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 내용분석

        강경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2009 개정 가정교과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를 분석하고, 좋은 가정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6권의 10학년 가정교과서의 내용과 구성 체계를 비교·분석하였고, 2009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목표, 교수·학습 방법, 평가 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의 단원 구성은 가정 영역이 비슷한 비율로 개발되어 있었고, 가정교과서의 총 페이지는 출판사별로 110페이지부터 122페이지까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었다. ‘식생활 문화’ 단원은 출판사별로 교과서 B는 가장 적은 6페이지가 집필되었고, 교과서 F에서 가장 많은 12페이지가 집필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명시된 식생활단원의 학습목표는 ①우리나라와 세계 여러 나라의 가족·소비 생활과 식의주 생활의 특징과 변화 등 동향을 ②비교·체험함으로써 ③바람직한 가정생활 문 화를 창조한다.로 제시되어 있으며, 개발된 고등학교 가정교과서는 교육과정의 학습목표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은 ①체험활동, ②생활 속 자료, ③진로교육 등, ④용어 해설, ⑤다양한 활동, ⑥다양한 자료, ⑦사고능력향상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교과서는 교육과정에서 권장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포함하고 있었으나, 포함하고 있는 내용에는 다양한 차이가 있었다. 개발된 가정교과서 식생활단원의 평가 내용은 출판사별로 다양한 평가 유형을 보이고 있었으며, 대단원에서 고등 지식을 묻는 문항이 많이 제시되고 있었다. 향후 좋은 가정교과서의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을 반영한 교과서가 집필되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요소를 반영한 교과서 개발이 되어야 한다. 셋째, 교과서의 내용은 학습 내용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체계적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넷째, 충분한 사후 관리가 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 수요자들의 입김이 담긴 교과서가 개발되어야 한다. 여섯째, 교육을 담당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is study analysed the Home Economics textbook that was developed for the newly revised 2009 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ttempted to find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a better Home Economics textbook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he units of the Home Economics textbook a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goal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evaluation, and mo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with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goal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were examined to determine if the met the goals that were stated cleary in the newly revised 2009 curriculum.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included the content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were recommended by the curriculum. The content of evaluation in the developed Home Economics textbook showed various evaluation types classified by the publishing company, and many questions that asked advanced knowledge were presented in the big unit. The plan for development of a good Home Economics textbook from now on is as follows. First, a good textbook should be reflect the cautions and criteria. Second, the contents that the curriculum pursues should be reflected. Third, the textbook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Fourth, enough ex post facto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Fifth, a textbook that reflects the influence of education demanders should be developed. Sixth, continuous research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 요구분석

        황순영,박미나,이후희 복지대학교 장애인능력개발원 2016 장애인고등교육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업교육에 관한 학부모의 요구를 조사하여 학교와 가정간의 연계된 진로?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중·고등학 교 학부모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214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한 설문지로, 설문문항은 총 23문항으로 기초배경 6문항, 진로· 직업교육에 관한 요구 17문항이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 SPSS 22.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중·고등학 교 학교 급별로 x2(Chi-Square)검정과 t검정(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진로?직 업교육의 요구는 진로?직업교육 시간, 교육목표, 중점영역에서 학교 급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진로?직 업교육 목표 설정에 있어서 중학교 학부모는 학생의 적성과 장애특성 그리고 학생과 부모의 요구사항이 반영 되기를 희망하였다. 따라서 진로?직업교육 내용이 초?중?고등학교가 연계됨과 동시에 특수학급에서 실시되는 교육내용이 졸업 후 취업과도 연계될 수 있도록 방법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더불어 학교에서는 학부모의 요구 를 반영하여 내실화된 진로?직업교육 과정을 운영해야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학과정선이수제(AP)에 대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의 인식비교

