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별 분야별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 성장과의 인과관계 분석

        이창근 한국지방재정학회 2019 한국지방재정논집 Vol.2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ausality between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by sector and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As the analyzed results, the Wagner hypothesis as well as the Keynesian model were mostly established in the causality between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by sector and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except for the causality between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and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 Seoul Metropolitan region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casuality between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by sector and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by sector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differs by region. For example, in Seoul Metropolitan regions the role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was more important among local government expenditure by sector. In other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 the role of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and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were necessary for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For the low income regions, the role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was the most important to achieve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 the Keynesian model. However,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led to the increasement of the social development and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s in the Wagner hypothesis. Ultimately, in the low-income and the other non-Seoul Metropolitan regions where private capital accumulation has been lacking, the regional income growth as well as the social development and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s for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were needed. Particularly, the regional income growth would lead to the increased local government revenue, which would induce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This is a virtuous cycle of economic feedback covering the Keynesian model and the Wagner hypothesi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지역별로 분야별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 성장과의 인과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분야별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 성장 간의 인과관계에서 수도권 지역의 경제개발비와 지역내총생산 간의 관계를 제외하면 대체로 케인즈 모형 뿐 아니라 바그너 가설도 함께 성립하였다. 또한 지역별로 분야별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 성장과의 인과관계 검증을 통해 지역경제 성장에 있어서 지방재정의 분야별 세출의 영향이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령 수도권 지역의 경우 지역경제 성장에 있어서 분야별 지방재정지출 가운데 사회개발비의 역할이 보다 중요하였다. 기타 비수도권 지역은 지역경제성장을 위해 무엇보다도 공공행정비와 경제개발비의 역할이 필요하였다. 저소득 지역의 경우 케인즈 모형에서는 지역소득 증대에 있어서 사회개발비의 역할이 가장 중요하였으나, 바그너 가설에서는 지역경제 성장이 사회개발비 뿐 아니라 경제개발비 증대로 이어졌다. 궁극적으로 민간의 자본 축적 등이 부족한 저소득 지역 및 기타 비수도권 지역의 경우 지역경제 성장을 위한 사회개발비나 공공행정비의 역할 외에도 지역소득 증가가 세수 증대를 통한 경제개발비 지출 확대로 이어지는 경제의 선순환 피드백 효과 구축이 보다 적극적으로 필요하다.

      • KCI등재

        경제적 불확실성이 연구개발비 회계처리와 연구개발비 지출의 기업가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김재은,정주렴 한국세무회계학회 2023 세무회계연구 Vol.- No.78

