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대학진학지도에 대한 특수교육교사의 인식과 대학 진학 결정 영향 변인 분석

        정윤우 ( Yun Woo Jung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3 No.1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학지도의 실시 현황과 인식을 파악하고, 대학 진학 결정 변인의 영향을 분석하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설치 계열에 따른 진학지도 인식과 현황, 대학진학지도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사회경제적지위가 대학진학지도 변인에 영향이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조사연구를 통해 연구 문제를 해결한 결과,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학지도는 실시되고 있으나,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은 진학 관련전문지식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또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학지도는 특수교육교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학생의 고등학교 입학 이후 1학년 또는 2학년부터 지속적인 진학지도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대학진학 결정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학생의 학업능력, 경제사정, 학생의 희망, 학생의 장애유형과 정도, 취업전망, 부모의 희망 순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학생의 사화경제적지위에 따라 영향을 주는 변인은 학생의 학업능력과 경제사정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고등학교특수학급 학생의 진학지도는 고등교육의 요구가 확대됨에 따라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진학지도가 이루어져야 하며, 특수학급 담당교사에게 진학지도를 위한 전문적인 정보와 지식을 제공할 수 있는 연수가 확대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진학결정을 위해서는 학생의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방향으로 진학지도가 제공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teachers of special classe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further study to identify and guida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status and recognition, college decided to analyze the impact of variables that were aimed to let. To this end, the installation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series, pathways to the recognition and status guidance, college guidance variables affecting the decision of students receiving special educ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variables affect university guidance study how the problem was set. This study investigated issues are resolved through research studies,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most of the pathways guidance is being conducted,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responsible for further study due to lack of expertise, they had difficulty. Further study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around the guidance be made in a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high school students since the first grade or second grade should be continued further study guidance. In additio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class of students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academic abilities, economic circumstances, the student’s hopes, the student’s disability type and degree, job prospects, in order to influence parents’ hopes were analyzed. And depending on the economic status of students Sahwa factors that influenc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and economy over were analyzed. Therefore, further study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for the demands of the higher education guidance zoom depending on guidance systematic and continuous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pathways to a special class teachers for teaching professional who can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must be expanded training and Further study of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in which you can cultivate the ability of students go on to guidance should be provided.

      • KCI등재

        과학고등학교와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 성취 수준 분석

        양리라(Yang Reera),정용석(Jeong Yongseok),김연희(Kim Yeon Hee),김영민(Kim Youngm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5

        본 연구의 목적은 한글화된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를 개발하고 이를 과학 고등학교 및 과학중점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그 성취 수준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과학 고등학교 학생 62명, 과학중점학교 학생 57명이었다. 기존의 도구인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도구이며, 여기에 스포츠 영역에서의 성취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질문을 추가하여 한글 버전을 완성하였다. 창의적 성취 질문지(CAQ) 한글 버전은 2018년 9월에 투입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집단 모두 과학적 발견에 가장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으나 발명 영역에 서는 과학고등학교 학생들만 가장 높은 성취 수준을 보였다. 그 다음 순위로 과학고 등학교의 경우에는 시각 예술, 음악, 창의적 글쓰기와 유머 영역이었고 과학중점고 등학교는 거기에 발명 영역과 집단 스포츠 영역이 더 포함되었다. 그런가 하면, 두집단 모두 무용, 건축 설계, 연극과 영화 분야에서 매우 낮은 성취를 보였다. 개인별 창의적 성취 수준을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한 명의 학생이 매우 출중한 창의적 성취 수준을 보였는바, 과학고둥학교에서는 발명 영역에서 한 학생이 매우 성취 수준이 높음을 발견하였으며, 과학중점고등학교 학생 중에서는 유머 영역에서 한 학생이 매우 출중한 성취를 보여 이 학생의 경우에는 과학보다는 다른 영역으로 진로지 도가 필요함을 보였다. 고등학교 수준의 학생들임을 감안할 때 과학고등학교나 과학 중점고등학교에 진학했다고 해도 일부 학생들의 경우에는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현재까지의 성취 수준과 적성을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함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Korean version of CAQ(Creative Achievement Questionnaire) and to implement it to the students of science high school and science core high school for investigating their achievement level in many area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62 students from a science high school and 57 students from a science core high school. The tool, CAQ, is tested already by the developer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In Korean version, questions for investigating students’ achievement in sports area were added through in-depth developmental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bot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st achievement in the areas of scientific discovery, but in case of invention, only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highest achievement.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second hand achievement in the areas of visual arts, music, creative writing and humor, but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econd hand achievement in the areas of invention and team sports as well as visual arts, music, creative writing and humor. Secondly, both high school students showed very low achievement in the area of dance, construction design, and drama and film. The difference in these areas between the two groups is that achievements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core high school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the students of the science high school. Thirdly, only one student showed very unique and highest achievement in invention area, which means that he will be able to do good achievement in his future job in invention area. Finally, th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could be couched appropriately for their future careers according to their achievement levels in many areas.