        이영주,이규성,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 중 AP과목을 이수한 학생 980명을 대상으로 공동AP제도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공동AP과목 이수현황, AP제도의 영향 및 활용방안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이 영재학교 학생들보다 공동AP제도에 대해 더 잘 알고 있었지만 AP제도의 필요성은 영재학교 학생들이 훨씬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과학고 학생들은 영재학교 학생들에 비해 AP제도가 대학입시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는 인식이 높았다. 영재학교 학생들은 평균 4.17과목을 AP과목으로 이수하고 있었으며,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2.89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AP과목 1과목 당 주당 3시간~6시간미만으로 공부를 하고 있었으며, AP과목의 이수에 큰 어려움은 느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AP교과와 비 AP교과에 대한 인식에서는 영재학교 학생들은 과학고 학생들에 비해 공부시간이 많고, 과제의 수준, 시험의 수준, 퀴즈의 수준이 높으며, 분반을 크게 인식한 반면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은 영재학교 학생들에 비해 수업의 양이 많고, 교재의 수준이 높으며, 퀴즈의 빈도가 높고, 교사의 열정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AP제도가 과학기술특성화대학으로의 진학 및 전공 선택에서는 도움을 주었다고 인식하였으나, 고등학교 정규(3년)졸업에는 AP제도가 과학고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AP과목을 이수하고 대학에서 학점면제를 받게 되면 학생들은 모든 과목 혹은 일부 과목에서 면제를 받겠다는 응답이 86.0%로 높게 나타났으며, AP과목 이수를 통해 학점면제를 받게 되면 대학의 전공과목을 조기에 진입하거나 부전공 혹은 복수전공의 기회로 활용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생들 간의 AP제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AP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별 교육적 요구도와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perception of Advanced Placement Program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980 students who are taking AP courses from 6 gifted high schools and 15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AP program and the necessity of AP program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econdly,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re taking 4 AP subjects and 3 AP subjects respectively. Both group students perceived that AP subjects are more challenging, difficult, and of high quality than Non AP subjects. Also, they spend 3~6 hours per week for studying one AP subject. Third, Students perceived AP program effects on student choice of university(science and technology institute) and major decision. However, AP program does not affect high school early graduation for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Finally, students perceived the benefit of AP courses in earing college credit. Therefore, 44% of responses wished to receive an exemption for all AP courses. Also, they wished to take more advanced courses or have dual-major as a benefit of AP program.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일제시기 사립고등보통학교 교원 집단의 특성

        우정애(Woo, Jeong Ae)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0

        본 논문은 사립고등보통학교에 재직했던 조선인 교원 집단을 통해 일제시기 중등교원의 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일제는 1910년대에는 사립고보 교원의 자격을 명확하게 규정하지 않다가 제2차 조선교육령 실시 이후 사립고보 교원 자격으로 중등교원면허를 가지거나, 조선총독이 지정한 자로 한정하였다. 자격 규정의 정비에 따라 사립고보 교원 진출자의 특성도 변화한다. 1910년대에는 대한제국 관립학교 교관들의 유입이 두드러진다. 1920년대부터 해외 유학을 통해 고등교육을 경험한 자가 사립고보 교원으로 대거 진출하였다. 유학 국가는 일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들은 고등교육을 이수한 전문가로서 식민지라는 제한된 여건 속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전개해 나갔다.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y with a research target for a group of Korean teachers who served in private secondary school.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not stipulated the qualifications of private common high school teachers in the 1910s, bu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cond Chosun Education Act, teachers’ qualification was permitted to those who had a secondary teacher license for a private secondary school, or to those who were designat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s the teachers’ qualification Act was revised, the characteristics of candidates for pr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s also changed. In the 1910s,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which graduated from Korean government-led schools came to join the private secondary schools. Since 1920, those who have experienced higher education abroad have made great strides to private secondary school as teachers. The country that majority of these teachers went out for study was Japan. Within the highly constrained environment under the colonial ruling, they have undertaken various activities as a specialist who completed o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고등학교 미술과 학습평가의 내실화 실천 방안

