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속유도기의 두께 및 위치 변화에 따른 자동차용 BALL STUD의 고주파열처리 경화 깊이에 관한 연구

        최지석,이무연,이상호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자속유도기는 자장을 차단하는 연자성 분말을 소결 가공한 차폐재로, 고주파 열처리 코일에 부착하면 부착 부위의 자장을 차단하게 되고 개방된 부분에 자장을 집중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고주파 열처리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력선을 제어할 수 있는데, 자속유도기에 대한 국내 연구가 미흡하며, 코일 제작시 시행착오를 통한 현장맞춤식 설계로 코일을 제작하고 있는 실정으로 효과적인 자속유도기 설계 기준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주파 열처리 산업의 주요 구성요소인 고주파열처리 코일의 자속유도기의 두께 및 위치 변화에 따른 자동차용 BALL STUD의 고주파열처리 경화 깊이를 비교 분석해 보고, 전자력선의 정밀한 제어를 통해 BALL STUD 고주파 열처리시 품질관리가 용이하도록 자속유도기 설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은 자동차 서스펜션 시스템에 사용되는 SCM435소재 BALL STUD의 구와 목 부위를 고주파 열처리하는 코일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주파수 100Khz 고주파설비에서 가열시간을 4초로 동일하게 수행하였다. BALL STUD와 코일간의 간극은 2mm로 제작, 설치하였다. 첫 번째로 자속유도기의 두께를 1~10mm로 부착하여 열처리했을 때 각 조건별 샘플 10ea의 경화 깊이를 측정하고 두 번째로 자속유도기의 부착 위치마다 두께 1~10mm로 달리하여 열처리했을 때 각 조건별 샘플 10ea의 경화 깊이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는 100Khz 고주파 설비에서 고주파열처리 코일에 자속유도기 부착시 전자력선 조정에 효과적인 두께와 부착위치를 제시한다. 또한, 자속유도기 두께와 부착위치에 따른 고주파열처리 경화 깊이 데이터를 통해, 하나의 고주파열처리 코일에 자속유도기 부착을 달리하여 각각 다른 형상의 BALL STUD를 고주파열처리 할 수 있는 공용 코일의 설계 기준을 제시한다.

      • SCOPUSKCI등재

        구연 : 소간암 환자에서 고주파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 비교

        홍성노,최문석,이준혁,고광철,백승운,유병철,이종철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소간암의 치료법으로는 수술적 절제가 가장 높은 완치의 기회를 제공하는 치료법으로 인정 받고 있으며 경피적 알콜 주입술보다 더 좋은 치료 성적을 보임이 보고 되고 있다. 최근 사용되는 고주파 열치료는 경피적 알콜 주입술보다 종양의 완전 괴사율이 높고 국소재발율이 낮아 수술적 절제에 버금가는 치료 성적이 기대되지만, 아직까지 고주파 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를 비교한 연구는 보고 되고 있지 않다. 이에 연자 등은 소간암의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와 수술적 절제의 치료 성적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2년 3월까지 간암으로 진단받고 수술적 절제 혹은 고주파열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 중 간암의 크기가 3 cm 이하, 개수가 3개 이하이면서 이전에 간암에 대한 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로 Child-Pugh 점수가 5점인 환자들 중 시술 또는 수술 후 1개월째 시행한 영상학적 검사에서 완전 괴사나 완전 절제가 확인된 경우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들을 대상으로 국소 재발률, 원격 재발률 및 무병생존율과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비교하였다. 고주파열치료를 시행받은 환자는 총 63명(남:여=49:18, 평균연령=56.5세)이었으며, 수술적 절제를 시행 받은 환자는 총 102명(남:여=83:19, 평균연령=51.7세)이었다. 추적 관찰기간의 중위값은 고주파열치료군이 22개월, 수술군이 24개월이었다. 결과: 1) 국소 재발률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국소 재발률은 각각 1.5%, 6.9%, 19.9%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1.0%, 1.0%, 1.8%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2) 원격 재발률-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원격 재발률은 각각 25.4%, 50.4%, 63.4%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20.9%, 38.5%, 45.8%으로 양군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0). 3) 무병 생존율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71.6%, 44.5%, 35.6%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79.1%, 61.5%, 54.2%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 4) 생존율 - 고주파열치료군의 1년, 2년, 3년 생존율은 각각 98.4%, 86.7%, 73.6%였으며, 수술군의 경우 각각 97.0%, 90.7%, 85.4%로 양군간에 통계학적 유의성이 보이지 않았다(p=0.28). 결론: 소간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고주파 열치료는 수술적 절제에 필적하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미로술식의 성적향상을 위한 새로운 기구의 개발

