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예절교수가 발달장애 성인의 경조사 예절행동과 공감능력에 미친 효과

        이정은,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3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tiquette instruction with social story on etiquette behaviors and empathy abilit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twenty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participating in a post-secondary education program at a university affiliated continuing education center located in Seoul. Ten students are grouped and assigned in pair to each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tiquette instruction was carried out for 12 sessions including orientation.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s wer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s of the etiquett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of the etiquette behavior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 of the empathy ability than those of control grou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it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on etiquette instruction conducted to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rovides the data generated from the application of social story that could effectively teach etiquette behaviors and empathy abilit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me discussion on the enhancement of etiquette behaviors and empathy ability of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예절교수가 발달장애 성인의 경조사 예절행동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서울지역 한 대학교 평생교육원의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프로그램을 수강하는 발달장애 성인 22명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0명을 대상으로 성별, 경조사 예절행동이 유사하도록 일대일로 짝지어 실험집단 10명과 통제집단 10명을 구성하였다. 예절교수를 통해 교수할 예절행동은 공통 예절과 특정 경조사 예절로 구분되며, 특정 경조사 예절에서 교수할 주제들은 경조사의 성격에 따라 명절 인사하기, 축하하기, 위로하기로 구분되었다.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예절교수는 오리엔테이션 회기를 포함하여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발달장애 성인 간의 경조사 예절행동, 공감능력 변화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험집단 발달장애 성인들의 경조사 예절행동과 하위 영역 점수 모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향상되었다. 둘째, 실험집단 발달장애 성인들의 공감능력과 하위 영역 점수 모두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상황이야기를 활용한 예절교수는 발달장애 성인들의 경조사 예절행동과 공감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경조사 예절교수를 개발․실시한 첫 연구라는 점과 함께 성인학습자 대상으로 증거기반의 교수방법인 상황이야기를 활용하여 실제 지역사회 환경, 상황과 맥락, 연구 참여자와 친분이 있는 인적자원을 적극 활용하여 실제 경조사 상황에서 예절행동과 공감능력을 성공적으로 교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끝으로, 무엇보다 발달장애 성인에게 주변의 경조사에 참여할 기회가 적극적으로 제공되는 것의 중요성을 지적하며,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재정패널을 이용한 우리나라 가구의 경조사비 지출과 경조사 수입 간의 관계 분석

        손혜림 ( Hyelim Son ),송헌재 ( Heonjae Song ) 한국재정학회(구 한국재정공공경제학회) 2018 재정학연구 Vol.11 No.4

        개인의 삶에서 발생하게 되는 지출 중, 경조사로 인한 비용은 비교적 짧은 기간에 큰 지출을 야기함으로써 가구 소득에 부의 충격(negative income shock)으로 작용한다. 우리나라의 경조사 부조금 문화는 이러한 경제적 위험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 사회 내에서 자발적으로 생성된 보험제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경조사비 지출은 가구 지출에서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보험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가구에서 경조사 부조금 지출액과 경조사 수입액의 상관 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경조사 부조금이 사회 보험으로서 적절하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재정패널을 이용하여 10년 치 누적액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경조사 수입이 있는 가구의 경우, 경조사 지출액은 경조사 수입액을 완전 보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South Korea, familial events, such as marriage ceremonies or funerals are not only attended by a small group of family and friends, but also acquaintances from work or school. A unique cultural practice when invited to such events is that one gifts cash to the invitee. Because an individual is often in many groups of social network, the total amount of cash gifts one makes annually is non-trivial. In this paper, we study whether this cultural practice of cash gifts serves as a social insurance to negative income shocks when one finances their own large family events. Using National Survey of Tax and Benefit, we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s 10 year cumulated revenue from own familial event and 10 year cumulated expenditure for other household’s familiar events. We find an evidence of full insurance, which is surprising given that this practice is cultural, and is not legally binding.