      • KCI등재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 분석

        배민우(Bae Min-Woo),곽은창(Kwak Eun-Chang),문희수(Mun Hee-S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경험한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A시와 Y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고등학교의 2학년 학생 1138명(남학생: n=579, 50.88%; 여학생: n=559, 49.12%)이 선정되었다. 연구도구는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와 흥미에 대하여 개방형과 폐쇄형 질문이 복합적으로 구성된 7개 문항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PASW Statistics 18.0을 사용하여 폐쇄형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x2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개방형 문항은 각 질문과 성별로 구분하여 귀납적 범주화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32.4%(n=3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활동 및 내용’, ‘수업환경’, ‘교수방법’,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67.6%(n=769)의 학생들은 중·고등학교 체육수업 간의 차이를 경험하지 못하였으며, ‘반복되는 학습활동 및 내용’, ‘차이 없는 교수방법 및 운영’, ‘비슷한 수업환경’,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체육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 여부를 파악한 결과, 66.1%(n=752)의 학생들이 흥미를 느낀 반면에 33.9%(n=386)의 학생들은 흥미를 느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에서 흥미를 느낀 이유는 ‘신체활동을 통한 흥미’, ‘배움과 성취를 통한 흥미’, ‘함께하는 활동을 통한 흥미’ 순으로 나타났으며, 흥미를 느끼지 않은 이유는 ‘반복된 학습내용과 수준’, ‘관심 없는 신체활동과 부족’, ‘하나되지 않는 수업’, ‘기타’ 순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중·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체육교과의 학습내용은 점진적이며, 체계적인 학습위계를 갖추어야 하며, 다양한 신체활동의 경험과 배움이 있는 체육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와 성취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38 second grade students(n=579, 50.88%; girls: n=559, 49.12%) of four high schools in A and Y cities in Gyeonggi province. The questionnaire were consisted of several open and closed questions regarding the differences and interests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data collection,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d test of closed questions were conducted using PASW Statistics 18.0, and open questions were categorized by each question and gender.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32.4%(n=369) of students who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indicated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 ‘class environment , ‘teaching method , and ‘the others’ were the followings. 67.6%(n=769) of the students who did not have the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p. e. classes complained the most ‘repeated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operation without difference , ‘similar class environment , and ‘the others were reported as the followings. An analysis of students’ interest in p. e. classes indicated that 66.1%(n=752) students were interested in p. e. classes, and 33.9%(n=386) students were not interested in p. e. classes. The most reason of interest in p. e. class was ‘interest through physical activity , ‘interest through learning and achievement , and ‘interest through activity together in order. The most reason of non interest in p. e. class was ‘repeated learning contents and level , ‘no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lack of physical activity , ‘not unified class , and ‘the others in order. In conclusion, the content of p. e. classes in middle and high school should have systematic hierarchy of learning experiences, and students should have proper and successful learning leaning opportunities.

