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석사에 나타난 공간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 연구

        박현아 ( Park Hyuna ),윤재은 ( Yoon Jae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사찰인 부석사의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리좀적 경향으로 그 상관성을 밝혀 그 특성을 도출한다.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인 일주문, 천왕문, 범종각, 안양루, 무량수전의 배치특성을 분석하고, 부석사의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배치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분석의 기본안을 마련한다. 이는 부석사 공간 배치와 리좀화의 비위계적 관계성을 파악 할 수 있다. 부석사의 역사적 공간특성과 구성요소를 고찰하며, 리좀 이론을 바탕으로 부석사 공간의 특성 및 배치 특성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부석사의 대표적인 공간들을 비위계적 배치특성으로 구분하여 연구하려 한다. 부석사 공간의 배치를 형태적, 구조적, 의미적 관점의 분석으로 연구된 문헌조사와 현지답사를 토대로 부석사 공간에서 나타나는 리좀화 경향과 비위계적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배경과 목적을 밝혀 연구의 타당성과 의의를 제시한다. 둘째, 부석사의 공간의 배치에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개념을 공간구성 요소를 통해 연구한다. 셋째, 비위계적인 이론적 개념인 리좀에 대해 이론적 개념과 비위계적 특성을 연구하여 분석의 맥락성을 도출한다. 넷째, 각 도출된 결과를 구조축의 비위계화, 공간의미의 비위계화,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를 통해 부석사의 공간특성으로 나타낸다. 다섯째,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여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부석사를 기, 승, 전, 결 4단계로 수평적, 수직적으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구조축의 비위계화, 공간의미의 비위계화,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로 구분하여 나타난다. 구조축의 비위계화는 수평적 공간 배치 특성으로 나타나며, 기존 사찰건축에서 다른 비위계적 구조축을 가진다. 공간의미의 비위계화는 각각의 공간이 가지는 의미와는 다른 비위계적 공간의미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단면공간의 비위계화는 수직적 공간배치 특징으로 나타나며, 수직적 레벨차이와 다른 비위계적 공간배치를 가진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부석사의 건축 특성과 구성요소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리좀 철학을 배경으로 비위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끝으로 한국 사찰건축 선행연구가 불교사상과 전통건축의 형태적 측면으로 많이 치중되어왔으나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사찰건축 연구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으로도 한국 사찰 건축이 현대적 관점으로 연구되어 이 시대가 필요로 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제시되길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defines rhizomal tendency and correlation of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lple, one of the main Buddhist temples in Korea. We analyze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Iljumun, Cheonwangmun, Beomjonggak, Anyangru, and Muryangsujeon,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Buseoksa Temple, and devise a basic plan of analysis to study the rhizomization tendency and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This will allow us to grasp the non-hierarch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rrangement of Buseoksa Temple and its rhizomal tendency. The historical spati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Buseoksa Temple were reviewed,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nd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were deriv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hizome theory. (Method)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representative spaces of Buseoksa by dividing them into non-hierarchic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We tried to clarify the rhizomization tendency and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the Buseoksa space based on various literature surveys and field trip studies. The procedure is as follows: First, validity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proposed through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Second, general concepts of Buseoksa Temple’s space is studied with its spatial constituent elements. Third, we derive the context of the analysis by studying the theoretical concept and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of rhizome. Forth, each derived result is expressed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eoksa Temple through de-hierarchicalization of structural axes, de-hierarchization of spatial meaning, and de-hierarchization of sectional space. Finally, conclusion is present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Buseoksa by dividing it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to four stages of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it appears as a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a non-hierarchical spatial meaning, and a non-hierarchical sectional space. The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appears as a characteristic of horizontal space arrangement, and has a different non-hierarchical structure axis in the existing temple architecture. The non-hierarchical meaning of space has a non-hierarchical spatial meaning different from the meaning of each space. Finally, the non-hierarchical arrangement of the cross-sectional space appears as a characteristic of vertical space arrangement, and has a non-hierarchical arrangement different from the vertical level difference. (Conclusions) We theoretically examine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constituent elements of Buseoksa Temple, and derived its non-hierarch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rhizome philosophy. Although prior research on Korean temple architecture mainly focused on morphology, we expect a novel study theme of Korean temple architecture study. We anticipate abundant study of Korean temple architecture via modern perspective that can present a novel spatial philosophy which modern society will learn from.

