 높고, 아동과 고령자를 중심으로 하는 특정 세대에 국한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복지 공간환경은 방과 후 교실, 어린이집, 노인주간보호시설의 보유 비율이 높으며, 공간구성은 가족복지, 지역사회보호, 지역사회조직, 교육문화, 자활, 관리운영 부분으로 구분되었다. 특히 교육문화공간은 집회, 정보, 실습, 스포츠, 아동청소년, 고령자관련공간으로 분류되며, 부문별 면적 비는 교육문화부문의 비율이 높게 조사되었다. 3) 사회복지관 시설 유형은 복지 프로그램내용, 시설범위, 시설이용 및 프로그램참가대상을 설명하는 축을 중심으로 고령자가 주도가 되어 다양한 복지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제 1유형, 시설 이용자 간의 유대관계를 증진시키는 것에 중심을 두는 제 2유형, 복지시설의 남은 공간과 연계가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고 있는 제 3유형, 지역사회를 위한 아동청소년 주도의 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실시하고 있는 제 4유형으로 분류되었다. This is a basic stage study for a higher level study which will suggest a vitalization plan for social welfare centers. Facility type characteristics of social welfare centers had been studied based on a status survey on the welfare program contents being practiced now, facilities owned by social welfare centers and environment of welfare spaces. There are 278 social welfare centers in Seoul Metropolis, Gyeonggi-do Province and six major Metropolitan Cities. Among them, 14 social welfare centers have the facility areas bigger than 1,000㎡ and they allowed the status survey visit for this study. Welfare space environment, such as facilities description, operation description, facilities owned, space constitution and space area had been investigated together with the welfare program contents, such as the events, classes, handicraft classes, recreation, culture and volunteer services. The collected welfare space environment contents and welfare program contents had been analyzed by multi-dimensional data analysis methods such as the "quantification theory analysis type 3" and "cluste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1) There are more periodical events held yearly than spot events. The event contents are focused on specific age groups such as children or the aged. 2) Regarding the welfare space environment, there are more classrooms, day care centers and "day care centers for the aged" than other welfare spaces. The welfare spaces can be classified into family welfare, local welfare recipient administration, local community organizing, education/culture, self-support and management/operation. Especially, the education/ culture spaces consist of spaces for gatherings, IT classes, practical trainings, sports, children/juveniles and the aged. Regarding the areas of occupation, the weight of education/culture spaces was high. 3) The facility types of social welfare centers had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contents of welfare programs, scope of facilities, facilities use and program participants. In Type 1, various welfare programs are led by the aged. Type 2 focuses on the promotion of personal relation among the facility users. Type 3 is the programs that had been developed to utilize the remaining spaces of welfare facilities. Type 4 is volunteer service programs for local communities led by children/juveniles.

      • KCI등재

        젠더의 렌즈로 본 복지공간

        안숙영(Ahn, Sook-Young) 한국여성학회 2012 한국여성학 Vol.28 No.1

        복지국가 혹은 복지공간이라는 개념은 20세기의 유럽이 남긴 가장 중요한 유산의 하나이다. 그러나 복지국가가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고 복지공간에서 활동하는 대표적 행위자도 남성의 얼굴을 하고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오랫동안 침묵이 이루어져왔다. 1990년대 초반 이후 복지공간의 남성중심성에 대한 비판이 본격적으로 전개되기 시작한 가운데, 이 글의 목적은 복지와 젠더의 관계를 둘러싼 1990년대 초반 이후의 논쟁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젠더중립적 복지공간이라는 이미지 뒤에 숨겨져 있는 복지공간의 젠더성을 가시화하는 한편으로, 이를 바탕으로 젠더평등에 기초한 복지공간을 새로이 구성해 나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국가와 시장이라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한 기존의 복지공간 분석이 갖는 젠더적 한계로 시선을 돌리며 복지의 생산에서 가족이 갖는 의미를 조명한다. 이어지는 Ⅲ장에서는 여성의 복지 수급자격을 둘러싼 논쟁, 즉 어머니인가 아니면 노동자인가라는 쟁점을 둘러싸고 전개된 논쟁의 흐름을 짚어보고 노동자로서의 여성의 지위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 및 돌봄노동의 탈여성화의 필요성에 주목한다. 나아가 Ⅳ장에서는 지구화 속에서 국민국가의 경계가 약화되고 있는 가운데 일국적 복지공간으로부터 초국적 복지공간으로 복지의 공간을 확장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 해당하는 Ⅴ장에서는 21세기의 보다 풍부한 젠더복지를 향한 디딤돌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우리에게 새로운 유토피아적 상상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Welfare state or welfare spa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legacies of 20th century Europe. But for a long time the fact has been suppressed that it has a male face and that representative actors who are active in welfare space also have male faces. It was not before the beginning of the 1990s that feminist critique of male-dominance of the welfare space has been voiced. By a theoretical review of the debat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the welfare space, this paper aims to visualize the specific gender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pace which are hidden behind it’s gender-neutral image, and to explore, resting on this review, the possibilities of constructing new welfare spaces which are based on gender equality. In chapter Ⅱ, this study analyses the limits of debates on the welfare state which have focused on the two categories of state and market. It emphasizes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production of welfare. Chapter Ⅲ concentrates on the position of women in relation to the welfare state, and examines which women receive benefits from the state as mothers or as workers. The analysis concludes that we need to strengthen the position of women as workers and to defeminize care work. Chapter Ⅳ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xpanding the welfare space from national to transnational, because the welfare state as a national project is weakening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Lastly, I suggest that we need to dream a new utopia towards the construction of more fruitful welfare from a gender perspective in the 21<sup>th</sup> century.

