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울지역 미 북장로회선교부의 교육사업 철수와 학교 인계 연구

        박혜진(Park Hye-Ji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1930년대 들어 일제는 기독교계 학교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그 논리는 교육과 종교는 다르며, 신사참배는 국가적 의식이지 종교적 의식이 아니므로 국가의식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기독교계 학교들을 일제에 순응하는 학교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미북장로회선교부는 서울, 평양, 대구, 선천의 네 선교지부에서 8개의 남녀 중등학교를 경영하였다. 1936년 북장로회선교부 회의에서 교육철수가 결의된 이후, 한국인들은 각 지역의 학교들을 인계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특히 서울의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에 대해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각 단체에서 서울선교지부와 선교부 실행위원회 및 해외선교부에 끊임없이 인계 요청을 하였다. 경신학교에서는 안악 김씨 문중과 협의하여 5개년 대차안 상정한 것이 부결되자, 「경신학교 이사회규칙」을 내세워 학교의 경영권을 방어하고자 하였다. 결국 한국인 설립자를 충원하는 문제가 조선총독부에서 허가됨으로써 학교 인계문제가 힘을 얻었고 김씨 문중이 북장로회선교부에 사례금을 주고 경신학교를 인계하게 되었다. 정신여학교는 경성노회와 동창회가 협력하여 학교를 인수하기로 하였으나 어렵게 되었고, 이종만이 가장 유력한 인계 후보자였는데 해외선교부와의 수 차례 논의 과정에서 이종만측의 제안이 계속 거부당했다. 정신여학교에 대한 여러 번의 인계 노력은 실패하였고, 선교사들이 강제 추방당하게 되면서 학교는 적산(敵産)으로 인수되어 풍문재단으로 흡수되었다. 서울지역 북장로회선교부 교육사업 철수에 따른 학교 인계 과정에서 쿤스, 언더우드 등 교육 현장에 있었던 선교사들은 한국인에게 학교를 인계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그에 따라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한국인들은 학교 인계에 대한 희망을 갖고 대책 마련을 위해 애썼다.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의 폐교를 막기 위해 한국인들은 주도적인 활동을 했다. In 1930s, the Japanese imperialism coerced Christian schools to conduct Shinto shrine worship, an issue that led to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missionaries. In 1936 the Annual Meeting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decided to withdraw its educational ministry. Korean kept asking for transferring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in Seoul from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The reinforcement of Korean founders for Kyungsin School was permit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Kim Family of Anak took over the school by paying a honorarium to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As for Jungsin Girl’s School, suggestions of Lee Jong Man, an important candidate who took it over, continued to be rejected in several discussions with the Board of Foreign Mission in the US. Finally efforts for transferring Jungsin Girl’s School failed, it was absorbed into the Pung Moon Foundation as missionaries were forcedly repatriated. During the transfer of schools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in Seoul, missionaries such as Koons and Horace H. Underwood who w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greed that schools should be transferred to Koreans. In this context, the Koreans in the school boards of directors, the alumni associations, and Kyungsung Presbytery had hope of taking over the schools, making efforts to prepare measures. Koreans played a leading role in order to prevent closing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 평북 정주 배천 조씨 일가의 배달학교 설립과 경신참변