      • KCI등재

        청탁금지법상 공직자가 음식물ㆍ경조사비ㆍ선물 등의 금품을 받을 수 있는 한계

        정형근(Jung Hyung Keun) 경희법학연구소 2018 경희법학 Vol.53 No.2

        Although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s prohibits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from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re is an exceptional rule for allowing it. The prohibition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describes that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request, or promise tro receive, any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in excess of one million won at a time from the same person, regardl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offer and his or her duties.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 which is not related with his or her duties shall be punished, which sets against the Criminal Act by which a public official will be punished for accepting bribe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When a public official accepts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it should be examined whether such an act was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In addition, a public official or relevant person shall not accept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in value of less than 100 million won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regardless of whether such offer if given in exchange of any favors. The violation of this rule shall be subject to a fine for negligence. In case it is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nd in exchange of any favors as well, it violates both Criminal Act’s Acceptance of Bribe and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However, in such a case, it is debatable which law is supposed to be applied. It is probable that the investigating authorities would consider it as accepting bribe, while the public institution would rather impose a fine for negligence. It is necessary to observe how this rule is going to be practiced. Although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prohibits the acceptance of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there are exceptions when it is allowed to accept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Among such exceptions, it is allowed to accept food and drink,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gifts, or other items that are offered to facilitate performance of duties or for social relationships, rituals, or assistance to festivities and funerals, the vale of which is within the limit provided by Presidential Decree. Of course, the amount is set by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ccording to the updated the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it is allowed to offer up to 50,000 won for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while the value of artifical flowers or flower bed up to 100,000 won. The value of give is limited to 50,000 won while the value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and the processed product of them is limited to 100,000 won. But requesting congratulatory or condolence money for a public official or relevent person’s assistance to festivities or funerals should be prohibited. Especially, when such request is in connection with a public official’s duties and it is in exchange of any favors. For example, a professor shall not request students to assist his or her festivities or funerals. It is also prohibited a professor from accepting birthday cake and a bouquet during school hours. In this case, because the professor is in the position to guide and evaluate students, it is considered being in connection with his or her duties and in exchange of any favors. If the professor is a public school employee, such an act can be considered as acceptance of bribe. Likewise, if the professor is a private school employee, such an act shall be considered as violating Criminal Act’s Receiving or Giving Bribe bvy Breach of Trust. Of course it also violates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As a result, accepting financial or other advantages prohibited in the Improper Solicitation and Graft Act will lead to violating Criminal Act as well. 청탁금지법은 공직자등의 금품등의 수수를 금지하면서도 예외적으로 이를 허용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금품등의 수수금지에 관한 내용을 보면, 공직자등의 직무 관련 여부에 관계없이 동일인으로부터 1회에 100만원을 초과하는 금품등을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할 수 없도록 한다. 직무 관련이 없는 상태에서 금품등을 받아도 처벌한다. 이 점이 직무와 관련하여 뇌물을 받으면 처벌하는 형법상 수뢰죄와 비교된다. 음식물이나 선물 그리고 경조사비라도 수수금지 금품등의 예외사유에 해당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를 받거나 요구 또는 약속할 수 없다. 공직자가 직무와 관련하여 금품등을 받으면 당연히 대가성이 인정되는지도 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공직자등이 직무와 관련하여 대가성 여부를 불문하고 100만원 이하의 금품을 받을 수 없다. 이를 위반한 때는 과태료를 부과한다. 직무와 관련하여 대가성도 인정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때는 형법상 수뢰죄와 청탁금지법 위반에 해당된다. 이 경우에 어느 법률을 적용해야 할 것인지가 문제된다. 수사기관에서는 뇌물죄로 의율 할 것으로 보이지만, 청탁금지법 위반으로 인정한 공공기관에서는 과태료를 부과하는 절차를 밟을 가능성이 있다. 이는 앞으로 실무의 추이를 지켜보아야 할 사항이다. 청탁금지법은 수수금지 금품등이라 할지라도 예외적으로 받을 수 있는 예외를 인정하고 있다. 그 중에서 “원활한 직무수행 또는 사교ㆍ의례 또는 부조의 목적으로 제공되는 음식물ㆍ경조사비ㆍ선물 등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가액 범위 안의 금품등”에 따라 음식물, 경조사비, 선물을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그 가액에 대해서는 청탁금지법 시행령에서 정하고 있다. 2018. 1. 17. 개정된 청탁금지법 시행령에서는 경조사비에 대해서는 5만원으로 하면서도 조화, 화환은 10만원까지 가능하도록 했다. 그리고 선물에 대해서는 5만원으로 하되, 농수산물과 농수산가공품에 대해서는 10만원까지 허용하였다. 그렇지만 경조사를 당한 공직자등이 경조사비의 제공을 요구할 수 없다고 해야 한다. 그리고 공직자등과 수수금지 금품 제공자 사이에 직무관련성과 대가성이 있을 때는 허용될 수 없다. 예컨대 대학의 교원이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자신의 경조사에 참석하도록 강제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생일을 맞은 교원이 수업 시간에 학생들이 제공한 케이크와 꽃다발을 받는 행위 역시 금지된다. 이 경우에 교원은 학생의 지도와 학점을 부여하는 지위에 있기 때문에 직무관련성과 대가성도 인정되기 때문이다. 만약 교원이 국립대학 교원으로 공무원이라면 뇌물죄에 해당될 수 있다. 그렇지 않고 사립대학 교원으로 부정한 청탁을 받고 금품을 받았다면 형법상 배임수재죄에 해당된다. 물론 청탁금지법도 위반한 것이 된다. 이처럼 청탁금지법의 수수금지 금품등을 받은 경우에는 형법 위반에도 해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 KCI등재