      • KCI등재

        경상도지역 고려시대 토광묘의 공간배치 변화에 대한 연구

        이재철 한국문화유산협회 2013 야외고고학 Vol.0 No.17

        고려시대 경상도지역은 5道 兩界 중 하나의 지역단위로서 크게 東京, 尙州牧, 晋州牧이 경상도지역을 분할하여 각 지역을 관할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지금의 경주, 상주, 진주가 중심이 되어 각 관할구역을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고는 최근 다수의 고려시대 토광묘가 조사된 경상도지역을 중심으로 구조적, 공간적 배치양상을 분석함으로서 고려시대 토광묘의 변천 및 공간배치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경상도지역을 크게 東京과 그 관할구역, 尙州牧과 그 관할구역, 晋州牧과 그 관할구역으로 설정하였다. 이후 토광묘의 속성 중에서 요갱과 묘역시설을 통한 분석을 시도하여,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尙州牧과 그 관할구역에서 요갱과 묘역시설을 갖춘 토광묘가 일찍 등장한다. 이를 통해 경상도지역 중 요갱과 묘역시설을 갖춘 토광묘는 尙州牧과 그 관할구역에서 가장 먼저 수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배경에는 尙州牧과 그 관할구역의 지리적 특성과 교통로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공간적 배치양상은 시간성을 반영하며 사회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배치양상의 변화는 무질서한 공간적 배치에서 가족중심적인 배치로 변화되었고 나아가 집단적인 공간적 배치양상으로 변화되고 있다. 10세기에서 11세기 후반의 토광묘는 비교적 소규모로 축조되고 능선을 자유분방하게 사용하며 분묘간의 이격거리가 비교적 멀리 떨어져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집단적인 모습으로 보기보다는 개별적성향이 강한 배치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무질서한 공간적 배치양상은 고려시대에 새롭게 도입된 토광묘에 대한 습속된 장묘문화가 없었던 이유가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다. 12세기에서 13세기 중반의 토광묘는 전 시기와 큰 차이점은 없지만 동일묘역에 20기미만의 토광묘가 축조된다. 당시 무신정변과 같은 내적문제로 인해 토광묘 축조계층의 범주가 일부 확대됨에 따라 토광묘의 개체수가 증가하고 또 동일묘역에 다수의 토광묘가 축조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13세기 후반에 들어서게 되면서 다양한 공간적 배치양상이 나타나게 된다. 그중에서도 일자형의 공간적 배치양상은 당시 개경에서 유행하는 족분법이 지방으로 전파되고 지방의 토광묘 축조세력이 이를 수용하게 되면서 동일 묘역에 일자형의 공간적 배치양상으로 나타난다. 이후 점차 개별적인 성향의 공간적 배치양상은 사라지고 혈연적 또는 집단적인 배치양상으로 변화된다. 삼각형의 공간적 배치양상은 다수의 토광묘가 동일묘역에 축조되면서 나타나는 집단적인 공간적 배치양상이다. 이는 신분계층의 동요가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가속화되었고 또 지방사회의 축조계층간의 상호관계와 대립이 복합하게 얽혀 나타나는 공간적 배치양상이라 할 수 있다.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Gyeongsang-do area was mainly divided into the territories of Donggyeong, Sangjumok and Jinjumok.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it buri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 burial structure and spatial arrangement of the burials of each regional territory. The burial structure of the pit burials were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according to inner and outer facilities.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at, at the beginning of 12th century, the territory of Sangjumok had been the quickest to accept cultural elements. Spatial arrangement was classified into 4 categories and diachronic change in terms of spatial arrangement was also investigate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re was an absence of spatial organization in the spatial arrangements of Phase I, and the same could be observed for the next phase, Phase II. However, as the distance between tombs became shorter, owing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it burials, a different type of spatial arrangement appeared. At the beginning of Phase III, the spatial arrangement of burials took on a variety of forms. In the case of the b-type, an official who had worked in the central government established his burial ground in the local area and adopted the jokbun method, a method which later came to be adopted by members of the local elite. As a transitional mode of spatial arrangement, the c-type demonstrates a method that stresses the communal element. The d-type illustrates a spatial arrangement with much shorter distances between burials – this is because a greater number of pit burials were built within the same grave boundaries. If we investigate aspects of class with regard to spatial arrangement, the a-type of Phase I can be seen to have been adopted by the middle class while the a-type of Phase II was adopted by the middle class and a few members of the noble class. The b-type of Phase III is considered to be of the middle and noble classes. The c-type is understood to have been used by the middle class and the noble class, while the d-type is seen to have been used by the noble class and middle class.