        조준희 한국신교연구소 2020 대종교연구 Vol.3 No.-

        본고는 경신참변 희생자 가족의 일 사례로서 피해 학교 특성, 경신참변의 전개, 국가보훈처의 공훈 선양 문제 3가지 관점으로 세밀히 살펴본 성과물이다. 첫째, 경신참변 때 방화로 전소되어 폐교된 배달학교는 1918년 3월 서간도 통화현 반랍배에 정착한 평북 정주인들이 교포 2세의 민족 교육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설립자는 조용석·김기전·이시열·승진 4인이다. 핵심 인물인 조용석은 배천 조씨 진사 입격자로서 많은 가산을 정리해 일가를 데리고 망명한 뒤 동향 김기전 형제와 함께 학교를 경영했고, 서간도 동창학교·흥동학교 교사 출신 이시열과 동창학교교사 출신 승진은 교사 경험을 살려 교육을 분담했다. 유일한 함경도 출신 강화린도 교사로 합류했다. 1918년 기준 배달학교 교직원의 평균 연령은 29.8세였으며, 50대 최고령자인 조용석이 교장을 맡고, 20대 강화린과 이시열이 교사로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다른 이들은 회계와 서무로서 보조하는 구조였다. 배달학교에서는 민족교육을 통해 청소년들의 항일의식을 고취하고 국치일과 개천절 등 민족 행사를 개최했다. 1919년에는 서간도에 확산된 3·1 운동에 참가했고, 신흥무관학교와도 교류했으며, 재만동포들에게 “의용군이 되어 2천만 민족을 구하고 3천리 강토를 회복하라”는 내용을 담은 격문을 돌리기도 했다. 그해 3월에 교사 이시열과 강화린이 독립운동에 투신해 각각 서로군정서와 신흥무관학교로 떠나면서 교사진에 공백이 생겼다. 둘째, 1920년 10월 23일 서간도 지역 반일지사와 민족학교에 대한 일제의 2차 ‘소탕’ 작전이 중국 장작림의 승인(10/17) 하에 개시되었다. 서간도에 출병한 일본군의 지휘 체계는 관동군 16사단 휘하로 요령성 철령에 있던 보병 제19연대장 스기야마(杉山) 대좌와 보병 1개 대대, 그리고 길림성 공주령에 있던 사쓰카(目) 중좌의 기병제20연대가 주도했다. 16사단장 시기모리 하루는 일본 서남단 가고시마 출신이었고, 스기야마는 사가현 출신이었다. 두 사람은 각각 육사 1기, 4기로 선후배 간이었다. 출병한 이들은 중국군 및 순경과 함께 중·일 합동으로 반일인사토벌에 나섰다. 스기야마 보병 대대는 10월 23일 ‘현지 불령선인 및 그에 가담한 마적들에게 위협할 목적’으로 동쪽으로 시위 행군을 개시했고, 사쓰카 기병대는 남쪽으로 행군을 개시했는데, 통화현을 향해 서쪽과 북쪽에서 협공 작전을 펼쳤다. 여기서 친일파 최정규가 이끄는 만주보민회가 흥경현에 출병한 관동군을 환영하고 적극 협조해 반일인사 체포에 전면으로 나섰다. 최정규와 27명의 조사원들은 10월 28일부터 스기야마의 명령을 받고서 10월 31일 천장절축일 축하회를 함께 하고서 다음날인 11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1개월 간 흥경현에서부터 관전현에 이르기까지 500여 명을 체포했다. 최종적으로 선별된 81명이 관동군에 의해 참살되었다. 『독립신문』의 서간도 피살자는 총 1,323명이었는데, 일본 측 기록보다 16배 많은 수치로 과장된 측면이 있다. 흥경현 개신교 계열 삼성학교에 이어 통화현 배달학교는 보민회의2번째 표적이 되었다. 11월 2일 반랍배에서는 배달학교 교장 조용석과 교감 김기선, 교사 조용주 3인, 그리고 현지 한족회 반일지사 4인(승병균·승대언·김기준·최찬화)이 체포되어 다음날 20km 끌려가 영액포진에서 참살되었다. 반랍배 7인 희생자는 배달학교 인근기슭에 묻혔는데 조용석과 조용주의 시신은 다시 고향으로 반장되었고, 5인의 시신은 현지에 안장된 채로 세월이 흘렀다. 관동군 측에서는 서간도 시위행군 작전의 성공이 전적으로 보민회덕분(반일지사 및 학교 선별 지목)임을 밝혔다. 따라서 서간도 지역경신참변의 가해자는 일본 관동군만이 아니라 만주보민회, 그리고 장작림과 그 휘하 중국인 관헌도 공범이다. 셋째, 국가보훈처에서는 반랍배 7인 희생자에 대해 1977년부터 1998년 사이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해 예우를 갖추었다. 나아가1993년 해외안장 독립유공자 실태조사단을 꾸려 7인 희생자 묘소를 확인하고 1994년부터 2007년까지 6인의 유해를 세 차례에 걸쳐 국립대전현충원에 봉환했다. 비록 당연한 업무지만 1977년부터 2007년까지 보훈처의 30년 노력은 높이 평가되어야 마땅하다. 다만 1996년에 중국 현지에서 반일지사지묘를 세우고 묘소를 단장할 때 『독립신문』(1921.1.21일자) 기록을 기준으로 조용주 대신 조동호라는 이명으로 묘비와 묘소가 복원되었다. 보훈처에서 조동호=조용수=조용주인 사실을 치밀하게 검증하지 않아 2007년에 유해(?)가 봉환되는 해프닝이 일어나 지금에 이른다. 조동호 곧 조용주의 유해는 고향으로 반장되어 애초에 존재하지 않았다. 1차 사료와 족보 분석을 면밀히 하지 않았기 때문에 생긴 사태다. 다음, 보훈처의 한자 오독으로 인한 1991년 조용석에 대한 중복포상 건은 논자의 민원제기로써 2017년에 정리되었다. 끝으로 조용주(수) 지사의 전해지지 못했던 훈장도 포상된 지 19년 만에 논자에 의해 유족에게 전수되었다. 그렇지만 그 과정은 험난했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했을 때 보훈처는 한 마디로 ‘관료적’ 태도로 일관했다. 구체적으로, 5년 이상 소요된 논자의 노력과 증거자료를 의도적으로 외면했고, 반대로 문제가 해결되었을 때는 마치 자신들의 성과처럼 보도하는 반칙적 행동을 보였다. 잘못된 보도는 학위논문에 잘못 인용되기조차 했다. 2020년 경신참변 100주년을 맞아 평북 정주인들이 세웠던 통화현 배달학교와 반랍배 7인 희생자들에 대한 추모는 의미 깊다. 그리고 피해 사례에서 멈출 것이 아니라, 조용석 일가에서 신흥무관학교생도 1명(조태연)과 광복군 1명(조동윤=조지영)이 배출된 영예로운 후손들의 역사도 같이 조명되어야 한다. 한편 친일 단체 만주보민회와 일본 관동군에 대해서도 잊지 말고 계속 추적하고 규명 작업을 이어나가야 한다. 중복 포상 문제 등 여전히 보훈처 내부에 마무리되지 못한 경신참변 희생자들에 대한 역사 바로 잡기 작업도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本稿は、庚申惨変の犠牲者家族の一例として、被害学校の特性、庚申惨変の展開、国家報勲処の功勲宣揚の問題を、三つの観点から詳しく探ってきた成果である。 一つ目に、庚申惨変の時に放火により全焼し廃校になった培達学校は、1918年3月に西間島の通化県の半拉背に定着した平北、定州人らが、同胞二世の民族教育を目的に設立された。