        신경애(Shin Kyung Ae) 한국미술교육학회 2017 美術敎育論叢 Vol.31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적용에 선행하여, 학교 현장의 미술과 교육의 실태 분석을 토대로 학생평가 관련의 실제적 문제를 명료화하고, 새 교육과정의 안착을 위한 토대 마련 및 실천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도 도입의 과도기에 있는 현시점에서 고등학교 미술과 교사들은 학생평가에 있어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또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은 대학입학시험과 관련된 고질적 문제를 안고 있다. 우리 정부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학교생활기록부를 적극 활용하는 학생부종합전형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상황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의 정상화․내실화를 저해하는 주요 요인으로 대학입학시험에 주목하여, 현장 교사들로 연구 참여자를 구성하고, 구조적 질문지를 활용한 심층면담을 통해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의 실태 및 학생평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평가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논의하고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의 연계를 강화하는 실천 방안을 모색하였다 In advance to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high school freshman, this study has a purpose to clarify the practical problems related to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dition of arts subject education at the school site. Also, the study has another purpose to explore the basis and practical ways to establishment of new national curriculum. At the present time in the transition period, high school art teachers face new challenges in student assessment. Furthermore, high school arts subject education has a chronic problem related to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Comprehensive Evaluation System which utilizes High School Life Records. This study focused on the CSAT which is a major factor to hinder high school arts subject education s normalization and improvement. Accordingly, this study interviewed high school teachers with a constructive questionnaire and collected resources about high school arts education s condition and student assessment. Based on this, this research critically discussed the problems of student assessment and sought practical ways to strengthen the linkage between curriculum,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 KCI등재

        대학과정선이수제(AP) 수업 및 제도에 대한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비교

        이영주,이규성,김영민 韓國英才學會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s of Advanced Placement Classes between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Participations of this study were 145 AP teachers and 2015 students, who are taking AP courses from 8 gifted high schools and 19 science high schools. The results showed as follows; First, 226 AP courses were provided in Gifted and Science schools in 2017 and 10,840 students took AP courses. Secondl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AP class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Gifted and Science high schools students. AP classes were more challenging, difficult, and high quality than Non AP classes. Finally, teachers and students of gifted high schools were found to have higher necessity of AP program compared to those of science high schools. However, participants perceived that AP program did not affect high school and university early graduation. Also,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에서는 영재학교와 과학고등학교 학교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AP수업 개설현황을 분석하고, AP수업을 담당하는 교사 147명과 AP수업을 이수한 학생 2,015명을 대상으로 AP수업 및 AP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2017년 한해동안 영재학교와 과학고에서는 226개의 AP교과목이 개설되었으며, AP 수강인원은 10,840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 학생들은 평균 4.76개, 과학고 학생들은 3.02개의 AP과목을 이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현장에서는 AP수업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교사의 성별, 최종학력, 영재교육경력, 담당과목,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AP수업에 대한 인식을 비교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구분(영재학교와 과학고)과 자격구분(교사와 학생)에 대해서는 AP수업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P수업과 비AP수업과 비교해 볼 때 전체적으로 교사들이 학생들보다, 영재학교가 과학고등학교보다 수업의 차이를 더 크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P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영재학교에서 과학고등학교보다는 AP제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영재학교의 경우 학생보다는 교사가, 과학고등학교에서는 교사보다는 학생이 AP제도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AP제도가 과학영재들에게 심화교육을 제공하며 특성화대학과의 교육연계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AP수업 및 AP제도가 학교현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기 위해 요구되는 학교별 교육적 요구도와 발전방향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프레테릭 와이즈먼(Frederick Wiseman)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이기중(Kijung Lee)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본 논문은 미국 다이렉트 시네마 감독들 가운데 한 명으로 손꼽히는 프레데릭 와이즈먼의 영화방법론과 그의 초기 대표작인 <고등학교(High School)>를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프레데릭 와이즈먼은 지속적으로 미국의 정부기관에 관한 다큐멘터리영화를 만들어왔으며, 통상적인 다큐멘터리영화의 서사기법과 달리 연속적이거나 극적(劇的)인 이야기 구조를 따르지 않는 방식으로 영화를 만드는 감독으로 정평이 나있다. 본 논문은 프레데릭 와이즈먼이 여러 인터뷰나 저술에서 자신의 영화방법론에 대해 직접 밝힌 내용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면서 그의 영화방법론과 <고등학교>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프레데릭 와이즈먼이 직접 명명한 ‘발견의 여행’과 ‘리얼리티 픽숀’이라는 개념을 통해 프레데릭 와이즈먼의 영화적 방법론을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텍스트로서의 <고등학교>를 분석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발견의 여행’을 다룬 장에서는 프레데릭 와이즈먼의 촬영과정에 나타나는 영화철학과 방법론을, 그리고 ‘리얼리티 픽숀’을 통해서는 프레데릭 와이즈먼의 편집과정을 보다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한편 프레데릭 와이즈먼은 촬영과정에서 영화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전달할 수 있는 ‘시퀀스(또는 사건)의 발견’에 초점을 두었으며, 편집과정에서는 시퀀스의 구조적인 배치와 배열을 통해 영화감독의 관점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영화를 완성하려 하였다. 한 마디로 <고등학교>는 학교의 ‘권력’과 이데올로기에 관한 영화이다. 프레데릭 와이즈먼은 영화에서 교사/학교행정가들과 학생들, 그리고 학부모 간의 관계와 행위를 통해 학교의 권력 관계를 탐구한다. 이런 점에서 <고등학교>는 한 고등학교에 대한 감독의 개인적인 경험을 담은 보고서이자 1960년대 미국의 ‘또 다른 얼굴’에 대한 사회적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Frederick Wiseman is one of American Direct Cinema filmmakers. This paper explores his documentary methodology and critically analyzes <High School> which is one of his early works. Frederick Wiseman’s approaches to documentary film are very unique in that he has made many films on American institutions and his films do not follow causally contiguous narrative or dramatic structure. The paper especially focuses on Frederick Wisemant’s statements about his thoughts on documentary film in order to find out his cinematic philosophy and approaches and thereby tries to explore into <High School>. This paper looks into Frederick Wiseman’s cinematic ideas and <High School> through his terms of ‘voyage of discovery’ and ‘reality fiction’. Especially features of his shooting process and editing process are elucidated in terms of ‘voyage of discovery’ and ‘reality fiction’ respectively. In summary, Frederick Wiseman focuses on discovery of sequence(or event) in the shooting process in order to transmit his vivid experience of the school to audience while he tries to expose his cinematic point of view by placing and arranging sequences in the editing process. In a word, <High School> is a film about ‘power’ and ideology of the high school. In the film Frederick Wiseman digs into the power relationships through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school administrators and students/their parents. In this way <High School> becomes discourse on another America in the 1960s as well as the filmmaker’s individual report on a high school.