      • KCI등재

        A Study on the Utility of Furniture Configuration for Reading Spaces i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User Experience

        인스후이 ( Yin Sihui ),김철수 ( Kim Chul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대학 도서관은 캠퍼스 공간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현대 사회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도서관 각 공간의 배치도 다양한 변화를 겪고 있다. 대학 도서관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인간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가구 배치의 효용은 공간 개조 과정에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본 논문은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세 국립대학의 중앙도서관 열람 공간 가구 배치의 효용을 조사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결론을 도출하였다. 향후 도서관 개조에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연구방법) 선행 연구 자료 등의 문헌을 통해 사용자 경험, 효용 및 가구 배치의 개념을 확립하였다. 대학도서관 열람공간의 가구 배치에 대해 사용자 경험 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결과를 정리 및 분석하였다. 사용자 경험과 효용을 기반으로, 대학도서관 열람공간의 가구 배치 평가 요소와 내용을 분석하고 요약하였다. 부산에 위치한 세 국립대학 중앙도서관을 사례 대상으로 하여 현장조사를 진행한 후, 이전에 도출된 요소와 평가내용을 활용하여 열람공간의 가구배치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향후 대학도서관 개조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결과)사례 대상의 비교 분석을 통해, 사례 대상의 가치성이 모두 상위 두 순위에 있다는 것을 발견했으며, 이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국립대학도서관의 열람공간 가구 배치가 모두 사용 가치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부산대학교와 부경대학교는 접근성에서는 최하위 점수를 받았다. 또한 부산대학교와 해양대학교의 편리성 역시 최하위 점수를 받았는데, 이는 편리성의 중요성을 입증할 뿐만 아니라 열람공간의 가구 배치에서 편리성을 고려한 시설이 아직 충분하지 않으며, 사용자 경험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나타낸다. (결론) 대학 캠퍼스의 중요한 공간으로서 대학도서관의 열람공간은 다양한 기능적 구역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여러 요구를 충족시키고, 서비스의 다양성을 실현하며, 가구 배치의 효용을 높여야 한다. 사용자의 선호와 실제 사용의 편리함을 기반으로 각 지역의 크기와 면적을 개선하는 것을 가속화하고, 개인적인 열람공간의 가구를 늘려야 한다. 향후 도서관개조에서는 편리성과 접근성을 높여, 쾌적하고 편안하며 다양한 이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공간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furniture configuration of library spaces has changed in various ways due to rapid contemporary development. University libraries play an invaluable role. To provide human-centered services based on user experience, it is essential to consider the utility of furniture configuration in the whole process of space renovation. In order to offer user-centered services based on their experience, it is crucial to take into account the usefulness of furniture configuration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space re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valuation elements and content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and utility, and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research objects, in order to provide reference for the future library renovations. (Method) The concepts were established through literature on user experience, utility, and prior research data related to the types and classifications of furniture in libraries. A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urniture configuration of reading spac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ased on user experience and utility, and the elements and contents of the evaluation were summarized. After conducting an on-site survey, the author analyzed the current configuration of reading space furniture using previously derived elements and evaluation criteria. Then the author drew conclusions and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nov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Results) The analysis reveals that all case objects were ranked within the top two in terms of value. This suggests that all furniture configurations for reading spaces in national university librar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are highly useful. According to the questionnaire surve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Pukyong National University received the lowest scores in accessibility, indicating that users believe the library reading space furniture configuration affects accessibi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need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hen configuring library reading space furniture. However, it is clear that the facilities for configuring space furniture are incomplete and require improvement to enhance accessibility.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improve these facilities based on user experience. (Conclusion) University library reading spaces are essential and should provide various functional partitions to meet diverse user needs and offer a range of effective services. Furniture configuration must be effective and diverse. To enhance user experience and convenience, it is necessary to expedite the expansion of each area and increase private study spaces in future library renovations. Efforts should be made in the future renovation of the library to improve convenience and accessibility and to make it comfortable and convenient for the needs of a diverse range of users.

      • KCI등재

        중국 취부(曲阜) 공자묘 건축의 배치계획에 관한 연구

        곽항걸,이건하,김영은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6 No.3

        본 논문에서는 발전과정으로부터 공자묘를 가묘(家庙), 국묘(国庙) 겸 가묘(家庙), 국묘(国庙), 학묘(学庙)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국묘 겸 가묘인 취부(曲阜) 공자묘를 기타 유형의 공자묘와 비교연구하여 배치형식의 특징을 아래와 같이 도출하였다. 1. 취부(曲阜) 공자묘는 학의 공간이 없고 행단(杏坛) 건물을 배치하였다. 2. 취부(曲阜) 공자묘와 쟈센(郏县) 공자묘의 전도공간(前导空间)에서 배치 요소 공통점이 가장 많다. 3. 공자묘의 대성전은 모두 대성문 안에 배치 되고 양측에 회랑을 둘러치는 배치형식을 사용하였다. 4. 공자묘는 묘의 공간에서 큰 차이를 나타나지 않고 학의 공간에서 격을 표현하였다. 5. 청나라시기 이후부터 공자묘 전도공간(前导空间)과 후속공간(后续空间) 배치에 대해 변화를 하였고 부속된 배전들은 파괴로 인해 없어지는 경우가 있다.