        박남희,유양기,이재원 대한흉부외과학회 2004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7 No.6

        Background: The sinus conversion rate after the maze procedure in chronic atrial fibrillation using radiofrequency energy is lower than with either conventional 'cut and saw' technique or cryothermia. The creation of incomplete transmural lesions due to poor tissue-catheter contact is thought to be the main cause. To address this problem, the current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pecially constructed compression device designed to enhance tissue catheter contact during unipolar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Material and Method: Circumferential right auricular epicardial lesions were created with a linear radiofrequency catheter in 10 anesthetized pigs. A device specially designed to increase contact by compression of the catheter to the atrial wall was used in 5 pigs (study group). This device was not used in the control group (5 pigs). Conduction block across the right auricular lesion was assessed by pacing, and the transmurality of the lesions were confirmed by microscopic examination. Result: Conduction block was observed in a total of 8 pigs; 5 in study group and 3 in control group. Transmural injury was confirmed microscopically by the accumulation of acute inflammatory cells and loss of elastic fibers in the endocardium. In two pigs with failed conduction block,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endocardium appeared normal. Conclusion: Failed radiofrequency ablation is strongly related to non-transmural energy delivery. The specially constructed compression device in the current study was successful in creating firm tissue-catheter contact and thereby generating transmural lesions during unipolar radiofrequency ablation. 배경: 심방세동의 수술적 치료 방법인 미로술식에 있어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절제술은 전통적인 절개 및 봉합술(cut and saw) 또는 냉동절제술(cyroablation)에 비해 술 후 동율동의로의 전환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절제술 시 심방벽(atrial wall)과 도자 간의 접촉이 원활하지 않아 심방의 전 층에 걸쳐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고주파 절제시 심방과 도자간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기구를 개발하였으며 동물실험을 통하여 그 임상적인 효과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60 kg 내외의 돼지 1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다. 우심방이 첨부로부터 3∼4 cm 하방의 심방외벽에 고주파에너지를 가하여 우심방이가 우심방에서 완전히 분리되도록 원형의 병변(circumferential lesions)을 만들었다. 이때 실험군(n=5)에서는 새로 고안한 기구를 이용하여 도자를 심방벽에 완전히 밀착시킨 후 고주파 에너지를 가하였으며, 대조군(n=5)에서는 이러한 기구의 사용 없이 통상적인 방법으로 에너지를 가하였다. 고주파절제술이 끝난 후 우심방이 첨부에 인공심장박동 전극을 설치하고 심박동을 유발하여 고주파 절제부위 이하로 심박동이 전달되는지를 관찰하여 절제술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였다. 또한 심방조직에 대해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여 심외막, 심근, 그리고 심내막층에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열손상의 생성 유무를 관찰하였다. 결과: 실험군에서 5예, 대조군에서 3예 등 총 8예에서 심박동의 전달 차단(conduction block)이 관찰되었으며 조직학적 검사 소견상 심내막(endocardium)에서 탄성섬유(elastic fiber)의 소실과 급성 염증세포의 축적 등 급성 열손상의 소견이 관찰되었다. 한편 심박동의 전달 차단이 관찰되지 않았던 대조군의 2예에서는 심내막이 정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 및 식도에 대한 조직학적 검사에서 열손상에 의한 병변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고주파에너지에 의한 절제술 시 심방의 전층에 병변을 만들기 위해서는 심장과 도자 간의 접촉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새로 개발한 기구는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도자절제술 시 심장과 도자 간의 확고한 접촉을 유도하여 심방 전층에 병변을 만드는 데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이러한 기구의 사용은 향후 고주파에너지를 이용한 미로술식의 성적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고주파시술과 운동병행요법이 20대 복부비만에 미치는 영향

