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적 고립 청년은 누구인가? - 고립청년 지원사업 참여 청년을 중심으로-

        조미형(Cho, Mihyoung),고아라(Ko, Ahra) 한국사회복지학회 2022 한국사회복지학 Vol.74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청년’이라고 명명해야 하는 청년은 누구인가에 대한 연구 질문을 시작으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2021년 저소득 · 구직단념 고립 청년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된 “청년의 사회적 고립 측정 척도 개발 연구” 의 데이터 중 심층면접 자료(7명)와 설문조사 자료( 137명)를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사업 참여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이 시작된 시기, 고립된 채 지내는 현재 일상생활의 모습, 사회적 고립에 이르게 된 이유, 이들에게 일이 가지는 의미 등으로 범주화되었다. 이를 통해 고립 청년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청년의 사회적 고립은 어린 시절부터 시작되기도 하는데 학교 졸업/중퇴 이후부터 문제로 드러나게 된다. 이들은 사회(가족, 친구, 직장)의 일원으로서 소속감 없이 무기력한 일상을 보내고 있다.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 건강하지 않은 신체 · 정신, 취업 준비 부족 등은 청년 사회적 고립의 원인이자 결과이다. 일을 통해 규칙적인 일상이 생기고 경제적 자립과 함께 사회적 관계가 형성될 거라 기대한다. 이러한 고립 청년의 특징을 토대로 사회적으로 고립된 청년의 지원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in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was set up. “Who are young adults that need to be classified as socially isola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 “The Development of a Scale of Social Isolation among Young Adults” data derived from “2021 support program for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of low-income and discouraged unemployed” were analyzed based on mixed methods combined in-depth interviews with questionnaire research. This study is concerned with young adults living in Seoul aged from 19 to 34, who participated in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support project”. Furthermore, qualitative data of 7 participants and quantitative data of 137 people who participated in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support project”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characteristics in various categories as follows: the time socially isolated, current daily life of being isolated, primary reason for being isolated, the meaning of the work to them. Social isolation often begins in childhood, but it turns out to be perceived after dropping out of school or graduation. Difficulties in building social relationships, unhealthy physical and mental illness, and preparation insufficiency for employment are both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isolation. As a member of society(family, friends, work), they are living a helplessness life without a sense of belonging. Nevertheless, by means of work, they expect to have a regular routine life and to form a social relationships along with financial independence. Based on these results, specific support plan for socially isolated young adults was suggested in this study.

      • 청년의 사회적 고립 실태 및 지원 방안 연구

        유민상,신동훈,이민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 No.-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청년들의 사회적 고립(social isolation) 실태 및 특성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아직 학술적, 정책적으로 개념정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회적 고립의 개념, 영향요인, 진행과정 및 결과에 대해 살펴보고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는 문헌연구, 양적연구, 질적연구, 법률 및 정책분석, 해외사례 검토 등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현대사회의 개인화와 공동체의 소멸이라는 사회적 변화와 정보화와 초연결화라는 기술적 변화 속에서 사회와 점차 연결되지 못하고 외부적, 내부적으로 고립되어 가는 청년들의 문제에 대해 현황을 보고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대응 필요성을 역설하고 정책제언을 제시하였다. 사회적 고립을 외부적 고립과 내부적 고립으로 나누고 외부적 고립을 외부연결망과 지지체계의 결핍 상황, 내부적 고립을 외로움과 고립감으로 정의함으로써 사회로부터 외적 또는 내적으로 고립되어 있거나 단절되어 있는 상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노력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 고립 청년의 발생은 생애전반기 동안 누적적으로 이루어지지만 이에 대한 사회적 안전망은 분절되고 파편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롭게 등장한 「청년기본법」과 청년정책기본계획에는 사회적 고립과 관련한 내용이 제외되어 있어, 민간영역을 중심으로만 사회적 고립 청년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마저도 가장 장기적이고 심각한 상태에 있는 청년들을 발굴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사후적 조치에 가까워 회복이 어려운 상황에 있었다. 사회적 고립과 관련한 정책들은 사회적 고립 문제가 발생하고 심화된 이후에 개입이 이루어지는 사후적 지원정책의 문제, 지위 회복을 통해 사회 재통합을 이룰 수 있다고 가정한 니트 청년 지원정책의 문제, 심리적 고립에 대한 대응책은 전무한 정책영역의 문제 등을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청년 당사자들은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생애전반기 동안 발생하는 부정적인 생애경험에 대한 적극적 대응, 청년기 사회적 고립을 유발하는 지위상실과 역할지연의 문제에 대한 대응, 단계적 지원을 통한 사회로의 재연결과 재통합, 인생의 각 전환기 동안 연결성 있게 안내 및 지원할 수 있는 서비스 체계 구성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이 연구는 이를 통해 ‘고립과 외로움을 넘어 새로운 기회를 통한 재연결로’라는 목표를 두고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청년 당사자 중심 원칙, 생애전반기 예방 원칙, 역할과 소속감 증진 원칙, 서비스 제공 협력 및 통합 원칙 등을 기본 원칙을 바탕으로, 법제도적 근거 및 기반 마련, 생애주기별 지원 체계 마련, 생태체계적 지원체계 마련, 서비스 연결망 강화, 새로운 기회 제공을 통한 재사회화,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을 정책 과제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사회의 사회적 고립과 사회인구학적 특성