      • 星州 한개마을 空間構成 및 配置特性에 관한 연구

        이현병 부천대학 2003 論文集 Vol.24 No.-

        주거건축에 대한 최근의 경향은 자연 친화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표현되는 건축공간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집합주거의 배치계획에서 이러한 현상은 집중적으로 나타나며 거주자에 최적의 생활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개념에서 출발한다. 자연친화적 건축요소는 한국의 전통건축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그 적용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전통마을의 공간구성 및 배치계획에 나타난 특성을 고찰하여 현대 주거건축의 공간계획에 적용 가능한 요소들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마을로 선정한 한개마을은 한국전통 씨족마을로 마을의 입지 형태가 분명하고 공간구성이 체계적이어서 본 연구에 적합한 마을이었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마을공간은 자연의 지형, 지세를 최대한 활용하여 주거지의 터를 정하고 구성하였다. 마을공간은 6개의 지역으로 분류되는데 이 지역에 접근하는 도로의 구성체계는 자연지형에 따른 경사에 의하여 이루어져 대지에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현대의 기능적이고 경제성을 우선으로 계획되어지는 직선형 위주의 도로체계와 구분되며, 건물배치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 및 좌향으로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건축배치의 주축은 마을의 향인 남서방향에 일치하며, 주택의 좌향은 대부분 남서향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의 주거계획은 남향을 최우선으로 정하여 공간을 배치하는 경향과 대조되는 요소로 한국의 전통건축은 마을입지 및 주변 환경을 고려하여 건축계획이 이루어졌음을 입증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한국 전통주거는 자연환경의 보존과 더불어, 인간과 유기적인 관계를 설정하여 공간이 구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현대의 주거계획은 건축물 입지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통하여 거주자의 생활 및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이루어 지리라본다. Recent housing construction trend expresses its architectural space, after incorporating nature-friendly elements. The trend is on the increase in multiple dwelling houses layout, based on concept of providing optimum living space for dwellers. The nature-friendly building elements are expressed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various modes, and numerous research attempts on its application methods have been mad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elements applicable to space planning of modern residence building, by examining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space construction and layout plan of traditional Korean villages. Hangae Village selected as research target is a traditional clan village and its form of location obvious, and space composition systematic, making this village ideal for this research. The major contents of research are as follows. The residential building lot was determined and the space composed in full utilization of topography and terrain of nature. The village space is divided into six zones and composing systems of roads accessing the zones follow slopes of natural topography easily accessible. This system differs from modern straight-line road system planned on function and economy basis, and has advantage of accommodating various shapes and directions in buildings layout. The principle axis of building layout corresponds with southwestern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village, and the direction of the houses mostly southwestern. This is the element conflicting with modern trend wherein space is laid out in houses facing south and this proves traditional Korean houses were planned in consideration of the location of village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In traditional Korean residence, space was constructed after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organic relations with mankind first considered. In conclusion, modern residence planning will be finaliz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life of residents and the space through accurate analysis of the location.