        가구의 경조사비 지출액이 가구주의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은비,송헌재,손혜림 한국응용경제학회 2022 응용경제 Vol.24 No.1

        경조사비 지출에는 금전적 지출과 경조사 참석이라는 시간 비용이 수반되며, 이것이 사회적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비용으로써 축적된다면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경조사비 지출이 쌓여 형성된 인적 네트워크로 인해서 구직에 드는 비용 또는 기간이 감소하거나, 직장유지율이 높아지는 등의 이익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적 네트워크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일회성 경조사비 지출의 액수보다는 누적된 경조사비 지출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재정패널을 이용하여 13년 동안의 누적 경조사비 지출액이 해당 가구의 중고령층 가구주의 노동시장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누적 경조사비 지출액의 증가는 2019년 기준으로 가구주가 취업해 있을 확률을 높이고, 연간 근로 개월을 늘리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KCI등재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에 관한 연구

        김시월 ( Siwuel Kim ),윤정혜 ( Junghai Yoon ),조향숙 ( Hyangsook Cho ),이정화 ( Jeonghwa Lee ) 한국소비자학회 2012 소비자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노인 단독가계의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 과 구성비 수준을 알아보고, 그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의 3차년(2009)도 조사에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단독가계의 가구주 706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를 비교해볼 때,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순으로 소비지출 수준과 구성비 수준이 높았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의 경우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적게 지출하여, 여성이 남성의 약 60% 수준에서 지출하고 있었다.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정상재이며 필수재의 성격을 보였다. 즉, 교통비, 통신비, 문화ㆍ여가활동비,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소득탄력성은 모두 엥겔계수보다 높고 1.0 미만이었다. 각 비목별 지출을 볼 때, 교통비 지출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질환이 없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통신비 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소득이 많을수록, 부채가 많을수록 유의하게높았다. 문화ㆍ여가활동비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정(+)의 소득효과가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소득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정(+)의 자산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남성은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이 아닌 광역시나 도에 거주할 경우 문화ㆍ 여가활동비의 지출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남성의 문화ㆍ여가활동비의 소득탄력성이 여성에 비해 훨씬 높았다. 경조사ㆍ교제비 등의 지출은 종교가 있는 경우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경조사ㆍ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을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할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경조사ㆍ교제비 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은 연령이 적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자산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높았으며, 소득과 성별의 상호작용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남성은 소득이 높을수록 전체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았고, 여성은 연령이 적을수록, 교육수준이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경우, 거주지역이 서울보다 도에 거주하는 경우, 소득이 높을수록, 자산이 많을수록 전체 사회적 참여소비지출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노인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소비지출은 성별의 영향이 확연하게 다르게 나타났다. 문화ㆍ여가활동비나 경 조사ㆍ교제비 등에 있어서 남성은 소득이, 여성은 소득과 자산이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소득은 직업과 근로능력 의 중요성을 의미하며, 자산은 가계자산관리 및 장기적인 금융소비자교육의 중요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종교유무, 거주지역, 취업여부 등의 인구학적 특성과 소득ㆍ자산ㆍ 부채 수준 등의 경제적 특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노인 단독가계의 사회적 참여 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며, 젊은 나이부터 노년기를 대비한 사회적 참여의 확대 및 자신의 재무 설계와 관리, 취업 관리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sumption expenditures by consumption expenditure item and explored the determinants of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f older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a focus on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and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mployment status, economic variable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and health status. For this purpose, OLS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a sample of 760 single householder aged 65 years or older in the third survey data of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KReIS 2009).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the level and the proportion of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ere highest and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and recreation were followed. Women spent less on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men. And women spent 60 % of men’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was normal good and necessary. The income elasticity of transportation, communicati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were higher than Engel’s coefficient and less than 1.0. Second,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ransporta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 person householders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ho had diseas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ransportation than those who didn’t have. Third, income and deb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while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mmunication expenditures. Fourth, religion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asse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women. 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recrea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And income elasticity of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was much greater for men than for women. Fifth,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Ag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while education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Sixth, 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while asset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Income and gender ha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Incom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ulture and recreation expenditures for men and education, income and asse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for women. Women having religion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who did not have. Women residing in town in province spent significantly more on the total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than those residing in Seoul. Finally, social participation consumption expenditures older single-person householders were apparently changed by gender. Income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 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men, and income and asset had an effect on culture and recreation, and congratulatory/condolence and social expenditures for women. Income has an emphasis on jobs and working capability, while asset has an emphsis on the household asset management and long term financial consumer education. Results from this study offer that customized support system differentiated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having-religion, residential area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such as income, asset and debt should be needed. Furthermore, it should be needed to educate their financial planning and job management, for individuals and households from young age.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의 사행 활동 실태