設立者は趙庸錫、金基甸、李時説、承震の4人である。 核心人物である趙庸錫は白川趙氏の進士入格者として多くの家産を整理し、一家を連れて亡命した後、同郷の金基善兄弟と共に学校を経営し、西間島の東昌学校、興東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李時説と東昌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承震は、教師の経験を生かし教育を分担した。 唯一の咸鏡道出身の姜華麟も教師として合流した。1918年基準の培達学校の教職員の平均年齢は29.8歳で、50代の最高齢者である趙庸錫が校長を務め、20代の姜華麟と李時説が教師として学生たちを教え、他の者たちは会計と庶務として補助する構造であった。 培達学校では民族教育を通して青少年らの抗日意識を鼓舞し、国恥日や開天節など、民族的な行事を開催した。1919年には西間島に拡散した3·1運動に参加し、新興武官学校とも交流しながら、在満同胞らに「義勇軍になって二千万の民族を救い、三千里の領土を回復せよ」という内容の書かれた檄文を発した。同年三月、教師である李時説と姜華麟が独立運動に身を投じ、それぞれ西路軍政署と新興武官学校へ発つ本稿は、庚申惨変の犠牲者家族の一例として、被害学校の特性、庚申惨変の展開、国家報勲処の功勲宣揚の問題を、三つの観点から詳しく探ってきた成果である。 一つ目に、庚申惨変の時に放火により全焼し廃校になった培達学校は、1918年3月に西間島の通化県の半拉背に定着した平北、定州人らが、同胞二世の民族教育を目的に設立された。設立者は趙庸錫、金基甸、李時説、承震の4人である。 核心人物である趙庸錫は白川趙氏の進士入格者として多くの家産を整理し、一家を連れて亡命した後、同郷の金基善兄弟と共に学校を経営し、西間島の東昌学校、興東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李時説と東昌学校の教師出身である承震は、教師の経験を生かし教育を分担した。 唯一の咸鏡道出身の姜華麟も教師として合流した。1918年基準の培達学校の教職員の平均年齢は29.8歳で、50代の最高齢者である趙庸錫が校長を務め、20代の姜華麟と李時説が教師として学生たちを教え、他の者たちは会計と庶務として補助する構造であった。 培達学校では民族教育を通して青少年らの抗日意識を鼓舞し、国恥日や開天節など、民族的な行事を開催した。1919年には西間島に拡散した3·1運動に参加し、新興武官学校とも交流しながら、在満同胞らに「義勇軍になって二千万の民族を救い、三千里の領土を回復せよ」という内容の書かれた檄文を発した。同年三月、教師である李時説と姜華麟が独立運動に身を投じ、それぞれ西路軍政署と新興武官学校へ発つことになり、教師陣に空白が生じた。 二つ目に、1920年10月23日、西間島地域の反日志士と民族学校に対する日帝の二次掃討作戦が、中国の張作霖の承認(10/17)の下で開始された。西間島に出兵した日本軍の指揮システムは、関東軍16師団の麾下として遼寧省の鉄嶺にいた歩兵第19連隊長の杉山大佐と歩兵一個大隊、そして吉林省の公州嶺にいた目中佐の騎兵第20連隊が主導した。16師団長の志岐守治は、日本の西南端に位置する鹿児島出身で、杉山正之は佐賀県出身だった。この二人はそれぞれ陸士1期と4期で、先輩後輩の間柄だった。 出兵した彼らは中国軍や巡警と共に日中合同で反日人士討伐に乗り出した。杉山歩兵大隊は10月23日、現地の不逞鮮人及びそれに加担た馬賊らに脅威を与える目的として東側へのデモ行進を開始し、目騎兵隊は南側への行軍を開始したが、通化県に向かって西側と北側で挟み撃ち作戦を展開した。 ここで親日派である崔昌圭が率いる満州保民会が興京県に出兵した関東軍を歓迎し、積極的に協力し合い、反日人士逮捕に全面的に乗り出した。崔昌圭と27人の調査員たちは、10月28日から杉山の命令を受けた四人が先発隊として出発し、残りの者は共に10月31日の天長節祝日の祝賀会に同席してから、翌日の11月1日から11月30日までの1ヵ月間、興京県から寛甸県に至るまで約500人を逮捕した。最終的に選ばれた81人が関東軍によって惨殺された。_独立新聞_の西間島で殺害された者は計1,323人だったが、日本側の記録より16倍多い数値であり、誇張された側面がある。 興京県のキリスト教系列の三成学校に続き、通化県の培逹学校は保民会の二番目の標的になった。11月2日、半拉背では培達学校の校長である趙庸錫と教頭の金基善、教師の趙龍珠の三人、そして現地の韓族会の反日志士である四人(承昞均、承大彦、金基畯、崔賛化)が逮捕され、翌日20km連行され英額佈鎮で惨殺された。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は、培達学校近くの裾野に埋められたが、趙庸錫と趙龍珠の遺体は再び故郷に移された後に葬られ、五人の遺体は現地に埋められたまま歳月が流れた。 関東軍側では西間島のデモ行進作戦の成功が全面的に保民会のおかげ(反日志士及び学校選別指目)であることを明らかにした。したがって、西間島の地域での庚申惨変の加害者は、日帝関東軍だけではなく、満州保民会そして張作霖とその麾下である中国人官憲も共犯である。 三つ目に、国家報勲処では、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に対して1977年から1998年までの間に、建国勲章愛国章を追叙し礼遇を尽くした。さらに1993年、海外安葬独立有功者実態調査団を立ち上げ、七人の犠牲者の墓所を確認し、1994年から2007年にかけて、六人の遺骨を三度にわたり、国立大田顕忠院に奉還した。当然のことにしても、1977年から2007年までの報勲処の30年間の努力は高く評価されるべきである。 しかし、1996年に中国現地で反日志士之墓を建て、墓所を改装する際、_独立新聞_(1921年1月21日付)の記録によると、趙龍珠の代わりに趙東鎬という異名で墓碑と墓所が復元された。報勲処では、趙東鎬=趙龍洙=趙龍珠である事実を緻密に検証せず、2007年に遺骨(?)が奉還されるというハプニングが起き、現在に至る。趙東鎬、すなわち趙龍珠(洙)の遺骨は故郷に移された後に葬られ、初めから存在しなかった。一次の史料と系譜分析を綿密に行わなかったために生じた事態である。 次に、報勲処の漢字誤読による1991年の趙庸錫に対する重複褒賞の件は、論者の請願提起として2017年に整理された。 最後に、趙龍珠(洙)志士に渡されなかった勲章も、褒賞されてから19年ぶりに論者によって遺族に受け渡された。しかし、その過程は険しいもので、正確な情報を提供した際、報勲処は一言“官僚的”な態度を一貫し、五年以上も費やしてきた論者の努力と証拠資料を意図的に無視し、反対に問題が解決した際には、まるで自分たちの成果であるように報道するといった反則的な行動を見せた。誤った報道が学位__論文に誤って引用されることさえあった。 2020年の庚申惨変が100周年を迎え、平北、定州人らが設立した通化県培達学校と半拉背の七人の犠牲者に対する追慕は意味深いものである。そして、被害事例にとどまらず、民族教育者である趙庸錫一家から新興武官学校の生徒一名(趙泰淵)と韓国光復軍一名(趙東潤=趙志英)を輩出した栄誉ある子孫たちの歴史にも、スポットライトを当てなければならない。 一方、親日団体の満州保民会と日本関東軍に対しても忘れずに引き続き追跡し、究明作業を続け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 重複褒賞の問題など、依然として報勲処内部で決着がついていない庚申惨変の犠牲者に対する誤った歴史を正していく作業も継続していかなければならないだろう。