        [Purpose] Even under economic uncertainty,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corporate survival and success. However it is possible that management’s subjective judgment is involved in the R&D accounting treatment. Therefore it’s important to identify whether managers has made reasonable decisions, especially under economic uncertainty. This study tries to identify whether managers utilize R&D accounting as a means of profit adjustment, when economic uncertainty increases, and also how R&D expenditure affects firm value relevance in the midst of economic uncertainty. [Methodology] We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f firms listed on the securities and KOSDAQ markets from 2001 to 2021. We use WUI to measure economic uncertainty, which is calculated by using text data by Ahir et al.(2018). [Findings] We find managers prefer to capitalized R&D when economic uncertainty increases. Also, investors perceive expensed R&D negatively in the midst of economic uncertainty, and capitalized R&D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stock market. This result is robust when we use dummy variable based on median value of WUI. We then divide the sample into R&D investment above 0.01%, 0.1% and 0.5% of total capital, and find that investors also react negatively to R&D capitalization in samples with R&D investment more than 0.5% of capital. [Implication] This study contributes the literature and regulators by identifying the effect of economic uncertainty on managers’ R&D accounting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effect of economic uncertainty on investors’ investment decisions on R&D expenditures. It also help investors on future investment decisions regarding to the R&D expenditure. [연구목적] 최근 COVID-19 전염병 대유행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대형 위기가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산업환경도 급변하면서 미래를 예측하기 어려운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기업의 적절한 연구개발 투자는 장기적인 기업의 생존 및 성공의 주요 원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연구개발비는 투자결정 및 회계처리에 있어서 경영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에 경영자가 기업 경영을 위한 장기적인관점에서 연구개발비를 합리적으로 의사결정하였는지 식별하는 것은 경제적 불확실성이 높아지는 상황 하에서 더욱 중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Ahir et al.(2018)이 제시한 WUI 지수를 활용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이증가하는 상황에서 경영자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및 이에 대한 시장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경제적 불확실성이 커질수록 연구개발비 자본화 회계처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연구개발비 비용화 회계처리를 부정적으로 인식하며, 연구개발비집중도가 커질수록 자본화 회계처리 역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최근 더욱 커지고 있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경영자의 연구개발비 회계처리 의사결정 과정 및 연구개발비 지출에 대한 자본시장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공헌도가 있으며, 투자자 및 정책기관의 투자 의사 결정과 정책 수립 방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지방재정지출이 지역의 경제성장, 고용 및 투자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시진(Moon Sijin),이기동(Lee Ki-Dong),이우형(Lee Woohyung) 한국경제통상학회 2016 경제연구 Vol.34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1985~2013년의 기간 동안 16개 시도별 지방재정지출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한다. 이를 위해 지방정부의 경제개발비와 사회개발비 지출과 지역의 경제성장, 고용 및 투자 간에 각각의 모형을 구축하고 재정지출의 장⋅단기 효과를 추정한다. 실증분석을 통해서 경제개발비 지출이 단기적으로 실업률을 감소시키는 한편, 민간투자를 구인하며 지역경제 성장에 긍정적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사회개발비의 경우 경제개발비와 마찬가지로 일시적으로 실업률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고용창출에 효과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민간투자를 구축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장기적으로 지역내 산출을 증 가시키기 어려운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복지서비스 및 소득보조 등에 투입되는 사회개발비 지출이 지속적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복지혜택 및 서비스 지급방식에 새로운 전환이 필요하겠다. 또한 경제개발 관련 지출의 경우 지역의 고용 및 투자를 활성화시키는데 필수적 요인이 되므로, 복지 관련 수요의 급증으로 그 비중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경제개발 부문에도 적정규모의 예산배분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local governments’ fiscal expenditure on regional economy for 16 regions in the period 1985~2010. We analyze each model on regional economic growth, employment and investment to estimate the short- and long-run effects of local fiscal expenditure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It is found that because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reduces unemployment rates in the short run and attracts the private investment in the industry, it generates positive effect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On the other hand, although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decreases unemployment rates temporarily, it is not effective in creating employment in the long term. Furthermore, it crowds out private investment and does not increase gross regional domestic product. These results imply the distribution system of welfare benefits and services should be changed in a way that the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has the positive effects on regional economic growth consistently.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the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is an essential factor to boost region’s employment and investment, more allocation of government spending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is required in spite of growing demand for welfare service.

      • KCI등재

        도 · 농 통합시의 통합 전 · 후 재정지출과 지역경제간의 관계

        김종섭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3

        1990년대 중반 지방자치제도가 시행된 이후 지방재정지출 중 사회복지수요가 증가되면서 사회개발비지출이 급속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 중 일부 연구에서 도농 통합시와 같은 기초자치단체에서 그런 변화의 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에서 도·농 통합이 이루어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삼척시 등 4개 통합시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12년까지 횡단면 자료와 시계열 자료로 구성된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지방재정지출의 영향을 통합 전?후 기간으로 구분하여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2SLS방법에 의한 추정결과, 지방재정지출 중 사회개발비의 효과를 통합 전·후로 구분하여 보면 통합전이 통합후보다 사회개발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개발비와 일반행정비는 통합전모형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합후모형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이 존재하고 있으나 경제개발비의 경우 그 영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와 달리, 전체기간모형에서는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탄력성측면에서 경제개발비가 사회개발비나 일반행정비 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으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제개발비의 영향이 사회개발비나 일반행정비보다 약간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결과는 통합효과가 통합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짐작케 한다.