        정경혜,리순화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10 대한피부미용학회지 Vol.8 No.3

        It is purpos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high-frequency treatment on the abdominal obesity program of 20s women and men who suffer obesity an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quantitative use of the equipment and for the balanced physical and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s. In the change of body composition before and after the management, in the waist girth and hips girth, according to the each experimental group, the HG(high-frequency and applied Gel)group reduced, in the WHR, HH(high-frequency and applied Hot gel) group received, in the weight, BMI, body fat mass and percent bady mass, HW(high-frequency and Walking) group HF diathermy and applied Gel group reduced most. Except in the skeletal fat mass, HG and HH group and HW group reduced meaningfully. Regarding the change of blood lipid concentration before and after the management according to the each experimental group, almost group reduced in order of appearance, as well as in TG, LDLC, TC and incresed in HDLC. Meaningfully in the TG and TC, HW group reduced more and in HDLC, LDLC HH group effected most. 본 연구는 고주파시술과 핫젤, 걷기운동을 각각 병행했을 때 신체조성 및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20대 학생 및 직장인 100명 중 BMI가 23kg/㎡, WHR가 0.8 이상인 비만대상자를 24명 선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4주 동안에 주 2회씩 총 8회, 매 회에 40분간 관리를 시행 하였고 고주파젤군, 고주파핫젤군, 고주파운동군 각각 8명으로 나누어 실험을 하였다. 실험 전‧후 BMI,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률, WHR, 허리둘레, 엉덩이둘레와 TG, HDLC, LDLC, TC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고주파젤군에서 허리둘레는 3.1cm, 엉덩이둘레는 1.7cm로 사이즈 감소 차이가 크게 나타냈고, 고주파핫젤군에서WHR은 0.018%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고주파운동군에서 체중은 2.01kg, BMI는 0.81kg/m2, 체지방량은 2.12kg, 체지방률은 2.01%로 감소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냈다. 고주파운동군에서 TG는 39.13mg/dl, TC는 37.58mg/dl로 크게 감소 되었고, 고주파핫젤군에서 HDLC는 6.82mg/dl 증가하였으며, LDLC는 25.5mg/dl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고주파시술 병행요법이 20대 복부둘레 감소와 체중감량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KCI등재

        고주파 지진이 원자력 발전소 설비의 동적거동에 미치는 영향

        박효상(Park Hyo Sang),Duy Duan Nguyen,이태형(Lee Tae Hyu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6

        원자력 발전소는 국내전력소비량에 약 30%를 공급하는 가장 중요한 전력원이다. 원자력 발전소의 구조 및 설비의 손상은 전력공급의 중단 뿐만 아니라 심각한 인명피해 및 환경 재해를 야기한다. 2017년 9월에 발생한 경주지진에서 기록된 지진파는 고주파 성분을 많이 포함한 것으로 밝혀졌고 우리나라와 비슷한 중약진 지진대인 미국 중동부지역에서 발생한 지진들도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앞으로 발생할 국내 지진은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지진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고주파 지진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설비의 지진응답에 대한 충분한 평가와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지진이 원자력 발전소 구조물 및 설비의 지진거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최신 연구동향을 제공한다. 문헌 분석 및 검토를 바탕으로 국내 원자력 발전소의 내진 설계 및 내진성능평가에 지진의 고주파 성분이 적절히 포함된 고주파지진 응답스펙트럼의 사용을 제안한다. Nuclear power plant (NPP) is one of the most critical sourc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pulation and industries. Damage of nuclear power plant components can lead to not only devastating environment disasters and casualties but also interrupting electricity supplies. South Korea, owning a major number of nuclear reactors, is located in the low-to-moderate seismic area with high-frequency ground mo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sufficient assessment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he seismic response of NPP components subjected to high-frequency motions. This paper presents a state-of-the-art review of high-frequency (HF) ground motions effects on the response of structural and equipment components in NPP structures. Moreover, based on the analysis of literatures, we give a recommendation on the use of response spectra of HF ground motions for the seismic design and response analyses of Korean NPP structures.