      • KCI등재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조선희,최유용,이건호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2

        We investigated brain activity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by a science high school student group (n=8) and a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student group (n=5). Both groups scored in the top 1% on intelligence tests (science high school group: RAPM mean score=34.0, WAIS mean IQ=139.6;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RAPM mean score=33.8, WAIS mean IQ=147.2). Analysis of brain activity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showed that both groups had brain activity in certain areas, including the left and right prefrontal cortex, parietal cortex, and anterior cingulate.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right parietal cortex, which is related to visuo-spatial working memory, where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left prefrontal cortex, which is related to verbal working memory.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showed higher brain activity than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in the left precentral gyrus which is related to the motion of the tongue and lips.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cience high school group utilized the visuo-spatial area, whereas the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oup utilized the verbal area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intelligence task. This suggests that the major thinking process differs depending on the gifted students’ primary field of study, although they are doing the same task. 본 연구에서는 과학고학생(n=8)과 외국어고학생(n=5)을 대상으로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을 분석하였다. 두 집단은 지능점수가 상위 1% 안에 드는 높은 지능을 지닌 학생들이었다(과학고집단: RAPM 평균점수=34.0, WAIS 평균 IQ=139.6; 외국어고집단: RAPM 평균점수=33.8, WAIS 평균 IQ=147.2). 분석결과 두 집단은 지능과제 수행 시 공통적으로 좌측과 우측의 전두엽, 두정엽, 전대상피질에서 활동성을 보였다. 과학고집단은 도형 작업기억과 관련된 우측 두정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인 반면, 외국어고집단은 언어 작업기억과 관련된 좌측 전두엽에서 가장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뇌활동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국어고집단은 과학고집단에 비해 혀와 입술의 운동과 관련된 좌측 중심전이랑에서 높은 활동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능과제 수행 시 과학고학생은 도형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반면, 외국어고학생은 언어 관련 영역이 주요하게 관여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동일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관여하는 주 사고체계가 영재성을 보이는 분야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연구논문 :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윤영란 ( Young Ran Yo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09 교육문화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고등학생의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남?여 고등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지 400부를 배부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변화가 진로와 전공선택에 대한 확신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본인의 욕구와 현실에 대한 적절한 타협을 잘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자신의 진로선택과정을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를 결정하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의 변화가 교육과 진로미결정의 전제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결과 진로선택을 독립적으로 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선호하는 진로의 방향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는 고등학생일수록, 자신의 진로선택에 대해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결정에 필요한 본인의 이해를 잘 하고 있는 고등학생일수록 진로미결정의 전제조건의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등학생시기의 바람직한 진로정체감 형성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진로정체감 형성이 잘 되어 있는 고등학생 일수록 진로에 대한 결정수준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in an attempt to help provide better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for teens to make a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 in a rational manner.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he career identity in high school students might have an impact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70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WIN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Hypothesis that the career identity of adolescents might affect their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 subfactors of career identity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Those who had a better career identity made a higher- level of decis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llustrated that career identity had a lot of impact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Therefore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a career development process should be assisted to make the right choice of major before they go onto college. To make it happen, the kind of educational climate that encourages them to acquire detailed information, make a rational plan and make a proper preparation should be created, and they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career counseling.