      • KCI등재

        서울지역 미 북장로회선교부의 교육사업 철수와 학교 인계 연구 -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를 중심으로 -

        박혜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In 1930s, the Japanese imperialism coerced Christian schools to conduct Shinto shrine worship, an issue that led to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missionaries. In 1936 the Annual Meeting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decided to withdraw its educational ministry. Korean kept asking for transferring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in Seoul from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The reinforcement of Korean founders for Kyungsin School was permitt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nd Kim Family of Anak took over the school by paying a honorarium to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As for Jungsin Girl’s School, suggestions of Lee Jong Man, an important candidate who took it over, continued to be rejected in several discussions with the Board of Foreign Mission in the US. Finally efforts for transferring Jungsin Girl’s School failed, it was absorbed into the Pung Moon Foundation as missionaries were forcedly repatriated. During the transfer of schools according to the withdrawal of educational ministry of the Northern Presbyterian Church U.S.A. in Seoul, missionaries such as Koons and Horace H. Underwood who were in the educational field agreed that schools should be transferred to Koreans. In this context, the Koreans in the school boards of directors, the alumni associations, and Kyungsung Presbytery had hope of taking over the schools, making efforts to prepare measures. Koreans played a leading role in order to prevent closing Kyungsin School and Jungsin Girl’s School. 1930년대 들어 일제는 기독교계 학교에까지 신사참배를 강요하였다. 그 논리는 교육과 종교는 다르며, 신사참배는 국가적 의식이지 종교적 의식이 아니므로 국가의식에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기독교계 학교들을 일제에 순응하는 학교로 만들기 위한 것이었다. 미북장로회선교부는 서울, 평양, 대구, 선천의 네 선교지부에서 8개의 남녀 중등학교를 경영하였다. 1936년 북장로회선교부 회의에서 교육철수가 결의된 이후, 한국인들은 각 지역의 학교들을 인계해 달라고 청원하였다. 특히 서울의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에 대해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각 단체에서 서울선교지부와 선교부 실행위원회 및 해외선교부에 끊임없이 인계 요청을 하였다. 경신학교에서는 안악 김씨 문중과 협의하여 5개년 대차안 상정한 것이 부결되자, 「경신학교 이사회규칙」을 내세워 학교의 경영권을 방어하고자 하였다. 결국 한국인 설립자를 충원하는 문제가 조선총독부에서 허가됨으로써 학교 인계 문제가 힘을 얻었고 김씨 문중이 북장로회선교부에 사례금을 주고 경신학교를 인계하게 되었다. 정신여학교는 경성노회와 동창회가 협력하여 학교를 인수하기로 하였으나 어렵게 되었고, 이종만이 가장 유력한 인계 후보자였는데 해외선교부와의 수 차례 논의 과정에서 이종만측의 제안이 계속 거부당했다. 정신여학교에 대한 여러 번의 인계 노력은 실패하였고, 선교사들이 강제 추방당하게 되면서 학교는 적산(敵産)으로 인수되어 풍문재단으로 흡수되었다. 서울지역 북장로회선교부 교육사업 철수에 따른 학교 인계 과정에서 쿤스, 언더우드 등 교육 현장에 있었던 선교사들은 한국인에게 학교를 인계하는 것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그에 따라 학교 이사회, 동문회, 경성노회 등 한국인들은 학교 인계에 대한 희망을 갖고 대책 마련을 위해 애썼다.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의 폐교를 막기 위해 한국인들은 주도적인 활동을 했다.