      • KCI등재

        국내 광역시청사의 시민문화공간 배치 특성에 대한 연구

        류혜지 ( Hyeji R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광역시청사는 공공청사 중에서 광역시를 대표하는 곳이며, 지방자치시대 이후 업무 공간으로 이용하는 공무원과 지역주민들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지역주민이 사용하는 기능을 넓히고 편의를 제공하면서,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에 이용할 수 있는 시민문화공간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광역시청사에서 나타난 시민문화공간의 배치 특성에 대해서 조사, 분석하여 시민문화공간을 활용한 미래지향적인 광역시청사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국내 8개의 광역시청사 중에서 선행연구를 한 3곳을 제외한 대구광역시청, 인천광역시청, 울산광역시청, 서울특별시청, 세종특별자치시청 5곳을 조사하였다. 그 후, 선행 연구에서 진행한 광역시청사를 포함한 8개의 국내 광역시청사에 대한 시민문화공간 배치 특성에 대해 종합, 비교 분석을 하였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로 진행되었다. (결과) 첫째, 이전연도에 따라 시민문화공간 활용 정도가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2010년 이후부터 시민문화공간 개념이 적용되면서 시민들을 위한 문화공간이 적극적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8개의 광역시청사중에서 서울특별시청이 가장 많은 시민문화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적극적으로 공간에 활용하고 있었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상 1층에 광역시청사 모두 시민문화공간이 위치해 있었고, 다음으로 지상 2층 이상, 지하 1층 이하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넷째, 5가지 시민문화공간 기능 중에서는 지하와 지상 1층 모두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기능이 가장 많았고, 지상 2층 이상은 공동체 의식 강화 기능과 지역 정체성 확보 기능이 공통으로 가장 많았다. 다섯째, 공간 중에서는 지하는 구내식당, 지상 1층은 은행, 지상 2층 이상은 전망대가 가장 많았다. (결론) 첫째, 시민문화공간은 지역주민들이 접근하기 가장 좋은 지상 1층과 건물의 고층을 적절히 이용하여 시민문화공간으로 확대해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서울특별시청은 시민문화공간의 기능과 시설을 많이 활용한 우수한 공간 구성이며, 앞으로 여러 공공청사와 광역시청사 디자인에서 지역주민들을 위한 시민문화공간 디자인을 할 때 많은 참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미래의 광역시청사는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생활 중심의 기능이 확장되면서 시민문화공간이 다양하게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increasing needs of citizens' cultural spaces that can be used for cultural activities of local residents are expanding the functions used by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convenien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oriented metropolitan city halls utilizing civic cultural space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civic cultural space in Korea metropolitan city halls.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aegu City Hall, Incheon Metropolitan City Hall, Ulsan City Hall, Seoul Metropolitan City Hall, and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Hall, except for three previous studies. Afterward, a comprehensive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ivic cultural space arrangements for eight domestic metropolitan city halls, including the metropolitan city hall that was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 method was review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Results) First, the degree of use of civic cultural space varies according to the previous year. Since 2010, the concept of civil cultural space has been applied, and cultural space for citizens has actively expanded. Second,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the most civic cultural space among eight metropolitan city halls and actively used it. Third, citizens' cultural spaces we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above the ground where local residents had the best access, followed by two floors above ground and one floor below ground. Fourth, among the five civic cultural space functions, convenience facil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were the most frequently provided ones on both the basement and ground floors, and the two most common functions were to strengthen community consciousness and secure local identity. Fifth, among the spaces, the cafeteria was on the basement, the first floor above the bank and the second floor above the observation deck. (Conclus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ivil cultural space by using the ground floor and the high floor of the building, which the local residents can access more. Second, the excellent space composition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utilizes many functions and facilities of civil cultural space. It is considered as a great reference for including civil cultural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the designs of various public buildings and metropolitan city buildings. Third, the future metropolitan city hall should expand the cultural space in various ways as the function of the cultural life center for local residents expands.

      • KCI등재후보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배치 및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임은영,황연숙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6 No.1

        고령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도시형 실버타운의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도시형 실버타운의 노인 거주자들은 사회활동과 친교활동이 점차 감소하는 연령대이므로 도시형 실버타운의 공용공간은 노인들의 건강과 일상생활을 지원하고 사회성향상을 돕도록 계획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형 실버타운 공용공간의 공간배치 특성을 평면배치와 입면배치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평면배치는 다양하였으나 입면배치의 경우는 집중형과 연계형이 가장 많았다. 둘째, 공용공간은 편의, 친화, 교육, 운동, 의료공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각 실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설치되어 있었으나 옥외공간의 활용은 낮은 편이었다. 셋째, 공용공간 각 실의 공간특성은 각 실의 성격에 적합한 공간분위기가 연출되고 있었으나 가구 및 시설물은 노인의 신체적 특성을 배려하여 보다 안전하게 계획되어야 한다. There has recently been a increasingly faster development of city-like silver towns as a result of aging and urbanization. Since the elderly residents of city-like silver towns are at an age range in which they experience decrease in social activities, there is a need for public spaces to support their health and everyday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ation of the 2D spacial arrangement and 3D spatial arrangement, while the 2D arrangement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s, the 3D spatial arrangement was comprised mainly of the focused type and the connected type. Secondly, public spaces are categorized into spaces for convenience, socializing, education, exercise and medical support, and there was a low level of usage of outdoor space. Thirdly, while the interior of these spaces were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paces, there needs to be a higher level of consideration for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order to better ensure their safety.