      • KCI등재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비교 분석

        이윤호 ( Yun Ho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2015 경제교육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을 동일한 평가지로 평가하여, 고등학생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수준의 차이와 금융 이해력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 변인들에 대한 비교 분석을 행하는 데 연구의 중심 목적을 두고 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평가지 도구와 설문지를 개발하고, 전남 지역의 고등학생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와 설문조사를 행하였다. 초우 검정을 통해 회귀 추정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인한 후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각각에 대한 회귀 분석을 행하고, 금융 교육에 대한 교육적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금융 이해력 평균 점수는 20점 만점에 고등학생에 비해 1.4점이 유의하게 높다. 대학생의 경우 금융 지식의 이해와 현실 적용이라는 두 영역 간에 점수 차이가 없으나, 고등학생의 경우는 금융 지식의 현실 적용 점수가 지식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다. 고등학교에서의 경제·금융 교육은 고등학생 시기뿐 아니라 대학생 시기에도 금융 이해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고등학생, 대학생 모두에게 학교교육이 친지와의 대화, 언론, 금융거래 경험 등 다른 어떤 학습 경로보다 금융 이해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은행통장이나 카드의 사용은 고등학생과 대학생 모두에게 금융 이해력 증진에 도움을 주지만, 대학생 본인의 주식투자 경험은 의미 있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집에서 집안 어른들과의 재무적 대화 빈도가 높을수록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대학생의 경우에는 대화 빈도 자체보다는 집안 어른들의 금융 이해력 수준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empirically financial literacy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for empirical testing was obtained from a survey for Korea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in Chollanamdo province. Estimation was done for comparing two empirical models of financial literacy betwee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students after checking structural stability of estimating two dataset. The empirical results finds that the average score of university student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highschool students. The empirical analysis also shows that economic and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highschool mak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financial literacy of highschool students and also university students consistently over time. It is also found that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schools is a better delivery way than any others such as family and friends, media, and personal finance experience. The results implies that personal finance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strengthened to improve financial literacy of young students. When highschool students and university ones hold bank account and credit/debit card, it help them enhance their financial literacy. But investing at stocks by university students do not help to improve their financial literacy. As highschool students get more talks with their elders at home, they tend to be more literate at personal finance. University students get more literate when their elders are more informed.

      • KCI등재

        고등학교 자연 계열 학생들의 과학 과목 선택 경향 파악 : 지구과학을 중심으로

        유미현,신동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자연 계열 학생들의 과학 과목 선택 현황과 태도를 지구과학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고교 지구과학 교육의 방향 정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고등학교 2, 3학년 자연 계열 학생 716명을 대상으로 과학 과목에 대한 흥미, 자신감, 내신 선택 과목, 수능 예정 과목 등을 성, 거주지, 내신 성적, 과학 성적 등의 측면에서 분석했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가장 많이 선택하는 과학 과목이 지구과학1이었는데, 선택 이유로 가장 많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선택하게 했다는 점을 들었다. 한편, 수능 예정 과목에서는 지구과학이 다른 과학 과목들보다 적게 선택되었는데, 그 이유로 지구과학에 대한 이해 부족과 진로와의 관련성이 적은 점을 들었다. 지구 과학은 도시 지역 학생들보다는 농어촌 학생들의 선택율이 특히 높았고, 성취 수준이 상이나 중인 학생들의 선택율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구 환경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지구과학에 대한 이미지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pursues the new directions of earth science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the trends in high school students' course selection and their attitudes toward science subjects. We sampled 716 11th and 12th grade students in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urveyed their interests in science subjects, their confidence, the subjects that they selected, and their expectations with respect to science subjects in the Korean SAT (scholastic aptitude test)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living area, and achievement. Surprisingly, Earth Science1 was selected by most of the respondents, but they had selected it because their school had forced them to select it. At the same time, few students expected Earth Science1 to be a Korean SAT subject. Students in rural area rather than in urban area, and high- and medium-achieving students rather than low-achieving students tended to select Earth Science1. We therefore suggest that a more positive image for earth science be pursued as it is an invaluable subject and very important to the solv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에 관한 연구