      • KCI등재

        미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에 대한 한국인의 경영 참여

        박혜진(Park Hye-Jin)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미북장로회선교부는 평양의 숭실학교와 숭의여학교, 서울의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 대구의 계성학교와 신명여학교, 선천의 신성학교와 보성여학교의 8개 중등학교를 경영하였다. 미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들의 건물, 토지 및 비품의 소유권은 선교부에 있었지만, 초창기부터 한국인들이 학교 이사진으로 있으면서 학교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경제공황으로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의 교육기금이 감소하였고, 지정학교 제도 도입 이후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학교 재정을 확충해야 했다. 이에 미북장로회선교부가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 각 미션스쿨에 대해 한국 교회에서 이사를 파견할 것과 경제적 보조를 해줄 것을 요청했다. 장로회 총회는 학교가 있는 지역 노회에서 선교지부와 협력 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각 지역 노회가 미션스쿨에 학교 이사로 참여하게 된 것이다. 평양 숭실학교와 숭의여학교에는 평양ㆍ안주ㆍ평서 노회에서, 서울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는 경기노회에서, 대구 계성학교와 신명여학교는 경북ㆍ경안 노회에서, 선천 신성학교와 보성여학교는 평북ㆍ의산ㆍ용천 3노회에서 학교 이사진을 파견하게 되었다. 노회뿐만 아니라 동창회와 지역사회에서도 학교 이사진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에 한국 노회와 동창회, 지역사회 등에서 이사진으로 참여함으로써, 이들이 선교부와 협력하여 학교 경영을 하게 된 것이다. 이는 뒤에 신사참배 문제로 선교부가 교육사업에서 철수하면서 학교 인계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한국인들이 이사회 정관을 들어 한국인의 학교 인계를 관철시키는 데까지 연결된다.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ran eight secondary mission schools, which were Soongsil boys academy and Soongeui girls" academy in Pyengyang, Kyungsin boys academy and Chungsin girls" academy in Seoul, Kyesung boys academy and Sinmyung girls" academy in Taiku and Sinsung boys academy and Posung girls" academy in Syenchun. The ownership of building, land, and equipment of the secondary schools within its jurisdiction belonged to the Chose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but Koreans participated in school operation as directors from the early days. Korean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status elevation movement led to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The educational fund of Board of Foreig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decreased due to the WWI and American economic panic. Schools were required to expand their finance in order to meet the criteria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esignated school system.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asked the general meeting of Presbyterian Church of Joseon to dispatch a director to each mission school from a Korean church and provide economic assistance. The general meeting arranged things in a way that the local presbytery would work with a station in the area of the school. As a result, the local presbytery got to serve the school as a director. Pyeng Yang, An Joo, and Pyeong Suh Presbytery dispatched a group of directors to Soongsil boys academy and Soongeui girls" academy in Pyengyang, Kyung Ki Presbytery to Kyungsin boys academy and Chungsin girls" academy in Seoul, Kyung Buk and Kyung An Presbytery to Kyesung boys academy and Sinmyung girls" academy and Pyung Buk, Eui San, and Yong Chun Presbytery to Sinsung boys academy and Posung girls" academy in Syenchun. In addition to presbyteries, alumni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participated as directors. The fact that the Korean presbyteries, alumni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mission schools run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led to Koreans seeing through school operation based o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of board of directions when the issue of school succession emerged after the Chose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withdrew from education business.