      • KCI등재

        테마파크의 시설배치유형이 길찾기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 -가상현실공간기법의 적용-

        오훈성,최승담 한국관광학회 2013 관광학연구 Vol.3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facility layouts on the difficulty of wayfinding in theme parks utilizing virtual reality techniques. Two hypotheses were formulated: 1) A radial facility layout in theme parks is easier for visitor's wayfinding than a circular facility layout and 2) The influence of types of theme park layouts on visitor's difficulty for wayfinding differs depending on visitor's ability for wayfinding. To test the hypotheses, experiments were conducted utilizing a virtual reality technique. Two virtual theme park spaces, featuring the two types of facility layout were formulated. Other variables, such as total length of route and types of facilities, were identical. After the experiment, each student's level of wayfinding ability was measure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statistical analysis supports the two hypotheses, meaning types of theme park facility layout influence the visitors difficulty for wayfinding, an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facility layout and visitor ability for wayfind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nd future research suggestions were made. 본 연구의 목적은 테마파크의 공간인지에 영향을 주는 시설배치 유형과 길찾기 난이도의 관계를 가상현실공간기법을 적용하여 규명하는데 있다. 관련 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시설배치, 공간인지, 길찾기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들은 첫째, ‘테마파크 시설의 배치유형중 방사형 구조에 의한 시설배치가 순환형 구조에 위치한 시설배치보다 길찾기가 용이하다’이며, 둘째는, ‘테마파크 시설의 배치유형이 테마파크 길찾기 난이도에 미치는 영향은 평소 길찾기 능력에 따라 다르다’이다. 가설의 검증을 위하여 가상현실공간 기법이 활용되었는데, 유사한 면적 및 시설 구성하에서 테마파크 배치방식에 있어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방사형과 순환형의 가상공간현실이 조성되었다. 실험에서는 테마파크 시설배치 유형인 방사형 구조와 순환형 구조에 각 50명씩 개별적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종료 후 참가자의 평소 길찾기 능력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결과 두 개의 연구가설이 지지되었다. 테마파크의 시설배치유형이 길찾기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고, 영향도는 개인의 길찾기 능력에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와 함께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계 속의 공간 -"헤테로토피아(heterotopie)", 사이버스페이스 그리고 연극