      • KCI우수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공간복지 관련 국내 연구 경향 분석

        이수현,변기동,하미경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8

        This study delves into the evolving welfare paradigm, transitioning from selective support services to comprehensive space-based universalservices. To accomplish this, relevant research literature linking space and welfare was gathered and subjected to text mining analysis todiscern prevalent trends. The research landscape has witnessed a shift. While earlier studies predominantly concentrated on sociallydisadvantaged groups, a growing number of investigations no longer target specific demographics. This reflects an evolving socialconsciousness wherein universal welfare is progressively being integrated into scholarly discussions. As welfare beneficiaries extend toencompass the wider local populace, there arises a need for an in depth exploration of demand-oriented spatial welfare. This entailsidentifying the genuine welfare requirements of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fitting spatial solutions. Although the range of studied spaceshas expanded to encompass diverse areas like residential and living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majority of research still centers aroundconventional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is somewhat insufficient to mirror the swiftly changing societal expectations. In this context of thenew normal era, it is imperative to consolidate research across previously segmented facilities, considering the anticipated surge inmultifaceted welfare service demands. Lastly, it was observed that distinct topics within the Built Environment realm, such as CPTED,universal design, and sustainable design, have intertwined with welfare discussions. Employing text mining analysis, this study endeavors touncover research trends more objectively and quantitatively. This study’s outcomes hold academic significance by enhancing comprehension ofthe concept of space-based welfare. It also identifies macro research trends, contributing to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subject’s scope and core themes. 본 연구는 복지의 개념이 선별적 지원 서비스에서 '공간 기반의' 보편적 복지서비스’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공간’과 ‘복지’를 함께 다루어온 연구 문헌 자료들을 수집하고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과거 공간복지 관련 연구는 주요 수혜대상자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어온 경향이 강했다. 대상 집단으로는 장애인, 아동과 같은 보호 계층도 있었으나, 대부분의 연구가 노인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를 통해 정책적, 사회적 인식이 노인을 주요 복지 지원 대상으로 여기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으며, 이 같은 연구 경향은 고령화가 심화되고 있는 만큼 추후 연구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LDA 분석을 통해 파악한 바와 같이 연구 대상 공간이 노인 전용 시설에서 복합적 공간으로 확장되고 있으며 그 기능 또한 여가활동 혹은 커뮤니티 조성 등으로 다양화되고 있는 만큼, 이에 주목한 연구가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다수의 연구가 특정 수혜 대상 집단에 주목하고 있었으나, 특정 대상을 언급하고 있지 않은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편적 복지를 향한 사회적 인식이 연구 분야에도 점차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복지서비스의 수혜자가 일부 소외계층이 아닌 일반적인 지역주민으로 확대되고 있는 만큼, 지역주민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를 파악하고 이를 위한 적절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요자 중심의 공간복지에 관한 심층적인 탐색과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이 체감하는 질적 생활 수준을 보장하여야 한다. 둘째, 복지서비스가 다양화된 만큼 이를 제공하는 공간에 관한 연구도 주거시설, 생활인프라시설과 같이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대다수의 연구가 기존의 복지시설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적 인식을 반영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보였다. 앞으로의 뉴노멀 시대에는 우리 주변을 둘러싼 근린 환경, 즉 일상생활권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질 것으로 보이며 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복지서비스시설에 대한 요구와 수요가 점차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므로, 이와 같은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공간복지에 관한 명확한 개념 인식을 바탕으로 그간 개별적으로 다루어진 다양한 기능의 시설들 통합하여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복지’를 제목 혹은 키워드에 언급한 문헌만을 제한하여 수집하였음에도, 셉테드, 유니버설디자인, 친환경과 같이 독자적인 연구 영역을 구축한 다양한 주제의 이슈들이 함께 언급되고 있었다. 이는 공간환경 분야에서 다루어온 다양한 주제들이 복지와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하며, 이를 복지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갖출 필요성이 제기된다. 본 연구는 공간복지에 대한 개념 수립 초기에 다양하게 흩어져 축적된 연구 문헌 데이터를 취합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진행하여 보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연구 경향을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공간복지 관련 연구의 범위와 주요 주제를 정리하고 거시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수행한 문헌 고찰 ...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 통합에 따른 시설기준 및 공간구성분석에 관한 연구