        박찬웅 ( Park Chan-ung ),김노을 ( Kim Noeul ),유부원 ( Liu Fu Yuan ),윤민지 ( Yoon Minji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2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사회적 고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립의 수준을 차원별로 살펴보고, 어떤 차원에서 어떤 특성을 가진 사람들이 고립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이 단순히 사회적 관계로부터 배제되는 것뿐 아니라, 삶에 필요한 자원의 유형 별로 생활, 경제적, 정서적 차원에서 다차원적으로 경험하는 현상이라는 논의에서 출발한다. 개인이 속한 집단의 특성에 따라 차원별로 각기 다른 수준의 사회적 고립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한 차원 별로 사회적 고립에 빠지기 쉬운 집단의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사회적 고립의 다차원성과 사회적 요인에 관해 논의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2009년부터 2017년까지의 다섯 번의 통계청 <사회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13세 이상, 163,332명의 전체 인구집단을 분석했다. 사회적 고립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이항 로지스틱 과 순서형 로지스틱 분석을 시행해 사회인구학적 특성으로 각 차원에서의 고립 여부와 고립의 중충성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첫째, 응답자들의 사회적 고립 수준이 차원 별로 다양하게 나타났고, 둘째, 고립의 차원 별 요인의 경우, 나이가 많고 이혼 혹은 사별을 경험했으며 가구원 수가 적은 사람이 생활 차원의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고, 소득이 낮은 사람이 경제적 고립을 경험할 위험이 가장 컸으며, 학력 수준이 낮으며 경제 활동을 하지 않는 남성이 정서적 고립에 빠질 위험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사회적 고립의 차원에 따라 위험군이 다를 수 있으며, 1인 가구나 노인층에 집중된 사회적 고립의 분석을 보다 다양한 집단이 경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차원별로 해당 차원의 고립에 노출된 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함을 논의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social isolation in the Korean society,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ople who are vulnerable to such isolation. We start from defining social isolation not only as an exclusion from social relations, but also as the lack of required resources in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Furthermore, we contend that the risk of falling into social isolation of each dimension is different in term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 We utilize the sample of 163,332 individuals from the pooled data of 2009-2017 < Social Survey >. As suggested in the previous studies, social isolation was divided into daily life, economic, and emotional dimensions,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isolated in each dimension was predicted through logit regression model. Furthermore, the number of isolated dimensions was predicted using ordered logit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were different across the three dimensions. Those prone to falling in isolation on the daily life dimension were ones who were old, divorced/bereaved, living with fewer family members. Those under the highest risk of experience isolation in the economic dimension were those of low-income, while those under the risk of emotional isolation were low-educated, unemployed male. In conclusion, this study reports that the risk group differs according to the dimension of social isolation. Therefore, we claim that social isolation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n issue of one-person household or the elderly group, but also as a potential problem that diverse group might experience. In addition, as different people are at risk of separate dimensions of social isolation, different policy measures are required to prevent and resolve such isolation.