      • KCI등재

        미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에 대한 한국인의 경영 참여

        박혜진 한국기독교역사학회 2013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9 No.-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ran eight secondary mission schools, which were Soongsil boys academy and Soongeui girls' academy in Pyengyang, Kyungsin boys academy and Chungsin girls' academy in Seoul, Kyesung boys academy and Sinmyung girls' academy in Taiku and Sinsung boys academy and Posung girls' academy in Syenchun. The ownership of building, land, and equipment of the secondary schools within its jurisdiction belonged to the Chose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but Koreans participated in school operation as directors from the early days. Koreans' participation in the school status elevation movement led to their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The educational fund of Board of Foreig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decreased due to the WWI and American economic panic. Schools were required to expand their finance in order to meet the criteria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designated school system.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asked the general meeting of Presbyterian Church of Joseon to dispatch a director to each mission school from a Korean church and provide economic assistance. The general meeting arranged things in a way that the local presbytery would work with a station in the area of the school. As a result, the local presbytery got to serve the school as a director. Pyeng Yang, An Joo, and Pyeong Suh Presbytery dispatched a group of directors to Soongsil boys academy and Soongeui girls' academy in Pyengyang, Kyung Ki Presbytery to Kyungsin boys academy and Chungsin girls' academy in Seoul, Kyung Buk and Kyung An Presbytery to Kyesung boys academy and Sinmyung girls' academy and Pyung Buk, Eui San, and Yong Chun Presbytery to Sinsung boys academy and Posung girls' academy in Syenchun. In addition to presbyteries, alumni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participated as directors. The fact that the Korean presbyteries, alumni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operation of mission schools run by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led to Koreans seeing through school operation based on the articles of association of board of directions when the issue of school succession emerged after the Chosen Mission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withdrew from education business. 미북장로회선교부는 평양의 숭실학교와 숭의여학교, 서울의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 대구의 계성학교와 신명여학교, 선천의 신성학교와 보성여학교의 8개 중등학교를 경영하였다. 미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들의 건물, 토지 및 비품의 소유권은 선교부에 있었지만, 초창기부터 한국인들이 학교 이사진으로 있으면서 학교 운영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과 미국의 경제공황으로 미북장로회 해외선교부의 교육기금이 감소하였고, 지정학교 제도 도입 이후 기준에 부합하기 위해서는 학교 재정을 확충해야 했다. 이에 미북장로회선교부가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에 각 미션스쿨에 대해 한국 교회에서 이사를 파견할 것과 경제적 보조를 해줄 것을 요청했다. 장로회 총회는 학교가 있는 지역 노회에서 선교지부와 협력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각 지역 노회가 미션스쿨에 학교 이사로 참여하게 된 것이다. 평양 숭실학교와 숭의여학교에는 평양․안주․평서 노회에서, 서울 경신학교와 정신여학교는 경기노회에서, 대구 계성학교와 신명여학교는 경북․경안 노회에서, 선천 신성학교와 보성여학교는 평북․의산․용천 3노회에서 학교 이사진을 파견하게 되었다. 노회뿐만 아니라 동창회와 지역사회에서도 학교 이사진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북장로회선교부 관할 미션스쿨에 한국 노회와 동창회, 지역사회 등에서 이사진으로 참여함으로써, 이들이 선교부와 협력하여 학교 경영을 하게 된 것이다. 이는 뒤에 신사참배 문제로 선교부가 교육사업에서 철수하면서 학교 인계 문제가 대두되었을 때 한국인들이 이사회 정관을 들어 한국인의 학교 인계를 관철시키는 데까지 연결된다.

      • 예수교장로회 조선총회 100년을 돌아보며 : 한국장로교회가한국교육에 끼친 영향: 초기 고등교육기관 설립을 중심으로

        최재건 ( Jae Gun Lim ) 한국장로교신학회 2012 장로교회와 신학 Vol.9 No.-

        한국 장로교회는 한국 최고 최대의 교파로서 한국 교육에 끼친 영향도 가장 크다. 한국 장로교회의 최초의 선교사 언더우드는 한글을 통하여 성경의 번역과 기타 사용으로 한글을 살리고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 시켰다. 그는 서구식초중등학교를 세우고 발전시켜 마침내 대학 까지 세워 한국근대 교육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의 교육 철학은 기독교인뿐만 아니라 비기독교인들도 수학케 하였다. 특히 그가 처음 설립한 경신학교는 흔히 알려진 대로 감리교의 아펜젤러가 세운 배재학당 보다 먼저 설립되었다. 언더우드가 처음학교를 세웠을 때 학생 모집이 힘들어 고아들을 모아 교육을 실시하는데서 부터 출발하여 나중에는 대학교육 까지 하였다. 한국장로교회는 서구식 근대학교 소개와 정착에 앞장섰다. 또 서구식 근대 교육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을 변화시켰다. 많은 중고등학교를 건립하여 한국교육의 지평을 넓혔다. 더 나아가서 한국 장로교회는 세브란스 의학교, 숭실대학, 연희전문학교도 먼저 설립하여 고등교육에도 선두주자가 되었다. 장로교회는 건국 후에도 고등교육에 많은 역량을 기우려 가장 많은 수의고등교육기관을 두게 되었다. 초기에 교단적 차원에서 교육 선교에 대한 의견의 차이로 교육 선교활동에 최대한의 지원을 못한 것은 학교 발전에 지장을 초래했고 고등교육 기관 창립에 지연을 가져 왔다. 건국 후에는 장로교회의 분열에 따라 각 교단신학교가 종합대학으로 발전되어 수적 우위를 점하게 되었으나 문제는 질적인 면에서 최고 수준의 대학이 되지 못한 것이었다. 앞으로의 과제는 국내는 물론세계적인 좋은 기독교대학을 건립하는 데 힘과 중지를 모아야 할 것이다.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the biggest denomination in Korea.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 The most prominent example of that influence was the introduction of a modern west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first Presbyterian missionary an ordained minister, H. G Underwood, started to establish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colleges. Although some colleague missionaries objected to educationoriented mission work, Underwood emphasized education. Therefore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established man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verance Medical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Korean Presbyterians broadened the education field. After the Korean War they founded sev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 are a great number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belong to the Presbyterian Church to its schism. There is a need for m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better reputations. Perhaps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on education was the revival of Hangeul which was invented in the 15th century by King Sejong, but not widely used for several centuries. When Underwood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he used Hangeul.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is the biggest denomination in Korea. I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orean education. The most prominent example of that influence was the introduction of a modern western education system in Korea. The first Presbyterian missionary an ordained minister, H. G Underwood, started to establish primary schools, middle schools, high schools and colleges. Although some colleague missionaries objected to educationoriented mission work, Underwood emphasized education. Therefore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established man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Severance Medical School,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Korean Presbyterians broadened the education field. After the Korean War they founded several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re are a great number of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which belong to the Presbyterian Church to its schism. There is a need for more colleges and universities with better reputations. Perhaps the greatest influence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on education was the revival of Hangeul which was invented in the 15th century by King Sejong, but not widely used for several centuries. When Underwood translated the Bible into Korean, he used Hangeul.