      • KCI등재

        시ㆍ군ㆍ구의 사회개발비가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

        이영성 한국지역학회 2009 지역연구 Vol.25 No.3

        Since the late 1990s, the rapid increase in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s the most distinguished change in local public finance in Korea. But few research explained economic impacts of such a change at municipal level like City(市), Gun(郡), and Gu(區). According to this research using data from 2001 to 2005, economic impact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was positive and larger than those of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and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Furthermore,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s effect was larger at municipalities suffering from lower economic growth rates, where welfare expenditure for low-income households and improvements in basic living conditions through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can be interpreted as desirable for economic growth. It is not clear whether municipalities has increased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recognizing such a effect. But the rapid increase in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has made, as a result, possible a long-term adjustment toward a more desirable resource allocation. 사회개발비가 1990년대 후반부터 빠르게 늘어난 것은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재정지출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변화이지만, 시・군・구 차원에서 사회개발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는 지역내총생산 자료를 구할 수 있는 강원도, 경기도, 경상남도, 경상북도, 대전광역시 시・군・구의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자료를 이용하여 그 영향을 규명하였다.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탄력성 측면에서는 사회개발비가 경제개발비나 일반행정비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승수효과도 사회개발비가 경제개발비보다 더 컸다. 사회개발비의 효과는 경제성장율이 낮은 곳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사회개발비로 기초적인 생활환경을 좋게 하고, 소외계층의 복지를 배려하면, 저성장 지역의 경제성장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풀이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시ㆍ군ㆍ구 지방정부가 인식하고 사회개발비의 비중을 늘려온 것인지는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사회개발비의 비중이 빠르게 늘어난 것은 결과적으로 더욱 바람직한 자원배분을 가능하게 하는 바람직한 조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도·농 통합시의 사회개발비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김종섭(Kim, Jong-Sup)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4 사회과학연구 Vol.53 No.2

        한국의 경우 90년대 후반부터 지방재정지출 중 사회개발비의 증가추세가 급속하게 나타났다. 이런 변화와 함께 지방재정지출과 지역경제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통합시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강원도에서 시·군 통합이 이루어진 춘천시, 원주시, 강릉시, 삼척시 등 4개 통합시를 대상으로 1980년부터 2012년까지 횡단면과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사회개발비 지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표면무관회귀분석(SUR)에 의한 추정결과, 통합시에서 지역총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탄력성측면에서 사회개발비가 경제개발비나 일반행정비 보다 훨씬 컸으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개발비의 효과를 지역별로 보면 불리한 경제적 환경에 직면하고 있는 영동지역이 영서지역보다 약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개발비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은 통합시의 자원배분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사회개발비는 지역경제 성장을 위하여 중요한 투자적 경비임을 알 수 있었다. It obviously showe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n local public finance of Korea had increased since the late 1990s. But few research explained the economic impacts of such a change at basic administrative unit like Urban-Rural Integration City(i.e. City-County Consolidation).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on regional economic growth using cross section data and time series data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ies in Gangwon-Province during 1980-201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y tends to have statistically positive impacts on the regional economy, and larger than Economic Development Expenditure and General Administration Expenditure. Furthermore, the degree of impact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was that Yeongseo Urban-Rural Integration City is slightly smaller than those of Yeongdong area facing unfavorable economic environmental. The rapid increase of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has made, as a result, possible a long-time adjustment toward a more desirable resource allocation. Therefore, it certified that Social Development Expenditure is an important investment expenditure for the economic growth of Urban-Rural Integration City.

      • KCI등재

        코스닥 시장에서 경제적 영업권의 형성요인

        유성용(Ryu Sung-Yong),주상룡(Joo Sang-Lyong) 한국국제회계학회 2007 국제회계연구 Vol.0 No.20

        Lev(2001)에 의하면, 지식기반경제에서는 무형자산이 기업가치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다는 인식이 점점 확산되고 있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기업의 연구개발비 지출이나 광고선전비에 대한 지출이 기업의 가치에 관련성이 있다는 실증적인 증거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스닥 시장을 대상으로 기업의 무형자산에 대한 다양한 지출이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의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자본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환경을 반영하여 외국인 투자자 및 최대주주 지분율이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형자산에 대한 지출로서 연구개발비, 광고선전비 지출은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의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의 자본투자규모의 경우에도 경제적 영업권의 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 투자자 지분율은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과 양(+)의 관련성을 나타내 외국인 투자자들은 경제적 영업권이 높은 기업을 투자대상으로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최대주주 지분율은 경제적 영업권에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최대주주가 높은 지분을 보유하는 경우 자본시장에서는 기업지배구조가 열악한 것으로 해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 연구의 결과는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이 형성되는 요인을 분석하였으며, 기업의 지배구조가 기업의 경제적 영업권 내지 기업가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Lev(20011. there is a growing recognition that intangible assets are important determinants of firm value in a knowledge-based economy. Prior research reveals that R&D expenditures. and the advertising expenses are associated with firm value.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 the various factors of the firms' economic goodwill(eg. R&D expenditures. advertising expenses. capital investments. foreign investors' s share-holdings etc). To test hypothesis we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model in KOSDAQ market from 2001 to 2006.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D expenditures, and the advertising expense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s' economic goodwill. Second. the firms' capital investment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s' economic goodwill. Third. foreign investors' share-holdings are also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s' economic goodwill. Forth. the largest investor's share-holdings a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firms' economic goodwil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vestments related with intangible assets are effective. and the corporate governance are important in forming economic goodwill.