        윤유숙(Yoon, Yu-Sook) 한일관계사학회 2017 한일관계사연구 Vol.58 No.-

        조선후기 문위행은 조선이 쓰시마번의 소씨(宗氏)에게 파견한 외교사절로, 왜학역관을 정사로 하여 구성되며 역관사(譯官使) 또는 도해역관사(渡海譯官使)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임무는 쓰시마 번주의 慶弔事와 쇼군 가문의 경조사 문위, 번주 소씨가 산킨코타이(參勤交代)를 하고 에도에서 쓰시마로 귀환한 것에 대한 축하, 등이다. 이 연구에서는 문위행관련 기록류를 검토하여, 그들이 실제로 쓰시마에서 행한 활동을 ‘국제정세에 관한 정보교환’과 ‘사행원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쓰시마번의 경제원조 · 각종 불법행위)’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쓰시마번이 가장 관심을 기울인 국제정세 정보는 주로 조선을 비롯한 대륙의 동향이었다.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 이후 막부는 명을 포함한 대륙 정세에 관한 정보수집에 촉각을 세웠다. 후금이 1636년 국호를 ‘대청국(大淸國)’으로 바꾸고 조선을 침략한 이상, 그 여세를 몰아 인근국가인 일본을 침범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현실적인 우려에서였다. 쓰시마번은 호란 이후에도 수십 년간 조선과 청과의 관계, 대륙의 반청(反淸) 세력의 군사적인 동향에 관해 문위행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정보를 모아 막부에 제출했고, 문위행 역시 일본의 국내 정세에 관한 정보를 입수하여 조정에 전달하였다. 문위행과 쓰시마번의 경제활동 측면에서 두드러진 현상은 쓰시마번이 도해역관들에게 공식적인 예단 외에 다수의 비공식적인 금품을 건넨 사례가 확인된다는 점이다. 이는 대조선 통교를 자번의 입장에 유리하게 이끌어가는 데 ‘영향력 있는’ 고위 역관들의 협조를 동원하기 위한 방편이었을 것이다. ‘역관에 대한 쓰시마번의 경제원조’에 관해서는, 소통사(小通事)에 대한 원조가 1680년대 말부터 산발적으로 행해졌다는 사실이 기존의 연구를 통해 소개된 바 있다. 본고는 도해역관들에 대한 쓰시마번의 금품 지급이 이미 17세기 전반부터 관례처럼 행해지고 있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문위행에는 불법적인 경제활동으로 밀무역(잠상)이 수반되었다. 쓰시마에 도착한 후 사행단 일원의 화물에서 불법적인 물품이 발견되거나 쓰시마 현지인과 매매한 사실이 발각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했다. 밀무역 단속 강화를 조선의 역관에게 요청하는 것만으로는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고 판단한 쓰시마번은 쓰시마 측이 주도하여 적재화물을 조사하려 했지만, 그러한 시도는 매번 역관들의 반대에 부딪쳐 성사되지 못했다. 문위행이 귀국한 후 하급 사행원이 쓰시마에서 저지른 소소한 불법행위들이 보고되는 일은 매우 드물었으며, 도해역관이 개입된 밀매는 더더욱 비밀에 붙여졌다. 문위행은 ‘쇼군 습직 축하’라는 역할 만을 수행하지 못했을 뿐, 18세기 이후에는 ‘쇼군 가문에 대한 사절’로서의 성격을 겸비하고 있었다. 그런만큼 막부는 문위행 접대를 이유로 한 쓰시마번의 경비 지원요청에 응했고, 사행 시 소씨 앞으로 조선이 발급한 외교문서도 막부에 보고되었던 것이다. 따라서 문위행을 통신사와 대비하여 조선이 소씨라는 ‘일개 지방 다이묘에게 파견한 사절’로 국한시키는 평가는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문위행은 그 행선지가 에도가 아닌 쓰시마 후추였다는 점, 정사(正使)가 고위 文官이 아닌 왜학역관이라는 점 등으로 인해, 통신사와 달리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간에 다양한 형태의 협조, 지원, 관행, 불법에 대한 묵인 등이 교묘하게 개입된 사행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문위행은 조선 조정이 파견한 사행이면서도 ‘조정’이 아닌 ‘도해역관’ 차원에서 많은 사안들이 종결되어 버리는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문위행은 ‘쇼군 가문을 상대로 한 조선의 사절’이라는 양국 정부 차원의 성격과, ‘도해역관과 쓰시마번’ 차원에서 형성된 관행적인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었던 것이다. "Munwihaeng" (問慰行) refers to envoys in late Joseon who were dispatched to the Tsushima government on missions that were headed by Joseon interpreters of the Japanese language. For about ten years during the 1990s, many studies were published on the origin and makeup of the munwihaeng