      • KCI등재후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라기훈,임나영,이창훈 대한공업교육학회 2019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ization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desirabl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level of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ird, the resilience of resilience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related to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of special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test tool was produce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70 item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1 items), parent support (22 items), career decision level (22 items), and resilience (27 item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850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s in the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Area and 689 piec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of non - respondents and untrue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by grades. Also, parental support, career decision level, and resilience were highly correlate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vel,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emotional support and verbal encouragement were more than 50%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terms of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parent support on career decision level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by overall resilience and sub - factors such as control, positive, and sociality.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er guidance counseling, a program linked to the school and the home should be conducted considering both domestic factors and internal factors. Especially, as the grade increases, it should be preceded by education that can form positive parent support and resilience by utilizing emotional and linguistic aspects.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가정과 학교가 연계된 바람직한 진로지도·상담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은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로 설정하여 구명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에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설문지는 개인특성(1문항), 부모지지(22문항), 진로결정수준(22문항), 회복탄력성(27문항)으로 총 70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전국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 8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무응답이나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689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년별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각각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또한 부모지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 모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하위요인별로는 부모지지와 진로결정수준, 회복탄력성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모지지의 하위요인 중 정서적 지지와 언어적 격려가 진로결정수준에 50%이상의 설명력을 보였다. 매개효과 측면으로는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복탄력성 전체와 하위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이 모두 부분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지도상담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적요인과 학생 내적요인을 모두 고려한 학교와 가정이 연계된 프로그램이 진행되어야 하며 특히 정서적, 언어적인 측면을 활용하여 학년이 올라갈수록 긍정적인 부모지지와 회복탄력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韓國 初ㆍ中ㆍ高等學校의 漢字ㆍ漢文 敎育 現況