      • SCOPUSKCI등재

        구연 : 간 절제술 후 재발한 간세포암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열치료

        김민주,임효근,이원재,최동일,김용일,조재원,김성주 대한간학회 2003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대한간학회지) Vol.9 No.3(S)

        배경/목적: 간절제술 후 재발한 간세포암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열치료의 유용성과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9년 4월에서 2001년 12월까지 간절제 수술 후 재발한 간세포암에 대해 초음파 유도하에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를 시행한 4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고주파열치료를 받은 53개의 간암의 평균 크기는 2.1 cm (0.8-4.0 cm) 이었다. 이들은 모두 1년이상 (최대 42개월) 추적되었다. 치료 유용성, 합병증,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결과: 추적 CT검사에서 11개(21%)의 간세포암들에서 첫번째 고주파열치료 후 잔류암 혹은 국소재발이 생겼다. 추가로 고주파열치료를 마친 후에는 46개(87%)의 간세포암들에서 완전 치료가 되었다. 추적 기간 중 21명(47%)의 환자들에서 간의 다른 곳에 41개의 간세포암들이 새로 생겨서 추가 고주파열치료(9개) 혹은 다른 치료를 하였다. 고주파열치료와 관련된 사망은 없었으며, 중대한 합병증도 없었다. 전체 환자들의 생존율은 1년이 82%, 2년이 72%, 3년이 54%이었다. 또한, 간암없는 생존율은 1년이 57%, 2년이 43%, 3년이 34%이었다. 결론: 간 절제술 후 재발한 간세포암에 대한 경피적 고주파열치료는 효율적이고 안전하며, 높은 생존율을 보인다.

      • KCI등재후보

        PVDF 및 P(VDF-TrFE)를 이용한 고주파수 수침용 초음파 탐촉자 개발 및 평가

        김기복,김병극,이승석 한국비파괴검사학회 2002 한국비파괴검사학회지 Vol.22 No.1

        PVDF 및 P(VDF-TrFE) 고분자 압전박막을 이용하여 고주파수 수침용 초음파 탐촉자를 제작한 다음 그 특성을 비교 ㆍ 평가하였다. 탐촉자와 탐상기 사이의 신호전송용 동축케이블의 길이가 고주파수 초음파 검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음파 빔의 초점이 형성되는 반사체가 편평할수록 고주파수 초음파 검출장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mm 직경의 PVDF 탐촉자의 경우 0.5mm 강구에서 약 100MHz의 광대역 고주파수 초음파 검출장을 형성하였다. PVDF와 P(VDF-TrFE) 탐촉자를 비교한 결과 반사신호의 피크 값과 빔 폭은 P(VDF-TrFE)가 PVDF 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고주파수 초음파 검출장은 PVDF가 P(VDF-TrFE)보다 광대역 특정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3mm 직경의 PVDF 탐촉자를 이용하여 표면의 깊이균열 크기가 30∼100μm인 수소유기균열(HIC) 강재 시편을 C-scan한 결과 고감도의 분해능으로 미세 균열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The high frequency ultrasonic transducers using polyvinyliden fluoride(PVDF) and polyvinylidene fluoride trifluorethyylene (P(VDF-TrFE) were developed. The characteristics of fabricated high frequency ultrasonic transducer such as beam diameter, high frequency ultrasonic detection field and amplitude of the first pulse echo signal from the test target in the water were analyzed. The high frequency ultrasonic detection field was affected by the length of coaxial cable between high frequency transducer and ultrasonic pulser/receiver. As the size of the test target increased, the high frequency detection field decreased and the amplitude of a reflection signal increased. The peak amplitude of the first pulse echo signal of P(VDF-TrFE) transducer was higher than that of PVDF transducer. The high frequency ultrasonic detection field of PVDF transducer was wider than that of P(VDF-TrFE) transducer. With C-scan testing, the developed high frequency ultrasonic transducer could detect the 30 to 100㎛ of hydrogen induced crack of steel specimen by C-scan testing.