and negotiations in which the munwihaeng had been involved. However, research over the next ten years remained stagnant and showed no further progress. The failure to suggest new points of discussion as follow-ups to the basic research that was previously conducted can largely be attributed to not making more active use of historical sources that contain records of each mission in which the munwihaeng participated. Records left by the So descent group are the only remaining sources that offer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 such as details regarding their customary practices or negotiations and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were involved in Tsushima. Yet, studies based upon analyzing those records in depth have only again begun to appear since 2010. This study is therefore based on an analysis of records the So descent group kept regarding the munwihaeng, and is aimed at identifying the reality of the munwihaeng"s involvement in the exchange of information on international affairs and economic activities (including the So descent group"s economic aid and all forms of illegal activities). Since the eighteenth century, munwihaeng were s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s such, the Edo bakufu would cover the cost of accommodating munwihaeng on behalf of the So descent group and reports would be sent to the Edo bakufu regarding diplomatic documents issued by the Joseon government that envoys brought along with them to Tsushima. This gives reason to reconsider the presumption that, compared to the larger, formal diplomatic delegations called Tongshinsa (通信使), munwihaeng had been sent on missions to the So descent group of Tsushima domain, whose leader was a low-ranking daimyo in Japan. What does set munwihaeng apart from Tongsinsa are the facts that the destination of the munwihaeng had been Fuchu (府中) in Tsushima instead of Edo, that missions were led not b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but by Japanese language interpreters, and that such missions subtly entailed various forms of cooperation, support, customary practices, collusion, and condoning of illegalities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hat sense, although munwihaeng envoys were sent on missions by the Joseon government, they were unique in that many matters were settled at the discretion of interpreters instead of the government. Therefore, munwihaeng possessed a dual nature of being sent by the Joseon government on missions related to the shogun"s family occasions and, at the same time, dealing with matters in a customary, closed manner between Joseon interpreters and the So descent group in Tsushima.