        윤재민 한국한문교육학회 2009 한문교육논집 Vol.33 No.-

        한국의 初等學校에서 漢字, 漢文 교육은 1945년 이후 1969년까지만 하더라도 여러 가지 방식으로 줄곧 시행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漢字 교육이 폐지된 것은 1969년 9월 개정되어 1970년 1학기부터 시행된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부터이다. 이후 현재에 이르도록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정규 교과로는 더 이상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1992년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은 초등학교에 ‘학교 裁量 시간’을 신설하면서, 이 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교육 활동으로 ‘漢字, 컴퓨터, 勞作 등의 활동’을 예시함으로써 제한적이나마 漢字, 漢文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997년 고시되고 2001년부터 시행된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이 예시 조항을 다시 삭제함으로써 이후 현재에 이르기까지 초등학교에서의 漢字, 漢文 교육은 교육과정 상의 어떠한 근거도 없이 일부 지역 교육청이나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파행적으로 시행되거나 私敎育 市場에 맡겨지고 있는 형편이다. 한국의 中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漢文이 국어 교육의 일부로서 부분적으로 교수되거나 아예 교수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처음으로 ‘漢字 지도 要綱’이 제시된 것은 1951년 2월에 발표된 文敎部의 ‘戰時 學習 指導 要領’이다. 여기서 문교부는 일상생활에 긴요하다고 인정되는 漢字 1,000자를 골라서 國民學校 4ㆍ5학년 각 300자, 6학년 400자로 配當하여 가르치도록 하고, 이 1,000자의 制限 漢字를 中學校에도 적용하도록 하였다. 이후 1955년 8월 고시된 제1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중학교의 漢字 및 漢字語 학습’ 사항을 포함시켜 漢字, 漢文 교육을 국어과 교육과정의 하위 內容 領域 가운데 하나로 기술하였다. 1963년 2월 15일에 고시된 제2차 교육과정에서도 漢文은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속에 포함되어 중학교 국어과 內容 領域의 하나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에서는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漢字 및 漢文 指導’ 조항을 삭제하여 중학교 한문 교육을 아예 폐지하고 말았다. 그러다가 1972년 2월 고시된 교육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新設되어, 이 해 2학기부터 漢文이 독립 교과로서 공식적으로 교수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1973년 8월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중학교 漢文은 1, 2, 3학년 각기 주당 1시간씩의 必修 科目으로서 교수되어 왔다. 그러나 1992년 6월 고시되고 1995년부터 시행된 제6차 교육과정에서는 중학교 漢文이 선택 과목으로 되었고, 이후 이러한 사정은 크게 변하지 않은 채 오늘날에까지 이르고 있다. 한국의 高等學校에서 漢文이 독립 교과로 교수되기 시작한 것은 중학교 漢文과 마찬가지로 1972년 2학기부터이다. 그 이전에는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고등학교 漢文이 교수되어 왔다. 초등학교와 중학교에서 漢字, 漢文 교육을 폐지한 1969년의 교육과정 부분 개정 때에도 고등학교 漢文은, ‘國語Ⅰ’에서 漢字 교육 부분을 삭제하는 대신 인문계 고등학교 ‘國語Ⅱ’에 있는 漢文을 6單位에서 8單位로 증가시켰는바, 역시 國語 교육의 일부로서 漢文을 敎授하였던 것이다. 이후 1972년 敎育法 施行令에 의하여 漢文 교과가 독립 신설되고, 1973년 고시된 제3차 교육과정에서부터 제5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고등학교 ... Since 1945,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s,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d been performed through the various methods till 1969. In the elementary schools, abolition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sulted from the partial revision of the curriculum which revised on Sep.,1969 & executed from the 1st semester in 1970. Since then,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hasn’t been performed till now as the regular course in the elementary schools. However, ‘School Discretionary Activities’ was newly established in the elementary schools through the 6th curriculum, notified in 1992 & executed from 1995, and ‘Activities including Chinese Characters, Computer & Elaboration’ were exemplified as the educational activities to be used. So, though restrictively,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came to be possible. But. in the 7th curriculum, notified in 1997 & executed from 2001, such exemplification provision was again deleted. So, till now, in the elementary schools, it’s the situation that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s being executed creepingly at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or a schoolmaster’s discretion without any base on the curriculum or being put on the markets of private education. In the Korean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subject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Before then, Korean Classical Chinese had been instructed partially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or never instructed. Firstly, ‘Korean Classical Chinese Guidance Principle’ was presented from ‘Learning Guidance Principle in the Wartime’ of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announced on Feb. 1951. And then, The Ministry of Culture & Education selected 1,000 Chinese Characters recognized as necessary in the everyday life, allotted 300 Characters for the 4th․5th grade in the Elementary each, 400 Characters for the 6th grade, and made such restrictive Chinese Characters of 1,000 letters apply to the middle schools. And then, in the 1st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55, ‘Chinese Characters & Chinese Character Words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s, an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described as one of the sub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also in the 2nd curriculum notified on 15th, Feb., 1963,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contain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and described as one of the contents areas of Korean Language. However,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provision of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Guidance’ was deleted from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e middle school, so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was abolished completely in the middle schools. And then,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Educational Act notified on Feb.,1972, a course of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newly & independently established, so it began to be instructed officially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of the year. Since that, from the 3rd curriculum notified on Aug., 1973 to the 5th,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required subject for 1 hour a week in the 1st, 2nd, & 3rd grade each. However, in the 6th curriculum notified on June, 1992 & executed from 1995, in the middle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came an optional course, and such a situation has continued till now without great changes. In the Korean high schools, Korean Classical Chinese began to be instructed as the independent course from the 2nd semester in 1972 as the same as in the middle schools. Before then, high school Korean Classical Chinese was instructed as the par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ven in the partial revision of curriculum in 1969 which abolished Chinese characters & Classical Chinese education i...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선택의 결정변인 탐색 : 학교의 진로교육 요인을 중심으로