      • 고주파기기를 이용한 등 관리가 20대⋅40대 여성의 근⋅체형변화에 관한 연구

        김현옥(Hyun Ok Kim) 한국뷰티산업학회 2021 뷰티산업연구 Vol.15 No.2

        현 사회에서 피부미용과 체형에 관한 관심과 욕구가 날로 높아지는 가운데, 병.의원 및 피부 비만관리실에서 심부온열작용의 전신적 사용이 가능한 고주파기기가 널리 보급되면서 체형 및 비만관리시 기기의 활용도가 높은 편이다. 최근에는 바이폴라 고주파기기의 사용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이에 바이폴라 고주파기기를 이용한 등관리가 20대와 40대의 일반 성인 여성의 체형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각기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에 대한 자료를 얻어 기기를 이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바이폴라 고주파기 등관리가 근⋅체형의 균형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관리 시점별 변화에 대해여 살펴보기로 하며, 근⋅체형 영상 진단 시스템(Moire Topography System)인 Bio Rense Body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측정 판독하였다. 실험에서 어깨뼈 윗부분과 아랫부분의 좌⋅우 균형에 관한 근⋅체형을 계측한 Y값의 길이는 0 에 가까울수록 정상체형이다 연구결과. 첫째 20대와 40대의 관리 전⋅후의 Y값의 변화를 어깨뼈 윗부분 결과에서 20대의 경우 5회, 9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40대의 결과에서는 1회, 3회. 5회, 9회 관리 후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p<.05). 40대의 결과에서는 점차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20대는 시점별 관리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둘째. 20대와 40대의 관리 전⋅후의 Y값의 변화를 어깨뼈 아랫부분의 결과에서 20대의 경우 9회관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p<.05), 40대에는 Y값 높이가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셋째. 20대와 40대의 시점별과 연령에 따른 관리 전⋅후의 어깨뼈 윗부분의 Y값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3회 관리에서 40대(M=2.59)의 경우 20대(M=0.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량이 많았으며,1회,7회에 있어 40대의 변화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고, 5회, 9회는 20대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변화를 나타나지는 않았다(p>.05). 어깨뼈 아랫부분의 시점별과 연령에 따른 관리 전⋅후의 비교 결과에서는 Y값의 변화를 비교한 7회에서 40대의 경우 20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변화량을 보였으며, 1회,3회,5회에서 40대가, 9회에서 20대가 변화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p>.05). 넷째. 실험대상자들의 관리 전 주간적인 피로감 및 체형의 인지도를 파악한 결과 전체적으로 ‘눈이 피곤하다’(M=4.30)가 가장 높게 나나났고, ‘체형의 인지도 정도에서, 어깨가 한쪽으로 기운 것 같다’(M=4.05), 자각하는 통증에서는(M=3.60)으로 다소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관리 후 주관적인 만족도에 대해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주관적 만족도와 하위영역별 자각하는 등 부위 개선정도에 있어서는 40대가 다소 높게 나타났고, 하위영역별 심리적 반응 개선정도나 고주파기기 관리 관심도에 있어서는 20대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고주파기기를 이용한 등관리가 20대와 40대의 근⋅체형의 변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40대의 경우 근의 노화진행에 따른 고주파기기의 생리적 효과가 고르게 나타났다고 볼 수가 있다. 이를 통한 연령별에 관리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Amid the growing interest and desire for skin beauty and body shape in the current society, hospitals, clinics, and in the skin obesity management room, high-frequency devices that can be used as a whole body for deep thermal effects have become popular. In the skin obesity management room, high-frequency devices that can be used as a whole body for deep thermal effects have become popular. Devices are highly utilized when managing body shape and obesity. Recently, the degree of use of bipolar high frequency devices. This is a phenomenon that is increasing. Accordingly, back management using bipolar high frequency devices is a way to make people in their 20s and 40s. It identifies the effect of general adult women on body shape management and how they change. This is to obtain