      • KCI등재

        우리나라 시군의 재정승수와 세출구조조정에 대한 함의

        이근재(Lee, Keunjae),최병호(Choe, Byeong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5 지방정부연구 Vol.19 No.2

        본 논문은 우리나라 기초자치단체인 시군을 대상으로 사회개발비와 경제개발비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여 지방정부의 세출구조구정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시군의 연도별 자료를 이용하여 시스템 GMM 모형을 이용하여 재정지출의 산출탄력성과 재정승수를 추계하였다. 더 나아가 재정지 출의 장기 성장률 효과도 검토하기 위해 분석기간 동안의 시군 장기 경제성장률 모형을 추정하였다. 모형을 추계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군 지역에서 GRDP 대비 재정지출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지역균형발전 차원에서 중앙정부가 낙후된 지역에 경제개발 관련 재원을 우선적으로 배분해 주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 지역의 경제 개발비 승수는 시 지역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난다. 더 나아가 낙후된 군 지역의 장기 성장률과 경제개발비 지출 간의 관계는 비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간적 형평성을 위한 재원배분이 공간적 균형발전을 이룩 하는데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경제성장의 성과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하였음을 보여 준다. 또한 인당 GRDP가 낮은 지역에서는 지방정부의 경제개발 지출이 과도하였고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므로 사회복지부문으로 재원이전의 여력이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지방재정의 배분에 있어서 기존의 공간적 형평화 위주보다는 사회복지 계층 간 형평화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개편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tries to figure out ways to fiscal restructuring of local governments in Korea under the fiscal difficulties. To do so, we estimate the fiscal multipliers employing the panel data of cities and counties for the period, 2000-2011. It is found that fiscal resources for economic development is allocated more to counties by the central government of Korea for the purpose of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 However, the fiscal multipliers of those government expenditures for economic development are estimated lower than those of the fiscal expenditure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in counties. In addition, a relation between long-term economic growth and fiscal expenditures for economic development does not turn up significant statistically in counties. These result implies that the allocation of fiscal resources should be reformed toward the equalization among of income classes instead of emphasizing spatial equaliz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구개발투자의 경제적 시차효과에 대한 시계열분석