        임현정 한국교육개발원 2013 한국교육 Vol.40 No.1

        This study analyzed the main f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by which middle school students choose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students' career-related activities on high school choice were examined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family background variables. The results revealed that, while academic achievement had a noticeable effect on the choice of high schools, the magnitude of the effect varied somewhat when accounting for family background variables. Still, students' level of educational ambition and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has been discovered to lessen the influence of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students' educational ambitions and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amplified the demand for post-secondary education, which made students choose to go to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effects of family background were significant after controlling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family environment and support from parents also affected the choice of high school, aside from the individual effort of each student. Particularly significant factors were students’ satisfaction with career education, the frequency of counseling, and the diversity of career education. Because choice of high school is the individual student's decision, it should depend primarily on the student's ability, and then on the family environment and parents' opinions.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school's pressure to achieve and career guidance may be additional factors that play a role in the decision. This is why we have to pay more attention to career guidance in schools. 「한국교육종단연구2005」에 참여한 학생들의 고등학교 진학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문계 고등학교 대비 일반계 고등학교에 진학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해 봄으로써 계열 선택의 주된 요인이 어디에 있는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선행연구를 통해 밝혀진 학생의 학업성취, 가정배경의 영향을 통제한 이후 학생의 진로활동의 영향을 살펴보고, 학교수준에서 학교의 풍토와 진로지도 관련 변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 선행연구와 같이 고등학교 계열 선택에 학생의 가정환경, 부모의 지원과 같은 배경요인의 영향이 유의하였으나 학업성취도의 투입이 가정배경요인의 영향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교육포부 및 교육기대 수준과 학생의 진로교육 만족도와 학교의 개별 상담 정도, 진로프로그램 다양성도 유의하여 학교의 진로지도가 고교 계열 선택에 추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중학교 시기의 진로교육이 중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