data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using devic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agement such as bipolar high frequency devices on the sense of balance of muscle and body shape, and by management point of time. Let s look at the change, Bio, a muscle and body image diagnosis system (Moire Topography System). Measurement and reading were performed using the Sense Body program. In the experiment, the upper and lower part of the shoulder blade was used. The closer the length of the Y value, which measures the muscle and body shape of the left and right balance, is to 0, the more normal the body shape i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change in Y value before and after management in the 20s and 40s from the results of the upper shoulder blade to the 20s. In the case of ,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5 times and 9 times (p<.05) The results for those in their 40s were once or three times. Five times. After 9 times of management, significant changes were shown (p<.05). As a result of their 40s, they gradually decreased. Those in their 20s showed significant changes as the number of management by time increased. Second. Changes in Y values before and after management in the 20s and 40s from the results of the lower part of the shoulder blade to the 20s in their 20s In the case of 9 times of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nd the height of the Y value gradually decreased in the 40s.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Third. Before and aft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ime and age of those in their 20s and 40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hange in the Y value of the upper part of the shoulder blade, in the case of those in their 40s (M=2.59) in three management, they are in their 20s (M=2.99). Compared to 0.10, the amount of change was relatively larg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people in their 40s was slightly higher in one and seven times. In the 5th and 9th sessions, those in their 20s showed somewhat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p>.05). In the comparison results before and afte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time and age of the lower shoulder blade, the change in the Y value was found. In the 7th to 40s compared, compared to those in their 20s, the amount of change was relatively high, and once, three, and five times. In their 40s and 9th to 20s, the amount of change was slightly higher,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 Fourth. As a result of grasping the weekly fatigue and body type awareness of the subjects prior to management. Overall, eyes are tired (M=4.30) was the highest, and body recognition was given to shoulders. It seemed to lean to one side (M=4.05), and in the pain of self-awareness (M=3.60), it w as s l ightl y. Fifth, as a result of verifying subjective satisfaction after management, subjective satisfaction and sub-area as a whole When it comes to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areas such as awareness of stars, those in their 40s were somewhat higher, and psychology by sub-area. When it comes to the degree of response improvement and interest in managing high frequency devices, the tendency of people in their 20s to be somewhat higher.