        좌경웅,공순구,박지훈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makes up 7% of the total population; Korea is becoming an aged society. In 2015, it made up 13.1% (over 14% of the elderly population). It is therefore expected that Korea will become a super elderly society (meaning more than 20% of the population is elderly) by 202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acility collim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integrated medical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so that they can receive various medical services in the same pla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health status through functional integration of hospitals and facilities for the elderly. (Method) In this study, four domestic and foreign facilities were selected that have integrated management types of elderly medical welfare services among the OECD countries with aging societies. We analyzed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functional integration of hospitals and facilities for elders by examining the types of such integrated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domestic facilities and those oversea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suggesting the spatial composition standard of the medical welfare integrated facilities for elders through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of domestic and foreig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and an analysis of preceding research. We also analyzed the type of facility and space composition ratio. (Results) The space area required for integrated facilities for elders can be divided into medical spaces, care spaces, common spaces, and common use spaces. Restaurants should be located in a position that is accessible to all users. In addition, the thermal therapy room, the occupational therapy room, the language therapy room, and the exercise treatment room should be arranged between the medical area and the care area. The common space area is used by the managers for the machine room, electric room, and staff cafeteria; therefore, it should be inaccessible to general people. (Conclusions) Public art and design have been given a critical role in terms of their contribution to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and space branding, especially in the broad term of city branding, since late 20th Century. This research deals with the elements working in the process of interactive “participation” in public art and design projects. It provides an analysis of participation-based public art and design’s process mechanism, which is an alternative solution for the second generation of culture-led urban regeneration with human-centered approaches.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2000년에 노인 인구가 전체의 7%를 넘는 고령화사회로 접어들었으며, 이후 속도가 빨라져 2015년 13.1%를 기록한데 이어 2017년 고령사회(노인 인구 14% 이상), 2026년 초고령사회(노인 인구 20% 이상)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노인보건, 노인복지, 노인주거 등 문제점들이 발생되고 있다. 그 중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노인의료·복지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보건의료정책 및 서비스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노인요양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적 통합을 통해 노인들로 하여금 종합적 건강상태의 중증도에 따라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동일 장소에서 제공 받을 수 있도록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의 시설시준 및 공간구성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고령화를 격고 있는 OECD 국가 중 노인의료복지서비스의 시설유형이 통합 운영되어지고 있는 국내·외 시설 4곳을 선정하여 본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다. 노인요양 병원과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적 통합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고찰한 후 미국과 일본의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 유형을 분석하여 국내외의 차이점을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노인의료복지관련 시설기준 및 지침,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의 공간구성 기준을 제안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도출하였고 시설유형 및 공간 구성비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 영역은 의료영역공간, 요양영역공간, 공통영역공간, 공용영역공간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의료영역공간은 노인요양병원의 기능에 속하는 공간으로서 그 중 병동부의 경우 환자들이 장시간 이용하는 공간으로 일조가 잘 되도록 가급적 남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환자들과 간호사들의 외례진료부와 중앙진료부와의 동선연결도 중요하다. 요양영역공간은 노인요양시설의 기능에 속하는 공간으로서 노인들이 장시간 이용하는 공간으로 남향을 고려하여 일조에 신경을 써야하고 공통영역과 인접하여 다양한 공간영역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야외활동이 용이하게 완충공간으로의 접근성도 고려되어야 한다. 공통영역공간은 관리기능인 원장실, 사무실, 회의실 등은 모든 기능의 관리가 용이한 중간적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좋고, 식당은 모든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정하여야 하며, 교육기능인 다목적실과 재활기능인 온열치료실, 작업치료실, 언어치료실, 운동치료실 등은 의료영역과 요양영역의 사이에 배치한다. 공용영역공간은 기계·전기실, 직원식당 등 관리자들이 이용하는 공간으로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할 수 있는 위치가 적합하다. (결론)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통해 노인의료복지 통합 공간에 영역별로 반영 되야 하는 공간요소를 정리하여 향후 노인의료복지 통합시설 계획 시 필요한 공간구성 및 공간 구성비를 도출하였고 현재 우리나라의 이원화 되어있는 제도 및 시설이 앞으로 노인의료통합정책이 시행되고 시설통합이 될 경우를 가정하여 시설유형 및 공간구성계획 제안에 있어서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KCI우수등재