      • KCI등재

        개화기 창가교육의 수용과 전개 - 개화기 근대학교를 중심으로 -

        조순자(Jo, Sun-ja)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본 연구는 개화기에 설립된 근대학교를 중심으로 초기 창가교육의 수용과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우리나라의 창가교육은 개화기에 미국 선교사가 설립한 근대학교에서 찬송가를 교재로 한 ‘노래 부르기’ 형태로 시작되었고, 20세기 초에 창가가 근대학교의 정규교과목으로 편성되었다. 개화기 근대학교에서 한국 역사상 최초의 교가가 등장하였으며, 모두 창가형식을 띠고 있었다. 개화기 창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 창가교육은 미국 선교사들이 교회예배와 학교교육을 통해 전파한 찬송가에서 비롯되었다. 둘째, 개화기에는 동일한 선율에 가사만 다르게 부르는 트로핑 창가가 하나의 음악현상으로 유행하였다. 셋째, 개화기의 ‘반외세 저항창가’는 조선침략의 야욕을 드러낸 동아시아 및 서구열강을 향한 저항의 노래다. 넷째, 개화기의 낮은음자리표는 알파벳 ‘F’의 모양대로 오른쪽을 향하도록 표기했으며, 1910년대 후반에 현행의 낮은음자리표 표기방식으로 전환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범위는 개화기에 설립된 일부 근대학교에 한정되었다. 추후 사례를 확대하여 개화기 창가교육과 교가의 특징을 세밀하게 규명하는 후속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cepta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infancy Changga education centering on modern schools established in Early Korean Novel. Changga education in Korea began in the form of ‘singing a song’ using hymns as a textbook at a modern schools established by an American missionary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first school songs in Korean history appeared at modern schools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ey were all in the form of a Changga.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ga in the enlightenment period are as follows. First, Changga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originated from the hymns spread by American missionaries through church worship and school education. Secon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Troping Changga’, singing the same melody with different lyrics, became popular as a musical phenomenon. Third, ‘Resistance Changga about Anti-Foreign power’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s a song of resistance towards East Asian and Western powers that revealed the ambition of the invasion of Joseon. Fourth, the bass clef in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written to face to the right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alphabet ‘F’, and in the late 1910s, it was converted to the current bass clef notation method. This study scope of this thesis was limited to some modern schools established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continue to expand the case studies and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songs and Changga education in the enlightenment period in detail.

      • KCI등재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체계와 내용

        황민호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9

        이 논문은 2012년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고등학교 한국사』의 내용 가운데 일제시기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와 관련된 부분의 서술 내용과 지도 및 사진 등의 문제점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행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을 그 내용의 역사적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며, 단순하게 서술된 측면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 서술 상에 오류도 보인다. 첫째, 중광단에 대한 성격 규정이나 삼둔자전투이 전개과정 등에 대해서는 교과서 별로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민족유일당운동에 대한 서술에 있어서는 모든 교과서가 한인공산주의운동에 대한 일정한 수준에서의 설명이 보완된 후 협동전선운동으로서의 민족유일당운동에 대해 설명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동북항일연군과 관련된 교과서의 서술이 보천보전투만을 강조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수정될 필요가 있으며, 다양한 한인대원들의 전투 활동을 전제하는 설명이 있어야 한 것으로 파악된다. 지도와 사진 등에도 오류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보이고 있는데 청산리대첩과 경신참변과 관련된 사진 부분에 대해서는 그 진위여부에 대한 신중한 검토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전체적으로 교과서의 집필에는 교과서 별로 보다 많은 집필진의 참여와 여러 차례의 검증을 수반하는 감수절차 등이 제도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aimed to grasp the problems of descriptions, maps and photos related with history of anti-Japanese movements in Manchuria in the contents of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for high school. The descript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tory in Manchuria in current textbooks seemed to be neglected and simplified in comparison its importance, and there is mistake in description. First, establishing the precise nature of Joonggwangdan and the process of Samdunja combat need to modification for each textbook. And for the description of Movement for the National Single Party, it is need to describe the Movement for the National Single Party as the cooperation movement between nationalist and socialist, after supplementing the additional explanation for Korean communist movement. Moreover, it is needed to modification that the description in textbooks of Northeast Anti-Japanese Allied Army is tended to emphasize only Bocheonbo combat, and require the explanation for the various warfare activities of Korean armies. There are errors or needs to be modified in some maps and photographs, especially the photographs related with Chengsan-ri Campaign and Kyungsin Catastrophe is need to carefully consider about their authenticity. Overall, the task of writing textbooks require the institutional mechanisms such as the participation of many writing staff of each textbook and the supervision progress involving the verification over and over.