      • KCI등재

        직교방식 디지털 고주파기억장치의 다중신호 재생성 효과

        임중수 중소기업융합학회 2019 융합정보논문지 Vol.9 No.8

        본 논문은 직교방식(quadrature) 디지털 고주파기억장치의 다중신호 재생성 효과를 기술하였다. 대부분의 고주파 기억장치는 단일 신호를 저장한 후 재생성을 잘하지만 다중신호를 저장한 후 재생성할 경우에는 스프리어스 신호가 크게 나타난다. 직교방식 디지털 고주파기억장치는 I채널과 Q채널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중신호 재생성시 스프리어스 신호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스프리어스 신호크기는 고주파기억장치에서 저장하는 데이터의 비트 수에 따라 달라지며, 본 논문에서는 다중신호에 대해서 고주파기억장치의 저장데이터의 비트 수에 따라 스프리어스 신호의 크기를 구해서 고주파기억장치의 용도에 따른 신호 재생성 비트 수를 구하였다. 본 연구 결과 4 비트 직교방식 디지털 고주파 기억장치는 –20dB 이하의 스프리어스 출력을 얻을 수 있어서 전자전 장비의 신호분석과 재밍장치 개발에 크게 기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effect of multiple signal regeneration in quadrature digital radio frequency memory(DRFM). Single channel DRFM have good reproducibility after storing a single signal. However, when reproduced after storing multiple signals, the spurious signal is large. The quadrature DRFM consists of I and Q channels,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spurious signal. The amplitude of the spurious signal depends on the number of bits of data stored in the DRFM. In this paper, we have obtained the number of bits of signal regeneration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radio frequency memory by obtaining the size of the spurious signal according to the number of bits of the stored data of the DRFM for multiple sign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4 bits quadrature DRFM can achieve a spurious output of less than -20dB, which is used for 4 signals. Those are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signal analysis of electronic warfare equipment and the development of jamming device.

      • KCI등재

        전이성 척추 종양에서 시행한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과 방사선 치료의 비교

        장재호(Jae Ho Jang),박영균(Young Kun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2

        목적 :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에 대한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7년 3월부터 2009년 3월 까지 본원에서 치료한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17명과 방사선 요법을 시행한 17명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두 군 간의 통증의 경감과 생활 능력 수준은 Visual analog scale(VAS)과 Roland Moris Questionnaire(RMQ)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군은 9/17명이,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은 8/17명이 사망하였다.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종양의 부피에 대한 괴사의 정도는 28-100%(평균, 61.2±22.4%)로 관찰되었다. 통증 경감의 정도는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군의 술 전, 술 후 1주 및 4주의 VAS 점수는 7.12, 3.82 그리고 3.65, 방사선 치료를 한 군에서는 7.00, 5.39 그리고 4.94로 두 군 모두에서 치료 후 1주와 4주에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value <0.001, <0.001), RMQ 점수는 수술을 시행한 군에서 12.94에서 7.18로 개선되었으며, 방사선 치료를 한 군에서 14,11에서 10,89로 개선되었다. 하지만 통증의 경감(VAS 점수, p-value for interaction 0.004)과 삶의 질 개선 측면(RMQ 점수, p-value for interaction 0.024)에서 고주파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을 시행한 군에서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의미있게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결론 : 고주파 열 용해술 후 척추 성형술은 전이성 척추 종양 환자에서 통증 경감과 보다 나은 삶의 질을 가져다주는 유용한 치료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ion the availability of combined treatment with radiofrequency (RF) ablation with vertebroplasty in patients with metastatic spine tumo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09, 34 patients with the metastatic spine tumor, RF ablation with vertebroplasty was performed in 17 patients, and radiotherapy in the other 17 patients. Cumulative l-year patient survival rate were compared with the both groups. Pain relief and quality of life were evaluated with use of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Roland Moris Questionnaire (RMQ). Results : Nine of 17 patients with the RF ablasion therapy with vertebroplasty and 8 of 17 patients with radiotherapy were died. Tumor necrosis was observed in 61.2±22.4% (range 28-100%) of the tumor volume. In terms of pain relief, VAS score of preoperative, 1 week and 4 weeks following were 7.12, 3.82 and 3.65 in RF ablation with vertebroplasty group, and 7.00, 5.39 and 4.94 in radiotherapy group(p-value <0.001, <0.001). The score of RMQ score was improved from 12.94 to 7.18 in operation group (p-value <0.001). and 14.11 to 10.89 in radiotherapy group(p-value 0.001). But in terms of pain relief (score of VAS) and quality of life (score of RMQ). RF with vertebroplasty group showed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radiotheray group (VAS, p for intercation 0.004, RMQ, p for interaction 0.024). Conclusion : RF with vertebroplasty is thought to be a useful method to improve the pain relief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metastatic spine tum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