        이선형 ( Sun Hyung Lee ) 한국드라마학회 2014 드라마연구 Vol.0 No.42

        Avec l’elargissement de l’internet, la notion de l’espace se changait enormement. Les contemporains font egalement l``experience du changement de l’espace. Par exemple, le syberspace, porte-parole de l’internet, existe n’importe ou, a la fois n’existe jamais. Personne ne peut tourner le dos au syberspace, car tout le monde y vit et tous les phenomenes du monde entrent en liaison avec ca, on ne peut comprendre des courants mondiaux sans reconnaissances du syberspace. Les arts de l’espace comme theatre, danse, beaux-arts, cinema, photo se transforment aussi en d’autres figures dans le nouvel espace du syberspace. On ne peut vivre maintenant sans avoir la nouvelle forme de vie en tete. Quand on parle de la relation des arts avec le syberspace, c’est vrai que les arts visuels comme beaux-arts, cinema, photo deviennent l’objet essential. Pourtant dans la mesure ou des performances acceptent volontierement des medias d``image, on doit faire l’attention a l’espace de la nouvelle forme dans ce domaine. La connaissance historique-philosophique de Michel Foucault sur l’espace nous offre l``occasion de penser des possibilites de la greffe des performances avec la nouvelle conception de l’espace. Foucault qui enonce que l’espace est principal a la fois pour la forme de vie dans la communaute et pour l’usage du pouvoir, discute de l’histoire de l’espace a travers des etudes sur l’hopital et la prison. Selon lui, l’autorite de l’espace etablie par les relations parmi politique, societe, economie et histoire, c’est l’histoire de la modernite. On peut encore une fois confirmer le point de vue spatial de Foucault dans le concept de l’heterotopie. Dans le dictionnaire, l’heterotopie se definit comme ‘localisation physique de l’ utopie’. Elle est l’espace heterogene de nature differente, et elle est differente de la realite comme lieu du cinema et du theatre. Ce qui est interessant, c’est que l’utopie est sans cesse representee par l’image et que l’heterotopie cherche a cette image representee. Par la, quand on considere le syberspace, compose d``elements heterogenes, le syberspace qu’on ne peut rencontrer personne, mais qu’on peut prendre contact avec n’importe qui, et a la fois exterieur et interieur, on peut dire qu’il n’est d’autre que l’heterotopie. Alors dans le moment ou le theatre contacte le syberspace a travers des medias d``image, l’espace scenique va devenir l’heterotopie. Alors celui-ci n’est autre qu’une scene de deterritorialization cree par Gilles Deleuze et Felix Guattari dans Anti-Oedipus (1972). Si le theatre est arrange par le batiment construit severement, ca serait l’emplacement selon Foucault et la territorialization selon Deleuze. Le terrotorisation politique se trouvait deja dans la forme du theatre en Rome et en Grece. Si le but politique de la tragedie grecque est une formation des citoyens raffines, cela aurait rapport a la territorisation de l’espace theatral. Le theatre moderne etant a l``extreme a cette territorisation, l’heterotopie nous donne l’occasion d’y repenser. 인터넷의 영역확장과 더불어 공간개념은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현대인은 실제 몸으로 공간의 변화를 체험하고 있다. 이를테면 인터넷의 공간으로 대변되는 사이버스페이스는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지만 어디에나 존재한다. 현재사이버스페이스를 외면할 수 없는 까닭은 예외 없이 모두가 그 속에 거주하며,세상의 모든 현상들과 상호관계를 맺으며, 사이버스페이스를 인정하지 않고서는 현대의 제반 현상들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공간예술인 연극, 무용, 미술, 영화, 사진도 무형의 공간, 새로운 개념의 공간인 사이버스페이스로 인해 엄청난 변화를 겪고 있다. 새로운 삶의 패턴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는 예술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사이버스페이스와 예술의 관계를 언급할 때 영화, 사진, 미술과 같은 시각 예술이 그 중심을 차지하지만, 문명의 거대한 흐름이 사이버스페이스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점, 공연예술에서도 영상매체를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연예술에서 새로운 형태의공간은 주의 깊게 다루어야 할 주제이다. 공간에 대해 푸코의 역사철학적 인식은 어떤 방식으로 공연예술이 새로운개념의 공간과 접목할 수 있는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한다. 공간을 사회적 공동체의 삶의 형태에서 뿐 아니라 모든 권력 행사에 있어 근본적인 것으로 규정한 푸코는 병원이나 감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의 역사를 쟁점화 한다. 말하자면 정치·사회·경제·역사의 관계 속에서 생성된 공간의 권력화가 근대의 역사라는 것이다. 공간에 대한 푸코의 일련의 관점은 특히 ‘헤테로토피아’의 개념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헤테로토피아는 공연예술과 사이버스페이스의 관계 설정에 있어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의 대상이 된다. 공간의 분배와 배치에 대한 인간의 욕망과 집착은 공간의 소유 및 권력 구조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생물의 목록화, 개념의 분류화, 정의로 범주화처럼 상위체계에서 하위체계로의 일목요연한 배치로 인간을 분류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푸코의 근본적인 생각이다. 헤테로토피아는 자체적으로 이질적인 공간이며 일상 속에 있지만 일상과 다른 공간이다. 영화관이나 공연장처럼 입구에 들어서는 순간 조금 전의 세상과 완전히 달라지는 공간이며, 유토피아가 현실적으로 나타난 공간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유토피아는 이미지로 재현되고 있다는 것이며, 그 재현된 이미지를 찾아 헤테로토피아가 유목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사이버스페이스를 고려하다면 사이버스페이스야 말로 이질적인 것들로 가득 찬 공간이다. 누구와도 접촉할 수있지만 누구와도 만날 수 없는 공간, 내부에 있으면서 외부에 있는 공간이 바로 헤테로토피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극이 이미지 매체를 통해 사이버스페이스와 접속하는 순간 극 공간의 헤테로토피아화(化)는 더욱 확산되고 가속화될 것이다. 사이버스페이스는 탈영토화된 무대에 다름 아닌 것이다. 연극이 엄격하게 건축된 건물(극장)에 배치(감금)된다면 그것은 일종의 의도된 배치이자 영토화가 된다. 여기에 정치적 힘이 작동한다면 그것은 관객을 영토화시킬 뿐 아니라 영토에 고착화시키고 사회 체제에 순응시키려는 고도의 정치적 의도가 들어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지정학적 영토화는 고대 그리스 야외극장이나 로마 극장 형태에서도 이미 그 모습이 발견된다. 카타르시스를 앞세운 비극의 정략적 목적이 정제된 시민을 육성하는 것이라면 이는 극장의 영토화와 무관하지 않다. 이 점에서 현대연극은 거의 극단적인 수준에 와 있다. 그런 점에서 탈영토화인 헤테로토피아는 연극의 공간을 재고하도록 한다.