      • KCI등재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 구성요소와 성과지표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윤민,김은정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sola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d the causes of social isolation across different life stages. The review revealed that social isolation is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mprising relational, informational, spatial, and psychological isolation. It is also influenced by a wide range of factors at the individual, community, and institutional levels. Thus, projects to prevent or alleviate social isolation inevitably have a complex nature, as they must address all these multi-layered risk factors. For the success of such a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lear final goals and performance indicators should effectively guide the entire process from planning to evaluation.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major components of the social isolation prevention project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areas: (1) intervention projects aimed at mitigating personal isolation risk factors, (2) projects emphasizing community-level responses to strengthen local community cohesion, and (3) projects building institutional systems to ensure the sustainability of solutions to isolation problems. We also proposed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ultimate achievement of objectives for each project area. We hope that the project areas and performance indicator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useful guidelines for designing future projects aimed at alleviating social isol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고립 완화 사업의 주요영역과 성과지표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사회적 고립의 개념을 검토하고, 생애주기별로 사회적 고립이 발생하는 원인을 파악하였다. 검토결과 사회적 고립은 관계적, 정보적, 공간적, 심리적 고립 등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구성되고, 개인적, 커뮤니티적, 제도적 원인 등과 같은 다층적 원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사업은 다층적 위험요소들 모두에 대응해야 하는 복합적이고 복잡한 성격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성격의 사업이 최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업 기획과 실행, 관리와 평가의 전 과정에서 최종 목표와 성과지표가 사업 진행의 나침반 역할을 제대로 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과 유사한 사업을 다룬 기존의 실천적, 정책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핵심 구성영역과 성과지표들의 속성을 파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회적 고립완화 사업의 구성영역을 다음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개인적 고립위험 요인을 완화하고자 하는 고립대상 개입사업, 둘째, 커뮤니티적 차원의 대응을 강조하는 지역공동체성 강화사업, 셋째, 고립문제 해결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체계 구축사업이다. 이와 함께 각 사업영역별로 궁극적인 사업목표 달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성과지표들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업영역과 성과지표들이 향후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한 사업 설계 시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사회적 고립청년의 은둔 극복과 사회관계망 구축을 위한 서비스 방향성 제안

        유은,유예린,김민경,정서영,정집원 한국디자인학회 2024 디자인학연구 Vol.37 No.2

        연구배경 국내 사회적 고립청년의 수가 매년 증가하고 있다. 사회가 개인주의화되면서 청년들의 사회관계망이 더욱 약화되고, 사회 단절이 심화되어 다양한 범죄로 이어지는 등 사회적 고립청년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부터 사기업까지 다양한 극복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아직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청년의 특성과 심리를 고려하여 사회관계망 형성을 장려하고 스스로 사회적 고립단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를 통해 접근성 높고 실용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데스크 리서치와 사용자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사회적 고립청년 당사자와 주변인, 고립청년 지원 센터 관계자 및 고립 극복 청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실제적인 니즈와 페인포인트를 파악하였다. 페르소나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서비스 방향성 및 세부 기능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검증을 통해 향후 보완 방향을 시사하였다. 연구결과 고립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 서비스의 방향성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고립청년 스스로 생활 습관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개인 맞춤형 챌린지를 제공하고, 서비스 사용자 간 챌린지 공유 시스템을 통해 동기를 부여한다. 둘째, 소모임 및 채팅 서비스와 응원하기 등의 기능으로 서비스 내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장려하여 타인과의 소속감과 유대감을 고취한다. 셋째, 사회적 고립청년과 관련된 정책과 프로그램을 모아 보여주는 지원 사업 아카이빙 기능을 통해 접근성을 향상하고 절차를 간소화한다. 결론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청년들의 단절 문제 해결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양한 이해관계자 및 사용자경험을 반영하여 청년 고립 극복 지원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고립청년 문제 해결을 위한정책과 서비스 디자인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Background The number of socially isolated young people in South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s society becomes individualistic, the social network of young people is further weakened, and social disconnection intensifies, leading to various crimes, and raising the seriousness of the social isolation youth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measures are proposed from the government level to private companies, but they are still immature and have limitations. This study sought more accessible and practical solutions through services that encourage the formation of social networks and help them overcome the social isolation stage by themselves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y of young people in social isolation. Methods Desk research and user surveys were conducted,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socially isolated young people, those around them, those involved in the isolated youth support center, and young people who overcome isolation to identify practical needs and pain points. Based on persona and service scenarios, service directions and detailed functions were derived, and future complementary directions were suggested through verification. Results The direction of the service for solving the problem of isolated youth was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service provides personalized challenges so that isolated youth can improve their lifestyle habits themselves and motivates them through a challenge sharing system among service users. Second, the service promotes a sense of belonging and bond with others by encouraging interactions between users in the service with functions such as consumption and chat services and support. Third, accessibility is improved and procedures are simplified through the support project archiving function that collects and shows policies and programs related to socially isolated youth. Conclusions This study presents a support service for overcoming youth isolation by reflecting various stakeholder and user experiences to help solve the disconnection problem of young people in social iso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olicy and service design to solve the problem of social isolation.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인지기능의 관계에 대한 일 연구