        이명훈 한국기술교육학회 2017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population was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method. The survey questionnaire was sent by mail. The population sample for the study constituted 540 completed questionnaires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Chi-Square test were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generally recognized that all occupation is equally honorable. They believed making for living is the most important reason to have a job. They recognized that the job which corresponds with their aptitude is most ideal. They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virtue workers must have. They also recognized that integrity is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Second, school track (technical/commercial/othe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affecting some of occupational view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ut academic scores had no appreciable effect on occupational view of the students. Third, according to career decis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occupational views existed statistically. In other word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cognitions of 'all occupations are equally honorable', 'the most important professional success factor' and 'the biggest reason why we must have a job', 'the most ideal occupation'.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연구의 모집단은 특성화고 학생이며, 581명의 특성화고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선정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한 54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 빈도와 백분율, 그리고 일반 특성에따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차이,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직업관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특성화고 학생들은 대체로 직업에 귀천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로 생계유지를 들었으며, 적성에 맞는 직업을가장 이상적인 직업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실성을 직업인이 갖추어야할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도 성실성을 들었다. 둘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 중 ‘가장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과 ‘가장이상적인 직업’에 대해서는 학교계열에 따른 차이가 있었으며, 직업 귀천의식에대해서는 졸업 후 희망 진로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의 학업성적에 따른 직업관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관은 학생들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거나 중간인 학생들은 낮은 학생들보다 직업에 대한귀천 의식이 덜했다.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학력보다 전공능력을 더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전공능력보다 학력을 더 중요한 직업적 성공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연봉이 많은 직업보다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으나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직업보다 연봉이 많은 직업을 더 선호하고 있었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중간이거나 낮은 학생들은 ‘직업을 가져야 할 가장 큰 이유’에 대하여 생계유지의비율이 다른 이유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생계유지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지는 않았다.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이병욱,안재영,이찬주,이상현 대한공업교육학회 2013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38 No.2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소질을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학부모·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적성 향상 및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학부모·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S) by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SS), school parents (SP),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HRDII)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HS education, about entering SH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HS. Seniors of middle school, SP and HRDII in Asan, Chungnam were the subject of this surve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First, MSS and SP usually hop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such as SHS, meister high schools, and MSS considered school records and SP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for the factors to choose high school. Second, MSS, SP, and HRDII recognized purposes of SHS as improvement of talent and aptitude, and getting a job. As for posi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applying talent and aptitude to life early, getting good jobs easily, fast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and learning excellent technologies, and as for negative images of SHS,they recognized it as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students with bad school records enter them, disadvantages about promotion and wages, and being unfavorabl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ey also recognized education of SHS as being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asic and executive ability and key competency,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right personality and courteous manners. Third, many MSS and SP showed intention to enter SHS if it is established in Asan. They wished to enter SHS because they would like to apply their aptitude and talent to life early, learn excellent skill, and hope for early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wish to enter SHS because it was not suited for their aptitude and talent,awareness about SHS is low, it is unfavorable to enter universities, and there wer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y also similarly hoped for getting jobs and entering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from SHS. And the reason they wanted to get a job was usually because they want to be successful by advancing into society early, or because it is still hard to get a job even after graduate from the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ey want to enter university is because is usually in-depth education about major and social discrimination about level of education. The ability to perform duties forms the greatest part of the employment standard that MSS, SP, and HRDII aware. MSS and SP usually hoped for industrial,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and commercial majors in SHS, and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the promising future, and being favorable for employment for choosing major. The reason HRDII hire SHS student was to develop student into talent of industrial institution, ability of student, and need for manpower with high school graduation level,and there were also partial answer that they can hire SHS student if they have ability to perform duties. The proposal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H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HS should diversify major and curriculum to meet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 and parents, establish SHS admission system based on career guidance, an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duties by establishing work-based learning. The Government should organize work-to-school policy to enable practical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SHS, and promote relevant policy to reinforcing SHS educ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such as employment rate, and cooperative support from each government departments is required to make manpower with skill related to SHS to get proper evaluation and treatment.

      • KCI등재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조규진,김성현 한국학부모학회 2019 학부모연구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social adjustment and self-control. The subject is a total of 403 high school students in Gwangju.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birth order. Second, social adjustment and self-control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authoritarian rearing attitude and social adjustment, democratic rearing attitude and social adjustment, and democratic rearing attitude and self-control, bu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authoritarian rearing attitude and self-contro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can increase the social adjustment and self-control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democratic rearing attitude is important for high school students in improving their social adjustment and self-control.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 사회적응, 자기통제력의 상관분석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권위주의적인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적응, 민주적 부모 양육태도와 사회적응, 민주적 부모 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권위주의적 부모 양육태도와 자기통제력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고등학생의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으며, 따라서 고등학생의 사회적응과 자기통제력을 높이기 위해 민주적인 부모 양육태도가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