      • KCI등재

        조선후기 문위행(問慰行)에 관한 재고(再考)

        윤유숙(Yusook Yoon) 한일관계사학회 2015 한일관계사연구 Vol.50 No.-

        이 논문은 ‘1635년 문위행’의 역할과, 문위행과 관련된 막부의 쓰시마번 원조 사례를 실증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1635년의 사행은 역관의 단독사행이면서 마상재(馬上才)를 동반하고 에도까지 다녀온 최초의 사례이다.이 사행은 1635년 정월에 조선을 출발, 3월 말 에도에 도착하였고 쇼군과 다이묘들에게 마술을 선보인 후 7월 조선에 귀국했다.쇼군 이에미쓰의 친재(親裁)를 거쳐 오이에소도에 대한 최종판결이 내려지고 관련자 개개인에 관한 구체적인 처벌이 언도된 것이 3월 12일, 13일이므로, 사행단이 에도에 도착했을 때 이미 야나가와잇켄은 모두 종료된 상태였다. 따라서 홍희남과 최의길은 쓰시마번의 오이에소도(御家騷動)에 관한 정보수집에 힘쓰기는 했으나 막부를 직접 상대로 하여 소씨를 변호했다고는 보기 어렵다. 한편 문위행과 관련된 접대비용 충당이라는 명목으로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779년부터이다. 종래의 연구성과에서 문위행 관련 원조로 총 7회의 사례가 있었음이 밝혀진 상태이지만, 필자의 조사에 의하면 문위행의 경우 19세기에 들어서서 1809, 1843, 1860년의 사행에서도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졌다. 1809년에 대비한 원조는 통신사와 문위행의 접대, 양쪽 비용을 겸한 경우였는데, 이것까지 포함시키면 원조 회수는 총 10회에 이른다. 막부의 재정원조가 이루어진 사례들의 공통점은 모두 쇼군 가문의 경조사를 명목으로 한 경우였고, 단순히 쓰시마번주 가문의 사안을 목적으로한 원조는 찾아볼 수 없다는 점이다. 이처럼 쓰시마번이 통신사 뿐만 아니라 문위행의 접대비용에까지 원조요청을 확대시킨 배경에는, 18세기 중기 이후 대조선 무역 이익의 감소와 격심한 재정궁핍이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몇 건의 원조 사례를 쓰시마번의 기록을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문위행의 도일에 앞서 쓰시마번은 로주를 비롯한 막부의 중신들에게 청원서를 제출하여 특별 수당의 하사를 요청했고 대개 그 요청은 수용되었다. 1829년, 1843년, 1855년, 1860년 사행에서도 원조가 이루어졌고, 1860년의 사행이 조선시대 최후의 문위행이 되었다.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 문화어휘장 구축에 관한 연구 : 경조사 어휘장을 중심으로