        최종서 ( Jong Seo Choi ) 한국회계학회 2009 회계학연구 Vol.34 No.1

        연구개발 지출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기존연구에서는 주로 횡단면 회귀식 혹은 패널회귀식의 분석에 의존함으로써 이익 혹은 주가에 대한 연구개발비의 회귀모수가 상이한 기간 및 기업 사이에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여 왔다. 이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개별기업의 시계열자료를 이용하여 이익이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에 따른 효익을 반영하며 주가가 과거와 현재의 연구개발 지출이 생성하는 효익의 경제적 가치를 반영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익모형과 주가모형의 두 개의 방정식으로 이루어지는 재귀적 연립방정식을 추정한다. 이익모형은 이익을 유형자산, 광고선전비 및 연구개발비의 함수로 설정하여 보고이익수치를 통하여 실현된 연구개발 지출의 효익을 측정한다. 주가모형은 지분의 시가를 장부가치, 비정상이익 및 연구개발비의 함수로 설정하며 회계수치와 연구개발 지출에 대한 시장에서의 평가를 측정한다. 이 연립방정식 체계에서는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이 이익을 생성하고 이익이 시장가치를 창출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모형의 회귀계수는 기업별로 별도로 추정된다. 분석결과 횡단면분석 혹은 패널 접근법에 의존하고 있는 여러 선행연구와는 달리 연구개발지출이 경제적 효익을 지닌다는 데 대한 지지는 극히 미미하게 나타났다. 이익모형의 추정결과 이익이 과거의 연구개발 지출의 효익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난 기업은 전체 표본의 10-15%에 불과하였다. 또 주가모형의 분석에서 연구개발비가 기업의 주가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체기업의 20% 미만에 지나지 않았다. 추가적인 강건성 검증에서 이익의 척도 및 변수의 형태를 달리하여도 결과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반면에 통합표본 및 연도별표본을 사용한 추가적 횡단면분석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게 연구개발 지출과 이익 및 주가 사이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횡단면 접근방법이 생략변수 혹은 예외치의 영향을 받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동일한 자료로부터 접근방법에 따라 상이한 결과가 관찰될 수 있다는 사실은 회계변수의 정책적 시사점을 논함에 있어서 연구방법의 선택에 보다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반드시 시계열연구의 우수성을 입증한다거나 횡단면연구에 입각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오류가 있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개발 지출과 기업이익 및 주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관련성이 보편적으로 존재한다는 기존의 관념에는 중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요컨대 개별 기업의 수준에서 연구개발 지출의 경제적 효익은 다수의 횡단면 연구에서 제시하는 것만큼 강건한 것은 아닐 수 있다. The literature on the economic effect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expenditures is based primarily on cross-sectional regressions or panel data regressions with time and firm fixed effects such that the parameters relating R&D to accounting earnings and/or market value are cross-sectionally constant. This paper utilizes firm-specific time-series data to examine whether reported earnings reflect benefits from past R&D expenditures and whether market values impound the economic value derived from the benefits of past and present R&D expenditures. This study estimates a recursive system of two equations: one for earnings and one for valuation. The earnings equation associates earnings with recorded tangible assets, advertising, and R&D expenditures. It intends to extract realized R&D benefits from reported earnings numbers. The valuation equation relates market values of equity to book values, abnormal earnings, and R&D expenditures. It determines how the accounting and R&D numbers are valued in the market. This system of equations assumes that past R&D generates earnings that create market value. Model parameters are estimated for each firm separately. Unlike many previous studies based on cross-sectional and panel data analyses, this study finds very weak empirical support for the economic benefit of R&D expenditures. The results from the earnings equation indicate that reported earnings reflect realized benefits from past R&D for only 10-15% of the sample firms. The results from the valuation equation indicate that R&D affects firm valuation for only less than 20% of the sample firms at best. In a series of additional robustness tests, regardless of earnings measures and the types of variables, very weak empirical support remained to prevail. More specifically, I estimate polynomial distributed lag (PDL) models with varying lag terms both for earnings and valuation equations. Valid data for earnings, prices, book values, R&D expenditures, advertising expenditures, tangible assets for 18 consecutive years were available for 168 firms from 1990 to 2007. In the earnings equation PDL model, the cross-sectional mean and median of the sum of lagged coefficients of total R&D expenditures are of negative values. Moreover, the firms with significantly negative coefficient estimates outnumber their positive counterparts. I find that the aggregate R&D parameter estimat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at 0.1 level for only 22 firms out of 168 sample firms. Similarly, in the valuation equation PDL model, the cross-sectional mean and median of the comparable coefficients are negative. The R&D valuation parameter estimates are significantly positive for only 18 firms at 0.1 level. In an additional analysis, I conduct cross-sectional analyses on pooled and yearly cross-sectional samples both for earnings and valuation equation models. Interestingly, the estimated coefficients for both models are significantly positive, largely consistent with many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cross-sectional approach. This lack of consistency between the results of time-series and of cross-sectional approaches suggests that either or both approaches could be fraught with technical problems. From the standpoint of time-series context, cross-sectional analysis has a number of disadvantages. The cross-sectional approach makes use of comparisons across firm expenditures on R&D. Comparisons across firms can only isolate the effects of R&D if they control for other influences on earnings or market values that may vary from one firm to another. However, it is not always possible to observe and control for all firm differences that could affect earnings or market values. This possibility of correlated omitted variables bias is one of the primary disadvantages of cross-sectional models of R&D. Futhermore, the coefficient estimates in crosssectional studies may be influenced by firm outliers, which is likely to be the case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does not necessarily imply that time series approach is superior to cross-sectional or panel data approaches and that many of the prior studies are problematic. Nevertheless, this paper raises significant doubts about the seemingly robust finding that R&D and corporate earnings and market valu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he economic benefit of R&D expenditures is simply not as robust as many of the existing literature appears to indicate on a firm level ba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