        Lefebvre의 공간이론에 근거한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가능성 탐색

        최명민(Choi, Myung Min),박향경(Park, Hyang Kyung),이현주(Lee, Hyun Ju) 한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사회복지학 Vol.69 No.4

        최근 공간에 대한 사회과학연구는 권력과 억압, 자원분배 등 권력관계 분석에 토대를 둔 사회적 공간 개념에 기초하여 공간에 작동하는 사회적 관계를 변화시키는 데에 초점을 두어왔다. 그러나 인간을 둘러싼 환경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사회복지에서는 정작 현대 공간학에 대한 이해를 담보하지 못 하고 공간을 중성적이고 추상적인 차원에서 이해해 온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사회학자인 Lefebvre의 사회적 공간이론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공간담론을 정리하고, 그 내용에 근거하여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의 개념정립을 시도하였으며, 실제 사회복지현장사례를 통해 공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의 적용가능성을 검토해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기반 사회복지실천이 대안적 방법론으로 가질 수 있는 함의를 논하고 그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Recent social studies on space have focused on changing the social relations that activate in space. In general, these studies have been based on the concept of social space on which is grounded the power-relation analysis such as power, oppression, resource allocation, and so on. Social work practice has traditional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human beings. Nonetheless, social work practice has tended to comprehend space in a neutral and abstract way because it has insufficiently considered modern spatial theories. For this reason, this study focusing on Lefebvre’s social space theory reviewed the contemporary discourses on space in the area of social work practice. Following the review,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cases in social work field and explored the applicability of “SSWP”.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delivered the implications of Space-based Social Work Practice as an alternative method and suggested the practical direction of SSWP.

      • KCI등재

        복지시설의 공간과 색채 적용에 관한 연구

        최윤진,김젤나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4 No.-

        본 연구는 복지시설에 적용되는 공간과 색채의 적용에 관한 연구로써, 디자인이 가미된 시설물은 사용자의 환경과 치유에 도움을 줄 수 있고 나아가 복지시설의 모든 시설물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증가하는 복지시설의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공간과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러한 요소들이 클라이언트의 신체적, 정서적, 심리적 환경에 중요한 구성요소로서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마련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공간은 x, y, z축을 근거로 한 물리적인 현실의 공간을 지칭하고, 장소는 경험에 의해 기억되는 일종의 가상공간과도 같은 것이다. 그러므로 공간과 장소는 객관성과 주관성 그리고 불확실한 장소와 확실한 장소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에 의해 인식되는 장소와 공간의 개념을 복지시설에 적용할 경우 합목적성의 시설로 재창조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색채심리에 의한 복지시설의 적용 역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좋은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색채심리 반응은 색채의 치료적 역할에 관한 연구로 발전하고 있고, 특히 색채가 시각과 청각의 과정, 호흡의 리듬, 순환, 내분비계통과 다른 신체적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외국의 사례들은 타당한 의도에 의해 디자인된 공간과 색채가 적용될 경우, 인간의 심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한 치유의 가능성을 조성할 수 있는 복지시설임을 증명하고 있다. This study relates to the application of the space and color which are applied to the welfare facilities. The facilities incorporating the design elements will be useful for the environment of users and healing, and furthermore, provide the basis for al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pe with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of welfare facilities that are increasing in number and promote active utilization of elements which play important role in physical, emotion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clients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the importance of space and color. Particularly, the space refers to the space of physical reality based on the x, y, and z axis, while the place is analogous to a kind of virtual space that is memorized by experience. Therefore, the space and place can be classified into the objectivity, subjectivity, uncertain place, and certain place. The concept of the space and place, perceived through such classification, can be re-created as multi-purpose facilities if such concept is applied to welfare facilities. In the same way, better environment can be provided by users if the color psychology is applied to welfare facilities. The color psychology has developed into a study related to the healing role of colors, and particularly it was proved that the color has an influence on visual and auditory processes, rhythm of breathing, cardiovascular, endocrine system and other physical functions. Such cases of foreign countries prove that the welfare facilities can create the possibility of healing by embracing the human psychology actively, if the space and color which are designed by reasonable intention are applied.