        김의숙(Kim Uisu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논문의 목적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을 위한 문화 어휘장 중에서 경조사 어휘를 중심으로 구축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는 한국일생의례사전에서 제시한 표제어 중에서도 현대에도 사용되고 있는 어휘들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출생의례, 혼인의례, 상례의례’를 기준으로 세부적인 어휘장을 구축하였다. 여기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들로 보충하여 경조사 어휘장을 완성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경조사 어휘장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뿐만 아니라여성결혼이민자들이 목표 언어의 문화를 잘 이해하고 경조사 상황에 알맞은 어휘를 구사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라고 보았다. 다음 후속 연구에서는 본고에서 구축한 경조사 어휘장을 학습 단계별로 구성하고 그에 따른 학습 활동을 제안하기로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ultural vocabulary list for married female immigrants and it is build focused on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words. It focused on words that is currently used among suggested headwords from Dictionary of Korean Rite of Passage, and detail vocabulary list is build based on ‘birth rites’, ‘wedding rites’, ‘funeral rites’. In addition, the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vocabulary list is completed by adding words from Korean textbooks that married female immigrants are using. It is considered that this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vocabulary list could be helpful to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married female immigrants to understand the target language and culture and express suitable words for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situation. The follow-up study conducts to organize the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vocabulary list which is build in this study by the learning stages and suggest learning activity based on this stage.

      • KCI등재

        베트남 공동체 복지의 양상과 메커니즘: 사적소득이전과 경조사 참석 및계모임 활동을 중심으로

        백용훈(Beak, Yong Hu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영역에 존재하는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복지의 중요 성을 강조하고 이에 대한 분석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복지 혼합(welfare mix)”과 “사회자본(social capital)”, 두 논의로부터 대안적인 이론 및분석틀을 제시하였고 공동체 복지는 가족 구성원들 간의 ‘사적소득이전’과 마을 내 이웃, 자발적 결사체 구성원들 간의 ‘경조사 참석 및 계모임을 통해 주고받는 경제적 지원’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 자료는 베트남 북부와 남부의 농촌 마을에 거주하는 가구들 (남북부 각각 300 가구)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 면, 가족과 마을 단위에서 닫힌 연결망을 보유한 베트남 북부 지역 사람들은 남부에 비해 더 많은 수준의 비공식 복지 자원을 교환하고 있었고, 개인-가족-마을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 자원의 순환 역시 지속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었다. 반면에, 남부 지역 사람들은 열린 연결망을 바탕으로 복지 자원을 교환하고 있었지만 그 자원은 북부에 비해 훨씬 적은 수준이었고 자원의 순환 역시 지속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남북부의 사례를 통해 드러난 다양한 공동체 구성원들 간에 상호부조의 기제로서 중요한 사회자본의 속성은 닫힌 연결망과 일반화된 호혜성의 규범이다. 이를 기반으로 더 좁은 수준의 공동체의 복지 자원이 더넓은 수준의 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복지 자원으로 혹은 그 반대로 순환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welfare among various community members in the informal sector and seeks to analysis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alternative theories and analytical frameworks, that is discusses from “welfare mix” and “social capital”. And informal welfare in this paper refers to financial support of private income transfers by family members and rotating credit systems with village resident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each of 300 households living in the rural village of northern and southern Vietnam respectively.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north that are under the social network structure of closed networks at the family and the village level has had much more welfare resources compared to the south. And also circulation of resources between members of private-family-village was being consistently well done. On the other hand, the south has had to exchange welfare resources based on open networks. But it showed that those resources were much less than the north and circulation of resources was not persistent.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important to expand the relationships and intimacy built by the norms from the social network of face-to-face contact. In other words, generalized reciprocity based on the closed networks among various members of the various community is crucial for a mechanism of mutual assistance. The case of North and South Vietnam illustrates that the expansion of social cooperation from the smaller community level can expedite the success of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