      • KCI등재

        전상국의 「동행」에 구현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

        김민옥(Kim Min-Ok)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8 No.-

        이 연구는 전상국의 「동행」에 나타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식을 살피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전상국 소설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은 대부분 고통의 감정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 고통은 고통 그 자체로 머무는 것이 아니라 혐오, 자기처벌을 거쳐 연민의식으로 확장되는 양상으로 드러나는 경우가 많고, 또한 작가가 직조해 낸 공간 구조와 이 연민의식이 얽혀서 소설적 의미망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작품 속에 드러난 공간 배치 전략과 연민의 감정이 어떻게 연결되며 어떤 과정을 거쳐 그 의미를 형성하는지 파악한 다음, 이것이 작가의식을 어떤 방식으로 드러내는지 규명하기 위해 루드비히의 공간 이론과 고통을 핵심 감정으로 삼는 누스바움의 연민론을 방법론으로 적용하였다. 「동행」은 눈길을 따라 ‘개울→산비탈→고갯마루→내리막길(갈림길)’로 공간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고갯마루를 정점에 두고 상승과 하강 곡선을 이루며 동행하는 여정에서 두 인물의 고통이 발현되며 그 고통을 통해 공감하고 연민에 이르는 과정이 드러나고 있다. 육체적 고통이 전제된 ‘개울’과 ‘산비탈’의 공간 배치는 형사의 관찰자적 시선을 자연스럽게 형성하고 비좁고 상승하는 조율된 공간을 형성하여 주인공의 고통을 발현시키고 강화하고 있다. 고갯마루에서는 억구의 고통에 대한 형사의 공감이 수치심과 자기처벌의 의미를 지닌 ‘광’과 ‘담’의 상징적 공간 배치를 통해 형성되고 있다. 내리막길은 눈이 내리는 설정과 맞물려 고통을 전제한 ‘개울-산비탈’과 대조적인 의미를 형성하면서 연민의식이 실현되는 공간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주인공들의 목적지인 ‘와야리’까지 향해 나아가는 눈길의 공간 배치는 상승과 하강의 대립을 전제하면서 넓은 곳에서 점차 좁아지는 형상을 보이다가 다시 넓어지는 특성을 보이면서 인물들의 고통을 발현하고, 자기처벌을 공유하도록 만들면서 눈의 의미망을 형성하여 공감을 통해 연민의식에 이르는 또 다른 ‘길’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This thesis started with the purpose of examining the spatial arrangement strategy and compassion in Jeon Sang-gu’s 「Companion」. Most of the protagonists in Jeon Sang-guk’s novels express emotions of pain, and this pain does not remain in the pain itself, but rather expands through disgust and self-pity to a sense of compassion. This is because the spatial structure and this sense of compassion are intertwined to form a novel meaning network. In this study, Ludwig’s space theory and suffering are the key to understand how the composition and compassion of space revealed in the work are connected and through what process they form their meaning, and to analyze how this concretely reveals the artist s consciousness. Nussbaum’s compassion theory was applied as a methodology. In 「Companion」, the space moves from ‘Stream → Mountain slope → Pass crest → Downhill(crossroads)’. The process of becoming empathetic and compassionate through the pain is being reveale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stream’ and ‘mountain slope’, which presupposes physical pain, naturally forms the detective’s observer’s gaze and creates a narrow and ascending coordinated space to express and reinforce the suffering of the protagonist. At the top of the hill, the detective’s sympathy for the suffering of the scourge is being formed through the symbolic spatial arrangement of ‘gwang’ and ‘dam’, which have the meaning of shame and self-punishment. It can be seen that the downhill road is arranged as a space where a sense of compassion is realized while forming a contrasting meaning with the ‘stream-mountain slope’ that rises to the top of the pass in conjunction with the setting of snow. In the end, the spatial arrangement of the eyes leading to the main character’s destination, ‘waya-ri’, assumes the confrontation between ascending and descending, showing a gradually narrowing shape in a wide place and then widening again, expressing the suffering of the characters, causing pain and self-esteem. While sharing punishment, they are creating another ‘path’ to compassion through empathy. In this way, Jeon Sang-guk suggests that, above all else, compassion is required to save human beings who are vulnerable to suffering through 「Companion」. In other words, human beings, who are fundamentally vulnerable to each other’s pain, can move forward with compassion by sharing each other s pain, revealing the author’s consciousness that pain and wounds can be healed through compa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