        김영범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18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6 No.7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ccording to social isolation level in elderly Korean. The author classified the social isolation into the structural isolation and contact isolation. Structural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no spouse or no children and the contact isolation corresponded to the absence of contact with children, friends or social association. Author conducted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from the 5th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Number of sample was 3,971.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ognitive function was lower according to level of social isolat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friends/neighborhood isolation, and social activity isolation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cognitive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author suggested that to protect the elderly from negative effects of social isolation, we needed the policy to promote elderly's th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The study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social isolation was also needed.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 수준에 따라 인지기능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사회적 고립을 구성하는 개별 항목이 인지기능 수준과 관련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는 사회적 고립을 배우자 혹은 자녀가 없는 구조적 고립상태와 가족, 친구, 공식적 사회단체 등과 접촉하지 않는 접촉 고립상태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연구패널 5차 자료 중 65세 이상 노인 3,971명을 대상으로 다변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을수록 인지기능 수준이 낮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사회적 고립의 여러 구성 요소 중 친구∙이웃 고립, 사회활동 고립이 인지기능과 관련성이 있다는 점도 확인하였다. 노인의 인지기능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사회활동 참여를 위한 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고립의 영향을 고려할 때 향후 사회적 고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도 필요하다.

      • KCI등재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이상철(Lee, Sangchul),조준영(Cho, Joonyoung) 한국사회정책학회 2017 한국사회정책 Vol.24 No.2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은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핵심 논의는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는 객관적・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들의 역동성과 관련한 논쟁이 존재하고, 두 번째는 사회적 고립과 건강과의 관계에서 연령집단이 과연 선형적인 관계인가 또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가와 관련한 논쟁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을 설정한 상호작용모형을 활용하여 선행연구들에서 논의하고 있는 객관적・주관적 사회적 고립이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주효과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아울러 이질적인 연령집단에 따른 관계를 상호작용효과를 중심으로 검증하였다. 분석자료는 다차원적인 사회적 고립 개념의 특성을 충실히 반영한 KSHAP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경로모형 분석결과를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관적 사회적 고립 수준이 높아질수록 신체적・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가 유의한 반면, 주관적 사회적 고립은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효과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고립과 이질적인 연령집단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신체적 건강에 대해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객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전기노인의 경우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보다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장년층에 비해 후기노인의 신체적 건강의 기울기는 부적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집단에 따라 다차원적 사회적 고립과 신체적 건강과의 관계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신체적・정신적 건강의 위험요인에 해당하는 객관적 사회적 고립과 주관적 사회적 고립의 수준을 낮추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long with the well-established evidence on the negative effect of social isolation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multi-dimensional nature of social isolation. One line of study on social isolation has discussed different pathway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nd health. Another stream of the research focused on the possibly non-linear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health by age cohort groups. Drawing from the two lines of research, this study aimed at empirically examine to what extent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are associ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dependently and how the associations vary by three age cohorts(i.e.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the old-old). Data came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N= 814). Findings showed 1) objective subjective isol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worse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terestingly,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as associated with mental health only, 2) pattern of association between social isolation and physical health varied by age cohorts. Specifically, compared to the middle-aged, the young old with higher objective social isolation exhibited lower level of physical health, while the old-old with higher subjective social isolation were likely to experience lower physical health.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relevant policy/program development for amelior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isolation

      • KCI등재

        원격근무에서 직장 고립에 대한 연구: 직장 고립 인식 확인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송세경,송지훈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Vol.35 No.3