      • KCI등재

        초기 기독교학교의 신앙교육 비교 고찰 -배재, 경신, 대성, 오산학교를 중심으로-

        강영택 ( Young Taek Kang ) 기독교학문연구회 2012 신앙과 학문 Vol.1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help for today`s Christian Schools to re-establish the identity of Christian Schools through examining faith education at early Christian Schools in Korea. To this end, among Christian Schools built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each two schools founded by foreign missionaries and Korean leaders have been selected and examined. This study found 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lated to faith education at these four schools. The faith taught at Paichai, Kyungshin, Daesung, and Osan Schools was not confined to religious area, such as worship and prayer, but rather associated to the whole of life. The students learned at the schools that faith should result in dedication to the service for society and nation. The faith education mainly occurred at Bible time and worship services, in addition at extracurricular activities like student government activities. Especially students learned faith from the teachers who were deeply dedicated to Christianity.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se Christian Schools. Paichai and Kyungshin Schools built by missionaries emphasized faith education and at the same time tried to nurture the men of culture with the spirit of democracy. On the other side, Daesung and Osan Schools built by Korean leaders emphasized the education of nationalism based on Christianity and tried to nurture the men with the spirit of nationalism. Finally, some implications to today`s Christian Schools have been suggested.

      • KCI등재

        대학 문제 : 조선기독교대학의 설립 과정과 정체성, 1913~1917

        옥성득(Sung-Deuk Oak)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동방학지 Vol.196 No.-

        이 논문은 1914~15년에 설립된 서울의 기독교 연합 대학인 조선기독교대학(Chosen Christian College)의 설립 과정과 1917년 사립연희전문학교로 인가받을 때까지 초기 운영에 나타난 기독교 대학으로서의 정체성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점을 제기한다. 서울에 설립된 기독교 연합대학(전문학교)을 누가(설립 주체), 언제(설립연도), 어디서(서울이냐 평양이냐), 무엇을(기독교성과 근대성), 어떻게(연합의 방법과 과정), 왜(이념) 설립했는지 여섯 가지 주제를 토론한다. 대학 문제에 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아직 명확하게 정리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연세의 설립 과정과 역사적 정체성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그 핵심 문제는 대학의 종교성(기독교성)과 학문성(근대성)을 동시에 유지하면서 여러 교단과 교파 간의 연합을 도모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기존 연구들을 재검토하고, 설립 주체들인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 元杜尤, 1859~1916, 북장로회)와 베커(Arthur Lynn Becker 白雅悳, 1879~1978, 북감리회), 미국의 가우처(John Franklin Goucher, 1845~1922, 북감리회 해외선교회 이사, 선교부 공동위원회 위원장)와 브라운(Arthur Judson Brown, 1856~1963, 북장로회 선교부 총무)의 개인 문서들과 선교 편지들을 이용하여, 연희전문의 정체성 문제를 토론한다. 이 논문이 주장하는 바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설립 주체에서 1914년 서울에서 대학 예비반을 개설하고 1915년부터 교감과 부교장으로 학사 운영 실무를 담당한 베커의 역할을 재강조한다. 둘째, 현재 연세대학교가 연희전문학교 설립일(개교일)로 서술하는 두 날짜는 1915년 3월 5일(현지이사회 조직일)과 1915년 4월 12일(개교식 거행)이다. 이는 법제적, 기구적, 의례적 관점이므로, 교수와 학생의 수업(학사) 관점에서 정식 개교 1년 전인 1914년 4월 12일(서울 YMCA 건물에서 배재중 대학반과 경신중 대학반을 통합하여 예비반 시작)을 임시 개교일로 보고자 한다. 셋째, 조선기독교대학의 설립 장소(서울), 방법(초교파 연합), 교육 내용(근대 학문: 문과, 상과, 수학과 과학), 설립 이념(교회 지도자를 넘어서는 기독교인 사회 지도자 겸 교양인 교육)을 연결된 전체로 파악하고, 그 상호관계를 강조하되, 교회 연합 요소가 중요했기 때문에 장로회와 감리회 연합으로 서울에 설립되었음을 주장한다. 교회 연합의 관점에서 남장로회도 예산 지원에 참여했다. 조선기독교대학의 기독교성은 근대성(과학주의와 자본주의)과 불가분리의 관계에 있었고, 이들의 통합 교육이 조선기독교대학(희전문학교)의 정체성을 형성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Chosen Christian College from 1914 to 1917. It raises six questions—5W and 1H—regarding the college s identity as a Christian college. The core problem was maintaining the balance between Christian character and academic excellence against the challenge of the Pyongyang group. By examining of primary documents of the following individuals—Horace G. Underwood, Arthur L. Becker, John F. Goucher, Arthur J. Brown, Samuel A. Moffett, and William M. Baird, it argues the following three major points. First, it emphasized the role of Mr. Becker as temporary principal and assistant principal in 1914-1915. Second, the college was temporarily established on April 12, 1914 when Mr. Becker started its joint preparatory classes at the YMCA building. On April 12, 1915 the college had the official opening ceremony with Dr. H. G. Underwood as its temporary principal. Today Yonsei University commemorates March 5 or April 12 of 1915 as the founding day with two founding fathers—Underwood (representing Christianity and spirituality) and Avison (embodying medicine and modernity). They forgot Mr. Becker, however, the third founding father, who advocated science and church ecumenism. Third, Chosen Christian College could be located in Seoul as an ecumenical institution among Presbyterians and Methodists, teaching modern science. Its philosophy was producing Christian national leaders beyond just church leaders. The college maintained the tension among triple elements—Christian spirituality, modernity, and nation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