      • 연령주의 관점에 근거한 노인복지주택 거주민의 주거공간인식

        김나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2014 地理學論叢 Vol.59·60 No.-

        우리나라 노인복지주택은 고가의 분양가와 생활비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한정된 노인인구 집단만이 소비 할 수 있 고 거주 가능한 노인들은 시장경제 원리에 따른 노인차별적인 배타적 연령주의와는 무관한 집단으로 간주된다. 따라서 본 연 구에서는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주택의 공간적 속성을 규명하고, 연령주의 관점을 적용하여 거주민들 의 주거이동 메커니즘을 탐색 해 봄으로써 주거공간 변화가 거주민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미친 영향을 거주민의 주거공간인 식을 바탕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복지주택 거주민들은 대부분 고학력, 고소득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았고, 주 거공간 변화로 인해 주거 소비·생활 행태도 이전과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한편, 거주민들은 주거이동 이전과 이후 에 경험한 연령주의 인식 변화에 따라서 각기 다른 주거공간인식을 나타냈다. 거주민들의 주거공간인식은‘노화현상에 대처 하기 위한 공간’,‘ 연령주의로부터 분리된 공간’,‘ 연령주의를 지속시키는 공간’,‘ 연령주의를 유발하는 공간’등 4 가지 유 형으로 구분되어 나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인구 집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상관없이 공간 환경의 변화가 노인 들의 연령주의 인식에 강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노인들의 공간인식에 대한 이해 없 이 물리적 공급에만 치중 한 현 노인복지 주택 정책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서울시 노인종합복지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김석준,이특구 한국의료복지시설학회 2000 의료·복지 건축 Vol.6 No.11

        In western countries, the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people has developed, because of heavy cost and isolation problem in the society of institutional care basis. Since 1980,'home care for the elderly' has introduced in korea. One of them is 'Multipurpose senior center'. However it has built without rational spare programming and architectural planning analysis. Therefor,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function and space programming of multipurpose senior center

      • KCI우수등재

        복지국가는 사적 공간을 어떻게 식민화하는가

        한동우(Han, Dong-U),최혜지(Choi, Hye-Ji)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2

        이 논문은 복지국가가 사적 공간을 조절하는 기제를 밝히려고 시도되었다. 복지국가에 대한 성찰은 근대성에 대한 성찰과 제도에 대한 성찰로 구분된다. 근대성에 대한 성찰을 위해서 복지국가는 근대국가의 한 유형으로 가정된다. 이 논문에서는 복지국가에 배태된 근대성 요소들이 제도들에 어떻게 투영 되는지를 논증하고, 이를 통해 복지국가는 스스로의 토대를 이루었던 정치적 역동을 해체하고, 개인화된 사회에서 새로운 정치적 역동과 대면하게 된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제도의 총합으로서 복지국가는 제도 자체의 속성으로 인해 일종의 제도실패 상황에 놓이게 되며, 이는 개인과 가족의 제도의존과 결합한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복지국가가 기초하고 있는 근대성의 핵심요소를 계산가능성과 범주화로 파악 하고, 이 요소들이 복지국가의 제도화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또한 복지국가가 당면하 고 있는 새로운 사회적 위험을 외부성 위기로 파악하고, 이것이 근대국가로서의 복지국가의 내적 모순 과 결합하여 정합성 위기에 이른다는 점을 논증하였다. 끝으로, 복지국가는 시장과 시민사회에 대한 조절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 과정에서 복지국가는 정치공간을 분절화함에 따라 제도의 대상으로서 개인들은 정치공간의 외부에서 수급권을 둘러싼 지위투쟁에 골몰할 가능성이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tries to identify the regulating mechanism of the welfare states on the private sphere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When the welfare state is to be understood as an institutional arrangement which is based upon the 'modernity,'the reflectivity on the welfare state is about to be on the modernity and on the institutions as well. Authors assume the welfare state as an historical and developmental type of modern states. The critical components of modernity embedded in birth and growth of modern welfare states projected to their institutions are identified. Welfare states dissociates the political dynamics which have built the foundation of the welfare state itself, and faces against the new political dynamics of the individualized society. Finally, welfare state confronts the institution failure due to its intrinsic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tly individuals and families come across the institution dependency. Individuals in the overly rationalized spheres are being depoliticized, and they are identified themselves as the subjects of status-struggles of the institutions other than the subjects of the political dynamics of welfare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