        코로나 19 상황에서 원격근무 시행으로 업무 환경이 변화되어 직장 내 고립감이 발생하고 있다. 직장 내 고립감은 개인의 정서, 태도, 행동뿐만 아니라 조직 분위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예방 및 대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조직 구성원이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 및 결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직장 내 고립감과 이에 대한 원인과 결과 인식을 규명하였다. 그 결과, 직장 내 고립감은 크게 관계적 차원과 업무적 차원으로 구분되며, 물리적 분리로 인해 직장 내 고립이 발생하고, 결과적으로 업무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물리적 고립이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을 통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물리적 고립은 사회적 고립과 전문적 고립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고립은 직무 열의를 낮추지만, 전문적 고립은 직무 열의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원격근무 상황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직장 내 고립감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확인하고, 직장 내 고립감과 직무 열의와 영향 관계를 밝힘으로써, 직장 내 고립감을 중심으로 원격근무 상황의 조직 구성원이 직무에 몰입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자원 개발의 측면의 지원에 대해 고려해야할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춘천의 독거노인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는가?

        김영범(KIM Young Bum) 지역사회학회 2016 지역사회학 Vol.17 No.3

        본 연구는 독거가 가족, 형제·자매, 친척, 친구·이웃 등과 접촉과 교류를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는 사회적 고립을 촉진시키는지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춘천 지역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4년 수집된 노인실태조사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고립을 비공식관계와의 접촉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접촉고립과 비공식관계와의 지원교환을 최소한으로 제한하는 지원교환고립으로 구분한 후 독거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독거는 접촉 측면에서는 사회적 고립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거노인은 비독거노인에 비해 접촉고립 수준이 더 높다. 독거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접촉에서 고립된 노인은 친구나 이웃과의 접촉에서도 고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독거노인의 경우 자녀와의 접촉에서 고립되어 있어도 다른 관계로부터 고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서구의 경우 독거로 인해 나타나는 자녀와의 접촉 감소를 친구나 이웃과의 만남을 통해 보충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는데 우리나라 노인의 경우 서구의 노인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지원교환고립의 경우는 독거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living arrangement on social isolation which meant the minimum level of contacts and support exchange with others. The study compared the levels of social isolation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someone in Chuncheon area. For heuristic purposes, the term isolation was classified into two sub-categories. The one is isolation in contact which meant the minimum level of contacts with informal relationships and the other is isolation in support exchange which also meant the minimum level of support exchange with informal relationship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elderly living alone showed higher level of social isolation in contacts elderly living with someone. For elderly living alone, one who showed the higher level of isolation in contact with children also showed higher level of isolation in contact with friends. Second, the level of isolation in support exchang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someone.

      • KCI등재

        청년의 사회적 고립 척도 타당화 연구: 잠재프로파일 분석

        조미형,고아라,최하영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3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2022년에 개발된 ‘청년의 사회적 고립 측정 척도’(최지현 등, 2022)가 청년의 사회적 고립 수준을 식별하는 도구로써의 가능성을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척도 개발 당시 수집되었으며,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청년 631명이다. 이 자료에는 고립청년의 유효한 응답을 확보하기 위해 고립청년 지원사업 참여자가 25.7% 포함되었다. 분석 결과, ‘고립되지 않은 청년(41.0%)’, ‘고립 위험 청년(42.0%)’, ‘고립 청년(17.0%)’ 등 총 3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사회적 고립 척도 합산 점수가 100점 만점에서 ‘고립되지 않은 청년’ 집단은 0~37점, ‘고립 위험 청년’은 34~68점, ‘고립 청년’은 59~95점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 척도가 현재 청년의 사회적 고립 수준을 식별할 수 있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otential of the "Social Isolation Scale for Young Adults" developed in 2022 as a tool for measuring social isolation in young adults by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The study participants comprised 631 young adults aged 19–34 years.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scale development process. To ensure valid responses from isolated young adults, the sample included 25.7% of the participants in the Socially Isolated Youth Support Progra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showed a total of three profiles, which were identified as "non-isolated young adults (41.0%)," "isolation-risk young adults (42.0%)," and "isolated young adults (17.0%)." In the case of "non-isolated young adults," the cumulative social isolation score ranged from 0 to 37 out of 100. The "isolation-risk young adults" group ranged from 34 to 68 points, and "isolated young adults" fell within the range of 59 to 95 poi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cale can be used to identify the level of social isolation in young ad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